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100A -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100A
KR20070061100A KR1020060045184A KR20060045184A KR20070061100A KR 20070061100 A KR20070061100 A KR 20070061100A KR 1020060045184 A KR1020060045184 A KR 1020060045184A KR 20060045184 A KR20060045184 A KR 20060045184A KR 20070061100 A KR20070061100 A KR 2007006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imensional
audio scene
audio signal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179B1 (ko
Inventor
이용주
이태진
유재현
강경옥
홍진우
장인선
서정일
장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0780023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473645B/zh
Priority to EP12171933.0A priority patent/EP2501128B1/en
Priority to EP07746543A priority patent/EP2022263B1/en
Priority to JP2009511940A priority patent/JP5586950B2/ja
Priority to EP11159156.6A priority patent/EP2369836B1/en
Priority to PCT/KR2007/002395 priority patent/WO2007136187A1/en
Priority to US12/300,720 priority patent/US8705747B2/en
Publication of KR2007006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179B1/ko
Priority to JP2013167817A priority patent/JP2014013400A/ja
Priority to US14/199,188 priority patent/US201401858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89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using three or more audio channels, e.g. triphonic or quadraph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를 사용자(시청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시청자)의 각 음원별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여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시청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오디오 신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각 객체의 속성을 편집하여 하나 이상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 장면 생성 수단;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부호화(다중화)하기 위한 부호화 수단; 및 상기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오디오 재생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오디오 방송, 오디오 서비스, 객체기반 오디오, 오디오 장면, 프리셋 오디오 장면

Description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and its method}
도 1 은 종래의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31 : 입력부 32 :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
33 : 부호화부 34 : 전송부
40 :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
41 : 수신부 42 : 복호화부
43 :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 44 : 오디오 신호 합성부
45 : 오디오 신호 재생부
본 발명은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시청자)에게 보다 사실적인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해 3차원 오디오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시청자)가 직접 오디오 장면을 구성할 수 있는 대화형(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에 기반을 둔 지상파 DMB 시스템은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동환경에서 제공한다. 지상파 DMB 시스템은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시스템 기술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MPEG-4 BIFS(Binary Format for Scene)를 통한 대화형 데이터 방송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오디오 신호(사운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부(11)와,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해 획득된 오디오 신호(사운드)를 편집 및 합성하기 위한 편집/합성부(12)와, 합성된 오디오 신호(사운드)를 저장하고, 이를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한 저장/전송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20)는,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1)와,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와,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2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TV 방송, 라디오 방송, DMB 등과 같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오디오 신호는, 여러 가지 음원으로부터 획득된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되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를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는 경기장 내의 소리, 관중의 함성, 해설자의 음성 등이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되어 전송된다. 이때, 사용자(시청자)는 전체 오디오 신호의 세기 등을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나, 오디오 신호 내에 포함된 해설자의 음성, 경기장 내의 소리, 관중의 함성 등의 각각의 객체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방송 서비스에서는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미리 합성한 후에 전송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송신 장치(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각 음원별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전송하게 되면, 수신 장치(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 치(20))는 각 음원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세기 등을 제어하면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가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를 독립적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시청자)가 수신 장치에서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적절히 제어하면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서비스를 객체기반 오디오 서비스라 한다.
예를 들면, 축구 경기를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객체별 3차원 오디오 서비스로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시청자)는 경기장 내의 소리, 관중의 함성, 해설자의 음성 등의 객체를 각각 제어하여, 자신이 원하는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다. 즉, 경기장 내의 소리는 크게, 관중의 함성은 작게, 해설자의 음성은 크게 조절하여,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거나, 관중의 함성은 아예 들리지 않고, 경기장 내의 소리와 해설자의 음성만이 나오도록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여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라디오 방송, DMB, 인터넷 방송, 디지털 영화, DVD, 동영상 콘텐츠 등과 같이 오디오가 제공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용되어, 각 음원별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여 청취할 수 있는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비록, 선행 기준의 일예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한국공개특허 10-2004-0037437(2004.05.07 공개))에서는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시청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오디오 신호의 설정을 위해 각각의 음원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일일이 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를 사용자(시청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시청자)의 각 음원별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여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시청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오디오 신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각 객체의 속성을 편집하여 하나 이상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 장면 생성 수단;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부호화(다중화)하기 위한 부호화 수단; 및 상기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디 지털 방송망을 통해 오디오 재생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수단; 상기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복호화(역다중화)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들 중 사용자(시청자)의 선택에 따른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오디오 장면 구성 수단; 상기 구성된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객체별 속성을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합성 수단; 및 객체별 위치/크기/방향 속성이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오디오 신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각 객체의 속성을 편집하여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는 오디오 장면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부호화(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오디오 재생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망을 통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복호화(역다중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들 중 사용자(시청자)의 선택에 따른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하는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 단계; 상기 구성된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객체별 속성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합성 단계; 및 객체별 위치/크기/방향 속성이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3차원 오디오 기술과 엠펙4(MPEG-4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기술을 이용하여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채널을 통해 대화형(양방향) 3차원 오디오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는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방송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 오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여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재생 장치(40)로 전송하기 위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30)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30)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40)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주기 위한 디지털 방송망(50)과,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30)로부터 전송받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바탕으로 하나 이상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을 생성하기 위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40)를 포함한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1)와,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기반의 오디오 신호(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기반의 오디오 신호(객체 오디오 신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각 객체의 위치, 크기, 방향, 음장환경 등의 속성을 편집하여 하나 이상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32)와, 입력부(31)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32)에 의해 생성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40)로 전송하기 위해 부호화한 후, 엠펙4(MPEG-4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파일 형태로 다중화하기 위한 부호화부(33)와, 부호화부(33)에 의해 엠펙4(MPEG-4)로 다중화된 객체기반의 오디오 콘텐츠(오디오 신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특히, MPEG-2 TS(Transport Stream)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망(지상파 DMB 채널(50))을 통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재생 장치(4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34)를 포함한다.
이때,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32)는 입력부(31)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음원이 혼합음원인 경우, 'Convolutive Blind Source Separ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 특히,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32)는 사용자(편집자)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장면 정보'를 바탕으로 각 객체의 비율을 조절하여, 하나 이상의 객체기반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한다.
한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디지털 방송망(지상파 DMB 채널(50))을 통해 객체기반의 오디오 콘텐츠(오디오 신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부(41)와, 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객체기반의 오디오 콘텐츠(오디오 신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해 복호화(역다중화)하기 위한 복호화부(42)와, 복호화부(42)에 의해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사용자(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시청자)에게 제 공하고, 사용자(시청자)의 선택에 따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43)와,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43)에 의해 구성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복호화부(42)에 의해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객체별 속성(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함)을 제어하여 합성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합성부(44)와, 오디오 신호 합성부(44)에 의해 하나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으로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재생부(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43)는 사용자(시청자)로 하여금 오디오 객체별 속성(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시청자)에 의해 설정된 각 객체별 속성(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함)에 따라 새로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시청자)는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43)를 통해 초기 반사음의 크기와 지연시간을 제어하여 3차원 공간의 잔향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을 통해 3차원 오디오 공간에 대한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들을 미리 생성하여 사용자(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시청자)로 하여금 이들 중 자신이 원하는 오디오 장면을 선택하여 시청하도록 하여, 사용자(시청자)가 간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에서 경기장 내의 소리, 관중의 함성, 해설자의 음성을 각각의 독립적인 오디오 객체로 정의하여 독립적으로 전송하고, 이와 함께 경기장 내의 소리, 관중의 함성, 해설자의 음성의 크기가 "1:1:1"로 설정된 오디오 장면과, "1:0.5:1"로 설정된 오디오 장면, "1:0:1"로 설정된 오디오 장면을 전송하면, 사용자(시청자)는 앞서 정의한 3 개의 서로 다른 오디오 장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프리셋된 오디오 장면들 중 자신이 원하는 오디오 장면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하지만,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적절한 수만큼 충분히 생성하여, 사용자(시청자)가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를 일일이 제어할 필요 없이, 미리 생성된 오디오 장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30)의 입력부(31)는 객체기반의 오디오 신호를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다(301).
이후,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32)는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기반의 오디오 신호(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302), 이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며 오디오 신호의 각 객체별 속성(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함)을 편집하여(303), 하나 이상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한다(304).
그리고, 부호화부(33)는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프리셋 오디오 장면 생성부(32)에 의해 생성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부호화한 후, 엠펙4(MPEG-4)파일 형태로 다중화한다(305).
다음으로, 전송부(34)는 부호화부(33)에 의해 다중화된 객체기반의 오디오 콘텐츠(오디오 신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특히, MPEG-2 TS(Transport Stream)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망(지상파 DMB 채널)을 통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재생 장치(40)로 전송한다(306).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40)의 수신부(41)는 디지털 방송망(지상파 DMB 채널(50))을 통해 객체기반의 오디오 콘텐츠(오디오 신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수신받는다(401).
이후, 복호화부(42)는 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객체기반의 오디오 콘텐츠(오디오 신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복호화(역다중화)한다(402).
그리고,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43)는 복호화부(42)에 의해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사용자(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시청자)의 선택에 따른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한다(403)
다음으로, 오디오 신호 합성부(44)는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부(43)에 의해 구성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복호화부(42)에 의해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객체별 속성(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함)을 제어하여 합성한다(404).
마지막으로, 오디오 신호 재생부(45)는 오디오 신호 합성부(44)에 의해 하나의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장면으로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40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라디오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인터넷 방송, 디지털 영화, DVD(digital video disk), 동영상 콘텐츠 등과 같이 오디오가 제공되는 모든 방송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용되는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미리 생성된 프리셋 오디오 장면들을 사용자(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시청자)로 하여금 각 음원별 오디오 신호를 직접 제어하여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되게 하고, 사용자(시청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오디오 신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각 객체의 속성을 편집하여 하나 이상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 장면 생성 수단;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부호화(다중화)하기 위한 부호화 수단; 및
    상기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오디오 재생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속성은,
    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면 생성 수단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음원이 혼합음원인 경우, 'Convolutive Blind Source Separ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면 생성 수단은,
    사용자(편집자)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장면 정보'를 바탕으로 각 객체의 비율을 조절하여,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단말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장면으로 구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 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엠펙4(MPEG-4)로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엠펙2(MPEG-2) 전송스트림(TS)으로 변환하여 지상파 DMB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7.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수단;
    상기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복호화(역다중화)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
    상기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들 중 사용자(시청자)의 선택에 따른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오디오 장면 구성 수단;
    상기 구성된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객체별 속성을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합성 수단; 및
    객체별 위치/크기/방향 속성이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
    을 포함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면 구성 수단은,
    사용자(시청자)가 설정한 객체별 속성에 따라,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별 속성은,
    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초기 반사음의 크기와 지연시간을 제어하여 3차원 공간의 잔향시간을 변경함으로써, 3차원 오디오 공간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장치.
  11.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객체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오디오 신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각 객체의 속성을 편집하여 하나 이상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는 오디오 장면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부호화(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오디오 재생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속성은,
    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사용자(편집자)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각 객체별 오디오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장면 정보'를 바탕으로 각 객체의 비율을 조절하여,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엠펙4(MPEG-4)로 부호화(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엠펙2(MPEG-2) 전송스트림(TS)으로 변환하여 지상파 DMB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 법.
  15.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를 복호화(역다중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역다중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들 중 사용자(시청자)의 선택에 따른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성하는 오디오 장면 정보 구성 단계;
    상기 구성된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객체별 속성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합성 단계; 및
    객체별 위치/크기/방향 속성이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면 구성 단계에서는,
    사용자(시청자)가 설정한 객체별 속성에 따라,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를 구 성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별 속성은,
    오디오 객체의 위치, 방향, 크기, 음장환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오디오 장면 정보에 따라,
    초기 반사음의 크기와 지연시간을 제어하여 3차원 공간의 잔향시간을 변경함으로써, 3차원 오디오 공간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서비스 재생 방법.
KR1020060045184A 2005-12-08 2006-05-19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71933.0A EP2501128B1 (en) 2006-05-19 2007-05-16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EP07746543A EP2022263B1 (en) 2006-05-19 2007-05-16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JP2009511940A JP5586950B2 (ja) 2006-05-19 2007-05-16 プリセットオーディオシーンを用いた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3次元オーディオ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11159156.6A EP2369836B1 (en) 2006-05-19 2007-05-16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CN2007800230849A CN101473645B (zh) 2005-12-08 2007-05-16 使用预设音频场景的基于对象的三维音频服务系统
PCT/KR2007/002395 WO2007136187A1 (en) 2006-05-19 2007-05-16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US12/300,720 US8705747B2 (en) 2005-12-08 2007-05-16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JP2013167817A JP2014013400A (ja) 2006-05-19 2013-08-12 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4/199,188 US20140185810A1 (en) 2005-12-08 2014-03-06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972 2005-12-08
KR20050119972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00A true KR20070061100A (ko) 2007-06-13
KR100802179B1 KR100802179B1 (ko) 2008-02-12

Family

ID=3835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84A KR100802179B1 (ko) 2005-12-08 2006-05-19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1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940A2 (en) * 2008-07-29 2010-02-04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KR101024924B1 (ko) * 2008-01-23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US8615088B2 (en) 2008-01-23 2013-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ing preset matrix for controlling gain or panning
US8615316B2 (en) 2008-01-23 2013-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8751024B2 (en) 2008-12-22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playback of object based audio contents
US8976983B2 (en) 2008-04-23 2015-03-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object-based audio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ding data having file format structure for object-based audio service
US9721575B2 (en) 2011-03-09 2017-08-01 Dts Llc System for dynamically creating and rendering audio obje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11060B1 (en) 2008-04-16 2014-12-03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WO2009128662A2 (en) 2008-04-16 2009-10-22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KR101062351B1 (ko) 2008-04-16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TWI530941B (zh) 2013-04-03 2016-04-2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用於基於物件音頻之互動成像的方法與系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3427A (en) * 1995-04-21 1999-08-24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audio spatialization
KR100626661B1 (ko) * 2002-10-15 2006-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성이 확장된 음원을 갖는 3차원 음향 장면 처리 방법
KR100542129B1 (ko) * 2002-10-28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002716B2 (en) * 2002-12-02 2015-04-07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describing the composition of audio signals
KR100733965B1 (ko) * 2005-11-01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기반 오디오 전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24B1 (ko) * 2008-01-23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US8615088B2 (en) 2008-01-23 2013-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ing preset matrix for controlling gain or panning
US8615316B2 (en) 2008-01-23 2013-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9319014B2 (en) 2008-01-23 2016-04-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9787266B2 (en) 2008-01-23 2017-10-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8976983B2 (en) 2008-04-23 2015-03-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object-based audio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ding data having file format structure for object-based audio service
WO2010013940A2 (en) * 2008-07-29 2010-02-04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WO2010013940A3 (en) * 2008-07-29 2010-06-03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8265299B2 (en) 2008-07-29 2012-09-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8396223B2 (en) 2008-07-29 2013-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8751024B2 (en) 2008-12-22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playback of object based audio contents
US9721575B2 (en) 2011-03-09 2017-08-01 Dts Llc System for dynamically creating and rendering audio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179B1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6950B2 (ja) プリセットオーディオシーンを用いた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3次元オーディオ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802179B1 (ko) 프리셋 오디오 장면을 이용한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05747B2 (en) Object-based 3-dimensional audio service system using preset audio scenes
EP2113112B1 (en) Method for creating, editing, and reproducing multi-object audio contents files for object-based audio ser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udio presets
Bleidt et al. Development of the MPEG-H TV audio system for ATSC 3.0
AU2015345248B2 (en) Decoder for decoding a media signal and encoder for encoding secondary media data comprising metadata or control data for primary media data
US67721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JP2009537876A5 (ko)
US20140310010A1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apparatus for decoding supporting scalable multichannel audio signal, and method for apparatuses performing same
US200800158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ialog surround audio
KR101114431B1 (ko)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오디오 생성장치,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
Meltzer et al. First experiences with the MPEG-H TV audio system in broadcast
Grewe et al. MPEG-H Audio System for SBTVD TV 3.0 Call for Proposals
KR101040086B1 (ko) 오디오 생성방법, 오디오 생성장치, 오디오 재생방법 및 오디오 재생장치
DeFilippis Mastering and Distributing Immersive Sound
KR100988253B1 (ko) 방송 서비스 방법 및 방송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