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513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513A
KR20070065513A KR1020050126030A KR20050126030A KR20070065513A KR 20070065513 A KR20070065513 A KR 20070065513A KR 1020050126030 A KR1020050126030 A KR 1020050126030A KR 20050126030 A KR20050126030 A KR 20050126030A KR 20070065513 A KR20070065513 A KR 2007006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information
broadcast
digital multimedia
ep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5513A/ko
Publication of KR2007006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4Wireless systems of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청하고자 하는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의 선택 시 일일이 검색하여 해당 방송을 재생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전원 온 시에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각각 파싱하며, 각각 파싱된 EPG 정보를 통합하여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후에, 임의의 방송 선택을 문의하고, 임의의 방송이 선택될 때,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상파 DMB, EPG 정보, CDM(Code Division Multiple), MOT(Multimedia Object Transport), SI(Service Information)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OFFERING BROADCASTING INFORMA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키입력부 104 : 제어부
106 : DMB 수신부 106a : 위성 DMB 수신 모듈
106b : 지상파 DMB 수신 모듈 108 : 역다중화부
108a : 위성 DMB 파서 108b : 지상파 DMB 파서
110 : 메뉴 생성부 112 : 디코딩부
112a : 비디오 신호 처리부 112b : 오디오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 휴대, 차량용 수신기에 제고하는 방송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지상파 DMB, 위성 DMB 등으로 서비스된다.
그리고, 지상파 DMB는 텔레비전 채널 7번부터 13번까지의 174MHz - 216MHz에 해당하는 초단파(VHF) 대역 중 12번 채널로 이미 할당되어 있고, 이러한 12번 채널은 다시 3개의 주파수 블록(멀티플렉서)으로 나뉘는데, 블록 당 1054Mbps의 대역폭을 할당하여 비디오 채널 1개와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 3개를 수용함으로써, 아날로그 TV의 1개 채널(VHF 12번)의 대역폭으로 비디오 채널 3개,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 9개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상파 DMB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주파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성 DMB는 지상파보다 훨씬 높은 대역인 극초단파(UHF)에 해당하는 2.630 GHz - 2.655 GHz 대역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데, 지상에 위치하는 위성 DMB 센터에서 보도, 뮤직비디오, 스포츠, 영화, 드라마, 가요, 재즈, 외국어, 증권, 교통, 날씨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Ku밴드 주파수(13.824 GHz - 13.883 GHz)를 통해 위성으로 전송하고, 위성은 이를 DMB용으로 할당된 S밴드(2.630 GHz - 2.655 GHz)를 통해 지상의 수신 장치로 송출하여 서비스한다. 이러한 위성 DMB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이기 때문에 지상파 DMB보다 훨씬 많은 다양한 채널을 수용할 수 있고, 일시에 전국방송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DMB 또는 위성 DMB를 수신하여 해당 DMB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지상파 DMB 또는 위성 DMB에 대한 방송 정보(예를 들면, EPG 정보 등)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신되는 지상파 DMB 또는 위성 DMB를 일일이 검색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해당 방송을 재생함으로써, 시청하는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전원 온 시에 상기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각각 파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각각 파싱된 EPG 정보를 통합하여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생성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임의의 방송 선택을 문의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임의의 방송이 선택될 때,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을 제 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시청하고자 하는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의 선택 시 일일이 검색하여 해당 방송을 재생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전원 온 시에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각각 파싱하며, 각각 파싱된 EPG 정보를 통합하여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후에, 임의의 방송 선택을 문의하고, 임의의 방송이 선택될 때,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키입력부(102), 제어부(104), DMB 수신부(106), 역다중화부(108), 메뉴 생성부(110) 및 디코딩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DMB 수신부(106)는 위성 DMB 수신 모듈(106a) 및 지상파 DMB 수신 모듈(106b)을 포함하고, 역다중화부(108)는 위성 DMB 파서(108a) 및 지상파 DMB 파서(108b)를 포함하며, 디코딩부(112)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12a)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112b)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키입력부(102)는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시스템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DMB을 수신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채널 선택 조작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제어부(104)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키입력부(102)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조작신호에 따라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DMB 수신부(106)로 제공하고, 전달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부가된 방송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역다중화부(108)로 제공하며, 역다중화부(108)로부터 전달되는 EPG 정보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디코딩부(112)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메뉴 생성부(110)로 제공하고,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를 디코딩부(112)로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4)에서는 전원 온 시에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DMB 수신부(106)로 제공하고, 이러한 각 방송 정보를 파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역다중화부(108)로 제공하며, 통합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메뉴 생성부(110) 및 디 코딩부(112)로 제공한다.
다음에, DMB 수신부(106)는 위성 DMB 수신 모듈(106a) 및 지상파 DMB 수신 모듈(106b)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제어신호에 따라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을 튜닝하여 복조한 후에, 이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부(108)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위성 DMB 수신 모듈(106a)은 예를 들어 CDM 방식 등을 의미하고, 지상파 DMB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AB 방식 등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전원 온 시에 DMB 수신부(106)에서는 제어 블록(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방송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신하여 역다중화부(108)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위성 DMB의 EPG 정보는 CDM 채널2를 통해 수신되고, 지상파 DMB의 EPG 정보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port)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또한, 역다중화부(108)는 위성 DMB 파서(108a) 및 지상파 DMB 파서(108b)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이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추출하여 디코딩부(112)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위성 DMB 파서(108a) 또는 지상파 DMB 파서(108b)에서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에 대한 각각의 방송 정보(예를 들면, EPG 정보 등)를 추출하여 이를 메뉴 생성부(110)로 전달한다.
그리고, 메뉴 생성부(110)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역다중화부(108)의 위성 DMB 파서(108a) 또는 지상파 DMB 파서(108b)에서 해당 방 송에 대한 방송 정보(예를 들면, EPG 정보 등)를 전달받아 이를 이용하여 방송 정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코딩부(112)로 전달한다.
다음에, 디코딩부(112)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12a)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112b)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달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신호 처리하여 동기화 정보에 따라 도시 생략된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또한, 디코딩부(112)에서는 메뉴 생성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정보 메뉴 화면을 비디오 신호와 혼합한 후 이를 도시 생략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전원 온 시에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방송 정보를 파싱하여 해당 방송 정보를 통합 제공한 후에 이를 통해 선택된 해당 DMB 방송을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러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단계202), 제어 블록(104)에서는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원을 온(on)시키는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따라 키입력부(102)로부터 발생하는 전원 온 키 조작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204).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전원 온 키 조작신호가 있을 경우 제어 블록(104)에서는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방송 정보(예를 들면, EPG 정보 등)을 수 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DMB 수신부(106)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DMB 수신부(106)의 위성 DMB 수신 모듈(106a)에서는 위성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고, 지상파 DMB 수신 모듈(106b)에서는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한다(단계206). 여기에서, 위성 DMB의 EPG 정보는 CDM 채널2를 통해 수신되고, 지상파 DMB의 EPG 정보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port)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그리고, 제어 블록(104)에서는 위성 DMB와 지상파 DMB 각각의 EPG 정보를 파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역다중화부(108)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역다중화부(108)의 위성 DMB 파서(108a)에서는 위성 DMB의 EPG 정보를 파싱하고, 지상파 DMB 파서(108b)에서는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파싱한다(단계208). 여기에서, 지상파 DMB의 EPG 정보는 CDM 채널2에서 SI(Service Information)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표준에 따라 파싱하고, 위성 DMB의 EPG 정보는 MOT 채널에서 XML로 구성된 EPG 정보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표준에 따라 파싱한다.
다음에, 제어 블록(104)에서는 각각 파싱된 위성 DMB의 EPG 정보와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통합 파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역다중화부(108)로 제공하고, 역다중화부(108)에서는 시간축과 채널 종류를 기준으로 각각의 EPG 정보를 테이블(table)화한 후 XML 문서로 재구성하여 메뉴 생성부(110)로 전달하고, 메뉴 생성부(110)에서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재구성된 XML 문서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을 생성한다(단계210).
또한, 디코딩부(112)에서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EPG 정보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비디오 신호와 혼합한 후 도시 생략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단계212).
한편, 제어부(104)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방송 선택을 문의하는 중에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임의의 방송을 선택하는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따라 키입력부(102)로부터 발생하는 방송 선택 키 조작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214).
상기 단계(214)에서의 체크 결과, 방송 선택 키 조작신호가 있을 경우 제어부(104)에서는 해당 방송(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을 수신하고, 이를 해당 표준으로 파싱한 후 디코딩하여 도시 생략된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각 구성부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택된 해당 방송을 재생한다(단계216).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전원 온 시에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파싱한 후, 이러한 각 EPG 정보를 통합하여 메뉴 화면으로 제공하고, 임의의 방송 선택을 문의한 후에 선택된 해당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청하고자 하는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의 선택 시 일일이 검색하여 해당 방송을 재생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전원 온 시에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각각 파싱하며, 각각 파싱된 EPG 정보를 통합하여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후에, 임의의 방송 선택을 문의하고, 임의의 방송이 선택될 때,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통합 EPG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EPG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전원 온 시에 상기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EPG 정보를 각각 파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각각 파싱된 EPG 정보를 통합하여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생성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임의의 방송 선택을 문의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임의의 방송이 선택될 때,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위성 DMB의 EPG 정보는, CDM(Code Division Multiple) 채널2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지상파 DMB의 EPG 정보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port)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위성 DMB는, CDM 채널2에서 SI(Service Information)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표준에 따라 파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지상파 DMB는, MOT 채널에서 XML로 구성된 EPG 정보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표준에 따라 파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각각 파싱된 EPG 정보는, 시간축과 채널 종류를 기준으로 각각의 EPG 정보를 테이블화한 후 XML 문서로 재구성하여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KR1020050126030A 2005-12-20 2005-12-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KR20070065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30A KR20070065513A (ko) 2005-12-20 2005-12-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30A KR20070065513A (ko) 2005-12-20 2005-12-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13A true KR20070065513A (ko) 2007-06-25

Family

ID=3836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030A KR20070065513A (ko) 2005-12-20 2005-12-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55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31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visual cues improving perceived acquisition time
US7057669B2 (en) Language displaying apparatus for digital TV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71016B1 (ko) 보조 채널을 이용한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1023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H1132312A (ja) データ放送方法,及び放送受信装置
KR100698753B1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및 예약 저장 방법
KR20020014875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KR2007006551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US20040148641A1 (en) Television systems
KR1007064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0324417A (ja) 補助情報再生装置
KR100362515B1 (ko) 디지털방송의부가정보다중디스플레이장치
KR1007504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EP1876827A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77952A2 (en) Method for providing heterogeneous services in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using Picture-In-Picture function
JP7206449B2 (ja) 放送受信端末装置
KR2003005711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10078518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등급제한 시스템의 자동 지역화장치 및 방법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73973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JPH1132309A (ja) データ放送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100251235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20060099964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도중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10228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수신 장치를 이용한 앙상블 구조변화의 표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