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868A -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868A
KR20070058868A KR1020050117675A KR20050117675A KR20070058868A KR 20070058868 A KR20070058868 A KR 20070058868A KR 1020050117675 A KR1020050117675 A KR 1020050117675A KR 20050117675 A KR20050117675 A KR 20050117675A KR 20070058868 A KR20070058868 A KR 2007005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isplaying
image
time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768B1 (ko
Inventor
하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768B1/ko
Priority to US11/528,250 priority patent/US8334873B2/en
Priority to CNA2006101531446A priority patent/CN1979487A/zh
Publication of KR2007005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image)들을 복수의 시간 맵(map)을 이용해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이미지 관리 방법은 제1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상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고, 상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시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하위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하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위 맵 또는 하위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후보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이미지들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시간 구간을 가지는 복수의 시간 맵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된 이미지들의 개수에 비해 한정된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신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mage stored in storage medium}
도 1a, 1b 및 1c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검색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과 시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검색창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본 맵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월 단위 맵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주 단위 맵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작성하여 인쇄 요청한 문서를 부호화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용지 등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최근에는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USB 메모리 스틱(Universal Serial Bus memory stick)등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대용량 하드디스크(hard disk)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이 나오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메모리 카드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들을 확인한 후 인쇄할 화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복수의 화상들은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포토프린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N-업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다.
대용량 하드의 경우, 저장된 이미지들의 개수가 매우 많으므로 한정된 크기의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를 데이터 생성 시간대로 나누어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이미지 검색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도 1a, 1b 및 1c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시간대별로 나누어 검색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탭(tab)으로 구성된 복수의 시간 구간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시간 구간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단위로 표시된 탭들 중 2005년 3월을 나타내는 Mar'05 탭(100)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2005년 3월에 생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5년 2월을 나타내는 Feb'05 탭(110)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2005년 2월에 생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탭의 개수에 한계가 있으며, 상기 탭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이미지 관리 단계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관리 방법은, 제1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상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시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하위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맵 또는 하위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후보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한다.
상기 하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상기 제2 시간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며, 상기 상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하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상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이미지 관리 방법은, 월 단위로 나뉘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월 단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월 단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월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주 단위로 나뉘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주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 단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주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월 단위 맵 또는 주 단위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후보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한다. 상기 월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월에 속하는 각 주의 대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주 단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월 단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월을 주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월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월 단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주 단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주 가 속하는 시간 구간을 월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맵은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과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소정의 시간 주기로 변경시키며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 관리 방법은, 전체 시간을 년도 및 월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기본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본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월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월 단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기본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상기 월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관리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작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 상기 입력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관리 장치는, 제1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상위 맵(map)과 제2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하위 맵을 구성하는 맵구성부; 상기 맵상에 위치하는 키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맵상에서 상기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성된 상위 맵과 하위 맵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2 시간 단위는 월 단위 및 주 단위이며, 상기 이미지검색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맵구성부는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상기 제2 시간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하위 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맵구성부는 상위 맵으로의 이동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하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상위 맵을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맵구성부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과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구별하여 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소정의 시간 주 기로 변경시키며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후보 이미지들 중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관리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이미지 관리 장치는 사용자입력부(200), 맵구성부(210), 이미지검색부(220), 저장매체(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관리 장치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맵구성부(210)는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 전체 시간 구간을 제1 시간 단위로 나누어 표시하는 상위 맵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구성된 상위 맵을 디스플레이한다(300단계). 도 5는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들과 시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검색창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검색창의 하단의 맵 영역(510)에 바(bar) 형태의 시간 맵이 디스플레이되며, 상단의 미리보기 영역(500)에 검색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의 시간 맵에는 나눠어진 시간 구간들 각각에 해당 시간이 표시되어 있으며, 바(bar, 52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맵 키(key, 530)가 표시되어 있다. 맵구성부(210)는 이미지검색부(220)로부터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들의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과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이 구별되도록 바(520)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은 바를 진하게 표시하고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은 흐리게 표시하거나, 상기 두 시간 구간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위 맵상에서 키를 이동시키고, 이미지검색부(220)는 상기 상위 맵상에서 상기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저장매체(230)에서 검색하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310단계). 사용자가 상기 키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310단계가 반복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이 사용자가 키를 위치시키는 시간 구간에 따라 변경되게 된다.
이미지검색부(220)는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상위 맵상에서 상기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로서 속성정보라고도 한다.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이다. 여기에는 콘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컴퓨터에서는 보통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과 데이터를 빨리 찾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해,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의 개수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생성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일정한 시간 주기, 예를 들어 5초의 주기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 중 대표 이미지들을 먼저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확인한 후 상기 이미지들이 속하는 시간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시간 구간에 속하는 이미지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특정 작업, 예를 들어 인쇄의 수행 또는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키를 선택하고자하는 시간 구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선택 버튼(미도시)을 누른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 버튼을 눌러 시간 구간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320). 사용자가 시간 구간을 선택한 경우, 이미지검색부(220)는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시간 구간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검색하고(330단계),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340단계).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34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특정 작업을 명령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들보다 크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위 맵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위 맵보다 작은 시간 구간을 보다 작은 시간 단위로 나누어 좀더 세부적인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위 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상위 맵에서 하위 맵으로 이동할 것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350단계). 하위 맵으로의 이동이 선택된 경우, 맵구성부(210)는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제2 시간 단위로 나누어 표시하는 하위 맵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구성된 하위 맵을 디스플레이한다(360단계).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위 맵상에서 키를 이동시키고, 이미지검색부(220)는 상기 하위 맵상에서 상기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저장매체(230)에서 검색하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370단계). 사용자가 상기 키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370단계가 반복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이 사용자가 키를 위치시키는 시간 구간에 따라 변경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하위 맵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확인한 후,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하위 맵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하위 맵에서 시간 구간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380단계). 사용자가 시간 구간을 선택한 경우, 이미지검색부(220)는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시간 구 간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검색하고(330단계),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340단계).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34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특정 작업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맵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위 맵으로 다시 이동하여 좀더 넓은 시간 구간에서 개략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하위 맵에서 상위 맵으로 이동할 것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350단계), 상위 맵으로의 이동을 선택한 경우 상기 30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상위 맵 또는 하위 맵상에서 키의 이동은 사용자입력부(200)에 포함된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위 맵과 하위 맵 사이의 이동은 사용자입력부(200)에 포함된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에 관한 실시예는 기본 맵, 월 단위 맵 및 주 단위 맵의 3가지 단계의 맵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전체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기본 맵을 맵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본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미리 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400단계). 사용자는 상기 기본 맵을 통해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개략적인 이미지 검색 후 좀 더 자세한 검색을 위해 월 단위 맵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상기 기본 맵상에 위치하는 키를 사용자입력부(200)의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맵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를 위치시키는 시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이 변경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기본 맵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확인한 후, 사용자입력부(200)의 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기본 맵에서 하나의 시점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410단계), 사용자가 특정 시점을 선택한 경우 이미지 선택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이미지 선택 모드에서, 이미지검색부(220)는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시점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검색하고(420단계),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430단계).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특정 작업을 명령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기본 맵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맵 영역에 바 형태의 기본 맵(61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기본 맵(610)상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키(60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키(600)가 위치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이 미리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60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각 시점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신속하게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이미지 선택모드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맵에서 선택된 시간 구간의 이미지들을 하단(90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단(90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상단(910)에 크게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0)의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하단(900)에 디스플레이된 후보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기본 맵을 이용하여 저장매체(24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검색한 후, 좀 더 자세한 검색을 위해 특정 시간 구간을 선택하여 하위 맵인 월 단위 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맵으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기본 맵의 경우 사용자는 키(600)를 원하는 시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200)의 하 방향 버튼을 눌러 하위 맵인 월 단위 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440단계). 사용자가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기본 맵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을 월 단위로 나누어 표시하는 월 단위 맵을 맵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월 단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월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미리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450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본 맵에서 키가 2005년 9월 경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선택하면, 맵구성부(210)는 상기 2005년 9월을 중심으로 주변의 월들을 포함하는 월 단위 맵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상기 월 단위 맵상에 위치하는 키를 사용자입력부(200)의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월 단위 맵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를 위치시키는 시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이 변경되게 된다. 상기 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월 단위 맵 상에 표시된 월 단위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월 단위 맵은 이미지가 존재하는 월과 존재하지 않는 월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키 이동 시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월에 대응되는 구간은 건너뛰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월 단위 맵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확인한 후, 사용자입력부(200)의 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월 단위 맵에서 하나의 월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460단계), 사용자가 특정 월을 선택한 경우 상기 이미지 선택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420단계 및 430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월에 생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쇄 작업 등의 특정 작업의 수행을 명령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월 단위 맵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맵 영역에 바 형태의 월 단위 맵(71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월 단위 맵(710)상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키(70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키(700)가 위치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이 미리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200)의 좌우 방향 버튼을 누르면, 키(700)가 월 단위 맵(710) 상에서 상기 눌려진 방향에 따라 월 단위로 건너뛰며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5년 9월에 키(700)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 방향 키를 한번 누르면 우측으로 인접한 2005년 10월로 키(700)가 이동하게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700)가 위치하는 월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은 주 단위로 나뉘어 디스플레이되며, 각 주의 이미지들 중 대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주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각 주의 이미지들이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를 가지고 생성 시간 순서에 따라 변경되며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월 단위 맵을 이용하여 저장매체(24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검색한 후, 좀 더 자세한 검색을 위해 상기 월 단위 맵에 표시된 월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위 맵인 주 단위 맵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좀 더 개괄적인 검색을 위해 상위 맵인 기본 맵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맵 이동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로, 사용자입력부(200)의 하 방향 버튼을 눌러 하위 맵인 주 단위 맵으로 이동하고, 상 방향 버튼을 눌러 상위 맵인 기본 맵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맵 이동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440단계), 사용자가 상위 맵으로의 이동을 선택한 경우 상기 400단계를 수행하여 기본 맵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월 단위 맵에서 키가 위치하는 월을 주 단위로 나누어 표시하는 주 단위 맵을 맵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 단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주에 생성된 이미지들을 미리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480단계).
사용자는 상기 주 단위 맵상에 위치하는 키를 사용자입력부(200)의 좌우 방 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주 단위 맵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를 위치시키는 시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이 변경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 단위 맵은 이미지가 존재하는 주와 존재하지 않는 주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키 이동 시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주에 대응되는 구간은 건너뛰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주 단위 맵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확인한 후, 사용자입력부(200)의 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주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주 단위 맵에서 하나의 주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490단계), 사용자가 특정 주를 선택한 경우 상기 이미지 선택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420단계 및 430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주에 생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쇄 작업 등의 특정 작업의 수행을 명령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주 단위 맵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맵 영역에 바 형태의 주 단위 맵(81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주 단위 맵(810)상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키(80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키(800)가 위치하는 주에 속하는 이미지들이 미리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200)의 좌우 방향 버튼을 누르면, 키(800)가 주 단위 맵(810) 상에서 상기 눌려진 방향에 따라 주 단위로 건너뛰며 이동하게 된다. 키(800)가 위치하는 주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개수가 상기 미리보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의 개수인 6개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주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6개씩 미리 정 해진 시간 주기를 가지고 변경시키며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월 단위 맵을 이용하여 저장매체(24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검색한 후, 좀 더 넓은 시간 범위에서의 이미지 검색을 위해 상위 맵인 월 단위 맵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상위 맵으로의 이동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로, 사용자입력부(200)의 상 방향 버튼을 눌러 상위 맵인 월 단위 맵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기본 맵, 월 단위 맵 및 주 단위 맵의 3가지 단계의 맵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관리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4 이상의 맵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시간 구간을 가지는 복수의 시간 맵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된 이미지들의 개수에 비해 한정된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신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image)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상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시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하위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맵 또는 하위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후보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상기 제2 시간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하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상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6.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월 단위로 나뉘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월 단위 맵(map)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월 단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월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주 단위로 나뉘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주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 단위 맵상에서 키(key)가 위치하는 주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월 단위 맵 또는 주 단위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후보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월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월에 속하는 각 주의 대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주 단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월 단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월을 주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월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월 단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주 단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주가 속하는 시간 구간을 월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맵은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과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소정의 시간 주기로 변경시키며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전체 시간을 년도 및 월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기본 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본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월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월 단위 맵으로의 이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기본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상기 월 단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작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 상기 입력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16.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image)들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상위 맵(map)과 제2 시간 단위로 나누어진 시간 구간들을 표시하는 하위 맵을 구성하는 맵구성부;
    상기 맵상에 위치하는 키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맵상에 표시된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맵상에서 상기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 하는 이미지검색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성된 상위 맵과 하위 맵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시간 단위는
    월 단위 및 주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검색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맵구성부는
    하위 맵으로의 이동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상위 맵상에서 키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상기 제2 시간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하위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맵구성부는
    상위 맵으로의 이동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하위 맵상에서 키 가 위치하는 시간 구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상위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맵구성부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과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구별하여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들을 소정의 시간 주기로 변경시키며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후보 이미지들 중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25.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117675A 2005-12-05 2005-12-05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39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75A KR100739768B1 (ko) 2005-12-05 2005-12-05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28,250 US8334873B2 (en) 2005-12-05 2006-09-28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mages stored in storage medium
CNA2006101531446A CN1979487A (zh) 2005-12-05 2006-12-05 管理存储介质中存储的图像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75A KR100739768B1 (ko) 2005-12-05 2005-12-05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868A true KR20070058868A (ko) 2007-06-11
KR100739768B1 KR100739768B1 (ko) 2007-07-13

Family

ID=3767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675A KR100739768B1 (ko) 2005-12-05 2005-12-05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34873B2 (ko)
KR (1) KR100739768B1 (ko)
CN (1) CN1979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4975A (zh) * 2020-06-09 2020-09-2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3205B2 (en) 2001-09-19 2013-04-02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content
US11388451B2 (en) 2001-11-27 2022-07-1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ata-rich interactive television using broadcast database
WO2003026275A2 (en) 2001-09-19 2003-03-27 Meta Tv, Inc.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applications
US8042132B2 (en) 2002-03-15 2011-10-18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content
US7703116B1 (en) 2003-07-11 2010-04-20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applications that blend programming information of on-demand and broadcast service offerings
US11070890B2 (en) 2002-08-06 2021-07-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User customization of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8220018B2 (en) 2002-09-19 2012-07-10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ferred placement programming of iTV content
US10664138B2 (en) 2003-03-14 2020-05-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second screen experience
US11381875B2 (en) 2003-03-14 2022-07-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Causing display of user-selectable content types
US8578411B1 (en) 2003-03-14 2013-11-05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V application behaviors through the use of application profile filters
US8819734B2 (en) 2003-09-16 2014-08-26 Tvworks, Llc Contextual navigational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JP4587173B2 (ja) * 2005-04-18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818667B2 (en) 2005-05-03 2010-10-19 Tv Works Llc Verification of semantic constraints in multimedia data and in its announcement, signaling and interchange
US11832024B2 (en) 2008-11-20 2023-11-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video and video-related content at sub-asset level
JP5289151B2 (ja) * 2009-04-09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15722B2 (en) * 2012-11-08 2021-09-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rowdsourcing supplemental content
KR20140100784A (ko) * 2013-02-07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880609B2 (en) 2013-03-14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event messaging
EP2871603A1 (fr) * 2013-11-11 2015-05-13 Richard Chappuis Procédé pour stocker et afficher des liens vers des documents numériques, et support de données
US11783382B2 (en) 2014-10-22 2023-10-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metadat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086A (en) * 1991-10-08 1994-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implementing a preview window in an object oriented programming system
US6034683A (en) 1997-03-26 2000-03-07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Time line for desktop metaphor
US6097389A (en) * 1997-10-24 2000-08-01 Pictra,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esenting a collection of digital media in a media container
US20020054103A1 (en) * 1997-10-28 2002-05-09 Shinya Mizuno Method of display scrolling along a timebase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1215629A (ja) 2000-02-02 2001-08-10 Noritsu Koki Co Ltd 写真処理装置
US7325198B2 (en) 2002-12-31 2008-01-29 Fuji Xerox Co., Ltd. Calendar-based interfaces for browsing and manipulation of digital images
KR20040083178A (ko) * 2003-03-21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이미지 배치방법 및 장치
JP2005031830A (ja) 2003-07-09 2005-02-0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用プログラム
US20050108643A1 (en) 2003-11-17 2005-05-19 Nokia Corporation Topographic presentation of media files in a media diary application
US7774718B2 (en) * 2003-12-17 2010-08-10 Nokia Corporation Time handle in a media diary application for accessing media files
US20050162718A1 (en) 2003-12-30 2005-07-2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in electronic photo album
KR20050070245A (ko) * 2003-12-30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앨범의 이미지 편집방법과 장치
US7685134B2 (en) * 2003-12-31 2010-03-23 Nokia Corporation Media file sharing, correlation of metadata related to shared media files and assembling shared media file collections
KR100608712B1 (ko) * 2004-01-06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7525675B2 (en) 2004-02-06 2009-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printing via a proof sheet
US20050188326A1 (en) 2004-02-25 2005-08-25 Triworks Corp. Image assortment supporting device
KR20060008485A (ko) * 2004-07-21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내용을 기초로 이미지를 정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4975A (zh) * 2020-06-09 2020-09-2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1694975B (zh) * 2020-06-09 2023-08-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768B1 (ko) 2007-07-13
US8334873B2 (en) 2012-12-18
US20070019001A1 (en) 2007-01-25
CN1979487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768B1 (ko)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7610274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trieving data
CN101165689B (zh) 文件管理设备和控制文件管理设备的方法
RU2546593C2 (ru) Отображения интегрирующего интерфейса цифровой книги и изменения масштаба
TWI395114B (zh) 用於豐富型拖放式使用者介面之電腦可讀取儲存媒體、方法與系統
JP4533007B2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62497B1 (en) Contextual zoom
CN1716253B (zh) 检索数据的方法和装置
CN101606122B (zh) 交互式图像缩略图
CN103995641A (zh) 交互式图像缩略图
JP2009176298A (ja) セグメント化及びキーフレーズを利用してモバイル機器でのドキュメントナビゲーションをサポート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
JP200731703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152585A (ja) 表示画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94111B1 (ko) 저장부를 내장한 화상형성장치의 폴더생성 방법 및 장치와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JP2008052496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801700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product
KR100608712B1 (ko)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5330714B2 (ja) 検索支援装置、およ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JP2008117240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6338142A (ja) 電子書籍装置
JP2006252525A (ja) 文書ファイル管理装置、文書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文書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2006302118A (ja) 文書情報印刷システム、文書情報印刷方法、及び、文書情報印刷プログラム
JP319894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259173A (ja)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JP2004318752A (ja) 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