KR20070066233A -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233A
KR20070066233A KR1020050127146A KR20050127146A KR20070066233A KR 20070066233 A KR20070066233 A KR 20070066233A KR 1020050127146 A KR1020050127146 A KR 1020050127146A KR 20050127146 A KR20050127146 A KR 20050127146A KR 20070066233 A KR20070066233 A KR 2007006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accid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7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233A/ko
Publication of KR2007006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고 촬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교통 사고, 영상 데이터, 촬영, 카메라, 이동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Blackbox of Traffic Accident}
도 1은 교통 사고를 촬영하는 종래의 사고 현장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고 촬영 데이터가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되는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210: 카메라
220: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
230: 이동 통신 단말기
240: 이동 통신망
250: 교통 사고 접수 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 사고 시 사고 촬영 데이터를 관리하고 블랙박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통신 단말기는 장거리 의사 소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으므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 자동차 운전자는 교통 사고 시 사고의 정황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를 남기기 위하여 차량에 CCTV와 같은 영상 촬영 장비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한다.
도 1은 교통 사고를 촬영하는 종래의 사고 현장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에 교통 사고가 발 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등 일정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차량 주변의 사고 과정을 촬영한 사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110). 즉,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교통 사고 현장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파손된 차량 등과 더불어 사고 관련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고 발생 원인 등 사고와 관련된 경위 등을 파악하고 결론을 도출할 수 있으며(120), 교통 사고 사건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하지만, 종래의 사고 현장 촬영 방법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온전하게 보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영상 촬영 장치에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보관하더라도 사고로 인해 차량과 같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하여 비행기 등에서 사용하는 블랙박스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하여, 교통 사고 발생시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사고 현장을 촬영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사고 촬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베이스화 되는 교통 사고 현장 촬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에 바로 전송하도록 하여 사고와 관련된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블랙박스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데이터 수집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블랙박스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사고 현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은 카메라(210),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 이동 통신 단말기(230), 이동 통신망(240),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를 포함한다.
상기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200)은 셀룰러 폰, PCS, PDA, DMB 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230)가 기지국,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한 여러 통신망 구성 요소와 연결된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여 교통 사고에 대한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 등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가 사고 현장을 촬영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240)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 사고 현장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240)을 통하여 교통 사고를 담당하는 일정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230)가 파손되어 사고 촬영 데이터가 멸실되더라도, 교통 사고를 당한 사람은 사고 해결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210)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210)는 사고 현장을 촬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CMOS 카메라, CCD(Charged Coupled Device) 카메라, 또는 기타 영상 촬영 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고 주변 상황을 연속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작동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카메라(210)는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 등으로부터 상기 차량이 충격에 따른 사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일정 시간 동안 촬영 동작을 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의 용량을 줄여 저장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는 상기 차량에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 해지는 경우 사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사고 신호는 상기 카메라(21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2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이 다른 대상물과 충돌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으로 상기 에어백 시스템과 연결된 센서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충격을 받게 되면 상기 에어백 시스템이 작동한다. 즉,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는 상기 에어백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백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어, 차량 사고 상태를 알리는 일정 사고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시스템과 별도로 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 등에 여러 충격 센서를 설치하여 사고 유무를 판별하도록 하고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신호를 상기 카메라(2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충격 센서로부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10) 또는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소정의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210),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를 간단히 거치시킴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로부터 사고 신호를 수신 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도 3의 32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240)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가 파손되더라도 사고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망(240)은 이동 통신 단말기(230)와 고정된 지점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사이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 단위 또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게이트웨이(gateway) 등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로부터 상기 카메라(210)가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 또는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와 연결된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추후에 교통 사고 내용을 분석하는 경우에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왑(WAP) 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왑 서버는 무선 응용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통신을 하거나 다른 컴 퓨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한 국제 기준을 따르는 서버로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규정하여 게이트웨이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서 왑 서버뿐만 아니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도착 예정 지점과 관련된 정보를 웹(web) 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영상 데이터 수집부(310), 무선 송수신부(315), 데이터베이스(320), 근거리 통신부(325), 제어부(330), 입력 수단(340), 및 출력 수단(35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310)는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사고 현장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15)는 기지국과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310)에서 수집된 정지 영상, 동영상 등 각종 영상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2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로서 NAND 메모리, D 램의 고속 쓰기 능력 및 플래시 메모리의 비활성 기능을 하나의 D램에 구현한 NV(Non-Volatile) D 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325)는 상기 카메라(21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와도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로부터 영상 데이터,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로부터 사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무선으로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근거리 통신부(325)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및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가전 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의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통신은 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없이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적외선 방식의 IrDA 통신 포트는 LAN에 버금가는 디지털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홈 보안 시스템, 및 VCR on/off 등을 가능하도록 하 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본원 발명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Wi-Fi는 무선 이더넷 호환성 협회(WECA)에서 802.11b 무선 이더넷 표준에 대해 제공하고 있는 규격으로 통신거리가 비교적 긴 장점이 있다. 또한, UWB(초광대역통신, Ultra Wide Band)은 2∼10GHz의 고주파대역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로서 초광대역통신(UWB)은 극초단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전송속도가 빨라 홈네트워킹 시스템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할 무선 통신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310)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240)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연관된 통신 단말기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34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와 관련된 각종 설정을 하기 위한 장치로 키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및 음성 인식 모듈 등이 하나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35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에서 상기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하는 과정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로 이동 통신 단말기(230)에 구비된 LCD, 유기 LED, PDP, LED 등 시각적 출력 수단, 벨소리, 컬러링, MP3 등 다양한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이어폰 등 청각적 출력 수단, 및 진동 모터 등을 이용한 촉각적 출력 수단이 최소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230)에서 사고 촬영 데이터가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되는 예시이다.
도 4의 (410)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사용자가 탄 차량에 사고로 판정되는 일정한 충격을 받은 후에 상기 에어백 시스템 또는 상기 충격 센서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로 사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고 신호를 수신한 상황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출력 수단(350)을 이용하여 표시한 일례이다. 상기 사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카메라(210)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31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동영상 등 대용량의 파일로 저장되는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저장 공간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사고 신호를 수신하기 전 또는 후 일정 시간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부족한 저장 공간에 대해서는 특정 메모리 영역을 정하고 그 영역을 넘어설 경우 이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잘라내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발생 전 30초, 사고 발생 후 30초와 같이 일정 기간만을 한정하여 저장하여 1분 정도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EVDO망 또는 HSDPA망을 통하여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될 수 있고 각각의 전송 속도에 맞게 상기 영상 데이터를 가감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이 완료된 이후에도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임의로 삭제되지 않도록 한다.
도 4의 (42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전방 1번 카메라에서 촬영한 동영상 파일('FCAMO1.avi') 및 후방 2번 카메라에서 촬영한 동영상 파일('RCAMO2.avi')가 교통 사고 접수 서버 등 소정의 서버('XXX 서버')로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를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23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와 관련된 전화 번호로 송신되도록 하여 교통 사고 관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230) 등으로도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 동 통신 단말기(230)를 동작 과정의 단계에 따라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230)의 사고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를 수신한다(S510). 상기 사고 신호는 상기 에어백 시스템/충격 센서(22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백 시스템과 연결된 센서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충격을 받게 되면 상기 에어백 시스템이 작동하면서 상기 사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다양한 충격 센서를 차량의 사방에 설치하여 사고 유무를 판별하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가 사고 현장을 촬영한다(S520). 상기 카메라(210)는 여러 각도에서 차량 주위에 설치되어 차량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S530). 이때, 상기 카메라(210), 상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충격 센서는 소정의 차량용 거치대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3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사고 신호 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무선으로 수신하는 경우에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부(325)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고(S540),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3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240)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로 전송한다(S550). 만약, 이동 통신망(240)에 접속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데이터 관리자 프로그램 등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관리하여 직접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 또는 경찰청 서버 등으로 접속을 하거나 직접 증빙으로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교통 사고 발생시 교통 사고 경위에 대해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 등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고 해결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만약의 사태에 차량이 전소되거나 심한 파손이 되어 운전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중요한 증거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230)와 연관하여 언급된 실시예들은 교통 사고 접수 서버(250)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블랙박스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 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교통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뿐만 아니라, 사고 즉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일정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파손되더라도 사고 촬영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에서 사고와 관련된 증거 자료들이 유지 관리되므로 교통 사고와 관련된 사건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데이터 수집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는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충격 센서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사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시스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격 센서와 근거리 통신을 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근거리 통신을 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및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 신호를 수신하기 전 또는 후 일정 시간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를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 관련 전화 번호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사고 현장을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웹(web) 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접수 서버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왑 (WAP) 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는 왑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블랙박스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사고 현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사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블랙박스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
  14. 제13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127146A 2005-12-21 2005-12-21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06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146A KR20070066233A (ko) 2005-12-21 2005-12-21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146A KR20070066233A (ko) 2005-12-21 2005-12-21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233A true KR20070066233A (ko) 2007-06-27

Family

ID=3836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146A KR20070066233A (ko) 2005-12-21 2005-12-21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2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396A1 (en) * 2008-05-30 2009-12-03 Won Tae Leem Wireless video call device for prevention of kidnap crime
KR101289636B1 (ko) * 2011-06-03 2013-07-26 강동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KR101321415B1 (ko) * 2011-09-05 2013-10-22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CN103608248A (zh) * 2011-11-25 2014-02-26 Senul株式会社 手机结合型用户交互式汽车黑匣子及其驱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396A1 (en) * 2008-05-30 2009-12-03 Won Tae Leem Wireless video call device for prevention of kidnap crime
KR101289636B1 (ko) * 2011-06-03 2013-07-26 강동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KR101321415B1 (ko) * 2011-09-05 2013-10-22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CN103608248A (zh) * 2011-11-25 2014-02-26 Senul株式会社 手机结合型用户交互式汽车黑匣子及其驱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35501B (zh) 页面分享方法、装置及系统
CN102832975B (zh) 数据传输方法、装置以及具有触摸显示屏的终端
JP2011171798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として機能する携帯電話機、プログラム及びドライブレコード方法
CN104426919A (zh) 页面分享方法、装置及系统
CN109890022B (zh) 数据传输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660650B (zh) 设备回连的方法及相关装置
CN110225462B (zh) 一种防止网络拥塞的方法、系统及装置
KR100756911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조난 구조를 위한 gps 단말 및방법
CN109660973A (zh) 蓝牙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492704A (zh) 会话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70787A (zh) 一种影像文件删除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65597B (zh) 移动终端和紧急情况的处理方法、装置
KR20070066233A (ko) 차량 사고에 대비한 블랙박스 기능의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4122981A (zh) 应用于移动终端的拍照方法、拍照装置及移动终端
CN106454975A (zh) 一种热点网络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10086492A (zh) 一种终端及其卡托控制装置
CN10483671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721282A (zh) 消息显示方法及装置
CN112566037A (zh) 物品追踪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714279A (zh) 一种热点网络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06792434A (zh) 一种热点建立方法及终端设备
CN108805559B (zh) 二维码推送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72203B (zh) 文件传输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378339A (zh) 一种使用代理协议的通信方法和装置
CN109977305B (zh) 信息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