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719A - 신귀한 엔진 - Google Patents

신귀한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719A
KR20070058719A KR1020050117321A KR20050117321A KR20070058719A KR 20070058719 A KR20070058719 A KR 20070058719A KR 1020050117321 A KR1020050117321 A KR 1020050117321A KR 20050117321 A KR20050117321 A KR 20050117321A KR 20070058719 A KR20070058719 A KR 2007005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in shaft
exhaust
bevel gea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102005011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8719A/ko
Publication of KR2007005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32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ma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므로 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엔진이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사용범위를 폭넓게 확대할 수 있는 엔진을 얻기 위한 것인 바,
실린더가 구성된 실린더블럭부; 직선운동을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로 구성된 왕복운동부와, 베벨기어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주베벨기어와 주축으로 구성하고, 주축의 연결된 실린더헤드블럭부,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에 배기관과 흡기관과 점화플러그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흡/배기 역활을 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흡기행정, 배기행정, 압축행정, 폭발행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로터리엔진, 성형엔진, 대향형엔진과 전혀 다른 구조의 신귀한 엔진으로 구성요소를 최소화시켜 가벼우면서 협소한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각 실린더에 구성하는 배기밸브장치, 흡기장치, 점화장치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없고,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자동차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베벨기어, 크랭아암, 실린더, 피스톤

Description

신귀한 엔진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귀한 엔진을 도시한 일부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귀한 엔진을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입행정, 팽창행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팽창행정, 흡입행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귀한 엔진의 회전방향변환부를 도시한 결합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귀한 엔진의 실린더헤드블럭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실린더의 행정상태를 도시한 행정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엔진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10-1 : 볼트 20 : 배기관
30 : 베어링 40 : 상부하우징
50 : 흡기밸브 60 : 흡기관
70 : 배기밸브 80 : 고정볼트
90 : 레일홈 100 : 실린더헤드블럭부
110 : 점화플러그 120 : 파이프
130 : 제1피스톤 140 : 제2피스톤
150 : 제3피스톤 160 : 제4피스톤
170 : 베어링 180 : 주축
190 : 주베벨기어 200 : 회전방향변환부
210 : 제1실린더 220 : 제2실린더
230 : 제3실린더 240 : 제4실린더
300 : 실린더블럭부 350 : 하부하우징
본 발명은 신귀한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엔진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므로 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엔진이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사용범위를 폭넓게 확대할 수 있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용 엔진은, 실린더에 캬브레타 또는 연료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연료를 공급하였으며, 외부에서 전선이나 고압호스를 연결하여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하였다.
종래 시린더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하여 그 가스로 피스톤을 움직여서 동력을 얻는 엔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연접봉, 크랭크축으로된 크랭크 기구에 의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크랭크축으로 발전기 등의 동력흡수장치를 구동하는 레시프로 엔진이다.
피스톤 왕복엔진은 작업유체의 온도/압력이 고온/고압이기 때문에 그 열효율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피스톤 엔진은 그 구조상 개선할 길이 없는 단점들 즉, 무겁고, 진동이 심하며, 에너지 배기손실과 더불어 배기소음을 유발하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 내연기관에 있어서, 압축비가 높으면 높을수록 작업유체의 온도도 높아지고 또 열효율도 높아진다. 그리고, 엔진은 고속으로 작동할수록 그만큼 더 고출력을 낸다. 따라서, 엔진은, 높은 열효율로 고출력을 내기 위하여서는, 고압축비로 또 고속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그런데, 압축비가 높으면 작업유체의 온도도 높다. 따라서 고온의 작업유체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요소들은, 그들이 과열되어 파괴되지 아니하도록 또 그들의 미끄럼면(예을들면 시린더 벽면)에 유막이 유지되도록 적절히 냉각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로우터들은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회전축에 대한 관상모멘트의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
유성 회전형 반켈 로터리 엔진이 하나의 내연기관으로 실현된 이래 지금까지, 다수의 로터리 엔진이 발명되어 왔다. 그러나 어느 것도 위에서 기술한 고압축비, 이에 따른 적절한 냉각 및 관성모멘트의 균형의 문제를 모두 다 해결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그 발명들은 어느 것도 열기관으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오토 싸이클 불꽃점화 엔진에서는, 대체로 공연비가 같은 공기/연료 혼합가스가 전기스파크 점화에 의하여 매우 바쁜 속도로 한 순간에 확 연소한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은 정적연소 과정으로 간주한다; 한편 압축점화형 디젤엔진에서는, 연료에 대하여 공기가 더 많이 공급되며 분사된 연료는 비교적 서서히 연소한다; 일 반적으로 이 과정은 정압연소과정으로 간주한다. 그런데, 위의 두 엔진이 모두 같은 압축비에서 운전된다면, 정적연소 과정을 수행하는 불꽃점화 엔진의 열효율이 정압연소 과정을 수행하는 압축점화 엔진의 열효율보다 열역학적으로 분명히 더 높아야 한다. 그러나 오토싸이클 불꽃점화 엔진에서는, 그 압축비가, 공연비가 같은 공기/연료 혼합가스의 사전점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 연소노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떤 값 이하로 한정된다. 따라서 엔진의 열효율도 사실상 어떤 값 이하로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엔진은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푸시로드, 밸브장치, 로커아암 등을 별도로 구성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해야 하므로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기계적이 메카니즘을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우며,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엔진은 'V형'type엔진, 대향형엔진, 성형엔진, 로터리엔진 등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용도와 장치에 맞게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기와 배기가 각각 하나로 구성된 신귀한 엔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 헤드가 회전하는 신귀한 엔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실린더 로드가 베벨기어로 연결 구성된 신귀 한 엔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가 구성된 실린더블럭부와, 실린더에 배열된 피스톤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로 구성된 왕복운동부와, 베벨기어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주베벨기어로 연결된 주축으로 구성하고, 주축의 연결된 실린더헤드블럭부를 주축에 연장된 축에 연결하여 회전되며, 실린더헤드블럭부에 배기관과 흡기관과 점화플러그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실린더헤드블럭부의 상부에 배기관과 흡기기관이 구성되어 흡/배기 역활을 하는 상부하우징과, 주축과 크랭크로드 및 아암을 포함한 회전방향변환부와, 회전방향변환부를 보호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흡기행정과 배기행정과 압축행정과 폭발행정으로 이루어지도록 달성하였다.
또 실린더블럭부는 피스톤이 삽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실린더가 삽입되도록 하고 내벽에는 냉각수가 채워져 순환되도록 냉각수 순환구가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주축이 삽입 되도록 관통구가 형성하여 상부와 하부에 구성한 주축 테이퍼 롤러베어링과, 상부에는 실린더헤드블럭부를 안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안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의 상단 끝단에는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를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또 실린더헤드블럭부는 흡기구와 배기구와 점화장치가 구성되어 실린더블럭 부의 상부의 주축에 연결고정되어 각 실리더의 2행정 동안 1회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흡기구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연료를 공급하도록 관통구를 형성하고, 관통구를 측면에 형성하여 주축과 일직선상의 중앙에 연결하여 중앙을 주축으로 회전시에도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상부하우징내로 배출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점화장치는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측면에 접촉단자와 실린더헤드블럭부의 측면에 롤러단자를 구성하여 회전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신귀한 엔진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귀한 엔진은 실린더블럭부(300)를 구성하여 실린더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평행하게 배열하여 피스톤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구성하여 변환하여 베벨기어 축에 회전운동으로 변환한 각각의 베벨기어(130-5,140-5,150-5,160-5)를 주축의 주베벨기어(190)에 연결구성하여 수직방향으로 피스톤의 운동방향과 주축(180)이 서로 같은 평행선으로 배열하여 동력장치를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으며, 그 구성으로 실린더가 구성된 실린더블럭부(300),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로 구성된 회전방향변환부(200)와, 각각의 베벨기어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주베벨기어로 연결된 주축(180)과, 배기밸브(70)와 흡기밸브(50)와 점화플러 그(110)를 배열하여 주축에 연결구성된 실린더헤드블럭부(100)와, 배기밸브와 흡기밸브로 구성되어 흡/배기 역활을 하는 상부하우징(40)과, 상기 회전방향변환부(200)를 보호하는 하부하우징(350)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흡기행정, 배기행정, 압축행정, 폭발행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블럭부(300)는 4개의 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 제1,2,3,4실린더(210,220,230,240)에 배열구성하였다.
먼저 상기의 실린더와 그에 따른 구성은 동일 하므로 일실시예로 제 1실린더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4와 도 5의 실린더블럭부(300)에는 냉각을 위하여도 냉각수의 통로(290)를 형성하고 제1실린더를 삽입 장착구성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시에 마모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열처리한 재질을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구성되며, 피스톤에는 피스톤링(130-4)이 배열되어 있으며, 보통 압축링과 오일링을 다수 배열하여 압축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오일링은 오일을 벽면에 고르게 발라주거나 연소실에 오일이 들어가지 않도록 오일을 깍아내려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피스톤(130)에는 크랭크로드가 연결되고 크랭크로드(130-1)와 크랭크암(크랭크암)이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주도록 구성되며 크랭크아암에는 축(130-3)으로 제1베벨기어(130-5)와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2,3,4실린더(220,230,240)는 제2,3,4피스톤(140,150,160)과 크랭크로드와 크랭크아암과 주축과 제2,3,4베벨기어(140-5,150-5,160-5)로 연결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실린더에 구성요소와 같음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았다.
상기 각 실린더에서 발생한 운동을 주축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주축(180)은 상부쪽으로 실린더헤드블럭부(100)를 주축의 연장된 축에 연결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는 배기밸브(70)와 흡기밸브(50)와 점화플러그(110) 및 점화장치부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있으며 기존의 흡/배기밸브와 같이 각각 구성된 것이 아니라 각각의 실린더에 실린더헤드블럭이 회전하면서 혼합가스와 배기가스의 배출과 점화를 시켜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흡기밸브(50)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흡기관(60)의 일측은 중심축상에 일치하도록 하고 다른일측은 흡기밸브에 연결되어 혼합연료를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기밸브가 회전하여도 중심축에는 베어링(30)으로 축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흡기관은 실린더에 혼합가스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배기밸브(70)는 관통구만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배기가스는 상부하우징(40)을 통하여 배기관(20)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6의 점화장치부는 실린더헤드블럭부(100)가 회전하면서 각각의 실린더의 압축된 혼합가스에 스파크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점화플러그(110)의 전극(110-1)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회전시에 실린더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하고 최대한 실린더헤드블럭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점화장치부는 실린더헤드블럭부의 테두리에 레일홈(90)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롤러전극(90)을 구성하여 실린더헤드블럭부(100)가 회전되어도 롤러전극(280)을 통하여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점화플러그는 열에 강한 파이프내에 단열재를 삽입되어 스파크플러그와 연결구성하여 배기가스에 의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4개의 실린더의 압축행정시에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점화시기는 압축상사점 최고점 전에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축된 혼합가스가 최대한 연소할 수 있는 시기와 행정상의 점화시점을 설정하였다. 상기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는 마그네토에 의해 이루어지며 주축 기어에 연결되어 점화시기를 맞추어 스파크가 일어나도록 구성하고 있다.( 미도시함 )
다음 상부하우징(40)은 중앙에 흡기관(60)을 구성하고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베어링을 배열하고 측면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배기관을 연결구성하고 있다.상기 상부하우징은 실린더블럭부에 다수의 볼트(10)로 장착하였다.
상기 상부하우징은 실린더의 배기가스의 통로이므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므로 열에 강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회전방향변환부(200)는 제 1피스톤(130)의 크랭크아암에 연결된 축(130-3)의 제1베벨기(130-5)와, 제 2피스톤(140)의 크랭크아암에 연결된 축의 제2베벨기(140-5)와, 제 3피스톤(150)의 크랭크아암에 연결된 축의 제3베벨기(150-5)와, 제 4피스 톤(160)의 크랭크아암에 연결된 축의 제4베벨기어(160-5)가 주축(180)의 주베벨기어와 직교하여 배열구성되어 제1,2,3,4,베벨기어의 회전력을 주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운동에너지를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주베벨기어(190)와 제1,2,3,4베벨기어는 1:2의 배률로 구성하여 피스톤이 2행정하는 동안 주축은 1회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주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므로 동력의 손실이 없으며, 또한, 회전방향변환부(200)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없고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부하우징(350)은 회전방향변환부(200)를 보호하도록 구성하고, 오일을 보관 및 저장하는 역활을 하여 실린더 및 각 구성요소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실린더블럭부(300)와 다수의 볼트(10-1)로 결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귀한 엔진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실린더의 흡기행정시 실린더헤드블럭부가 회전되며 흡기밸브가 제 1실린더에 열리면서(흡기관통구가 접근되는 상태) 피스톤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여 혼합가스가 강하게 흡입된다.
이때 제 2실린더는 배기행정의 단계에 있고, 제 3실린더는 팽창단계이고, 제 4실린더는 점화를 막 시작하여는 점화단계인 상태가 된다.
다음 제 1실린더에 흡기행정이 끝나며, 압축행정의 상태이며 피스톤이 상사점을 향하여 압축되는 상태이고, 제 2실린더는 흡기행정단계이고, 제 3실린더는 배기단계이고, 제 4실린더는 팽창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헤드블럭부가 제 1,2,3,4실린더의 흡기행정, 압축행정, 팽창행정, 배기행정이 되도록 1회전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실린더가 흡기행정, 압축행정, 팽창행정, 배기행정을 반복하므로 제1,2,3,4 베벨기어에 연결된 주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주축이 회전한다.
주축의 상부에는 실린더헤드블럭부를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실린더가 2행정하는 동안 주축은 1회전 하도록 작용한다.
혼합가스의 공급은 흡기밸브에 연결된 흡기관을 통하여 공급되며, 흡기관의 일축이 중심선상에 있으므로 회전하면서 혼합가스를 공급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엔진본체부는 다른 실시예의 도 8은 상부하우징 내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므로 온도가 증가하므로 외부에 다수의 냉각핀(310)을 장착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주축에 연결되는 베어링은 많은 하중을 받는 것으로 보통 롤러베어링, 테이퍼베어링을 사용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로터리엔진, 성형엔진, 대향형엔진과 전혀 다른 구조의 신귀한 엔진으로 구성요소를 최소화시켜 가벼우면서 협소한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각 실린더에 구성하는 배기밸브장치, 흡기장치, 점화장치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없고,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자동차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실린더가 구성된 실린더블럭부;
    상기 실린더에 배열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로 구성된 왕복운동부와,
    상기 베벨기어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주베벨기어로 연결된 주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축의 연결된 실린더헤드블럭부를 주축에 연장된 축에 연결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에 배기관과 흡기관과 점화플러그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의 상부에 배기밸브와 흡기밸브로 구성되어 흡/배기 역활을 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주축과 크랭크로드 및 아암을 포함한 회전방향변환부와,
    상기 회전방향변환부를 보호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흡기행정와, 배기행정와, 압축행정, 폭발행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귀한 엔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럭부는 4개의 실린더를 대칭으로 배열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는 제1,2,3,4실린더에 배열된 제1,2,3,4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에 연결된 각각의 베벨기어로 구성된 왕복운동부와,
    상기 베벨기어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주베벨기어로 연결된 주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축의 연결된 실린더헤드블럭부를 주축에 연장된 축에 연결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에 배기밸브와 흡기밸브와 점화플러그 및 점화장치부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의 상부에 배기밸브와 흡기밸브에 연결된 흡기관이 구성되어 상부중심으로 혼합가스를 통내부로 배기가스가 배출되어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흡/배기 역활을 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주축과 크랭크로드 및 아암을 포함한 회전방향변환부와,
    상기 회전방향변환부를 보호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흡기행정와, 배기행정와, 압축행정, 폭발행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귀한 엔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럭부는 피스톤이 삽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실린더가 삽입되도록 하고 내벽에는 냉각수가 채워져 순환되도록 냉각수순환구가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주축이 삽이 되도록 관통구가 형성하여 상부와 하부에 구성한 주축 롤러베어링과, 상부에는 실린더헤드블럭부를 안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안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의 상단 끝단에는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귀한 엔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럭부은 내개의 관통구에 가가의 실린더를 배열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실린더에 배열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크랭크로드와 아암으로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로 구성된 4개의 왕복운동부와,
    상기 각각의 베벨기어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주베벨기어로 연결된 주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축의 연장선 상에 실린더헤드블럭부를 주축에 연결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에 배기관과 흡기관과 점화플러그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의 상부에 배기관과 흡기기관이 구성되어 흡/배기 역활을 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각각의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로드 및 아암과 베벨기어를 주축의 주베벨기어에 맞물려 직선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한 회전방향변환부와,
    상기 회전방향변환부를 보호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흡기행정과, 배기행정과, 압축행정과, 폭발행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귀한 엔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헤드블럭부는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와 점화장치부가 구성되어 실린더블럭부의 상부의 주축에 연결고정되어 각 실리더의 2행정 동안 1회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기밸브에 흡기관을 연결하여 공기와 연료의 혼합연료를 공급하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주축과 일직선상의 중앙에 연결하여 중앙을 주축으로 회전시에도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밸브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상부하우징내로 배출되어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화장치부는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측면에 접촉단자와 실린더헤드블럭부의 측면에 롤러단자를 구성하여 회전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귀한 엔진.
KR1020050117321A 2005-12-05 2005-12-05 신귀한 엔진 KR20070058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21A KR20070058719A (ko) 2005-12-05 2005-12-05 신귀한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21A KR20070058719A (ko) 2005-12-05 2005-12-05 신귀한 엔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158U Division KR200410323Y1 (ko) 2005-12-05 2005-12-05 신귀한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719A true KR20070058719A (ko) 2007-06-11

Family

ID=383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321A KR20070058719A (ko) 2005-12-05 2005-12-05 신귀한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87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798A (zh) * 2017-12-08 2018-05-15 武汉理工大学 一种无曲轴发动机机械结构
CN108049968A (zh) * 2017-12-08 2018-05-18 武汉理工大学 一种发动机配气机构
TWI763726B (zh) * 2016-10-21 2022-05-11 米歇爾 阿森諾恩 平衡旋轉式引擎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3726B (zh) * 2016-10-21 2022-05-11 米歇爾 阿森諾恩 平衡旋轉式引擎
CN108035798A (zh) * 2017-12-08 2018-05-15 武汉理工大学 一种无曲轴发动机机械结构
CN108049968A (zh) * 2017-12-08 2018-05-18 武汉理工大学 一种发动机配气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558B1 (ko) 이중 피스톤 싸이클 엔진
JP6588532B2 (ja) フリーピストンエンジン
CN103842618B (zh) 内燃机
US20090217903A1 (en)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262965A (en) Rotary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compressor.
CN104145082B (zh) 内燃机
KR20160102162A (ko) 내연 기관
KR20070058719A (ko) 신귀한 엔진
KR20070005440A (ko) 로터리 엔진
KR200410323Y1 (ko) 신귀한 엔진
EP1809873A2 (en) V-twin configuration having rotary mechanical field assembly
EP0644319A1 (en)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rotary sleeve
KR101135847B1 (ko) 3행정 기관
JP4951145B1 (ja) 二軸出力型の逆v型略対向エンジン
WO2013051303A1 (ja) 三出力軸型の内燃機関
CN101255817B (zh) 一种环保型内燃机
WO2020141553A1 (en) A radial opposed piston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3133616A1 (en) An asymmetric rotary engine with a 6 phase thermodynamic cycle
RU2297545C2 (ru) Роторный двигатель
US69419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ir to an explosion chamber in an engine cylinder
RU23744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ршневой машины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ее рабочего объема для организации терм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цикла
RU182290U1 (ru) Ротор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WO2018151689A1 (en) Telescopic piston configura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9899154B (zh) 双转子发动机
KR20090055707A (ko) 세기 엔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