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879A - A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4879A KR20070064879A KR1020050125448A KR20050125448A KR20070064879A KR 20070064879 A KR20070064879 A KR 20070064879A KR 1020050125448 A KR1020050125448 A KR 1020050125448A KR 20050125448 A KR20050125448 A KR 20050125448A KR 20070064879 A KR20070064879 A KR 20070064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fer belt
- actuator
- position detecting
- senso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of a transfer belt for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사벨트가 정상적으로 선회되는 경우의 동작을 보여준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and shows an operation when the transfer belt is normally turned.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사벨트가 사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보여준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and shows an operation when the transfer belt meanders.
도 5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전사벨트 100a: 위치 감지 홀100:
120: 구동롤러 120a: 위치 감지 홈120:
130: 위치 감지 센서 131: 발광부130: position detection sensor 131: light emitting unit
132: 수광부 140: 액츄에이터132: light receiver 140: actuator
141: 제1 액츄에이터부 141a: 제1 단차면141:
141b: 제2 단차면 142: 제2 액츄에이터부141b: second stepped surface 142: second actuator portion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의 비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전사벨트의 사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ition of the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by toner scattering and detect whether the transfer belt is meandering. It relates to a sensing device.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scanning light onto a photosensitive member charged at a constant potential, and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with a toner of a predetermined color using a developer, and then prints the paper. A device that prints a monochrome image or a color image by transferring and fixing the same.
이러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감광체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프로세스,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과 같은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프로세스,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프로세스,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하여 급지부에 의해 용지가 선회되는 선회경로를 따라 용지가 급지되는 급지프로세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와 같이 급지된 용지로 전사(transfer)하는 전사프로세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부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프로세스,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배지부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배지프로세스를 갖춘다.Such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generally irradiates light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by an electrostatic scanning unit such as a charging process, a laser scanning unit (LSU), which charges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and electrostatics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An exposure process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a developing process for supplying a toner as a developer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to develop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into a toner image as a visible image, a paper cassette A paper feeding process in which paper is fed along a turning path where paper is rotated by the paper feeding unit, and a transfer process for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the paper loaded as described above. Fixing process to fix the toner image on paper by pressing the toner image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pired by the paper sheet discharge to equip the culture medium the process of medium ou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인쇄작업에서 전사 프로세스는 인쇄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과정이다. 전사 프로세스에서는,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각 컬러의 어긋남이 없이 전사벨트 상에 순차적으로 옮긴 후 이 토너화상을 최종적으로 용지로 전사시켜 화상이 형성되므로 감광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시점이 전사벨트의 위치와 정확하게 동기화되어야 한다.In a print job using 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ransfer process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affects the quality of printing. In the transfer process,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is sequentially transferred onto the transfer belt without shifting each color, and then the toner image is finally transferred onto a sheet of paper to form an image. Thus, the point of time at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is formed. It must be synchronized exactly with its position.
따라서, 전사벨트의 소정 위치를 센서로 감지한 후 이 위치를 감광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여 각 컬러의 인쇄 초기 위치를 결정한다.Therefore, after detec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ansfer belt with a sensor, this position is used as a reference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determine the printing initial position of each color.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of a transfer belt for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위치 감지장치는 전사벨트(10) 상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홀(10a)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미도시)에 설치된 발광부(31) 및 수광부(32)로 구성된 위치 감지센서(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includes a
전사벨트(10)가 구동롤러들(21, 22: 20)이 구동됨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선회될 때, 전사벨트(10)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홀(10a)이 발광부(31)와 수광부(32)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위치 감지센서(30)는 위치 감지 홀(10a)의 선단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기준으로 각 컬러의 인쇄 초기 위치 를 정하게 된다.When the
그런데, 이와 같이 전사벨트(10) 상의 위치 감지 홀(10a) 사이로 광을 통과시켜 위치 감지 신호를 검출할 경우, 위치 감지센서(30)의 발광부(31)와 수광부(32)는 전사벨트(10)를 사이에 두고 전사벨트(10)에 근접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위치 감지센서(30)가 전사벨트(10)에 근접되게 설치되면 이 센서(30)가 전사벨트(10)에 형성되는 토너화상에 근접되게 되므로,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있는 토너가 주변으로 비산하여 인접한 위치 감지센서(30)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light is passed between the
한편, 상기 전사벨트(10)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선회 경로에서 벗어나 사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지로 전사되는 토너화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대처를 위해 이러한 전사벨트(10)의 사행 여부를 미리 감지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토너의 비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by scattering of to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사벨트의 사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transfer belt is meandering.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invention,
폐루프 상의 전사벨트를 화상형성장치의 부주사방향으로 순환 구동하는 구동롤러의 일측 둘레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홈;A position sensing groove formed around one side of the drive roller circulating the transfer belt on the closed loop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구동롤러의 위치 감지 홈에 대응되게 상기 전사벨트에 관통 형성된 위치 감지 홀;A position sensing hole formed through the transfer belt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sensing groove of the driving roller;
상기 전사벨트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 감지 홀을 통해 상기 위치 감지 홈에 출입하는 액츄에이터 및An actuator which is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transfer belt and enters and exits the position detecting groove through the position detecting ho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belt;
상기 위치 감지 홈을 출입하는 액츄에이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제공된다.Provided is a position sensing device of a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n actuator entering and exiting the position detecting groov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감지센서는, 광을 주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주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scann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scann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전사벨트 쪽으로 연장되어 상시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는 제1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위치 감지센서 쪽으로 연장되어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치 감지센서를 온/오프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the first actuator portion which extends toward the transfer belt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belt, and extends towar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to turn on the position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a second actuator portion for turning of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액츄에이터부는 상호 단차진 적어도 두 개의 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단차면들 및 상기 위치 감지 홀은, 상기 전사벨트가 정상적으로 선회될 때에는, 상기 단차면들 모두가 적어도 일부분씩 상기 위치 감지 홀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전사벨트가 부주사방향에 대해 사행할 때에는, 상기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한 단차면이 상기 위치 감지홀 주변의 전사벨트에 걸려 상기 위치 감지 홀 안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tuator portion has at least two stepped surfaces mutually stepped, and the stepped surfaces and the position detecting hole are the stepped surfaces when the transfer belt is normally turned. At least a portion of all of the stepped surfaces are caught by the transfer belt around the position detecting hole when the transfer belt meanders about the sub-scanning direction,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osition detecting hole. It is formed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감지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회동될 때 그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when the actuator is rota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는, 구동롤러(120)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홈(120a), 전사벨트(100)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홀(100a), 및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미도시)에 형성된 액츄에이터(140)와 위치 감지센서(1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of the transfer bel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위치 감지 홈(120a)은 구동롤러(120)의 지름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일 외주면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폐곡선이란 한 곡선 상에서 한 점이 한 방향으로만 사뭇 움직일 때 출발점으로 돌아오게 되는 곡선을 의미하며, 자폐선(自閉線)이라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 홈(120a)은 고리 형상이다.The position sensing
위치 감지 홀(100a)은 전사벨트(100)를 관통하여 위치 감지 홈(120a)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전사벨트(100)는 구동롤러(120)에 감겨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된다. 여기서, 부주사방향이란 주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전사벨트(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주사방향은 구동롤러(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The
액츄에이터(140)는 제1 액츄에이터부(141) 및 제2 액츄에이터부(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2 액츄에이터부(141, 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개체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제2 액츄에이터부(141, 142)는 이 중 어느 한 부분이 소정 변위만큼 회동되면 나머지 한 부분도 같은 변위만큼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전사벨트(100) 쪽으로 연장되어 토션 스프링 등 소정의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전사벨트(10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로써,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상시 전사벨트(100)에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후술하는 위치 감지센서(130) 쪽으로 연장되어 그 움직임에 따라 위치 감지센서(130)를 온(ON)/오프(OFF)시킨다.The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전사벨트(100)가 구동롤러(120)에 감겨 선회됨에 따라 소정 위치에서 위치 감지 홀(100a)에 삽입되고, 이어서 위치 감지 홈(120a)에까지 삽입되게 된다. 이 후, 전사벨트(100)가 더 선회되게 되면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차례로 위치 감지 홈(120a)과 위치 감지 홀(100a)을 벗어나게 된다. The
위치 감지센서(130)는 액츄에이터(140)의 상기와 같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전사벨트(10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액츄에이터부(141)가 위치 감지 홀(100a)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제2 액츄에이터부(142)가 회동될 때, 이러한 위치 감지센서(130)는 전사벨트(1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2 액츄에이터부(14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위치 감지센서(130)가 전사벨트(100)로부터 이격되는 소정 간격이란, 전사벨트(100)에 형성된 토너화상으로부터 비산되는 토너가 위치 감지센서(130)에 접근하지 못할 정도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위치 감지센서(130)를 전사벨트(100) 부근에 직접 설치하는 대신에, 전사벨트(100) 부근에 액츄에이터(140)를 설치하고, 이 액츄에이터(14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 감지센서(130)를 설치함으로써, 위치 감지센서(130)가 전사벨트(100)의 토너화상으로부터 비산되는 토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센서(130)는 광을 주사하는 발광부(131), 및 상기 발광부(131)로부터 주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132)를 구비하며,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상기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 사이를 왕복이동하면서 발광부(131)에서 주사되는 광을 차폐시키거나 통과시켜 이 광이 수광부(132)로 유입되게 하거나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수광부(132)로 광이 유입되게 되면 위치 감지센서(130)는 온(ON) 상태로 표시되게 되고, 수광부(132)로 광이 유입되지 못하게 되면 위치 감지센서(130)는 오프(OFF)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상호 단차진 적어도 두 개의 단차면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단차면들 및 위치 감지 홀(100a)은 전사벨트(100)가 정상적으로 선회될 때에는, 상기 단차면들 모두가 적어도 일부분씩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고, 전사벨트(100)가 주사방향으로 사행할 때에는, 상기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한 단차면이 위치 감지홀(100a) 주변의 전사벨트(100)에 걸려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위치 감지 홀(100a)은 적어도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모든 단차면들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지만, 전사벨트(100)가 사행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임계치 보다 크게 형성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단차면 (141a, 141b)이 예시되어 있다. 이들 단차면들(141a, 141b) 중 제1 단차면(141a)이 높고, 제2 단차면(141b)은 낮다.These stepped surfaces and the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액츄에이터부(141)가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단차면들(141a, 141b) 중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지 않은 단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즉 전사벨트(100)가 사행하는 경우, 그 단차면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위치 감지센서(13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또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차이가 나게 된다. 이로써, 전사벨트(100)가 사행하는지 여부 및 어느 쪽으로 사행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way,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센서(130)는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를 포함하는 광 센서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위치 감지센서(13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액츄에이터(140)가 회동될 때 그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사벨트가 정상적으로 선회되는 경우의 동작을 보여준다.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and shows an operation when the transfer belt is normally turned.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한 부재의 부분을 가리킨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 or parts of the same member.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전사벨트(10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전사벨트(100)에 접촉되어 있다. 이 때,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위치 감지센서(130) 아래에 위치하고 위치 감지센서(130)는 온 상태로 표시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3, in the initial state, the
다음에, 구동롤러(120)가 회전되면 전사벨트(100)도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되게 된다. 이후, 전사벨트(100)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홀(100a)이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아래로 오게되면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어 위치 감지 홈(120a)에 안착되게 된다. Next, when the driving
도 3의 (b)에는 제1 액츄에이터부(141)가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어 위치 감지 홈(120a)에 닿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위치 감지센서(130)의 발광부(131)와 수광부(132)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위치 감지센서(130)는 오프 상태로 표시된다.3 (b) shows a state before the
도 3의 (c)에는 제1 액츄에이터부(141)가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어 위치 감지 홈(120a)에 닿아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위치 감지센서(130)의 위에 위치하고 위치 감지센서(130)는 다시 온 상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위치 감지센서(13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T1으로 정의하기로 한다.3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그 다음에, 구동롤러(120)가 더 회전되면 전사벨트(100)도 부주사방향으로 더 선회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차례로 위치 감지 홈(120a) 및 위치 감지 홀(100a)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위치 감지센서(130)는 오프 상태, 온 상태로 순차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도 3의 (d)에는 제1 액츄에이터부 (141)가 위치 감지 홈(120a) 및 위치 감지 홀(100a)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위치 감지센서(130)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Then, as the driving
이와 같이 전사벨트(100)가 정상적으로 선회될 때에는 제1, 제2 단차면(141a, 141b) 모두가 적어도 일부분씩 위치 감지 홀(100a) 및 위치 감지 홈(120a)에 삽입되게 된다. As such, when the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사벨트가 사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보여준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and shows an operation when the transfer belt meanders.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한 부재의 부분을 가리킨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 or parts of the same member.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전사벨트(10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전사벨트(100)에 접촉되어 있다. 이 때,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위치 감지센서(130) 아래에 위치하고 위치 감지센서(130)는 온 상태로 표시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4, in the initial state, the
다음에, 구동롤러(120)가 회전되면 전사벨트(100)도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되게 된다. 이후, 전사벨트(100)에 형성된 위치 감지 홀(100a)이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아래로 오게 되면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전사벨트(100)가 정상적으로 선회되지 않고 사행함에 따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차면(141b)만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고, 제1 단차면(141a)은 제1, 제2 단차면(141a, 141b)을 잇는 경계면이 위치 감지 홀(100a) 주변의 전사벨트(100)에 걸림으 로써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액츄에이터부(141)는 위치 감지 홀(100a) 안으로 삽입되어 위치 감지 홈(120a)에 닿기 전의 상태로 있게 된다. 이 때,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위치 감지센서(130)의 발광부(131)와 수광부(132)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위치 감지센서(130)는 오프 상태로 표시된다.Next, when the driving
그 다음에, 구동롤러(120)가 더 회전되면 전사벨트(100)도 부주사방향으로 더 선회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제2 단차면(141b)는 차례로 위치 감지 홈(120a) 및 위치 감지 홀(100a)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위치 감지센서(130)는 온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도 4의 (c)에는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제2 단차면(141b)이 위치 감지 홈(120a) 및 위치 감지 홀(100a)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액츄에이터부(142)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위치 감지센서(130)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 감지센서(13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T2로 정의하기로 한다.Then, as the driving
이와 같이 전사벨트(100)가 정상적으로 선회되지 않고 주사방향으로 사행할 때에는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제2 단차면(141b)만 위치 감지 홀(100a) 및 위치 감지 홈(120a)에 삽입되게 된다. As such, when the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위치 감지센서(130)가 최초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T1과 T2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전사 벨트(100)가 사행하는지 여부 또는 액츄에이터(1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위치 감지센서(130)가 최초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T1이면 전사벨트(100)는 정상 선회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시간이 T2이면 전사벨트(100)는 사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T1 및 T2 주기 동안에 위치 감지센서(130)가 최초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140)가 기구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T1 및 T2는 실험에 의해 미리 그 값이 정해지며, 전사벨트(100)의 크기, 재질, 및 종류 등이나, 구동롤러(120)의 크기, 개수, 재질, 종류, 및 구동속도 등에 의해서 그 값이 달라지게 되므로 일률적으로 정해질 수 없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한편,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사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양측에 각기 하나씩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의 수직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제 2단차면(141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사벨트(100)가 사행할 경우 제2 단차면들(141b) 중 어느 한 쪽 단차면과 제1 단차면(141a) 사이의 경계면이 먼저 전사벨트(100)에 걸리는가를 기 설정된 온/오프 전환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하여 전사벨트(100)가 주사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사행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사벨트(100)의 사행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되면, 정상 선회를 위한 적절한 사행 보정이 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s 2 to 4, the vertical length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5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transfer bel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2.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3 to 5,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of the transfe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인쇄작업이 시작되면 구동롤러(120)에 의해 전사벨트(100)가 선회되기 시작한다(S10). 이때, 위치 감지센서(130)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S11).First, when the print job is started, the
이 후, 위치 감지센서(13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위치 감지센서(13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액츄에이터(140), 구체적으로 제1 액츄에이터부(14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 감지 홀(100a)에 삽입된 것이다(S13).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그 다음에, 기준 시간(T), 구체적으로 상기 T1 주기 동안에 위치 감지센서(130)가 온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만약, T1 주기 동안이 아닌 상기 T2 주기 동안에 온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사벨트(100)는 주사방향으로 사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5).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벨트(100)의 사행 방향을 추가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정상 선회를 위해 전사벨트(100)의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S16). 만약, T1 이나 T2 주기 동안에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액츄에이터(140)가 기구적 결함 등으로 인해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그리고, 만약 T1 주기 동안에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사벨트(100)는 정상적으로 선회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S17). 이 경우에는, 위치 감지센서(130)는 위치 감지 홀(100a)의 선단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기준으로 각 컬러의 인쇄 초기 위치를 정하게 된다(S18).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during the T 1 perio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의 비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provided a position sensing device of a transfer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due to scattering of ton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벨트의 사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위치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bel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detect whether the transfer belt meander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5448A KR20070064879A (en) | 2005-12-19 | 2005-12-19 | A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5448A KR20070064879A (en) | 2005-12-19 | 2005-12-19 | A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4879A true KR20070064879A (en) | 2007-06-22 |
Family
ID=3836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5448A KR20070064879A (en) | 2005-12-19 | 2005-12-19 | A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487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10255A (en) * | 2016-07-15 | 2018-01-18 | 株式会社リコー | Belt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2005
- 2005-12-19 KR KR1020050125448A patent/KR2007006487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10255A (en) * | 2016-07-15 | 2018-01-18 | 株式会社リコー | Belt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9802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veyance speed control based in part on loop detection | |
KR100673494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036582B2 (en) | Belt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81080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conveyance control method, and sheet-conveyance control program | |
US20190018351A1 (en) | Sheet conveying device, fix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 |
US735966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87704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5208574A (en) | Image formation method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for same | |
US7076195B2 (en) | Endless belt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nd controlling belt member | |
US780279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200050139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190049889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73193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47719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372815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070064879A (en) | A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5165049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2072574A (en) | Image-forming device | |
JP2023160682A (en) | Image formation device | |
JP7071232B2 (en) | Image forming device | |
US2016020265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12867972A (en) | Imaging system | |
JP2005351302A (en) | Belt apparatus | |
EP3879350B1 (en) |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 |
JP2008281881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