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697A -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의 이동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의 이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697A
KR20070058697A KR1020077010151A KR20077010151A KR20070058697A KR 20070058697 A KR20070058697 A KR 20070058697A KR 1020077010151 A KR1020077010151 A KR 1020077010151A KR 20077010151 A KR20077010151 A KR 20077010151A KR 20070058697 A KR20070058697 A KR 20070058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equipment
contro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기요
토니 훌코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5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장비의 이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의 개시 이후에,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하나의 오퍼레이터가 상기 사용자 장비를 위해 선택된다. 그다음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어기에는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의 이동{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한 네트워크로부터 공유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제공하는 다른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비를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비 및/또는 상기 통신 시스템과 연관된 다른 노드들과 같은 두개 이상의 실체들 간의 통신 세션들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로서 간주될 수 있다. 통신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사용자 장비에는 예를 들어 양방향 전화 호 또는 다중방향 회의 호 또는 데이터 접속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서버 실체로 그리고 서버 실체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거나 두개 이상의 사용자 장비들 간에 패킷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상기 시스템과 연관된 다양한 실체들이 무엇을 하도록 허용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달성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주어진 표준 또는 명세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준 또는 명세는 사용자 장비에 회선 교환 서비스 또는 패킷 교환 서비스 또는 양자가 제공되는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접속에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들 및/또는 매개 변수들이 또한 전형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 및 통신이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들 간에 구현될 방법은 전형적으로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들에 기반한다. 즉, 상기 통신이 기반으로 삼는 특정 세트의 "규칙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정의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장비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들은 알려져 있다. 비록 어떤 시스템들에서 이동성이 실질적으로 작은 영역들로 제한될 수 있을지라도, 이들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이동 시스템들로서 지칭된다. 상기 이동 시스템들의 한 예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이다. PLMN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구조에 기반한다. 다른 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신 위성들의 사용에 기반하는 이동 시스템이다. 이동 통신들은 또한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과 같은, 다른 이동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인 무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서빙한다. 사용자 장비는 또한 동시에 두개 이상의 기지국들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은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핵심 네트워크(CN: Core Network)로서 지칭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핵심부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AN: Access Network)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된다.
당업자는 상기 무선 액세스에 필요한 기본적인 동작 원리들 및 구성요소들을 알고 있다. 이들의 예들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공간 분할 다중 접속(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그것의 혼성물과 같은 접속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 및/또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합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기지국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의 동작은 하나 또는 몇몇 제어 실체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기지국들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세대(3G)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네트워크들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RNC: Radio Network Controllers)로서 알려져 있는 제어 실체들을 사용한다. 2세대(2G)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수의 스테이션들 또는 모든 스테이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은 적합한 핵심 네트워크 실체들에 접속된다. 또한 핵심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노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핵심 네트워크는 다른 이동국에 접속될 수 있거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및/또는 다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들 또는 고정 선로 통신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행되고 동작된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의 동작 환경은 변경되었고 그것의 특성은 더 다이내믹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들 간의 파트너십, 획득, 창조적인 동의 등은 상기 오퍼레이터들이 그들의 네트워크들의 자원들을 사용하는 방식을 재고하도록 강요하였다. 상기 변경은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할 가능성에 대한 마음을 열었다. 하지만, 특히 상기 네트워크들의 기술적인 양상들이 표준화되는 방식 때문에, 상기 자원들의 더 다이내믹한 동작 및 공유가 실현되기 전에 몇몇 기술적인 장애가 존재한다.
"네트워크 공유"의 개념은 넓게 이해될 것이고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핵심 네트워크들에 접속된 일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하나의 핵심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또는 다수의 핵심 네트워크들에 접속된 다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용적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은 동작되고 소유되는 그들의 네트워크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소유자 이외의 당사자에 의한 네트워크의 사용은 로밍 동의 등과 같은 것을 통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GSM 및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시스템들이 명시된 경우, 두개 이상의 개별 상업적인 실체들에 의한 전체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부분을 공유할 가능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GSM은 "하나의 오퍼레이터, 하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원리하에서 설계되었다. 비록 GSM 네트워크가 기반 구조 공유의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그것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레벨에서 자원들의 공유를 적합하게 지원하지 않는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시스템들의 초기 설계는 동일한 원리를 따랐다. 그 결과 상기 표준들은 상업적인 동의들의 실현 및 자원들의 더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들이 결여되어 있다.
네트워크-공유를 위한 제안들은 게이트웨이 핵심 네트워크(GWCN: Gateway Core Network) 및 다중 오퍼레이터 핵심 네트워크(MOCN: Multiple Operator Core Network)와 같은 시나리오들을 포함한다. 상기 GWCN 시나리오는 레가시-공유 네트워크들에 대해 의도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이외에, 이동 전화 교환국(MSCs)과 서빙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지원 노드들(SGSNs)이 또한 공유되는, 공유-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게이트웨이 핵심 네트워크가 배치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한다. 상기 GWCN 시나리오는 또한 상기 시나리오가 구형 네트워크들의 기능들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그것은 또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상기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 중 하나가 되도록 또는 하나가 되지 않도록 허용한다.
상기 GWCN 시나리오에 대한 최근의 하나의 개선은 사용자 장비에 의한 네트워크를 선택할 가능성이다. 이 시나리오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들은 공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오퍼레이터들이 인지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사용하기 위한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는 상기 공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이용가능한 오퍼레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이해할 수 있고, 상기 이용가능한 오퍼레이터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에 나타낼 수 있는 어떤 장비일 수 있다.
공유 네트워크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들은 아주 최근의 제안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비-지원 사용자 장비는 예측할 수 있는 장래에 사용될 것이다.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 사용자 장비가 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동되고 있는 경우, 타깃 공유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러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해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퍼레이터 식별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어떤 시스템들에서, 예를 들어 3G 표준들에 기반한 시스템들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가 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동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에 포괄적으로 유일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의 부분으로서 PLMN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한 물리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오퍼레이터들로 인하여, 다수의 선택이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는 어떤 PLMN 식별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되는 가이다. 비-지원 사용자 장비에 대해, 상기 PLMN 식별 정보는 가능한 오퍼레이터들 중 어떤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가 아니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공통-PLMN-ID)이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지를 반드시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는 어떤 사용자 장비들에 대해 그것이 상기 가능한 서빙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알지 못할지도 모른다.
이것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를 비-공유 네트워크로부터 GWCN 구성을 지닌 공유 네트워크로 재배치 또는 핸드오버하는 경우, 타깃 공유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의 PLMN들 중 어떤 PLMN이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해야 하는 지를 반드시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문제가 비-공유 네트워크로부터 공유 네트워크로의 이동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유사한 문제가 공유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한 액세스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액세스 시스템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핸드오버 또는 재배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가, 진행중인 회선 교환 접속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보다는 패킷 교환 도메인을 위한 다른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등록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사용자 장비는 핸드오버 이후에 RRC-접속되고, 따라서 액세스 네트워크는 선택된 PLMN의 식별 정보가 무엇인지를 이미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대한 '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에 핵심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선택된 PLMN을 알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선택된 PLMN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나타낼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는 RRC-접속되기 때문에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RRC: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한 이후에) NAS-RAU가 RANAP: 초기 사용자 장비 메시지를 통해 송신해야 할 때, GWCN의 경우 상기 공유 SGSN에 상기 식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그것을 저장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비 공유 네트워크 또는 다른 공유 액세스 제어기로부터의 회선 교환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도메인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현재의 선택된 PLMN을 나타내는 핵심 네트워크 정보(Info)를 포함하는, 상기 RRC: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이동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명령이 내려진다. 상기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는, 상기 회선 교환 호가 해제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다시 아이들(idle) 상태로 돌아가는 경우 나중에 올바른 PLMN 식별 정보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올바른 PLMN 식별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는 백그라운드 스캔을 수행할 수 있고 그것의 현재의 선택된 PLMN이 올바른 높은 우선 순위 PLMN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는 다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RAU)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UTRAN 이동성 정보내의 핵심 네트워크 정보(info)내의 선택된 CN-PLMN-ID 대신에 공통 PLMN-ID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회선 교환 호가 해제된 후에, RAU를 대부분 항상 수행할 것인데, 이것은 시그널링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들 또는 다른 재배치들의 처리를 위한 개선된 해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문제들 중 하나 또는 몇몇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비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의 오퍼레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어기에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기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이동될 사용자 장비에 대한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 한 오퍼레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추가 제어기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기는, 추가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장비에 공유 네트워크 능력이 제공되는 지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 전송될 식별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장비는, 통신 네트워크들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부 및 제1 네트워크와의 통신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와의 통신으로의 상기 사용자 장비의 이동을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터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무선부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이동의 개시 이후에 수신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들로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들 및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의 오퍼레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추가 제어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 제어기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지원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지원한다는 결정에 후속하여,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유 네트워크들의 자원들이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진행중인 회선 교환(CS) 호를 가지고 있는 동안 공유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잘못된 네트워크로의 패킷 교환(PS) 등록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 부하를 증가시킬 높은 우선 순위 네트워크로의 후속 등록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공유를 위해 일관성있는 이동성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이제 첨부한 도면들이 예로서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현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2G 비-공유 네트워크로부터 3G 공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의 시나리오 및 대응하는 시그널링 흐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공유 3G 네트워크로부터 공유 3G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의 시나리오 및 대응하는 시그널링 흐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공유 3G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공유 3G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의 시나리오 및 대응하는 시그널링 흐름들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시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이 GSM, UMTS(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CDMA2000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와 같은, 2세대 및 3세대(3G) 광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네트워크들을 사용할 지라도, 사용자 장비의 재배치시의 유사한 문제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어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된 해법의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주목된다.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와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기지국들은 복수의 이동 사용자 장비(1)로 신호들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복수의 이동 사용자 장비(1)로부터 신호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은 명확성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1) 각각은 적합한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적합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동 사용자 장비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한 액세스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에서 다른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가 이동 통신 시스템내에서 이동하도록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의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사용자 장비에는 그것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그리고 그것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제어 명령들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로 요구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요구되는 무선 전송 구성요소들 및 제어기 기능들이 제공된다.
도 1은 3개의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 및 특히 3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RNC)(2, 3 및 4)이 제공되는 액세스 네트워크(5)를 또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들 각각은 공통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은 공통적으로 상기 기지국들과 같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은 적합한 상호접속들을 통해 적합한 핵심 네트워크(CN) 제어기 실체들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 실체들은 예를 들어 이동 전화 교환국(MSC) 및/또는 서빙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지원 노드들(SGSNs)(6, 7 및 8), 게이트웨이 노드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의 흐름도가 또한 참조된다. 사용자 장비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또는 재배치와 같은 절차들에 의해 한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은 상기 이동을 유발하는 소정의 이벤트에 응답하여 단계 100에서 개시된다. 상기 이동은 제1 유형의 액세스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유형의 액세스 시스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으로부터 UTRAN(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상호-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새로운 네트워크의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통보받는다. 상기 새로운 핵심 네트워크가 공유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는 단계 102에서 적합한 오퍼레이터를 선택할 수 잇다. 그다음 상기 새로운 핵심 네트워크와 연관된 액세스 네트워크는 단계 104에서 상기 선택에 대해 통보받을 수 있다.
그다음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적합한 정보 메시지, 예를 들어 '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메시지는 핸드오버가 완료 되었다는 확인을 수신한 후, 예를 들어 'UTRAN에 대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한 후 제1 자원 제어 메시지들 중 하나로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시그널링 접속을 가지고 있는 상기 PLMN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의 위치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알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단지 하나의 PLMN 식별 정보만을 포함한다.
도 1의 RNC들 중 하나와 같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가 이미 시그널링 접속을 가지고 있는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내에 나타낼 수 있다. 공유 네트워크의 경우에,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확한 PLMN에 대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RAU)와 같이, 후속 메시지들을 안내하기 위하여 이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비가 통보받아야 하는 적합한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택은, 이것이 항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을지라도, 예를 들어 상기에 언급된 GWCN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이 MSC/SGSN 자원들을 공유하거나, 상기 오퍼레이터들이 상기 공유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향해 어떤 전용 접속들도 가지고 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에 대해 통보받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공유된 MSC로부터 '재배치 요 구' 메시지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공유 핵심 네트워크 구성요소, 예를 들어 MSC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인지를 항상 알고 있지 못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CN-PLMN-ID를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통해 상기 타깃 공유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송신할 수 있다. 그다음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식별 정보를 통보받을 필요가 있는지가 단계 108에서 결정하는 것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달려 있다.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는 단계 110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로 송신된다. 상기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대신에 공통-PLMN-ID, 단계 112를 참조하면 즉 상기 공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PLMN-ID를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비-지원 사용자 장비가 여전히 검출하고 이해할 수 있는 식별 정보의 예이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3G 시스템들에서 'RRC 접속 요구' 메시지 및/또는 '상호 RAT 핸드오버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계층(AS)) 릴리스 표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상호 RAT 핸드오버 정보'는 핸드오버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는 메시지들의 예이다. 그다음 이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된다. 상기 '상호 RAT 핸드오버 정보'는 특정 3GPP 릴리스의 액세스 계층 명세들과의 사용자 장비의 순응을 명시하는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그래서 2G에서 3G로의 핸드오버의 경우, 상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사용자 장비가 "비-지원 사용자 장비" 또는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인지를 이 지식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3G에서 3G로의 핸드오버의 경우,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RRC 접속 요구'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능력 정보는 핸드오버 시그널링시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송신된다.
다음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들은 2G 비-공유 네트워크로부터 3G 표준 네트워크로의 상호-RAT 핸드오버, 비-공유 3G 네트워크로부터 공유 3G 네트워크로의 인트라 UMTS 재배치/핸드오버 및 공유 3G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공유 3G 네트워크로의 재배치/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 설명되는 예들에서 오퍼레이터 식별 정보는 하나의 부가적인 정보 요소(IE)를 가지고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확장시킴으로써 전송된다. 상기 정보 요소는 사용자 장비를 핸드오버시키거나 사용자 장비를 비-공유 네트워크로부터 GWCN 구성을 지닌 UMTS 네트워크로 재배치하는 경우 상기 CN-PLMN-ID와 같은, 핵심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2G 비-공유 네트워크로부터 3G 공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시나리오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전용 GSM 네트워크로부터의 회선 교환 호가 GWCN 구성이 제공되는 공유 UMTS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해법이 또한 다른 핸드오버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주목되는데, 예를 들어 도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3G에서 3G로의 핸드오버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주목된다. 특히, 도 3은 다음 메시지들 및 스테이지들을 보여준다:
1. GSM 기지국 제어기(BSC)(2)는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앵커 MSC(6)로 'BSSMAP 핸드오버 요구됨' 메시지를 송신한다.
2. 앵커 MSC(6)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 정보; IMSI)를 포함하여 'BSSMAP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타깃 MSC(7)로 송신한다.
3. 상기 타깃 (게이트웨이) MSC(7)는 상기 게이트웨이 핵심 네트워크(GWCN)를 공유하는 이용가능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로부터 하나의 핵심 네트워크(CN) 오퍼레이터를 선택하고 'RANAP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상기 RNC(3)로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CN-PLMN-ID)를 포함한다.
4. 무선 자원들이 할당된 후, 상기 타깃 RNC(3)는 'RANAP 재배치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깃 MSC(7)로 송신한다.
5. 상기 타깃 MSC(7)는 'BSSMAP 핸드오버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앵커 MSC(6)로 송신한다.
6. 상기 앵커 MSC(6)는 'BSSMAP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소스 BSC(2)로 송신한다. 그다음 상기 BSC(2)는 상기 사용자 장비(1)에게 상기 타깃 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7. 상기 사용자 장비(1)가 상기 타깃 셀에 액세스하는 경우, 상기 RNC(3)는 상기 타깃 MSC(7)로 'RANAP 재배치 검출'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에 이것에 대해 알린다. 상기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RNC(3)는 'RANAP 재배치 완료' 메시지를 상기 타깃 MSC(7)로 송신한다.
8. 상기 타깃 MSC(7)는 상기 'RANAP 재배치 검출' 및 '재배치 완료' 메시지들을 'BSSMAP 핸드오버 검출' 및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들로서 상기 앵커 MSC(6)로 전송한다.
9. 새로운 RNC(3)는 'RRC 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1)에게 알린다. 다른 가능한 정보 중에서, 상기 메시지는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CN-PLMN-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NC(3)는 '상호 RAT 핸드오버 정보' 메시지 뿐만 아니라 상기 'RRC 접속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계층 릴리스 표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1)의 능력에 관한 지식(지원/비-지원)을 획득했다. 상기 사용자 장비(1)가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가 아닌 경우, 메시지(9)는 대신에 공통-PLMN-ID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비-지원 사용자 장비들이 검출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공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떤 다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10. 그다음 상기 사용자 장비는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RRC 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 내부내에 있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RNC(3)를 통해 투과적으로 상기 SGSN(7')으로 송신함으로써, 패킷 교환 서비스들에 대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에 RRC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RRC 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는 단계 9에서 상기 RNC(3)에 의해 제공된 상기 CN-PLMN-ID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상기 RNC(3)는 상기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그것을 'RANAP 초기 사용자 장비 메시지'에 넣을 수 있다. 상기 'RANAP 초기 사용자 장비 메시지'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1)로부터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CN-PLMN-ID는 가능한 오퍼레이터들 중 어떤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상기 사용자 장비(1)를 서빙해야 하는지를 상기 SGSN(7')에게 나타낸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다른 동작은 상기 RNC 보다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RNC가 언제 상기 오퍼레이터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상술된 메커니즘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도 4는 전용 UMTS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 및 GWCN 구성을 지닌 공유 UMTS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회선 교환 호에 대해 발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4는 다음 메시지들 및 스테이지들을 보여준다:
1.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는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RANAP 재배치 요구됨' 메시지가 앵커 이동 전화 교환국(MSC)(6)으로 송신된다.
2. 앵커 MSC(6)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RANAP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타깃 MSC(7)로 송신한다.
3. 상기 타깃 (게이트웨이) MSC(7)는 상기 게이트웨이 핵심 네트워크(GWCN)를 공유하는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로부터 하나의 핵심 네트워크(CN) 오퍼레이터를 선택하고 'RANAP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새로운 RNC(3)로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4. 무선 자원들이 할당된 후, 상기 새로운 RNC(3)는 'RANAP 재배치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깃 MSC(7)로 송신한다.
5. 상기 타깃 MSC(7)는 'RANAP 재배치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앵커 MSC(6)로 송신한다.
6. 상기 앵커 MSC(6)는 'RANAP 재배치 명령' 메시지를 소스 RNC(2)로 송신한다. 그다음 상기 RNC(2)는 상기 사용자 장비(1)에게 상기 타깃 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상기 사용자 장비(1)가 Iur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RNC(3)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타깃 RNC(3)의 무선 자원들을 이미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1)로 어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도 송신할 필요가 없다.
7. 상기 사용자 장비(1)가 상기 타깃 셀에 액세스하는 경우, 상기 RNC(3)는 상기 타깃 MSC(7)로 'RANAP 재배치 검출'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핵심 네트워크(CN)에 이것에 대해 알린다. 상기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RNC(3)는 'RANAP 재배치 완료' 메시지를 상기 타깃 MSC(7)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장비(1)가 Iur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RNC(3)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타깃 RNC(3)의 무선 자원들을 이미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재배치 검출' 메시지는 상기 타깃 RNC(3)가 서빙 RNC로서 동작할 때 송신된다.
8. 상기 타깃 MSC(7)는 상기 'RANAP 재배치 검출' 및 '재배치 완료' 메시지를 상기 앵커 MSC(6)로 전송한다.
9. 상기 RNC(3)는 'RRC 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1)에게 알린다. 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경우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CN-PLMN-ID)를 포함할 수 있다.
10. 그다음 상기 사용자 장비는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RRC 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 내부내에 있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RNC(3)를 통해 투과적으로 상기 SGSN(7')으로 송신함으로써, 패킷 교환 서비스들에 대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에 RRC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RRC 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는 단계 9에서 상기 RNC(3)에 의해 제공된 상기 CN-PLMN-ID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RNC(3)는 상기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그것을 'RANAP 초기 사용자 장비 메시지'에 넣을 수 있다. 상기 'RANAP 초기 사용자 장비 메시지'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1)로부터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CN-PLMN-ID는 가능한 오퍼레이터들 중 어떤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상기 사용자 장비(1)를 서빙해야 하는 지를 SGSN(7')에게 나타낸다.
도 5는 LA 경계를 통해 공유 3G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공유 3G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핸드오버동안, 중계 MSC 또는 타깃 MSC로서 동작하는 MSC(7)에는 적합한 오 퍼레이터를 선택하도록 적합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적합한 데이터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택은 다양한 가능한 알고리즘들 및 매개 변수들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 정보; IMSI)가 하나의 선택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시나리오들이 하기에 제공된다:
오퍼레이터 A와 오퍼레이터 B는 네트워크를 공유한다. 공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B 또는 그것의 관련 가입자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B가 공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에 대한 서빙 오퍼레이터가 된다면 선호될 수 있다. 선택은 또한 통계 및/또는 이력 데이터에 기반할 수 있다. 공유하는 오퍼레이터들은 예를 들어 A가 공유 네트워크에서 국제 로머들(roamers)의 60%를 획득하고 B가 40%를 획득하는 것에 동의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에 따라 가입자들을 상기 오퍼레이터들에 할당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해야 할 것이고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 식별 정보는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표시될 것이다. 가능한 선택 기준은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네트워크 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가 A의 전용 네트워크로부터 A가 공유하는 파트너들 중 하나인 공유 네트워크로 수행되는 경우, A가 이 특정 시나리오에서 서빙 오퍼레이터로서 선택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상기 오퍼레이터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이동의 개시 이후에 선택된다. 상기 선택은 상기 타깃 MSC(중계)가 핸드오버 또는 재배치에 대한 요구를 수신한 후 그리고 상기 타깃 MSC가 전송 요구를 상기 타깃 RNC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타깃 MSC(중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선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타깃 MSC에서 사전에 구성된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이 사전에 구성된 정보는 예를 들어, 홈 PLMN 식별 정보들 'X, Y, Z'를 지닌 사용자들에 공유 네트워크내의 오퍼레이터 'A'가 할당되고, 홈 PLMN 식별 정보 'I, J, K, L'을 지닌 사용자들에게는 공유 네트워크내의 오퍼레이터 'B'가 할당되며, 홈 PLMN 식별 정보 'P, Q, R'을 지닌 사용자들에는 공유 네트워크내의 오퍼레이터 'C'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어떤 다른 홈 PLMN 식별 정보를 지닌 사용자들에게는 예를 들어 심지어 통계 분포에 기반하여 공유 네트워크내의 오퍼레이터 'A', 'B' 또는 'C'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타깃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한 선택은 모든 수반되는 개별 오퍼레이터들 간에 동의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선호되는 옵션이다. 상기 공유 네트워크의 개별 오퍼레이터들은 비-공유 네트워크의 오퍼레이터와 로밍 동의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는 공유 네트워크들의 일부가 아니므로, 그것의 동작이 상기 공유 네트워크의 어떤 양상에 의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선호될 수 있다.
상술된 예에서 상기 MSC(7)는 RNC로 송신된 'RANAP 재배치 요구' 메시지내에 상기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이 기능은 그 자체로 몇몇 MSC들에 필수적인 기능인 데, 예를 들어 3GPP의 릴리스 6(rel-6)에 따라 공유 GWCN을 따르는 MSC들에 필수적인 기능이다.
공유 네트워크내의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는 또한 사용자 장비가 지원하 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적합한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RRC 접속 요구' 메시지 및/또는 '상호 RAT 핸드오버 정보' 메시지 및/또는 'RRC 접속 설정 완료'에 포함된 액세스 계층(AS: Access Stratum) 릴리스 표시와 같은 메시지들로부터 가능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합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로직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RRC 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내에 상기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네트워크내의 상호-MSC 핸드오버의 경우, 상기 앵커 공유 MSC가 E-MAP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CN-PLMN-ID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주목된다.
상기한 것은 상기 CN-PLMN-ID를 가능한 식별 정보의 예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핵심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송신하는 핵심 네트워크 노드가 디폴트 핵심 네트워크 노드가 아닌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쪽으로 '재배치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 다른 대안들, 예를 들어 3GPP 릴리스 5 및 나중의 릴리스들의 Iu-flex/NNSF 기능을 위해 사용된 글로벌 CN-ID IE가 존재한다.
상기 예들에서 액세스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액세스 시스템으로의 이동은, 선택된 식별 정보가 사용자 장비(UE)로 송신되기 전에 발생한다. 이것은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 대안에서 상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 는 예를 들어 상기 타깃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제어기 및 상기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통해 투과적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된 'RRC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 처리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실체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에 로딩될 때, 예를 들어 계산 및 서치, 매칭 그리고 결합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하게 적응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생성물이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 생성물은 캐리어 디스크, 카드 또는 테이프와 같은 캐리어 매체에 의해 저장될 수 있거나 제공될 수 있다. 한가지 가능성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생성물을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위치 서버내의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구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아무런 부가적인 하드웨어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인 메모리 및 처리 용량이 위치 서버내에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동국들과 같은 사용자 장비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어떤 다른 적합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GSM 및 WCDMA 이외의 다른 이동 기술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할지라도,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해법에 대해 행해질 수 있는 몇몇 변경들 및 변형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또한 주목된다.

Claims (28)

  1. 사용자 장비를 한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의 오퍼레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어기에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통해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로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로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초기 직접 이동'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자원 제어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핵심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재배치 요구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의 오퍼레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오퍼레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스/앵커(anchor) 제어기로부터 공유 네트워크내의 타깃/중계 제어기로 선택된 핵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능력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된다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한 검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과 연관된 메시지를 분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2세대 네트워크로부터 3세대 네트워크로의 상호 무선 액세스 기술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비-공유 3세대 네트워크로부터 공유 3세대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공유 3세대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공유 3세대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지원하는 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지원한다는 검출에 후속하여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이동될 사용자 장비에 대한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하나의 오퍼레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제2 제어기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이동 전화 교환국 및 서빙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
  22.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2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장비에 공유 네트워크 능력이 제공되는 지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로 전송될 식별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3세대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
  25.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들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부; 및
    제1 네트워크와의 통신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와의 통신으로의 상기 사용자 장비의 이동을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무선부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이동의 개시 이후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26.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들로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원들을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들; 및
    복수의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의 오퍼레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제2 제어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1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기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자원들의 공유를 지원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자원 공유를 지원한다는 결정에 후속하여,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핵심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선택된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 스템.
KR1020077010151A 2004-10-06 2005-08-29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의 이동 KR20070058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422192.5A GB0422192D0 (en) 2004-10-06 2004-10-06 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GB0422192.5 2004-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697A true KR20070058697A (ko) 2007-06-08

Family

ID=3342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51A KR20070058697A (ko) 2004-10-06 2005-08-29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의 이동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97935B2 (ko)
EP (1) EP1797737B1 (ko)
JP (1) JP2008516500A (ko)
KR (1) KR20070058697A (ko)
CN (1) CN101061738B (ko)
AT (1) ATE421233T1 (ko)
AU (1) AU2005290973B2 (ko)
DE (1) DE602005012415D1 (ko)
GB (1) GB0422192D0 (ko)
WO (1) WO2006038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8348B2 (en) * 2004-11-03 2014-07-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station with network identity and timezone (NTZ) information
DE102005005254B4 (de) * 2005-02-04 2007-05-10 Infineon Technologies Ag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s, Kernnetz-Vermittlungsschicht-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ernnetz-Vermittlungsschicht-Einheit
EP1864539B1 (en) * 2005-03-31 2012-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ordinating cs and ps registrations in a multi-operator core network
EP1816878A1 (de) * 2006-02-02 2007-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s und entsprechendes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
CN1878404B (zh) * 2006-03-27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A-Flex架构下负载重新分配处理方法
US8494483B2 (en) * 2006-05-02 2013-07-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KR100817018B1 (ko) * 2006-06-07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패킷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0584093C (zh) 2006-08-15 2010-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移动通信系统中转移用户设备的方法及系统
SE532487C2 (sv) * 2006-10-18 2010-02-02 Teliasonera Ab RAB differentiering mellan nätverksoperatörer i delat nät
KR101097532B1 (ko) * 2006-11-07 2011-12-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srns 재배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67504B2 (en) * 2006-12-04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Inter-technology handoff
US8412207B2 (en) * 2006-12-21 2013-04-02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of providing a mobility service
AU2008295911B2 (en) * 2007-09-07 2013-09-19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exchange station,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US8254877B2 (en) * 2008-01-04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all establishment for IMS emergency calls
WO2009142562A1 (en) * 2008-05-22 2009-1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 plmn handover in a shared radio network
GB0812855D0 (en) * 2008-07-15 2008-08-20 Vodafone Plc Emergency communication device
JP4417423B1 (ja) * 2008-08-07 2010-0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
US9232452B2 (en) * 2008-10-31 2016-01-05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an inter rat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DK2382826T3 (en) * 2009-01-23 2018-01-08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PROCEDURE AND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S2351830B1 (es) * 2009-02-05 2011-12-12 Vodafone España, S.A.U. Procedimiento y controlador de red para conmutar entre arquitecturas de red compartida.
CN102308628B (zh) * 2009-02-05 2016-06-08 诺基亚通信公司 用于在移动通信网络中进行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
US8160976B2 (en) * 2009-04-17 2012-04-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chieving PLMN continuity when moving between networks of different types through network selection
CN101873589B (zh) 2009-04-21 2016-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网接入控制方法、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CN101998578B (zh) * 2009-08-17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家庭基站网络共享的实现方法及系统
CN101998562A (zh) * 2009-08-26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换过程核心网获取用户的接入信息的系统及方法
US9252936B2 (en) * 2009-12-17 2016-02-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GSM and LTE multiplexing
US8902905B2 (en) * 2010-07-20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Area update procedures for a multiple USIM mobile terminal
CN102348246A (zh) * 2010-07-29 2012-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共享网络的rnc切换方法及系统
US20120163293A1 (en) * 2010-12-23 2012-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gateway handling for supporting network sharing of home base stations
CN102638864B (zh) 2011-02-14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共享网络的接入控制方法和系统
WO2012134116A2 (en) * 2011-03-25 2012-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elay node
CN102883384A (zh) * 2011-07-15 2013-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改变接入小区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BR112014006486A2 (pt) * 2011-09-27 2017-03-28 Nec Corp porta de entrada e dispositivo de controle, e métodos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para os mesmos
US20140274059A1 (en) * 2011-11-02 2014-09-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lmn selection at handover to a target shared location being shared between core network operators
US8983475B2 (en) * 2012-02-16 2015-03-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artner network sharing architecture
GB2500267A (en) * 2012-03-16 2013-09-18 Nec Corp Using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device to select parameters when handing over from a LTE network to a CDMA network
CN102612117B (zh) * 2012-03-20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选择网络的方法
EP2648459B1 (en) * 2012-04-05 2016-07-27 Telia Company AB Network selection in a shared network environment
US10080162B2 (en) * 2012-04-11 2018-09-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etwork sharing and reverse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KR101727963B1 (ko) * 2012-04-11 2017-04-1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네트워크 공유 및 역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
CN103379562A (zh) * 2012-04-16 2013-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plmn的方法、移动终端、bsc和核心网设备
WO2013170449A1 (zh) * 2012-05-15 2013-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网络共享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3187728A1 (ko) 2012-06-14 2013-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US8942701B2 (en) * 2012-08-14 2015-01-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responsibility between network controllers managing coexistence in radio frequency spectrum
US20140094174A1 (en) * 2012-10-01 2014-04-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from e-utran to utran/geran circuit switched in a multi-operator core network
WO2014060029A1 (en) * 2012-10-17 2014-04-24 Nokia Siemens Networks Oy Core network selection in shared network during handover/relocation
WO2014068112A2 (en) * 2012-11-05 2014-05-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ubscriber node and shared network
US9596630B2 (en) * 2012-11-06 2017-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ource based selection of serving operator
WO2014101180A1 (zh) * 2012-12-31 2014-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共享无线网络的方法、无线网络控制器和核心网
EP2760240B1 (en) 2013-01-25 2016-05-18 TeliaSonera AB Method, network nod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apability of a user equipment to support network sharing
US9344991B2 (en) 2013-03-08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ding to handover events during positioning sessions
US10009837B2 (en) * 2013-06-14 2018-06-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irst network node, second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of providing a last us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fier
US20150117400A1 (en) * 2013-10-31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network capabilities for a wireless device
WO2015085484A1 (zh) * 2013-12-10 2015-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负载均衡方法及设备
US9521539B2 (en) 2014-06-05 2016-12-1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ll cell gateway core network selection in a multi-operator core network environment
WO2016031873A1 (ja) * 2014-08-29 2016-03-03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経路選択装置、及び経路選択方法
JP6697075B2 (ja) * 2016-01-20 2020-05-20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車車間・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
EP3429309A4 (en) * 2016-03-31 2019-0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CCESS
US20170374704A1 (en) * 2016-06-27 2017-12-28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ication of a shared evolved packet core in a neutral host network
JP2017077032A (ja) * 2017-02-03 2017-04-20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ネットワーク共有及びリバース単一無線音声通話継続
US11924642B2 (en) * 2017-06-23 2024-03-05 Nec Corporation Privacy considerations for network slice selection
US20220046520A1 (en) * 2019-01-23 2022-02-10 Sony Group Corporation Network configuration apparatus, server,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832A (en) * 1995-12-21 1999-05-11 Nokia Mobile Phones L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system selection capability
US5978679A (en) * 1996-02-23 1999-11-02 Qualcomm Inc.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5911122A (en) * 1996-10-01 1999-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ter-exchange passing of hand-off related parameters
US7072656B2 (en) * 1999-03-16 2006-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in a shared radio access network environment using subscriber-dependent neighbor cell lists
US6285880B1 (en) * 1999-05-14 2001-09-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system message indicator specifying MIN or IMSI usage
US6741868B1 (en) * 1999-07-30 2004-05-25 Curitel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399428B2 (ja) * 2000-01-12 2003-04-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AU2000245676A1 (en) * 2000-05-22 2001-12-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181237B2 (en) * 2001-03-15 2007-02-20 Siemens Communications, Inc. Control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telephone via a single hardware and software man machine interface
DE60120511T2 (de) * 2001-10-19 2007-01-11 Nokia Corp. Weiterleiten der identität eines mobilfunkteilnehmers zwischen kernnetzwerkknoten
KR100765123B1 (ko) * 2002-02-16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rns 재할당 방법
JP2005523613A (ja) * 2002-04-17 2005-08-0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wlan)/ユニバーサ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相互接続用の公衆移動体ネットワークとしてのwlan
US7257403B2 (en) * 2002-05-03 2007-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rvice-based inter-system handover
US7835317B2 (en) * 2002-10-08 2010-11-16 Nokia Corporation Network selection in a WLAN
US7415274B2 (en) * 2003-02-19 2008-08-19 Nokia Corporation Routing procedure for a communication system
DE10334872A1 (de) * 2003-07-29 2005-03-10 T Mobil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gemeinsamen Nutzung eines Funkzugangsnetzwerkes durch mehrere Mobilfunkanbieter
US7957352B2 (en) * 2003-10-02 2011-06-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handoff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7920869B2 (en) * 2003-11-19 2011-04-05 Motorola Mobility, Inc. Home network searching when roa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JP2007524326A (ja) * 2004-03-02 2007-08-2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重モード−二重帯域移動端末の異機種システム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7236784B2 (en) * 2004-03-23 2007-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and system for selecting a PLMN for network sharing
TWI481263B (zh) * 2006-10-20 2015-04-11 Interdigital Tech Corp Lte增強b節點自行配置方法及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61738B (zh) 2011-08-03
AU2005290973B2 (en) 2009-08-13
WO2006038076A1 (en) 2006-04-13
EP1797737A1 (en) 2007-06-20
GB0422192D0 (en) 2004-11-03
DE602005012415D1 (de) 2009-03-05
JP2008516500A (ja) 2008-05-15
EP1797737B1 (en) 2009-01-14
ATE421233T1 (de) 2009-01-15
AU2005290973A1 (en) 2006-04-13
US7697935B2 (en) 2010-04-13
CN101061738A (zh) 2007-10-24
US20060073831A1 (en)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90973B2 (en) 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6702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radio access network of a selected core network from user equipment in a network sharing system
EP1419666B1 (en) Methods involving a core network node that is handling a mobile subscriber and initiates a request to a second core network node to handle said mobile subscriber
US7089008B1 (en) Inter-system handover
US7123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redirection betwee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with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KR100960628B1 (ko) 이동 단말기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RU2287912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содержащая множество сетей связи
US20040029587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KR101237658B1 (ko)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
KR10220177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ipto 지원 방법
US10334640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WO2008039124A1 (en) A method, a serving cell controller and a system for detecting support for packet-switched handover
US11770748B2 (en)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core networks
CN107770787B (zh) 一种确定目标运营商网络的方法和装置
KR20030007810A (ko) 무선접속망 사이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AU2001265850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