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831A - 소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소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831A
KR20070059831A KR1020060039641A KR20060039641A KR20070059831A KR 20070059831 A KR20070059831 A KR 20070059831A KR 1020060039641 A KR1020060039641 A KR 1020060039641A KR 20060039641 A KR20060039641 A KR 20060039641A KR 20070059831 A KR20070059831 A KR 2007005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single
keyboard
single key
fing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픈 첸
Original Assignee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5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4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형 키보드는 하나의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문자 입력 그룹들을 통합 단일 키로 클러스터링한다. 또한, 소형 키보드는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을 유지하는 키보드 베이스를 가진다. 각각의 통합 단일 키는 접촉식 패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분할된다. 각각의 세그먼트는 문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하나의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문자 입력 그룹들은 하나의 통합 단일 키상에 클러스터링된다. 통합 단일 키는 다른 손가락의 위치들에 따라 다른 입력 문자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키보드는 수축될 수 있으며 키들의 수 및 입력 에러가 감소될 수 있다.
소형 키보드, 통합 단일 키, 세그먼트, 클러스터링, 접촉식 패드

Description

소형 키보드{Miniaturized keyboard}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호스트에 접속한 본 발명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동작 조건에서 호스트에 접속된 본 발명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 단일 키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통합 단일 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통합 단일 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의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소형 키보드 21: 통합 단일 키
210: 접촉식 패드 211: 세그먼트
본 발명은 소형 키보드, 특히 키보드의 크기를 축소하여 키들의 수 및 입력 에러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문자 입력 그룹들을 통합된 단일 키로 클러스터링하는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컴퓨터 입력 인터페이스들은 일반적으로 키보드들, 마우스, 음성 입력, 필기체 인식 등을 포함한다. 키보드들이 가장 폭넓게 사용된다.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1)(도 1참조)는 타자기로부터 기원한다. 키보드(1)는 그위에 배치된 복수의 심볼 버튼 키들(11)을 가진 베이스(10)를 포함한다. 손가락의 크기와 매칭시키고 오퍼레이션들을 누르는 동안 인접 버튼 키들(11)을 터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컴퓨터 키보드(1)의 버튼 키들(11)이 너무 작지 않아야 한다. 컴퓨터의 성능이 더욱 향상됨에 따라, 컴퓨터 키보드(1)의 버튼 키들(11)의 수는 입력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컴퓨터 키보드의 크기 또한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일부 컴퓨터 키보드들은 테스크탑 컴퓨터의 전체 사용 가능 영역을 거의 덮는다. 그러므로, 많은 사무실 책상들은 2단 상부면들로 설계된다. 일 단은 컴퓨터 키보드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용된다. 사용중에, 키보드를 수용한 책상은 뽑아낼 수 있다. 다른 종이 문서들을 처리하기를 원할 때, 컴퓨터 키보드를 수용한 데스크탑 컴퓨터는 상부 책상 아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일부 사무실 테스크탑 컴퓨터들은 종이 문서들을 처리하기 위한 한 측면과 컴퓨터 키보드를 수용한 다른 측면을 가진 L-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들 모두는 많은 공간을 낭비한다. 더욱이, 키보드의 동작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두개의 손바닥은 다른 버튼 키들을 잘못 터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가락들이 모든 버튼 키들을 커버하도록 타이핑동안 허공에 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자세는 일정기간 동작후에 팔들 및 손가락들이 피로해지게 한다. 더욱이, 손가락의 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입력 속도는 감소한다.
게다가, 종래의 키보드는 데이터 입력동안 인접 버튼 키들을 잘못 터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게 만들어졌다. 버튼 키의 중심이 눌러지지 않을 때, 손가락은 누른 버튼 키와 함께 내려가며 인접 버튼 키들을 쉽게 잘못 터치한다. 버튼 키들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타이핑이 숙련되고 훈련된 소수의 사용자들은 별도로 하고, 일반 사용자들은 입력될 문자들을 타이핑하는 동안 탐색 또는 검색하기 위하여 키보드 및 스크린을 교대로 보고 다시 데이터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목이 전후로 이동할 것을 요구한다. 이들 모두는 사용자의 목 및 눈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주로 키보드 베이스상에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을 가지는 소형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각각의 통합 단일 키는 접촉식 패드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 된다. 각각의 세그먼트는 문자와 대응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입력 문자 그룹들은 하나의 통합 단일 키가 되도록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호스트는 스크린상에 하나 이상의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키들의 수가 감소한다. 그리고, 키보드의 크기가 상당히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에러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의 통합 단일 키가 사용중일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식 패드를 터치하나 키를 아직 누르지 않을때, 눌러질 문자는 스크린상에서 검출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입력될 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키보드를 보려고 머리를 아래로 숙이지 않고 입력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린상의 그의 시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통합 단일 키는 손가락의 이동 트랙에 따라 바 타입(bar type)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은 사용자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키보드 베이스상에 병렬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합 단일 키의 표면은 손가락이 위치를 결정하여 빠르게 식별하도록 하는 특정 위치결정 트레이스를 가진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합 단일 키의 표면은 손가락이 계속해서 이동하도록 하는 트랙을 형성하기 위하여 한 측면상에서 돌출 에지를 가진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합 단일 키의 표면은 손톱을 터치하여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치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접촉식 패드가 콘덴서식 패드일때 특히 적절하다. 접촉시 패드가 사람의 피부에만 민감하고 손톱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 단일 키의 표면이 아치형일때, 손가락은 쉽게 몸통에 근접하게 문자를 누를 수 있으며 손가락 끝은 손톱보다 오히려 아치형 표면을 쉽게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잘못된 입력 동작이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키보드 베이스는 독립적 왼손 동작 베이스 및 독립적 오른손 동작 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왼손 동작 베이스 및 오른손 동작 베이스는 사용중에 사용자의 요구들에 따라 분리되거나 또는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소형 키보드는 노트북 컴퓨터들용 키보드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소형 키보드는 커서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소형 키보드는 무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호스트에 접속하는 호스트 무선 트랜시버에 대응하는 키보드 무선 트랜시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소형 키보드는 소형 키보드에 대응하는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을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호스트에 접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합 단일 키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은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되는 통합 단일 키에 대한 문자를 지시하기 위하여 눈에 띄는 마크(예컨대, 칼라 또는 반대-칼라)를 가진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합 단일 키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은 손가락이 소형 키보드상의 통합 단일 키를 터치할때 디스플레이되며 손가락이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를 중지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합 단일 키 디스플레이들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에 디스 플레이되는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은 다른 언어들의 조건에서 모든 문자들 및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된 문자상의 특정 마크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추가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진행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키보드(2)는 키보드 베이스(20)상의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21)을 포함한다. 소형 키보드(2)는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프트(C)에 접속된다.
키보드 베이스(20)는 신호들을 터치하여 누르는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하여 호스트(C) 및 키보드 제어기(202)에 접속하는 접속 단부(201)를 가진다.
통합 단일 키(21)는 하나의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키보드상의 문자 입력 그룹을 하나의 키로 클러스터링하며 접촉식 패드(210)를 가지며, 복수의 세그먼트들(211)로 분할된다. 각각의 세그먼트(211)는 문자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문자 입력 그룹들은 하나의 통합 단일 키(21)로 클러스터링되며, 키보드 베이스(20)의 키보드 제어기(202)에 접속된다.
통합 단일 키(21)는 유도 키 스위치 또는 버튼 키 스위치일 수 있는 키 스위치(212)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은 다음과 같다(도 2 내지 도 5 참조).
1.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들을 획득한다(단계 901): 통합 단일 키(21)의 접촉식 패드(21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수신하며, 손가락의 터치로부터 발신 된 신호를 발생시키며 손가락이 터치하는 세그먼트(211)를 획득한다.
2. 신호를 호스트에 전송한다(단계 902): 손가락이 터치하는 세그먼트(211의 신호를 획득하며 신호를 키보드 제어기(202) 및 호스트(C)에 전송한다.
3.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903):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 A가 스크린(M)상에 디스플레이된다.
4. 문자를 획득한다(단계 904): 키보드 제어기(202)는 대응하는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 A에 따라 손가락 터치 세그먼트(211)에 의하여 표현되는 문자를 탐색한다.
5. 문자를 강조한다(단계 905): 스크린(M)상에 디스플레이된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 A상에서,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된 문자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예컨대 다른 칼라 또는 반대 칼라 같은) 특정 마크 A1에 의하여 도시된다.
6. 손가락 터치 신호가 통합 신호 키(21)의 접촉식 패드(210)로부터 소멸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만일 가능하면 단계(909)를 실행하며, 그렇치 않으면 단계(907)를 실행한다.
7. 입력을 확인한다(단계 907): 손가락(5)이 통합 단일 키(21)를 눌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만일 가능하면 단계(908)를 실행하며 그렇치 않으면 단계(901)를 실행한다.
8. 문자를 입력한다(단계 908): 스크린(M)은 입력 위치상의 입력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며, 단계(901)로 복귀한다.
9.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이 소멸된다(단계 909): 선택된 지연시간후에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 A는 스크린(M)으로부터 소멸되며, 단계(901)로 복귀한다.
전술한 소형 키보드에 따르면, 통합 단일 키(21)(도 5 및 도 13 참조)에 대응하는 스크린(M)상의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 A 및 A'는 다른 언어 조건들에서 도 13(a) 및 (b)에 도시된 모든 문자들 및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된 문자가 손가락(5)에 의하여 터치될 때, 특정 마크(A1)가 지시된다(도 5에 도시됨).
전술한 소형 키보드상에서,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21)(도 5 참조)은 손가락의 가동 트랙에 따라 바 타입으로 설계되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21)은 사용자 동작을 용이하게 위하여 키보드 베이스(20)상에 병렬 방식으로 배열된다.
전술한 통합 단일 키(21)와 관련하여, 통합 단일 키(21)의 표면은 손가락이 그의 위치를 결정하여 빠르게 식별하도록 하는 특정 위치결정 트레이스(D)(도 6에 도시됨)를 가진다.
전술한 통합 단일 키(21')(도 7에 도시됨)와 관련하여, 통합 단일 키(21')의 표면은 손가락이 계속해서 이동하도록 하는 트랙을 형성하기 위하여 한 측면상에서 돌출 에지(D')를 가진다.
전술한 통합 단일 키(21")(도 8에 도시됨)와 관련하여, 통합 단일 키(21")의 표면은 손톱의 터치로 인하여 잘못된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치형 표면(D")내에 형성된다. 이는 잘못된 동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누름 동작동안 손톱이 터치하는 것보다 빨리 손끝이 통합 단일 키(21")를 터치하도록 한다.
전술한 소형 키보드 세트는 양 손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독립적 왼손 동작 베이스(2A) 및 독립적 오른손 동작 베이스(2B)(도 9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왼손 동작 베이스(2A) 및 오른손 동작 베이스(2B)는 사용중에 사용자의 요구들에 따라 키보드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왼손 동작 베이스(2A) 및 오른손 동작 베이스(2B)가 분리되거나 또는 함께 결합되도록 각각 결합 엘리먼트(2A', 2B')를 가진다(도 10 참조).
전술한 소형 키보드(2')(도 11 참조)는 마우스로서 기능을 하는 커서 제어 패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소형 키보드(2")(도 12 참조)는 무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호스트(C')에 접속하는 호스트 무선 트랜시버(C1')에 대응하는 키보드 베이스(20")내의 무선 트랜시버(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 키의 수를 감소시키고 키보드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소형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에러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키보드 베이스상에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을 포함하는 소형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합 단일 키는 접촉식 패드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분리되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문자에 대응하며, 상기 각각의 통합 단일 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동작가능한 입력 문자 그룹들을 클러스터링하는, 소형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단일 키는 상기 손가락의 이동 트랙에 따라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통합 단일 키들은 상기 키보드 베이스상에 병렬 방식(juxtaposed fashion)으로 배열되는, 소형 키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단일 키는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고속으로 결정하여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특정 위치결정 트레이스와 함께 형성된 표면을 가지는, 소형 키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단일 키는 상기 손가락을 계속해서 용이하게 동작시키기 위하여 한 측면상에서 돌출 에지와 함께 형성되는 표면을 가지는, 소형 키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단일 키는 아치형 표면을 가지는, 소형 키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마우스로서 기능을 하는 커서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소형 키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베이스는 무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호스트에 접속하는 호스트 무선 트랜시버에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소형 키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키보드는 노트북 컴퓨터상에서 사용되는, 소형 키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문자에 대응하며, 호스트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 단일 키 문자 테이블에 대응하는, 소형 키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독립적 왼손 동작 베이스 및 독립적 오른손 동작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소형 키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왼손 동작 베이스 및 상기 오른손 동작 베이스는 상기 키보드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시키는 결합 엘리먼트를 각각 가지는, 소형 키보드.
KR1020060039641A 2005-12-07 2006-05-02 소형 키보드 KR200700598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4143145A TW200612317A (en) 2005-12-07 2005-12-07 Micro-keyboard
TW094143145 2005-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31A true KR20070059831A (ko) 2007-06-12

Family

ID=3824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41A KR20070059831A (ko) 2005-12-07 2006-05-02 소형 키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157105A (ko)
KR (1) KR20070059831A (ko)
BR (1) BRPI0605603A (ko)
TW (1) TW2006123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77A1 (en) * 2020-08-27 2022-03-03 Hyeon Gi Jeon Separated 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keyboard layout for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5282A (zh) * 2014-04-17 2014-07-30 胡世曦 一种带有触摸板的键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77A1 (en) * 2020-08-27 2022-03-03 Hyeon Gi Jeon Separated 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keyboard layout for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KR20220027462A (ko) * 2020-08-27 2022-03-08 전현기 분리형 무선 키보드 장치 및 연결 구조별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7448B (ko) 2008-06-01
TW200612317A (en) 2006-04-16
JP2007157105A (ja) 2007-06-21
BRPI0605603A (pt) 200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146B2 (en) Ergonomic motion detection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US8542206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US10061510B2 (en)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CN101814005B (zh) 最适宜拇指的触摸屏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US20070075978A1 (en) Adaptiv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CN105359065A (zh) 提供附加功能和各功能预览的多功能按键
KR20080038247A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110298717A1 (en) Keyboard with replaceable layout sheet
US9098118B2 (en) Computer keyboard with pointer control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KR20110023654A (ko) 핑거 마우스
He et al. Tapgazer: Text entry with finger tapping and gaze-directed word selection
TWI539367B (zh) 具有觸控功能之鍵盤裝置
KR20070059831A (ko) 소형 키보드
US20070236368A1 (en) Miniaturized keyboard
EP1832956A1 (en) Miniaturized keyboard
CN2901408Y (zh) 键盘鼠标装置
JPH10293640A (ja) 可搬型コンピュータ
KR20110048754A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
KR20090076180A (ko)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마우스
KR101631069B1 (ko) 멀티터치 트랙패드를 통한 심리스한 입력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통합 전용 입력 플랫폼
US6398437B1 (en) Keyboard and computer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20110085522A (ko) 쌍자음 입력이 용이한 분할 키보드
Rathod et al. Touchpad: A versatile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