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31A -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 Google Patents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31A
KR20070057331A KR1020050116193A KR20050116193A KR20070057331A KR 20070057331 A KR20070057331 A KR 20070057331A KR 1020050116193 A KR1020050116193 A KR 1020050116193A KR 20050116193 A KR20050116193 A KR 20050116193A KR 20070057331 A KR20070057331 A KR 20070057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d
photo
broadcast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161B1 (ko
Inventor
신우현
나재욱
백종호
권기원
Original Assignee
신우현
백종호
권기원
나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현, 백종호, 권기원, 나재욱 filed Critical 신우현
Priority to KR102005011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1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쇼(Slide show)의 경우 사진 데이터에 사진이외의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NPAD(Non Program Associated Data)와 동기화 연결 및 인터넷과의 링크데이터(Link Data)를 설정, 연결할 수 있게끔 함으로 지상파 DMB PAD방송을 연동형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저장 PAD 데이터를 재검색, 연계할 수 있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PAD) 연동형 송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1 - CCTV#N)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영상신호는 비디오스위쳐(10)에 공급된 다음 송출용 문자발생기(11)로 공급되고, 이 송출용 문자발생기(11)에서 문자영상신호가 출력되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 공급되고; 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는 제어신호를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1 - CCTV#N), 비디오스위쳐(10)및 송출용 문자발생기(11)에 각각 보내고, 교통방송 교통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되어진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20), 편집용 문자발생기(21)및 인서트 시스템인 DMB PAD 송출시스템(22)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 출력된 사진이 상기 DMB PAD 송출시스템(22)을 통해 엔코더(34)로 공급되는 교통방송 PAD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 PAD 방송송출에 필요한 사진데이터를 준비하고, 사진의 헤더를 조사한 다음 이 사진의 내부 구조를 파싱하며, 상기 헤더와 실제 사진이 있는 곳의 크기를 구하고; 이어 첨부될 데이터를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2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오고, 특정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물을 사진에 첨부시켜서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사진은 문자영상의 캡쳐된 사진으로 PAD 송출시스템(22)을 이용하여 엔코더(34)로 송출하고, 수신된 데이터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사진과 데이터로 파싱하며, 상기 사진에 관련된 데이터를 연동하여 보여준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MB, PAD 방송, 지상파 DMB, PAD 연동형 송출방법, 사진데이터

Description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PAD INTERLOCKING TYPE TRANSMISSION METHOD FOR DMB PAD BROADCASTING}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이 적용되는 교통방송 PAD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에서 사용되는 실제 사진데이터및 특정프로토콜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비데오스위쳐 11 : 송출용 문자발생기
12 :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 20 :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
21 : 편집용 문자발생기 22 : PAD 송출시스템
33 : 오디오 체인져 34 : 엔코더
본 발명은 슬라이드 쇼서비스의 경우 사진 데이터에 사진이외의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NPAD(Non Program Associated Data)와 동기화 연결 및 인터넷과의 링크데이터를 설정, 연결할 수 있게끔 함으로 지상파 DMB PAD방송을 연동형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저장 PAD 데이터를 재검색, 연계할 수 있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PAD) 연동형 송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단순한 오디오 서비스만을 제공하던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방송보다는 고품질 오디오및 비디오를 포함한 부가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으로 전환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선도적으로 유럽 지상파 디지털 오디오방송(DAB) EUREKA-147 기반으로 듣는 방송에서 보고 듣는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세계적으로 시도되는 방송서비스가 도입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수신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가 매우 시급히 요구되고 있었다.
상기 방송서비스는 수신환경에 따라 고정 수신서비스, 휴대 수신서비스 및 이동 수신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이동통신서비스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와 성장과 함께 향후 멀티미디어방송과 데이터방송에 대한 상기 이동 수신서비스가 크게 확산될 전망으로 있다. 따라서,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오디오방송(DAB) 플랫폼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텔레비젼방송 등 동영상에 대한 이동 수신서비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이 계획되고 있고, 이를 위한 표준 방식과 기술기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은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인 것이다. 그리고, 송신탑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은 비디오 10 개와 오디오· 데이터 20 개이고,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상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은 비디오 11 개와 오디오· 데이터 30 개로서 휴대폰, 차량및 전용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위성 DMB는 위성을 이용하고, 위성 DMB용 방송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국의 DMB 단말기에 뿌려주는 형식이다. 상기 지상파 DMB는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위성 DMB와 달리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방송신호가 송출되게 한다.
따라서,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기반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술을 무선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인 바, 이는 무선 구간에서 고품질의 음성, 화상 및 동영상, 인터넷 접속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하는 사용자가 무선 ATM 망을 경유하여 B-ISDN(BROADBAND -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하는 사용자는 단 대 단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받아 유선망 사용자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무선 ATM망은 기존의 이동통신망, 개인 휴대통신망, 지역망 등과 연동하여 서비스들을 수용하고, 이 ATM 기술을 통한 유/무선 통합망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무선환경에서는 유선환경과 다르게 채널의 특성이 시간 및 공간의 달라진 주 변환경에 의하여 변화되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제한된 무선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이 생긴다. 특히, 광대역 전송율을 요구하는 무선 ATM 망에서는 사용주파수 5.2 GHz - 60 GHz 까지 증가되어 채널의 특성및 대응 기술에 많은 변화가 생긴다. 이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신뢰성있는 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모뎀기술, 부호화 기술, 오류 제어 방안 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고정율, 가변율, 가용율, 미정율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수용한 대역관리 방안들을 대역의 효율성 및 서비스 품질보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대역을 할당한다. 이는 시분할 다중접속과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특성에 따라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열악한 무선 환경으로 이동하는 가입자에게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ATM망의 쟁점에 부가되어 다중경로 손실을 갖고 있다.
한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에서 송출되는 PAD(Program Associated Data) 방식은 사진데이터, 방송웹서비스(BWS)(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을 보낼 수 있다. 상기 사진데이터와 방송웹서비스는 PAD 데이터의 경우에 파일의 이름만을 이용하여 연동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에는 이름의 용량이 부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연동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인터넷과의 연계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데이터와 관련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름만으로 파일을 저장하였을 경우에는 수신, 저장된 파일을 찾아서 이름만으로 확인할 때마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오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예컨데 교통 정보인 경우와 같이 해당 교통상황에 대한 사진정보와, 이에 연계되어 교통상황을 설명한 텍스트(TEXT) 정보없이 파일 이름만으로 상기 교통상황을 판단하기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교통방송 PAD시스템에서 슬라이드쇼 서비스일 경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으로부터 인서트(INSERT) 시스템인 DMB PAD 송출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사진데이터에 사진이외의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NPAD와 동기화 연결 및 인터넷과의 링크데이터를 설정, 연결할 수 있음으로 지상파 DMB PAD방송을 연동형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저장 PAD 데이터를 재검색, 연계할 수 있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PAD) 연동형 송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1 - CCTV#N)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영상신호는 비디오스위쳐(10)에 공급된 다음 송출용 문자발생기(11)로 공급되고, 이 송출용 문자발생기(11)에서 문자영상신호가 출력되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 공급되고; 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는 제어신호를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1 - CCTV#N), 비디오스위쳐(10)및 송출용 문자발생기(11)에 각각 보내고, 교통방송 교통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되어진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20), 편집용 문자발생기(21)및 인서트 시스템인 DMB PAD 송출시스템(22)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 출력된 사진이 상기 DMB PAD 송출시스템(22)을 통해 엔코더(34)로 공급되는 교통방송 PAD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 PAD 방송송출에 필요한 사진데이터를 준비하고, 사진의 헤더를 조사한 다음 이 사진의 내부 구조를 파싱하며, 상기 헤더와 실제 사진이 있는 곳의 크기를 구하고; 이어 첨부될 데이터를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2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오고, 특정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물을 사진에 첨부시켜서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사진은 문자영상의 캡쳐된 사진으로 PAD 송출시스템(22)을 이용하여 엔코더(34)로 송출하고, 수신된 데이터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사진과 데이터로 파싱하며, 상기 사진에 관련된 데이터를 연동하여 보여준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PAD) 연동형 송출방법이 적용되는 교통방송 PAD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지상파 DMB PAD 방송은 현재 문자방송서비스로서 DLS(Dedicate Landing Site)서비스, 슬라이드쇼(Slide Show)서비스, 방송웹서비스(BWS)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쇼서비스의 경우에는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으로부터 DMB PAD 송출시스템(22)에 전송되는 사진 데이터에 사진이외의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NPAD와 동기화 연결 및 인터넷과의 링크데이터를 설정, 연결할 수 있다. 그 렇게 함으로 수신측에서는 지상파 DMB PAD방송을 연동형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게 하고, 수신된 저장 PAD 데이터를 재검색, 연계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1 - CCTV#N)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영상신호는 비디오스위쳐(10)에 공급된 다음 송출용 문자발생기(11)로 공급되고, 이 송출용 문자발생기(11)에서 문자영상신호가 출력되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 공급된다. 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는 제어신호를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1 - CCTV#N), 비디오스위쳐(10)및 송출용 문자발생기(11)에 각각 보내는 한편, 교통방송 교통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되어진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20), 편집용 문자발생기(21)및 인서트 시스템인 DMB PAD 송출시스템(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12)에서 캡쳐되어서 출력된 문자영상의 사진이 상기 DMB PAD 송출시스템(22)으로 공급되어지고 있다.
한편, 오디오신호는 오디오파일 메인장치(30)로부터 AES(AUDIO ENGINEERING SOCIETY)/EBU(EUROPEAN BROADCASTING UNION)로서 오토체인져(33)에 공급되고 있고, 이 오토체인져(33)는 입력단으로 별도의 오디오파일 서브장치(31)와 DVD 백업장치(32)가 각기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오토체인져(33)는 출력신호로서 AES/EBU를 엔코더(34)에 공급되고 있는 바, 이 엔코더(34)는 전술한 바 있는 DMB PAD 송출시스템(22)로부터의 PAD 데이터를 공급받고 있다.
이와 같이 AES/EBU와 PAD 데이터들을 공급받은 엔코더(34)는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고, 이 디지털 데이터는 S 멀티플렉서(35)를 통해 출력하게 됨으로, 별도로 전용선(E1 LINE × 2)이 접속되고 있어 앙상블(ENSEMBLE : 36)을 통해 송신 기(37)에서 송출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교통방송 PAD시스템에서 송출되는 PAD 방식은 사진 데이터, 방송웹서비스(BWS) , HTML 파일을 보낼 수 있다. 그런데, 종래 PAD 데이터의 경우 파일 이름만을 이용하여 연동데이터 서비스를 하기에는 이름의 용량이 부족하다. 상기 연동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인터넷과의 연계를 위하여서는 필수적으로 URL 데이터와 관련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름만으로 파일을 저장할 경우에 수신, 저장된 파일을 찾아 이름만으로 확인할 때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오기가 쉽지 않으므로, 교통정보의 경우 교통상황에 대한 사진정보와 이에 연계되어 교통상황을 설명한 텍스트 정보 없이 파일이름만으로 교통상황을 판단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파일이름만으로 사진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확인, 인식, 재검색 등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PAD 송출시스템으로부터 PAD 사진데이터를 생성시킬 때 특정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실제 상황 설명이 포함된 데이터를 그림 데이터에 삽입, 추가시킬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에서 사용되는 실제 사진데이터및 특정프로토콜의 구성도이다. 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데이터의 헤더(41) 뒷부분에 실제 사진데이터(41) 부분에 특정프로토콜 크기의 사진 데이터를 대신하여 정보가 담겨있는 특정프로토콜데이터(42)를 첨부할 수 있다
혹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데이터(43)가 모두 끝난 시점부터 특정프로토콜의 크기만큼 정보가 담겨있는 특정프로토콜데이터(44)를 첨부할 수 있다.
상기 특정프로토콜은 그 크기가 256 바이트(Byte)이고, 그 내용은 실제 사용될 수 있는 예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는 헤더, 데이터타임, URL 길이, URL, 콘텐트(COTENT)길이, 콘텐트, NPAD코드, 리서브드(RESERVED), 체크섬(CHECK SUM) 및 엔더(ENDER)순이다.
상기 헤더는 1 바이트이고 0X02의 내용이며, 데이터타임은 14 바이트이고 '20051103185632'의 내용이다. 상기 URL 길이는 1 바이트이고 14 내용이고, URL은 바이트수가 비고정이고 www.ncns.co.kr이다. 상기 콘텐트길이는 1 바이트이고 193 의 내용이며, 콘텐트는 바이트수가 비고정이고 '지상파 DMB에 관련된 송출방식(나머지 스페이스)'의 내용이다. 상기 NPAD코드는 10 바이트이고 '1234567890'의 내용이며, 리서브드(RESERVED)는 20 바이트이고 (스페이스)의 내용이다. 상기 체크섬은 1 바이트이고 0X2e의 내용이고, 상기 엔더는 1 바이트이고 0X03이다(보내온 데이터를 모두 합하여 발생한 끝의 1 바이트).
한편, 교통정보의 경우에는 한 장의 사진에 현장 설명과 참조 URL 발생장소, 시간을 넣을 수 있다. 이때, NPAD와의 연계를 위하여 NPAD와 연동할 수 있는 코드(CODE)를 규격화하여 정보데이터에 넣을 수 있고, 일반적인 인터넷과 연결시킬 수 있는 URL을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파일에 특정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첨부 및 삽입시킬 때 해당 단말기에 쉽게 디코딩할 수 있게끔 데이터를 규격화되도록 되어 있 다.
도 4 는 본 발명의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에서 PAD 방송송출에 필요한 사진데이터를 준비하고, 사진의 헤더를 조사한 다음 이 사진의 내부 구조를 파싱하며, 상기 헤더와 실제 사진이 있는 곳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이어 첨부될 데이터를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올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특정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물을 사진에 첨부시켜서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사진은 문자영상의 캡쳐된 사진으로 PAD 송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엔코더로 송출하고, 수신된 데이터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사진과 데이터로 파싱한다. 따라서, 사진에 관련된 데이터를 연동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지상파 DMB PAD 방송을 연동형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음으로 수신된 저장 PAD 데이터를 재검색,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방송 PAD시스템에서 슬라이드쇼 서비스일 경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으로부터 DMB PAD 송출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사진데이터에 사진 이외의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NPAD와 동기화 연결 및 인터넷 과의 링크데이터를 설정, 연결할 수 있음으로 지상파 DMB PAD방송을 연동형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저장 PAD 데이터를 재검색, 연계할 수 있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PAD) 연동형 송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다수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영상신호는 비디오스위쳐에 공급된 다음 송출용 문자발생기로 공급되고, 이 송출용 문자발생기에서 문자영상신호가 출력되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에 공급되고; 이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에서는 제어신호를 다수의 감시카메라, 비디오스위쳐및 송출용 문자발생기에 각각 보내고, 교통방송 교통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되어진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 편집용 문자발생기 및 DMB PAD 송출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에서 출력된 사진이 상기 DMB PAD 송출시스템을 통해 엔코더로 공급되는 교통방송 PAD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동송출시스템에서 PAD 방송송출에 필요한 사진데이터를 준비하고, 사진의 헤더를 조사한 다음 이 사진의 내부 구조를 파싱하며, 상기 헤더와 실제 사진이 있는 곳의 크기를 구하고;
    이어 첨부될 데이터를 방송데이터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오고, 특정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물을 사진에 첨부시켜서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사진은 문자영상의 캡쳐된 사진으로 PAD 송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엔코더로 송출하고, 수신된 데이터는 특정프로토콜에 의하여 사진과 데이터로 파싱하며, 상기 사진에 관련된 데이터를 연동하여 보여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데이터의 헤더 뒷부분에는 실제 사진데이터 부분에 특정프로토콜 크기의 사진 데이터를 대신하여 정보가 담겨있는 특정프로토콜데이터를 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데이터가 모두 끝난 시점부터 특정프로토콜의 크기만큼 정보가 담겨있는 특정프로토콜데이터를 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프로토콜은 헤더, 데이터타임, URL 길이, URL, 콘텐트길이, 콘텐트, NPAD코드, 리서브드, 체크섬 및 엔더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디엠비(DMB) 피에이디(PAD)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 송출방법.
KR1020050116193A 2005-12-01 2005-12-01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KR10074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193A KR100742161B1 (ko) 2005-12-01 2005-12-01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193A KR100742161B1 (ko) 2005-12-01 2005-12-01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31A true KR20070057331A (ko) 2007-06-07
KR100742161B1 KR100742161B1 (ko) 2007-07-25

Family

ID=3835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193A KR100742161B1 (ko) 2005-12-01 2005-12-01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1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358A (ko) * 2003-07-25 2005-02-02 (주)로드앤조이 동영상과 문자 및 음성을 결합한실시간멀티미디어교통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05074269A1 (ja) 2004-01-20 2005-08-11 Nec Corporation データ放送記録再生方法、装置、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161B1 (ko)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531B1 (ko)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전송 스트림을 동기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N1890969B (zh) 提供广播内容的系统及相关终端、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20070240188A1 (en) Datacasting
US7310330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internet protocol base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234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interaction channel in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EP1085750A2 (en) Reception system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500689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both wide area broadcasting and local area broadcasting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nd terminal for receiving the broadcast
US84587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selected packetized programming streams
KR20070021022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구조 및 통지 메시지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669309A (zh) 用于对包括多个组成的通知消息进行传输的方法和装置
US5777997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udio-associated text information in a multiplexed transmission stream
US105745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CN103098486A (zh) 插入区域内容的dvb-t2广播方法以及在该方法中使用的设备
EP2580896B1 (en) Hybrid delivery mechanism in a multimedia transmission system
EP09645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DVB network
CN101584213B (zh) 在地面数字多媒体广播条件访问系统中使用的传送和接收设备及方法
JP2009512320A (ja)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信頼性保証転送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100742161B1 (ko)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피에이디 연동형송출방법
US7886328B2 (en) Protocol and system for broadcasting audiovisual programs from a server
KR100742160B1 (ko)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덮어쓰기 송출방법
KR100883264B1 (ko)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0649399B1 (ko) 아이피를 통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EP2045936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944936B1 (ko) 실시간 방송서비스의 끊김없는 채널 변경을 제공하기 위한전송 서버 시스템
EP1814332A1 (en) DMB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BIFS stream and DMB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