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177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177A
KR20070060177A KR1020050119163A KR20050119163A KR20070060177A KR 20070060177 A KR20070060177 A KR 20070060177A KR 1020050119163 A KR1020050119163 A KR 1020050119163A KR 20050119163 A KR20050119163 A KR 20050119163A KR 20070060177 A KR20070060177 A KR 2007006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text message
missed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0177A/ko
Publication of KR2007006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이 있으면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에 대한 메일 통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에 대한 메일 통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해당 착신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MMS 메시지를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부재중의 걸려온 문자메시지 또는 전화에 관한 데이터를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도 편리하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동통신단말기, 부재중, 이메일, 호, 전송, 수신, 메일통보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Method for informing user of absent call by email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부재중 호와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에 해당 내용을 메일로 통보해주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일 통보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2 - 저장부
103 - 제어부 115 - RF송수신부
106 - 입력부 118 - 오디오변환부
109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재중이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호에 관한 정보를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해 줌으로써 단말기의 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 되고 이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 세계적인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은 활발한 연구활동의 결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단말기의 외형에 있어서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단말기의 내적 기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무선 데이터 통신, 전자수첩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요즘 모든 비즈니스나 연락을 휴대폰으로 주고 받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사용자가 실수로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에나 해외 출장이나 여행을 가게 되는 경우에는 문자나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외 출장이나 여행시에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었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부재시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나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장기간동안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많은 메시지가 수신되기 때문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며, 급한 연락일 경우에도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지고 확인하여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미리 설정화면에 부재중 문자메시지나 호 착신 등에 관한 정보를 이메일로 수신받을 것을 설정하여 두면 부재중 단말기로 수신된 호나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호 또는 문자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이 있으면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에 대한 메일 통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에 대한 메일 통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해당 착신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상기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문자메시지를 분석하고 ,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메일 통보 기능 설정 메시지이면 메일 통보 기능을 설정한다. 상기 수 신된 메시지가 메일 통보 기능 설정 메시지가 아니면 일반 문자메시지로 처리한다.
상기 부재중 착신 메시지가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이며, 상기 문자 데이터는 문자내용, 송신자와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재중 착신 메시지가 호 착신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는 전화 데이터이며, 상기 전화 데이터는 송신 호 아이디와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 이동교환국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 송신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가지는 RF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03)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송신부는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동통신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106)는 키패드(Key pa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저장부(112)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오디오 변환부(118)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3)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부재중일 경우에 문자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면 단말기에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검사하여 부재중 메일 통보가 설정되어있는 지를 판단하여 설정되어있으면 수신된 문자메시지와 호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부재중일 경우에 수신된 호와 문자메시지에 관하여 해당 호와 문자메시지에 관한 데이터를 지정된 메일로 전송하여 통보하여 주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부재중 호와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에 해당 내용을 메일로 통보해주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일 통보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부재중 호 착신 또는 문자메시지의 수신이 있으면(단계 203), 부재중 호 착신 또는 문자메시지 수신에 대한 메일 통보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6). 부재중 호 착신 또는 문자메시지에 대한 메일 통보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으면, 상기 호 착신과 문자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다(단계 209).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단계 212), 상기 작성된 MMS 메시지를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한다(단계 215). 이때 상기 부재중 착신 메시지가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이며, 상기 문자 데이터는 문자내용, 송신자, 수신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재중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는
수신날짜: 2005년 12월 1일
수신시간: 오후 3시
송신자: 홍길동(011-123-4567)
문자내용: 12월 22일까지 xx동 지점에 방문하셔서 보험 이의 제기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해당일까지 신청 접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동 취소됩니다.
와 같이 MMS 메시지가 작성되어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부재중 착신 메시지가 호 착신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는 전화 데이터이며, 상기 전화 데이터는 송신 호 아이디, 수신날짜와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재중에 호 착신이 되었을 경우에는,
수신날짜: 2005년 12월 3일
수신시간: 오전 9시
송신 호 아이디: 019-123-4567 (홍길동)님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와 같이 MMS 메시지가 작성되어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된다.
상기 메일 통보 기능의 설정은 도 3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는데, 먼저 원격으로 단말기에 약속된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단계 303) 해당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단계 306),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메일 통보 기능 설정 메시지이면(단계 309의 '예') 메일 통보 기능으로 자동 설정하고(단계 312),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메일 통보 기능 설정 메시지가 아니면(단계 309의 '아니오') 일반 문자메시지로 처리한다(단계 315).
예를 들어, 원격으로 약속된 문자메시지를 "MMS/ON/ 12345678@hotmail.com" 와 같이 수신하였을 경우에 해당 문자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MMS' 는 부재중 메일 통보 설정 메시지라는 의미로 분석될 수 있으며, 'ON'은 메일 통보 여부가 설정되어있다고 분석될 수 있다. 또한, '12345678@hotmail.com'의 메일 주소로 부재중 메일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의미로 분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ON' 대신에 'OFF'라고 설정이 되어있다면 부재중 메일 통보 여부를 해제하는 것으로 분석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메시지 분석 결과를 통하여 메일 통보 여부 및 통보 메일 주소를 단말기 상에서 직접 수동으로 설정한 것처럼 원격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일 통보 여부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수동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미리 설정화면에 부재중 문자메시지나 호 착신 등에 관한 정보를 이메일로 수신받을 것을 설정하여 두면 부재중 단말기로 수신된 호나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호 또는 문자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이 있으면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에 대한 메일 통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부재중 문자메시지 또는 호 착신에 대한 메일 통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해당 착신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 2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 3단계;
    지정된 이메일 주소로 상기 M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문자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메일 통보 기능 설정 메시지이면 메일 통보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메일 통보 기능 설정 메시지가 아니면 일반 문자메시지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착신 메시지가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이며,
    상기 문자 데이터는 문자내용, 송신자, 수신날짜와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착신 메시지가 호 착신인 경우에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는 전화 데이터이며,
    상기 전화 데이터는 송신 호 아이디, 수신 날짜와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KR1020050119163A 2005-12-08 2005-12-08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KR20070060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63A KR20070060177A (ko) 2005-12-08 2005-12-08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63A KR20070060177A (ko) 2005-12-08 2005-12-08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177A true KR20070060177A (ko) 2007-06-13

Family

ID=3835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63A KR20070060177A (ko) 2005-12-08 2005-12-08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01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200051A1 (en) * 2014-06-24 2015-12-30 Google Inc. Cross-device notif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200051A1 (en) * 2014-06-24 2015-12-30 Google Inc. Cross-device notifications
US10097619B2 (en) 2014-06-24 2018-10-09 Google Llc Cross-device notif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99B1 (ko) 문자 메시지의 통합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6790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발신 취소 방법
KR2007006017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KR2003009742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6012415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착발신 이력 저장방법 및 장치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7116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팸통화 제어 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322422B1 (ko) 제한된액세스수신기
KR100776305B1 (ko)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
KR10063949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사용 방법 및 장치
JP2002149561A (ja) 送信メール既読確認機能付き携帯電話機、送信メール既読確認機能付き携帯電話システム、送信メール既読確認方法
KR2005005068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일기예보 알람방법
KR20060033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 통지 연기 방법 및장치
KR20050067881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700730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63759A (ko) 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방법
KR100820354B1 (ko) 착신호 수신 거부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455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시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를 사용하는 방법
KR2004005121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1006986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 수신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50402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즉시 회신 방법.
KR10065064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제한 방법
JP200407070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
KR20040083615A (ko) Sms 수신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