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683A -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683A
KR20070064683A KR1020077012195A KR20077012195A KR20070064683A KR 20070064683 A KR20070064683 A KR 20070064683A KR 1020077012195 A KR1020077012195 A KR 1020077012195A KR 20077012195 A KR20077012195 A KR 20077012195A KR 20070064683 A KR20070064683 A KR 2007006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network access
control
point
contro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852B1 (ko
Inventor
폴 이. 벤더
매튜 에스. 그롭
로버트 에이치. 킴벌
가디 카르미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6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 사용자 단말기(402)는 하나 이상의 여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들을 통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450)을 액세스한다.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432-440)들은 사용자 단말기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또는 포인트들을 결정한다. 제어는 원할 때마다 현재 제어 포인트에 유지되거나 또는 다른 제어 포인트에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라우터들이 있는데, 각 라우터는 어느 외부 에이전트들이 각 사용자 단말기측 상에 액세스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하는 관련 홈 에이전트(418-420)를 갖는다. 사용자 단말기의 홈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현재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로 송신하는 여러 외부 에이전트(422-430)들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도 1은 종래 단일-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다중-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특히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1은 종래의 단일 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패킷 라우터(102)는 네트워크(104)의 나머지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110)들에 라우팅시킨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106-110)들은 순방향 무선 링크(114-116)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2)로 패킷들을 순방향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12)는 역방향 무선 링크(118-120)들을 통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110)로 패킷들을 역방향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12)는 개인용 셀룰러 전화, 휴대용 컴퓨터, 자동차에서의 이동 전화, 또는 이동할 때도 계속해서 접속성을 제공해야 하는 임의의 다른 이동 장치일 수 있다.
제어 포인트(122)는 패킷 라우터(102)에 접속된다. 상기 제어 포인트(122)는 무선 링크(114-120)를 관리한다. 관리는 많은 기능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2)가 이동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110)들 사이의 경로 손실이 변한다.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제어 포인트(122)는 사용자 단말기(112)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108)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되도록 요구되는 최소 전력량으로 송신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른 이동국들로부터의 송신에 대한 간섭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동국 송신 전력은 최소화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으로부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8)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때,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로부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8)로 사용자 단말기(112)의 핸드오프가 발생할 것이다. 제어 포인트(122)는 핸드오프를 관리해야 한다. 다른 관리 기능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도 2
도 2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FC 2002에 기술된 이동 IP와 같은 이동성 프로토콜(mobility protocol)을 지원하는 다중 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200)를 도시한다. 제 2 패킷 라우터(202)는 제 1 패킷 라우 터(102), 네트워크(104)의 나머지 또는(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모두에 접속된다. 제 2 패킷 라우터(202)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4- 206)들에 접속된다. 도 2에서, 사용자 단말기(112)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순방향 링크(208)에 의해 서비스됨)으로부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204)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순방향 링크(210)에 의해 서비스됨)으로 이동한다. 제어 포인트(122)는 도 1에 도시된 핸드오프 동안과 유사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핸드오프 동안 무선 링크들을 관리한다(역방향 링크(212-214)들의 관리를 포함한다 ). 원한다면, 제어는 제 1 제어 포인트(122)로부터 제 2 제어 포인트(2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포인트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패킷 라우터(102, 202)들에 접속된다.
도 2는 또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 224) 및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226)를 도시한다. 홈 에이전트(224)는 제 1 패킷 라우터(102)에 접속되고, 외부 에이전트(226)는 제 2 패킷 라우터(202)에 접속된다.
사용자 단말기(112)는 패킷 라우터(102)가 접근성을 통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12)로 보내질 패킷은 제 1 패킷 라우터(102)로 송신된다. 사용자 단말기(112)가 패킷 라우터(102)와 관련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106-110)들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을 때, 패킷 라우터(102)는 제어 포인트(122)에 상기 패킷을 송신할 것이며,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112)에 현재 순방향 무선 링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로 전송용 패킷을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12)는 제 1 패킷 라우터(102)에 의해 서비스된 영역을 떠날 수 있으며 제 2 패킷 라우터(202)에 의해 서비스된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사용자 단말기(112)로 보내질 상기 패킷들을 패킷 라우터(102)에 송신할 것이며, 이어 패킷 라우터(102)는 "캐어-오브(care-of)" 어드레스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12)의 현재 위치 트랙을 유지하는 홈 에이전트(224)에 패킷들을 송신할 것이다. 이어, 홈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어-오브 어드레스(예를 들어, 외부 에이전트(226))로 보내질 패킷들에 상기 패킷들을 캡슐화하고 상기 패킷들을 패킷 라우터(102, 202)들을 통해 송신한다. 상기 패킷들을 수신하면, 외부 에이전트(226)는 상기 패킷들을 디캡슐화하고 사용자 단말기(112)로 보내질 패킷들을 제어 포인트(222)로 송신할 것이다. 이어, 제어 포인트(222)는 사용자 단말기(112)에 대해 현재 순방향 무선 링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로 전송용 패킷들을 송신할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데이터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는 제어 포인트(122)로부터 제어 포인트(222)로 이동되었다. 다른 종래의 방법에서, 패킷 라우터(102)가 사용자 단말기(112)에 대한 송신을 위해 패킷들을 계속해서 제어 포인트(122)에 송신하고, 이어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이 위치한 시스템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기(112)에 순방향 무선 링크를 제공하는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에 상기 패킷들을 직접 송신하는 경우에, 제어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제어 포인트(122)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4-206)들 뿐 아니라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6-110)들에 전송용 패킷들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여러가지 근본적인 문제들을 갖고 있다. 즉, 네트워크의 각 부분에 대한 제어 포인트들은 고도로 신뢰성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단일 장애점인데, 이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상기 제어 포인트들은 각 네트워크에 대해 고유하기 때문에, 상기 구조는 서비스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들의 개수의 증가와 함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확대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 포인트들에 부하를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최근의 고속 무선 프로토콜들은 제어 포인트에 의한 짧은-대기시간(low-latency) 제어를 요구하지만, 이는 제어 포인트들과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송신 및 대기 지연 때문에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제어 포인트들의 기능을 분산시키고, 모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마다 제어 포인트를 콜로케이션(co-location)함으로써 전술한 구조의 결함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구조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및 제어 포인트들과 함께 외부 에이전트들을 콜로케이션함으로써 더욱 최적화된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302)는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308)들이 있으며, 상기의 포인트 각각은 사용 자 단말기(302)로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라우터(310)는 데이터 패킷들을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304-308)들에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떠나서 제 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6)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도시한다.
다수의 제어 포인트(312-316)들이 존재한다. 종래 기술분야에서, 각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302)와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308) 사이의 무선 링크 (318-324)를 관리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도 3에는 단일 제어 포인트(122) 대신에 다수의 제어 포인트(312-316)들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데이터 교환을 위해 통신을 형성한 제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함께 위치된 제어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된다. 도 3의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302)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 306)들 모두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를 서비스하는 제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였다면, 상기 제어 포인트는 제어 포인트(312)일 것이다. 반대의 경우라면, 상기 제어 포인트는 제어 포인트(314)일 것이다. 이러한 규정에 의해,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다수의 다중 사용자 단말기들은 다수의 제어 포인트들에 의해 제어되며, 결국 제어 포인트들 사이에서 부하가 분산된다. 더욱이, 제어 포인트의 고장은 사용자 단말기들의 전체 개수가 아니고,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에만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각 제어 포인트(312-316)는 사용자 단말기(302)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308)를 선택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 제 1 제어 포인트(312)는 사용자 단말기(302)와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서 제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304)를 선택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302)가 제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떠나 제 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6)에 의해 서비스된 영역에 들어가면, 제 1 제어 포인트(312)는 사용자 단말기(302)와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4, 306)들 모두를 선택한다. 제 1 제어 포인트(312)는 그 후에 사용자 단말기(302)와 통신하기 위해 제 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6)만을 선택하고,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프가 이루어진다. 제 1 제어 포인트(312)는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도 제어를 계속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제 2 제어 포인트(314)에 제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3 제어 포인트(316)는 상기 기술된 프로세스 동안 사용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302)가 제 3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308)에 의해 서비스된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이용가능한 상태로 남아있다. 운영자는 현재 제어 포인트에 제어를 유지할 때 및 다른 제어 포인트로 제어를 송신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용이한 방법을 형성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가 현재 제어 포인트에 제어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다른 제어 포인트로 제어를 송신할 것인지의 결정을 트리거링하는 유일한 가능한 이벤트는 아니다. 부하 공유, 제어 포인트의 고장 및 유사한 고려사항들이 결정을 트리거링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운영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FC 2002와 같은 이동성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2)로 보내질 패킷들은 라우터(310)로부터 현재 사용자 단말기(302)와 현재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로 라우팅된다.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실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어 포인트의 관련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원한다면, 각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서 다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을 선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든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은 제어 포인트의 관련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다를 수 있거나 또는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는 제어 포인트의 관련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할 수 있다.
각 제어 포인트는 원한다면 사용자 단말기가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지 못한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정보를 임시저장하도록(cashe)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임시저장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먼저 사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마지막으로 사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포인트와 연관될 수 있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라우터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400)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402)는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 4에는 각각이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사용자 단말기(402)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402)로부터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들이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들을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들에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라우터(414-416)들이 있다. 각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는 하나의 라우터(414-416)에만 접속된다. 하나 이상의 홈 에이전트(418-420)들이 있다. 각 홈 에이전트(418-420)는 라우터(414-416)와 관련된다. 상기 홈 에이전트들은 상기 홈 에이전트들과 함께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들로 보내질 패킷들을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캐어-오브 어드레스로 보내질 패킷들에 캡슐화한다. 상기 어드레스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와 함께 위치된 외부 에이전트 어드레스이다. 외부 에이전트는 홈 에이전트로서 동일한 라우터 또는 다른 라우터에 접속될 수 있다.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들의 사용은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IETF RFC 2002 의 이동성 프로토콜들에 기술된다.
여기에는 다수의 외부 에이전트(422-430)들이 있다. 각 외부 에이전트(422-430)는 또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 및 제어 포인트(432-440)와 연관된다. 각 외부 에이전트는 자신과 함께 위치된 제어 포인트에 의해 현재 서비스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을 위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에이전트는 자신에게 정해진 패킷들을 수신한다. 상기 패킷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 정해진 패킷들을 포함하면, 상기 외부 에이전트는 상기 패킷들을 디캡슐하고 상기 제어 포인트에 상기 패킷들을 전송한다.
여기에는 다수의 제어 포인트(432-440)들이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각 제 어 포인트(432-440)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와 연관된다. 각각의 제어 포인트(432-440)는 사용자 단말기(402)와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404-412)들을 선택하도록 형성된다. 각 제어 포인트(432-440)는 사용자 단말기(402)와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또는 포인트(408-410)들간의 무선 링크(442-448)를 관리하도록 부가로 형성된다. 사용자 단말기(402)는 따라서 이동할 때도 네트워크(450)의 나머지와 통신하는 상태에 있다.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어 포인트의 관련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다르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각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을 선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렇다면,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모두는 제어 포인트의 관련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와 다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는 동일할 수 있다.
핸드오프 후에, 제어는 원래 제어 포인트에 남아있거나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제어 포인트에 송신될 수 있다. 도 3의 장치에 있어서, 운영자는 현재 제어 포인트의 제어를 유지할 때 및 다른 제어 포인트로 제어를 송신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임의의 용이한 방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소프트 핸드오프가 현재 제어 포인트의 제어를 유지할 것인지 다른 제어 포인트에 제어를 송신할 것인지의 결정을 트리거링하는 유일한 가능한 경우는 아니다. 부하 공유, 제어 포인트의 고장 및 유사한 고려사항들이 결정을 트리거링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운영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 각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가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지 않는 주기 동안 사용자 단말기를 위해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정보를 임시저장하도록 부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먼저 사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마지막으로 사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제어 포인트와 연관된 제어 포인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성을 제공하는 분산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가 요망될 때마다 제조되고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실시예들 및 모드들이 상기에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항 및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각각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마다 제어 포인트를 콜로케이트(co-locate)시킴으로써, 제어 포인트들의 기능을 분산시키고, 제어 포인트가 단일 장애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e)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
    f) 각각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무선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g)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과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연결된 하나 이상의 라우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단지 하나의 라우터에만 접속되며,
    h) 하나 이상의 홈 에이전트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홈 에이전트는,
    1) 라우터와 관련되고; 및
    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해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에이전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i) 다수의 외부 에이전트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외부 에이전트는,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되며;
    2) 데이터 패킷들을 사용자 단말기의 홈 에이전트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현재 제어하는 상기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및
    3) 상이한 제어 포인트들 사이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통신 제어의 이전을 지원하며;
    j) 하나의 라우터와 관련된 제1 다수의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수의 제어 포인트 내의 각각의 제어 포인트는,
    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콜로케이트(co-locate)되며;
    2)(A)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무선 링크를 관리하며; 및
    (C) 예정된 기준에 따라, 제어를 유지하거나, 제어를 다른 제어 포인트로 이전시키도록 구성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어 포인트의 관련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기 제어 포인트의 관련 네 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어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트래픽 채널이 할당되지 않은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정보를 임시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처음 사용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제어 포인트에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정보를 임시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최종 사용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상기 제어 포인트에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정보를 임시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0077012195A 1998-09-22 1999-09-17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KR100939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58,047 US6215779B1 (en) 1998-09-22 1998-09-22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09/158,047 1998-09-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681A Division KR100762562B1 (ko) 1998-09-22 1999-09-17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683A true KR20070064683A (ko) 2007-06-21
KR100939852B1 KR100939852B1 (ko) 2010-01-29

Family

ID=225664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681A KR100762562B1 (ko) 1998-09-22 1999-09-17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KR1020077012195A KR100939852B1 (ko) 1998-09-22 1999-09-17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681A KR100762562B1 (ko) 1998-09-22 1999-09-17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215779B1 (ko)
EP (1) EP1131971B1 (ko)
JP (2) JP5048179B2 (ko)
KR (2) KR100762562B1 (ko)
CN (1) CN1119914C (ko)
AU (1) AU6395699A (ko)
DE (1) DE69935005T2 (ko)
HK (1) HK1038670B (ko)
WO (1) WO20000180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567B1 (ko) * 1997-12-31 2000-11-15 서평원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US7248572B2 (en) 1998-09-22 2007-07-24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6430698B1 (en) * 1998-10-05 2002-08-06 Nortel Networks Limited Virtual distributed home agent protocol
US6651105B1 (en) * 1998-11-12 2003-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amless networking support for mobile devices using serial communications
US6496505B2 (en) * 1998-12-11 2002-12-17 Lucent Technologies Inc. Packet tunneling optimization to wireless devices accessing packet-based wired networks
DE69927238T2 (de) * 1999-02-26 2006-07-13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IP mit Unterstützung für Dienstqualität
US6621810B1 (en) * 1999-05-27 2003-09-16 Cisco Technology, Inc. Mobile IP intra-agent mobility
US7535871B1 (en) 1999-05-27 2009-05-19 Cisco Technology, Inc. Mobile IP intra-agent mobility
US8670405B1 (en) 1999-06-09 2014-03-11 Cellco Partnership Mobile internet protocol square
US7606189B1 (en) * 1999-06-09 2009-10-20 Cellco Partnership Architecture of internet protocol-based cellular networks
EP1204250A4 (en) * 1999-07-22 2009-04-01 Hitachi Ltd MOBILE IP NETWORK SYSTEM AND CONNECTION SWITCHING METHOD
US6721291B1 (en) * 1999-10-19 2004-04-13 Nokia Ip Anycast binding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I108769B (fi) 2000-04-07 2002-03-15 Nokia Corp Liityntäpisteen liittäminen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WO2002033987A2 (en) * 2000-10-18 2002-04-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in mobile ip
US7881250B2 (en) * 2001-01-18 2011-02-01 Ntt Docomo, Inc. Packet communication system
CN100355257C (zh) * 2001-11-29 2007-12-12 北京星河亮点通信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接入系统及其组网方法
US20050201342A1 (en) * 2002-03-27 2005-09-15 Randy Wilkinson Wireless access point network and management protocol
US6831921B2 (en) 2002-03-27 2004-12-14 James A. Higgins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7492787B2 (en) * 2002-03-29 2009-02-17 Fujitsu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migration across link technologies
JP2005525741A (ja) * 2002-05-13 2005-08-25 エア ブロードバンド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加入者線モバイルアクセスルータシステム及び接続維持方法
US20060171335A1 (en) * 2005-02-03 2006-08-03 Michael Yuen Backup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LANs
US7606573B1 (en) 2002-09-27 2009-10-20 Autocell Laboratories, Inc. Wireless switched network
US7263086B2 (en) * 2002-11-12 2007-08-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in multiple coverage area environments
US7366523B2 (en) * 2002-11-12 2008-04-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O2004077727A2 (en) * 2003-02-21 2004-09-10 MEG COMMUNICATIONS doing business as AIR BROADBAND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of maximizing packet throughput
US7869822B2 (en) * 2003-02-24 2011-01-11 Autocell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system field of the invention
US7346321B2 (en) * 2003-02-24 2008-03-18 Autocell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associating access points with stations using bid techniques
JP3632025B2 (ja) * 2003-02-26 2005-03-23 Tdk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及び、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3880549B2 (ja) * 2003-06-16 2007-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端末装置およびそのハンドオフ方法
WO2005050897A2 (en) * 2003-11-18 2005-06-02 Air Broadband Communications, Inc. Dhcp pool sharing mechanism in mobile environment
US7652995B2 (en) * 2003-12-19 2010-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reassociation of clien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50135310A1 (en) * 2003-12-19 2005-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client reassoci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287578C (zh) 2004-01-13 2006-11-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路由服务器实现用户异地漫游业务的系统及方法
US7366169B1 (en) 2004-02-18 2008-04-29 Autocell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scanning radio frequency channels
WO2005089413A2 (en) * 2004-03-17 2005-09-29 Air Broadband Communications, Inc. User movement prediction algorithm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20050271128A1 (en) * 2004-06-02 2005-12-08 Williams Jeffery D Distributed SCADA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ccess points utilizing an intellig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or a WISP network
CA2573014A1 (en) * 2004-07-02 2006-02-09 Cargill, Incorporated Fat products containing little or no trans-fatty acids
US20060171304A1 (en) * 2005-02-03 2006-08-03 Hill David R WLAN background scanning
US20060171305A1 (en) * 2005-02-03 2006-08-03 Autocell Laboratories, Inc. Access point channel forecasting for seamless station association transition
US8768084B2 (en) 2005-03-01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Region-of-interest coding in video telephony using RHO domain bit allocation
US8693537B2 (en) 2005-03-0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Region-of-interest coding with background skipping for video telephony
US7889755B2 (en) 2005-03-31 2011-02-15 Qualcomm Incorporated HSDPA system with reduced inter-user interference
US8411616B2 (en) 2005-11-03 2013-04-02 Piccata Fund Limited Liability Company Pre-scan for wireless channel selection
DE102006008463A1 (de) * 2006-02-17 2007-08-23 Kaco Gmbh + Co. Kg Prüf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Dampfemission an wenigstens einer Leckagestelle, vorzugsweise bei Gleitringdichtungen, insbesondere im automotiven Bereich
US8654690B2 (en) 2008-04-0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carriers to join a multicast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1730071B (zh) * 2009-05-19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分组数据网络连接的实现方法及系统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984A (en) * 1989-01-31 1998-03-10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AU633444B2 (en) 1990-08-01 1993-01-2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US5384826A (en) 1990-10-01 1995-01-24 At&T Bell Laboratories Distributed packetized switching cellular radio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with handoff
JP2904335B2 (ja) * 1994-04-27 1999-06-14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
US5907542A (en) 1996-04-15 1999-05-25 Ascom Tech Ag Dynamic assignment of signalling virtual channels for wireless ATM systems
JP3202610B2 (ja) * 1996-09-03 2001-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移動通信用移動機送信出力制御システム
JPH10200502A (ja) * 1997-01-07 1998-07-31 N T T Ido Tsushinmo Kk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と移動局装置と基地局装置
JP3003611B2 (ja) * 1997-01-29 2000-01-31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電力制御装置
US6094740A (en) * 1997-04-30 2000-07-25 Lucent Technologies Inc Channel quality estimator based on non-redundant error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562B1 (ko) 2007-10-01
EP1131971B1 (en) 2007-01-24
CN1119914C (zh) 2003-08-27
AU6395699A (en) 2000-04-10
EP1131971A2 (en) 2001-09-12
HK1038670B (zh) 2004-06-25
JP2010213313A (ja) 2010-09-24
DE69935005T2 (de) 2007-10-25
KR20010082206A (ko) 2001-08-29
WO2000018067A2 (en) 2000-03-30
US20010024437A1 (en) 2001-09-27
JP2002525974A (ja) 2002-08-13
JP4673435B2 (ja) 2011-04-20
KR100939852B1 (ko) 2010-01-29
DE69935005D1 (de) 2007-03-15
WO2000018067A3 (en) 2000-07-20
US6215779B1 (en) 2001-04-10
HK1038670A1 (en) 2002-03-22
CN1319317A (zh) 2001-10-24
JP5048179B2 (ja)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562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분산형 인프라스트럭쳐
JP4897746B2 (ja) 無線データ通信のための分散型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JP2002525974A5 (ko)
JP2010213313A5 (ko)
KR10027256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US200801445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IP address handoff for mobile devices
JP442577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およびモバイルルータ
JP2003037626A (ja) Ip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AU2002307387A1 (en)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