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269A -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269A
KR20070061269A KR1020060078797A KR20060078797A KR20070061269A KR 20070061269 A KR20070061269 A KR 20070061269A KR 1020060078797 A KR1020060078797 A KR 1020060078797A KR 20060078797 A KR20060078797 A KR 20060078797A KR 20070061269 A KR20070061269 A KR 2007006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bit stream
layer
receiv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563B1 (ko
Inventor
이미숙
김대호
김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1/635,512 priority Critical patent/US7773633B2/en
Publication of KR2007006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05Buffering arrangements using dynamic buffer spa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이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될 경우의 패킷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스트림이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져 하나 혹은 여러 경로를 통해 전송될 경우, 각 패킷이 각각 다른 시간에 수신되기 때문에 특정 음성신호 재생에 필요한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질 저하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패킷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처리 장치로서,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 패킷 내에서 계층 정보를 파악하는 계층 정보부, 수신된 패킷을 이용한 비트스트림 결정부 및 손실된 패킷에 대한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 스트림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패킷 통신망에서 임베디드 코덱을 이용한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에 이용된다.
임베디드 코덱, 스케일러블 코덱, 임베디드 코덱의 계층 구조, 지터 버퍼

Description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t stream of embedded codec by pac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계층과 비트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스트림 전송과 실생활의 응용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망을 통한 음성 패킷이 전송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경로로 전송되는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처리 장치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 지터 버퍼 크기 조정부 602 : 패킷 수신부
603 : 계층 정보부 604 : 지터 버퍼 1
605 : 지터 버퍼 2 606 : 지터 버퍼 3
607 : 비트 스트림 결정부 608 : 비트 스트림 생성부
609 : 임베디드 디코더
본 발명은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을 하나의 패킷이 아닌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서 전송할 경우, 수신 단에서 각 패킷이 서로 다른 시간에 도착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음질 저하를 줄이기 위한 패킷 처리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서비스와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다양해지면서 임베디드 코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임베디드 코덱은 임베디드 형태로 구성된 비트스트림을 통해 여러 종류의 비트 율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품질의 음성 및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코덱으로 협대역(300~3400Hz)과 광대역(50~7000Hz) 또는 오디오 대역(20~20000Hz) 신호까지 모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비트스트림이 임베디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비트스트림을 추출해서 디코딩하느냐에 따라 재생된 신호의 대역 폭과 품질이 달라진다.
기존의 음성 코덱은 보통 고정된 대역폭과 비트 율을 제공한다. 따라서 어떤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처리하는가에 따라 협대역 코덱과 광대역 코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GPP의 표준으로 채택된 AMR-NB (Adaptive MultiRate-NarrowBand)와 AMR-WB (Adaptive MultiRate-WideBand)는 여러 종류의 비트 율로 다양한 음질을 제공하고 있지만, 비트스트림이 임베디드 형태가 아니라 각 비트 율에 따라 독립된 비트스트림을 가지기 때문에 비트 율이 달라지면 인코더의 동작도 달라져야 한다. 즉, 각 비트 율에 따라 인코더와 디코더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현재 ITU-T의 WP3/SG16의 Q9와 Q10에서는 임베디드 코덱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Q10에서는 인터넷 전화(VoIP) 서비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협대역 코덱인 G.729와 비트스트림 레벨의 상호연동성을 제공하는 임베디드 광대역 코덱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Q9에서는 기존 코덱과의 상호연동성보다는 패킷손실 보상기능이 우수한 임베디드 코덱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는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을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할 경우 디코딩해야 하는 비트스트림 상에서 각 패킷의 위치를 결정하고 디코딩해야 할 모든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디코딩해야 하는 시점까지 수신된 패킷을 이용하여 새로운 비트스트림을 만들어 디코더에 전달함으로써 모든 패킷이 다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수신된 패킷만으로 음성신호를 재 생함으로써 음질의 저하를 최소로 하는 패킷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스트림을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할 경우 어뎁티브 지터버퍼 사용 시 핵심 계층의 패킷 지연을 기준으로 지터버퍼의 크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수신된 패킷 단위의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는 계층으로 구성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계층을 포함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에서 계층 정보를 파악하는 계층 정보부, 상기 파악된 계층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의 비트스트림을 조립하여 최초 전송시의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 결정부, 상기 패킷 수신부에서 특정 계층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악된 계층에 따라 상기 수신되지 않은 패킷보다 낮은 계층의 수신된 패킷을 조합하여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 스트림 생성부 및 상기 비트 스트림 결정부 또는 상기 비트 스트림 생성부를 거쳐 구성되거나 생성된 최종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수신된 패킷 단위의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은 계층으로 구성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계층을 포함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각 패킷에서 계층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계층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의 비트스트림을 조립하여 최초 전송시의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패킷 수신부에서 특정 계층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악된 계층에 따라 상기 수신되지 않은 패킷보다 낮은 계층의 수신된 패킷을 조합하여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되거나 생성된 최종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코덱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처럼 용량이 큰 파일을 작은 용량으로 압축하고 이를 다시 본래대로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 데이터을 작게 압축해 주는 것을 인코딩, 압축된 작은 용량의 데이터로부터 본래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디코딩이라고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Q10에서 진행하고 있는 임베디드 코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존 협대역 코덱인 G.729를 핵심 계층으로 하고, 계층이 증가하면 비트 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품질이나 대역폭이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계층구조 때문에 계층수를 늘려갈수록 향상된 음질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광대역 VoIP 서비스에 협대역 코덱인 G.729를 사용하는 기존 가입자들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계층과 비트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스트림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임베디드 코덱은 비트스트림이 임베디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핵심계층을 통해 기존 코덱을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입자 단말기의 유형, 네트워크 상황, 또는 가입자가 선택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 비트스트림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비트 율로 여러 품질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스트림 전송과 실생활의 응용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임베디드 코덱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비트 율로 인코딩을 한 후에 수신측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비트 율로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망을 통한 음성 패킷이 전송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코더로 처리된 음성신호(401)의 비트스트림을 패킷 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에 적합한 형태의 패킷으로 변환을 해야 한다. 관련하여 음성신호를 패킷 망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은 간단히 인코더(402)의 출력인 비트스트림을 프로토콜(403)을 거쳐 패킷으로 만든 후 네트워크(404)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패킷은 지터버퍼(406)를 통하게 되므로 지연되어 도착하거나 순서가 바뀌어서 수신된 패킷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줄이게 된다. 디코더(407)는 일정 시간마다 지터 버퍼의 출력을 처리하여 음성신호(408)를 출력한다.
여기서 지터(jitter)는 패킷의 도착 간격시간의 분산으로써, 패킷 기반의 네 트워크에서만 존재한다. VoIP를 이용한 전화에서 지터가 발생하면, 수신자가 패킷을 재생할 때, 늦게 도착한 패킷은 재생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통화 품질의 저하가 일어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런 지터 현상을 없애기 위해 지터 버퍼를 사용하며, 지터 버퍼에는 정적(static)지터 버퍼와 동적(dynamic) 지터 버퍼가 있다.
임베디드 코덱은 여러 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계층은 임베디드 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음성신호 재생에 가장 필수적인 계층을 핵심계층이라 한다. 수신 단에서는 이 핵심계층만 있으면 기본적으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계층의 수가 증가할수록 음질이 향상되거나 대역폭이 확장된다. 이 때 각 계층은 임베디드 형태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계층 3까지의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하위 계층의 비트스트림(계층 1, 2)이 모두 필요하다. 그리고 계층이 증가한다는 것은 비트율의 증가를 의미한다. 하나의 계층이 어느 정도의 비트 율을 나타내는 지는 코덱마다 다르지만, ITU-T Q10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임베디드 코덱의 경우 계층 2은 4 kbit/s 이고 계층 3부터는 2 kbit/s 씩 증가하여 32 kbit/s 까지 모두 12개의 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임베디드 코덱의 경우 모든 계층의 비트스트림은 하나의 패킷으로 만들어 전송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패킷으로 만들어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핵심계층을 하나의 패킷으로 만들고 나머지 계층을 두 개씩 나누어 각각 다른 패킷으로 만들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핵심계층이 음성신호 재생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핵심계층의 패킷은 좋은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나머지는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전체 패킷 전송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렇게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은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할 경우에는 하나의 경로로 각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고, 각각의 패킷을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비트스트림을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할 경우에는 각 패킷이 수신되는 시간과 순서가 다를 수 있음으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경로로 전송되는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의 패킷이 다른 경로로 전송되므로, 수신측에서는 각 패킷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즉, 인코더의 비트스트림에서 어느 부분이 어느 패킷을 통해서 전송되었는지를 알아야 음성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지터버퍼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시간마다 디코딩을 하게 되는데, 디코더로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시점에서 항상 모든 패킷이 도착했다는 보장은 없다. 예를 들어, t시간에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을 세 개의 패킷 즉, po, p1 그리고 p2로 나누어서 전송을 하였다고 하자. 이 패킷들은 하나의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세 개의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만일 p0와 p1은 t+2 시간에 수신되었지만 p2는 t+7시간에 수신되었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t+5시간에 디코딩을 해야 한다면 p0와 p1를 이용하여 새로운 비트율의 비트스트림을 만들어서 디코딩을 하는 것이 p2가 수신되지 않았다 하여 손실된 패킷으로 처리하여 디코딩을 하지 않는 것보다 좋은 음질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코더(501)를 통한 음성 신호의 비트 스트림이 101101101 일 때 프로토콜(502)을 통해 101, 101, 01의 패킷으로 나누어 다른 경로로 전송되더라도 각 패킷의 위치 정보를 알고 지터 버퍼(504)에 저장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패킷으로부터 구성된 비트 스트림은 디코더(505)를 거쳐 원래의 음성신호로 회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처리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을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서 전송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음질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한 패킷 처리 방법의 한 예시도이다.
임베디드 코덱의 경우 비트스트림이 임베디드 형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핵심계층의 비트스트림만 있으면 음성신호가 재생된다. 그 외의 계층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이 추가 되면 비트 율이 증가하게 되지만, 음질이 향상되고 대역폭이 증가한다. 이러한 임베디드 코덱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할 경우 각 가입자마다 다른 비트 율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10에서 표준화를 하고 있는 임베디드 코덱을 사용할 경우 총 12개의 계층이 있는데 핵심계층은 8 kbit/s G.729이고 계층 2는 4 kbit/s가 증가한 12 kbit/s로 G.729에 비해 향상된 품질의 협대역 음성을 제공한다. 계층 3부터는 2 kbit/s씩 증가하여 32 kbit/s까지 총 12개의 계층을 지원한다. 만일 이 코덱을 사용하여 24 kbit/s로 서비스를 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핵심계층을 포함하여 총 8개 계층의 비트스트림을 전송해야 한다. 이 비트스트림을 세 개의 패킷에 나누어서 전송한다고 하자. 일례로 핵심 계층은 패킷 p0로 전송하고, 계층 2, 3, 4는 p1 패킷으로 계층 5, 6, 7, 8은 p2 패킷으로 전송한다고 하자.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패킷을 가지고 24 kbit/s 비트스트림 중에서 각 패킷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디코더로 전달할 비트스트림을 올바르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계층 정보부(603)에서 수신된 패킷의 계층 상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며, 이러한 각 패킷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는 p0, p1, p2를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어떤 경로로 어떤 패킷이 전송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이를 이용하여 각 패킷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각 패킷을 보낼 때 RTP 헤더에 비트스트림 내에서 각 패킷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전송하여, 수신측에서 이 헤더 정보를 보고 각 패킷의 위치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각 패킷의 위치 정보를 알아내면, 지터버퍼(604,605,606)에 패킷별로 따로 저장을 한다. 하나의 지터버퍼를 사용하여 p0, p1, p2를 모두 같은 지터버퍼에 저장할 수 있지만 패킷을 서로 다른 지터버퍼에 저장하는 것이 패킷을 다루기 쉽다. 이 예에서는 지터 버퍼 1(604)에 p0를, 지터버퍼 2(605)에 p1을, 지터버퍼 3(606)에 p2를 각각 따로 저장한다. 그리고 어뎁티브 지터버퍼의 크기를 조정할 경우(601)에는 p0 패킷의 전송 정보를 기준으로 조정한다.
수신측에서는 음성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일정 시간마다 지터버퍼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더에 전달하여 디코딩을 하게 된다. 만일 모든 패킷 즉, p0, p1, p2가 모두 도착한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p0와 p1만 도착하였다든지, p0와 p2만 도착하였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24 kbit/s로 디코딩은 할 수 없지만, 16 kbit/s나 8 kbit/s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핵심 코덱만 있으면 비트 스트림 생성부(608)에서 기본적인 디코딩이 가능하며 연속된 상위 계층에 대한 패킷이 도착하였다면 그 패킷까지는 디코딩할 수 있다.
p0, p2가 수신된 경우에는 p0만 디코딩 가능하며 p1과 p2만 도착한 경우에는 디코딩을 할 수가 없으므로 손실된 패킷으로 처리한다. 이렇게 임베디드 코덱에서 비트스트림을 여러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할 경우 핵심계층의 패킷 도착하였다면, 핵심계층의 패킷을 중심으로 수신된 패킷 정보들을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을 만들어 손실된 패킷으로 처리하지 않고 디코딩하므로 음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비트스트림 결정부(607)에서는 수신되지 않은 패킷이 없는 경우에 지터버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최초 전송시의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비트 스트림 결정부나 상기 비트 스트림 생성부를 통하여 구성된 최종 비트 스트림은 임베디드 디코더(609)에 의해 디코딩되어 최초 신호로 변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을 하나 이상의 계층을 포함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701), 각 패킷 내에 어떠한 계층의 정보가 있는지 파악하는 단계(702), 패킷 중 일부가 수신되지 않고 손실된 경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03), 손실된 패킷이 없는 경우 상기 파악된 계층 정보에 따라 상기 패킷들을 조립하여 최초 전송시의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단계(704), 상기 일부 수신되지 않는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수신되지 않은 패킷보다 낮은 계층의 패킷들로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단계(705), 상기 구성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706)로 상기 임베디드 코덱의 패킷이 처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패킷 망에서 임베디드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고자 할 때 특히 임베디드 코덱의 출력 비트스트림을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할 경우, 모든 패킷이 수신되지 않아도 각 패킷의 위치를 파악하여 핵심계층의 패킷을 포함하여 수신된 연속적인 상위 계층의 패킷을 이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모든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패킷손실로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음질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어뎁티브 지터버퍼의 경우 지터버퍼의 크기를 디코딩에 필수적인 패킷이 핵심계층의 패킷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하므로 써 효율적으로 지터버퍼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5)

  1. 계층으로 구성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계층을 포함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에서 계층 정보를 파악하는 계층 정보부;
    상기 파악된 계층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의 비트스트림을 조립하여 최초 전송시의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 결정부;
    상기 패킷 수신부에서 특정 계층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악된 계층에 따라 상기 수신되지 않은 패킷보다 낮은 계층의 수신된 패킷을 조합하여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 스트림 생성부; 및
    상기 비트 스트림 결정부 또는 상기 비트 스트림 생성부를 거쳐 구성되거나 생성된 최종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패킷이
    상기 비트 스트림의 어떤 계층을 포함할지는 최초 전송시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된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지터 버퍼 및 상기 지터 버퍼의 크기를 상기 조정할 수 있는 지터 버퍼 크기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된 비트 스트림은 각 패킷마다 다른 지터 버퍼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 생성부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패킷이 디코딩을 위한 최소단위계층인 핵심 계층의 패킷인 경우, 상기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정보부에서의 상기 패킷의 계층 정보 파악은 상기 패킷별로 각각 다른 경로로 수신되고 상기 경로에 따른 각 패킷의 계층 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정보부에서의 상기 패킷의 계층 정보 파악은 상기 패킷별로 존재하는 RTP 헤더에 포함된 각 패킷의 계층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장치.
  8. (a) 계층으로 구성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계층을 포함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각 패킷에서 계층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파악된 계층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의 비트스트림을 조립하여 최초 전송시의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단계;
    (d) 상기 패킷 수신부에서 특정 계층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악된 계층에 따라 상기 수신되지 않은 패킷보다 낮은 계층의 수신된 패킷을 조합하여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단계(c) 또는 단계(d)에서 구성되거나 생성된 최종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패킷이
    상기 비트 스트림의 어떤 계층을 포함할지는 최초 전송시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된 비트 스트림은,
    지터 버퍼에 저장되며 상기 지터 버퍼의 크기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된 비트 스트림은 각 패킷마다 다른 지터 버퍼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패킷이 디코딩을 위한 최소단위계층인 핵심 계층의 패킷인 경우, 상기 새로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패킷의 계층 정보 파악은 상기 패킷별로 각각 다른 경로로 수신되고 상기 경로에 따른 각 패킷의 계층 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패킷의 계층 정보 파악은 상기 패킷별로 존재하는 RTP 헤더에 포함된 각 패킷의 계층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
  15. 제 8항 내지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78797A 2005-12-08 2006-08-21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4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35,512 US7773633B2 (en) 2005-12-08 2006-12-08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bitstream of embedded codec which is received in units of pack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277 2005-12-08
KR1020050119277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269A true KR20070061269A (ko) 2007-06-13
KR100744563B1 KR100744563B1 (ko) 2007-08-01

Family

ID=3835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797A KR100744563B1 (ko) 2005-12-08 2006-08-21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92B1 (ko) * 2015-06-01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임베디드 압축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7948B2 (ja) * 1996-06-18 2004-12-08 ダイコー化学工業株式会社 メッシュ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具
KR100834749B1 (ko) * 2004-01-28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일러블 비디오 스트림 재생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92B1 (ko) * 2015-06-01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임베디드 압축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195378A1 (ko) * 2015-06-01 2016-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임베디드 압축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567762B2 (en) 2015-06-01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fficiently performing embedded compression of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563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0940A (ko) 멀티 레이트 스피치와 오디오 코덱을 위한 프레임 손실 은닉 방법 및 장치
KR101160218B1 (ko)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디코더, 및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TWI420513B (zh) 藉由變換內插之音訊封包損失隱蔽
US8195470B2 (en) Audio data packet format and decod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corr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dec setup err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same
CN117059111A (zh) 多流音频译码
EP2105014B1 (en) Receiver actions and implementations for efficient media handling
CN101051465B (zh) 用于解码被编码的有用数据的方法和解码装置
KR20050091034A (ko) 압축-도메인 패킷 손실 은폐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409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deband speech signals
US777363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bitstream of embedded codec which is received in units of packets
TW201212006A (en) Full-band scalable audio codec
JP4944250B2 (ja) Amr−wbdtx同期化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87490B2 (en)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153694B1 (ko) 미디어 송수신 방법, 미디어 송신 방법, 미디어 수신 방법, 미디어 송수신 장치, 미디어 송신 장치, 미디어 수신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및 미디어 서버
JP3566931B2 (ja) 音声信号の符号列のパケット組立方法、装置及びパケット分解方法、装置並びにこれらの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JPH11177623A (ja) データ送出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伝送装置
JP4065827B2 (ja) 音声信号パケット通信方法、音声信号パケット送信方法、受信方法、これらの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44563B1 (ko) 패킷 단위로 수신된 임베디드 코덱의 비트 스트림 처리장치 및 방법
EP2200025B1 (en) Bandwidth scalable codec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51555B2 (ja) 符号化データ伝送装置
KR20050024651A (ko) 패킷 망에서의 프레임 손실 은닉 방법 및 장치
TWI394398B (zh) 用於傳輸資料分組序列的設備和方法以及用於對資料分組序列進行解碼的解碼器和設備
JP3492561B2 (ja) 通信用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WO2003036988A1 (en) Media separating method, image de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