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667A -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 Google Patents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667A
KR20070055667A KR1020050113901A KR20050113901A KR20070055667A KR 20070055667 A KR20070055667 A KR 20070055667A KR 1020050113901 A KR1020050113901 A KR 1020050113901A KR 20050113901 A KR20050113901 A KR 20050113901A KR 20070055667 A KR20070055667 A KR 2007005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people
disabled
key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동훈
Original Assignee
정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훈 filed Critical 정동훈
Priority to KR102005011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667A/en
Publication of KR2007005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6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이 컴퓨터에 접근하기 쉽도록 키보드를 개조하여 장애인 정보통신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하며, 더 나아가 60대 이상의 노년층의 컴퓨터 접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주 사용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자판의 가운데 배치하여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였으며, 기능키는 누름 고정 버튼을 적용하고 이 글자판의 상태를 알려주는 램프를 자판 옆에 설치하여 자판의 식별성을 높여 손의 동작이 느린 장애인이나 노인이 쉽게 자판을 이용하여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facilitate the acces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for the disabled by remodeling the keyboard to facilitate access to computer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ultimately bridg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and furthermore, computers of more than 60 elderly people I want to help with the approach.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frequently used a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keyboard to minimize movement distance, and the function keys apply the push button and install a lamp next to the keyboard to inform the status of the dial. This slow disabled person or the elderly can easily enter letters using the keyboard.

키보드, 장애인, 노약자, 실버 Keyboard, handicapped, senior citizen, silver

Description

노인, 장애인용 키보드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Keyboard for old and disabled person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도 1은 기존 Dvorak 키보드 키 배열1 is a conventional Dvorak keyboard key arrangement

도 2는 고안된 키보드 키 배열2 is a keyboard key arrangement

도 3은 고안된 키보드의 우 측면도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esigned keyboard

도 4는 고안된 키보드의 응용된 키 배열4 is an applied key arrangement of the designed keyboard

본 발명은 컴퓨터의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인과 장년층,노년층 컴퓨터 사용에 따른 키보드의 기술개발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used in an input device of a computer, and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keyboard according to the use of a computer for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and an elderly person.

최근 컴퓨터의 사용빈도가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이 대두되고 있다. 컴퓨터 작업 활동은 장시간 동안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특정 근육을 과도한 사용을 유발하여 근골격계의 누적외상성 질환 또는 반복긴장성 장애인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과 CTS(Carpal Tunnel Syndrome : 수근관증후군)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컴퓨터 작업을 하는 키보드 사용자 사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키보드 사용자의 정적인 자세 부담과 고빈도 반복 작업이 충분한 회복시간이 없이 장시간 지속될 때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와 함께할 때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지속적 등장성 근육의 긴장은 근육 내 압력을 증가시켜 혈액 순환을 감소시키고 결국 근육 내 항상성에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근육은 피로에 빠지게 되고 충분한 회복시간이 없으면 근육에 손상이 오게 된다. 이러한 누적외상성 질환의 세 가지 유발 요인으로는 힘과 자세, 그리고 반복성을 들 수 있는데,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컴퓨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은 이들 세 가지 요인이 모두 관여하는 작업이며, 특히 표준형 키보드는 경럭傷 부위와 손목의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나쁜 작업 자세(전완의 내회전, 주관절 신전, 척측편위, 견관절 외전)를 조장한다. 이렇듯 생체역학적 연구 및 근전도 실험을 통해서 표준형(QWERTY) 키보드의 단점이 지적되었고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체 키보드 디자인이 제시되었다. QWERTY 키보드 디자인은 가장 흔히 나오는 자모들은 약하고 느린 손가락에 배당되어있고, 자주 발생하는 자모 조합은 같은 손 쪽에 있다. 이는 처음 기계식 타자기가 개발 되었을 때 사람의 타자 속도를 타자기가 따라가지 못해 의도적으로 타자속도를 배열한 것이다. 이 QWERTY 키보드는 손의 해부학적 형태와 손가락의 길이 차이 때문에 손가락과 키 사이에 부정렬이 발생하고 손목관절의 과도학 척골편위와 견관절 외전과 같은 불편한 자세를 초래한다. QWERTY키보드의 키를 재배열한 Dvorak 키보드가 있으며, 이 키보드는 그림 1과 같이 모음을 좌측 중간 행에, 가장 흔히 쓰이는 자음을 우측 중간 행에 배열하였고, 통상 모음과 자음이 번갈아 나오기 때문에 양손의 손가락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Dvorak 키보드의 영문 배열이 QWERTY 키보드의 영문 배열보다 손과 손가락을 덜 피로하게 하면서도 속도는 10~20% 개선되고, 수행도 측면에서도 QWERTY 키보드 보다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QWERTY 키보드의 영문 배열과 전혀 색다른 키 배열을 갖고 있어 Dvorak 키보드의 사용을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하고 QWERTY 키보드의 영문 배열이 익숙해져 있어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Recently, as the use of computers increases, musculoskeletal diseases associated with them are on the rise. Computer work activities can lead to overuse of certain muscles while maintaining static posture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resulting in cumulative traumatic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musculoskeletal disorders such as VDT syndrome (Carpal Tunnel Syndrome) and CTS (Carpal Tunnel Syndrome). The disease is increasing rapidly among keyboard users who work with computers. Static postural burden and high frequency repetition of keyboard users can cause illness when prolonged without sufficient recovery time, especially with mental stress, and sustained isotonic muscle tension increases muscle pressure, reducing blood circulation This results in a change in muscle homeostasis, which leads to fatigue and muscle damage without sufficient recovery time. Three causes of cumulative traumatic disease include strength, posture, and repeatability. Using a computer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is a task involving all three factors, especially a standard keyboard. 나쁜 Promotes bad working posture (inner rotation of the forearm, elbow extension, lateral deviation, shoulder abduction) that causes discomfort in the wrist and wrist. Through these biomechanical studies and EMG experiments, the shortcomings of QWERTY keyboards were pointed out and alternative keyboard designs were suggested to supplement the problems. In the QWERTY keyboard design, the most common letters are assigned to weak and slow fingers, and frequently occurring letter combinations are on the same hand. This is because when a mechanical typewriter was first developed, the typewriter speed was intentionally arranged because the typewriter could not keep up with the typewriter's speed. This QWERTY keyboard causes disparity between the fingers and keys due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hand and the length of the fingers, resulting in uncomfortable postures such as transitional ulnar deviation of the wrist and shoulder abduction. There is a Dvorak keyboard that rearranges the keys on the QWERTY keyboard, which arranges the vowels in the middle row on the left, the most common consonants in the middle row on the right, and alternates the vowels and consonan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d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existing research, the English arrangement of the Dvorak keyboard is 10-20% faster than the English arrangement of the QWERTY keyboard, while the speed is 10-20%, and the performance is superior to the QWERTY keyboard. However, because the English layout of the QWERTY keyboard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nglish layout, the Dvorak keyboard requires training and the English layout of the QWERTY keyboard is not widely used.

기존의 일반적 키보드를 대체하는 키보드는 손목을 똑바로 하는 분열(split) 키보드, 회내전을 줄여주는 텐트(tented) 키보드, 주관절 신전을 박아주는 손목받침대, 손목받침대 대신 경사를 반대로 주는 음경사(negative slope)등이 있으며 이는 표준형 키보드와 함께 연구가 진행되어졌다. Keyboards that replace traditional keyboards include a split-straight keyboard that straightens the wrist, a tented keyboard that reduces abduction, a wrist restraint of the elbow extension, and a negative slope instead of the wrist rest. It was studied with a standard keyboard.

기존의 지체장애인용 키보드의 하나는 크기가 일반 크기의 120%로 약시나 저시력도 사용가능하고 ‘가, 나, 다’ 순으로 배열되어 찾는 것이 용이하며 단축키로 인터넷 사용을 쉽다. 또한 복잡한 컴퓨터 조작을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 가능하게하며 Shift 기능의 단순화로 복모음, 복자음도 각각 구성되어 모든 글자가 한 손가락으로 클릭 가능하기도 하다.One of the existing keyboards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is 120% of the general size, so it can be used for amblyopia or low vision. In addition, complex computer oper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used,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shift function also includes a vowel vowel and a vowel consonant, so that all letters can be clicked with one finger.

그리고 시각장애인용 키보드의 점자입력, 출력, 음성합성을 통한 문서작업과 편집 및 PC와 연결하여 각종 파일 및 데이터 교환 가능하며 전자신문, 전자도서관 등 인터넷정보를 점자와 음성 을 통해 동시 제공받기 가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It is also possible to work and edit documents through braille input, output, and voice synthesis of the visually impaired keyboard, and to exchange various files and data by connecting to a PC, and to simultaneously provide Internet information such as electronic newspaper and electronic library through braille and voice. I have it.

확대키보드(Large print keyboard)는 모든 연령의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적용하며 키보드의 글자, 상징, 명령 기능을 확대하여 구분이 쉬운 특징이 있다.Large print keyboard is applied t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of all ages, and it is easy to distinguish by expanding the letters, symbols, and command functions of the keyboard.

장애인, 노인의 경우 키보드의 키 크기와 장애를 고려하지 않은 키의 배치로 인해 당연 키보드의 접근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이 경우 특수 제작되는 장애인과 실버용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경제적 부담이 커져 컴퓨터와 인터넷의 접근이 더욱 어려워진다. 비장애인들을 위주로 제작 제공되고 있는 컴퓨터 키보드는 지체 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접근이 불편하고, 이들을 위해 개조된 키보드는 자판 배열이 영어 사용 빈도에 맞춰져 있고, 한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들이 문서작업을 하기에 불편함을 주고 있어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한국형 키보드가 필요하다.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accessibility of the keyboard is inevitably deteriorated due to the key size of the keyboard and the arrangement of the keys without considering the obstacles. Also, in this case, specially mad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ilver products are used, but the economic burden increases, mak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more difficult to access. Computer keyboards are provided for non-disabled people, and it is inconvenient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brain-impaired people to access them, and the modified keyboards have keyboard layouts tailored to the frequency of English use and are not in Korean. It is inconvenient for the Koreans and needs a Korean keyboard for the disabled.

키보드의 높이와 디자인에 따른 근피로도 실험에 표준형 키보드 사용시 주관절의 굴곡과 견관절의 외전, 그리고 견관절 굴곡 10° 이상일 때, 승모근 긴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표준형 키보드에 손목 받침을 추가한 손목받침 키보드에서는 손목받침이 추가됨으로써 상지의 원위부에 상지를 쉬게 할 수 있는 고정점이 생겨 운동형상학적으로 승모근 긴장을 증가시키는 견관절 굴곡의 역치를 증가시켰다. 또한 인간공학 키보드는 높이에 따라 견관절 굴곡과 상승, 주관절 굴곡이 증가하여 승모근 긴장도 증가되었다. 승모근의 긴장을 야기 시키는 견관절 외전과 주관절 신전, 척측 굴곡은 VDT 증후군의 중요한 원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키보드에 경사를 주어야 한다고 한다. 종래의 인간공학 키보드는 견관절 외전을 증가 시켰지만 승모근 긴장은 증가하지 않았거나 외전의 범위가 키보드 동작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마우스를 사용하는 동작에 대하여는 불편함이 많다. 승모근 긴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키보드 디자인은 손목받침을 가지고 있어야 되며 견관절 굴곡과 견관절 상승을 줄일 수 있는 쪽으로 추구되어야 하고, 견관절 외전은 손목받침이 있을 때에 키보드 동작범위에서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견관절 굴곡은 주로 키보드의 높이와 몸체 와의 거리에 관련되나 경사면을 적절히 높여줌으로써 주관절 굴곡을 많이 하되 견관절 굴곡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키보드에 경사를 주거나 키 배열에 각도를 주는 디자인은 견관절 상승을 감소시켜 근피로도를 낮출수 있는 디자인으로 판단된다.The muscle fatigue according to the height and design of the keyboard also affected the elbow flexion, shoulder abduction, and shoulder flexion when the standard keyboard was used in the experiment, and the flexion was more than 10 °. The addition of a wrist rest created a fixation point to rest the upper extremity of the upper limb, which in turn increased the threshold of shoulder flexion that increased mitral muscle tension. In addition, the ergonomic keyboard increased shoulder flexion and elevation and elbow flexion with height, thus increasing mitral muscle tension. Shoulder abduction, elbow extension, and spinal flexion, which cause tension of the mitral muscle, are important causes of VDT syndrome. Conventional ergonomic keyboards have increased shoulder abduction, but the tension of the mitral muscles has not increased or the range of abduction has been limited to keyboard movement. Keyboard designs that can reduce mitral muscle tension should have wrist rests and should be pursued to reduce shoulder flexion and shoulder elevation, and shoulder abdu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keyboard range when wrist rests are present. Shoulder flexion is mainly related to the height of the keyboard and the distance to the body, but by elevating the inclined surface properly, the elbow flexion can be increased, but the shoulder flexion can be reduced. It is judged that the design can lower the degree.

본 발명은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이 컴퓨터에 접근하기 쉽도록 키보드를 개조하여 장애인 정보통신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60대 이상의 노년층의 컴퓨터 접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acces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for the disabled by modifying the keyboard so tha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to access the computer, ultimately to bridg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and furthermore, I want to help with computer access.

종래의 일반적인 키보드는 양손용으로 너비가 길게 제작된 비장애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양손으로 키보드를 사용하기 어려워 한 손을 사용해야 한다거나, 심한 경직이 있는 뇌성마비 장애인들, 마비로 인한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은 기존의 키보드를 이용하는데 어려웠다.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키보드의 요소로는 키의 크기, push-on,off, 커서 이동 속도, 키보드의 각도, 키의 배열, 피로도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오타가 자주 발생하거나 마우스 및 타이핑 속도가 느려 입력시간 많이 걸린다.Conventional general keyboards are used by non-disabled people who have long widths for both hands,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keyboard with both hands, so they have to use one hand, severely stiff cerebral palsy, and those who use paralysis aids. Were difficult to use the existing keyboard.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keyboard include key size, push-on, off, speed of cursor movement, keyboard angle, key layout, and fatigue, which often cause typos or slow mouse and typing. It takes a lot of time.

본 발명은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들은 대근육의 운동성보다 소근육의 운동성이 더 부족하여 키를 누르는 미세한 손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키의 크기를 기존 표준형 키보드의 키 크기보다 확대하였다. 키의 크기를 늘여 오 타율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키의 배열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빈도수로 배열하였다. 장애인들이 좀 더 편하고 그리고 많은 양의 작업을 할 때 피로를 줄이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음을 모으고 ROM범위를 줄여서 키보드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nd the brain lesion handicapped are more difficult to move the small muscles than the large muscles, so the fine hand movement of the key is diffic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rror rat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key. The array of keys is arranged by the frequency of use.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to work more comfortably and to do a lot of work, the most consonants are collected and the ROM range is reduced to make the keyboard easier to use.

또한 키보드 조작 시 장애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과 장애인들이 가장 편하게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키보드의 키를 누르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타이핑 시 프로그램 상에서 커서의 이동 속도를 늦춰 키를 누르고 있을 때 커서가 같은 글자가 반복되어 backspace키의 누르는 횟수를 줄이도록 하여 근육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keyboard is designed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use the keyboard most convenient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isability when operating the keyboard. Becaus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take longer to press the keys on the keyboard than non-disabled people, slowing down the movement of the cursor in the program during typing reduces the number of times the backspace key is pressed because the same letter is repeated when the key is pressed. This will reduce muscle fatigue.

기능키와 다른 키를 함께 사용 시 기능키에 push-on, push-off기능을 넣어 다른 키를 누르면서 기능키를 함께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었다. 일반 키보드의 경우 push-on, push-off기능이 Caps Lock, Number Lock 등 3개 밖에 되지 않는 것을 Ctrl, Shift, Tab, Caps Lock, Alt에 push-on, push-off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장애인들이 두개의 키보드를 동시에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When using a function key and other keys together, push-on and push-off functions are added to the function keys to eliminate the hassle of pressing the function keys together while pressing other keys. In case of general keyboard, there are only three push-on and push-off functions such as Caps Lock and Number Lock.By adding the push-on and push-off functions to Ctrl, Shift, Tab, Caps Lock and Alt,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keyboard at the same time.

일반 키보드의 경우 가로의 크기가 크기도 하고 오른쪽에 배치된 숫자 판이 있다. 이것을 보안하여 숫자 판은 없애고 그리고 세로의 크기를 키움으로써 키보드의 크기가 일반 컴퓨터에 비해 가로는 짧고 세로는 긴 키보드를 고안하였다.The average keyboard has a large horizontal block and a number plate on the right. By securing it, eliminating the number plate and increasing the vertical size, we devised a keyboard that is shorter in width and longer in length than a regular computer.

대학 교재 중 10장을 무작위 추출하여 모음과 자음의 빈도를 분석한 자음의 "ㅇ" 과 "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모음은 "ㅏ","l", "ㅡ" 순이다. 이를 토대로 사용빈도가 높은 것은 가운데에 배치를 하며 빈도가 낮은 것은 바깥쪽에 배치하였다. 이를 키 누름 시 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키 판의 배치는 도2와 같다. 이 발명은 기존의 일반 키보드와 같이 멤브레인식 키보드로 선택을 하였으나, 한글 위주의 키 배열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들은 근육의 운동성보다 소근육의 운동성이 더 부족하여 키를 누르는 미세한 손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키의 크기를 기존 키보드의 키 크기의 약 4배로 확대했다. 키의 수 또한 82개로 일반키보드의 109개나 그 이상의 개수보다 적게 했다. 자음의 된소리를 타이핑 할 시 기능키(Shift)를 눌러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키보드의 자판에 된소리를 따로 분리하고, 모음의 배열은 천지인 모델을 응용해 (ㅣ, , ,ㅡ) 키 배열로 하여 손의 활동범위를 최소화했다.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키보드의 키를 누르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타이핑 시 커서의 이동 속도를 늦춰 키를 누르고 있을 때 같은 글자가 반복되어 backspace키의 누르는 횟수를 줄이도록 했다. 기능키와 다른 키를 함께 사용 시 기능키에 push-on, push-off기능을 넣어 다른 키를 누르면서 기능키를 함께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앴다. 기능키의 push-on, push-off기능에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기 위해 좌측 측면에 lamp-on, lamp-off의 기능을 추가하였다.The most frequently used consonants "ㅇ" and "ㄱ"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vowels are "ㅏ", "l", and "ㅡ". Based on this, the high frequency of use is placed in the middle and the low frequency is placed outside. This is to minimize the moving distance of the hand when pressing the key. The arrangement of the key plates is shown in FIG.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membrane keyboard like the conventional keyboard, but based on Hangeul-based key arrangements. Because of this difficulty, the size of the keys has been expanded to about four times the size of the keys of existing keyboards. The number of keys is also 82, which is less than 109 or more of the general keyboard.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function key (Shift) when typing the consonant sound of the consonant, separate the sound from the keyboard's keyboard separately and apply the celestial model to the (ㅣ,,, ㅡ) key sequence. Minimize hand range. Becaus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take longer to press keys on the keyboard than non-disabled people, they slow down the movement of the cursor when typing, reducing the number of backspace key presses that occur when the key is pressed. When using a function key and other keys together, push-on and push-off functions are added to the function keys to eliminate the hassle of pressing the function keys together while pressing other keys. To add a visual effect to the push-on and push-off functions, the lamp-on and lamp-off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left side.

본 발명의 효과는 장애인과 장노년층의 신체 기능에 적합한 키보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장애인과 장노년층의 컴퓨터와 인터넷의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이 컴퓨터에 접근하기 쉽도록 키보드를 개조하여 장애인 정보통신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60대 이상의 노년층의 컴퓨터 접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keyboard suitable for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brain lesions to access the computer The keyboard is easily modified to facilitate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or the disabled, ultimately to clos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의 접근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과 장노년층의 정보화 사회에 참여, 교육복지와 사회복지를 위해 이들에게 적합한 정보접근 기기 특히 키보드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access device, especially a keyboard suitable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severely disabled and elderly people who are difficult to access the computer,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장애인과 장노년층은 이들이 가진 신체적 장애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활용하고 있는 정보 통신기기를 접근 하는 데에 큰 불편을 겪고 있어 장애인은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한 정보 접근의 기회와 범위에도 큰 제약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체적 장애를 보완하여 정보의 활용을 용이하게 해줄 있는 정보통신 제품은 장애인들에게 필수적이다.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 are experiencing great inconvenience in acces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that are used by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ies. Therefor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limited to the opportunities and scope of information acces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It is a reality. In these situatio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ducts that can supplement the physical disabilities and facilitate the use of information are essentia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발명은 양손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한 손으로 키를 누르거나 관절의 운동범위가 제한되어 손과 팔의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을 때, 좀 더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more convenient to use when both hands do not use both hands and when the key is pressed with one hand or the movement range of the joint is limited and there is difficulty in the movement of the hands and arms.

본 발명의 키보드는 인체공학적인 디자인 설계 및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한글의 자모음과 영어 자판의 배열하여 상지의 사용에 있어 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 및 근력이 약한 노인에게 타이핑 시 올 수 있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ergonomic design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frequency of Hangul consonants and English keyboard arrangements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brain lesions and the elderly with weakness in the use of the upper limbs. Minimize the fatigue that can come when typing.

Claims (3)

키보드의 자판을 배열함에 있어 한글 자음 "ㅇ"과 "ㄱ" 및 모음 "ㅏ", "l", 'ㅡ"를 자판의 가운데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A keyboard characterized by arranging the Korean consonants "ㅇ", "ㄱ" and the vowels "ㅏ", "l" and "ㅡ" in the center of the keyboard 키보드의 자판을 배열함에 있어 기능키인 "Shift", "Ctrl", "Alt" 키가 Push-On/Off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In the keyboard layout, the function keys "Shift", "Ctrl", and "Alt" keys have a Push-On / Off function. 제 2항에 있어서 기능키를 Push-On/Off 기능을 가짐에 있어 자판에 램프를 두어 키의 Push-On/Off에 따른 램프 On/Off로 키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The keyboar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unction key has a push-on / off function, and a lamp is placed on the keyboard to visually express the position of the key with the lamp on / off according to the push-on / off of the key.
KR1020050113901A 2005-11-27 2005-11-27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KR200700556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901A KR20070055667A (en) 2005-11-27 2005-11-27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901A KR20070055667A (en) 2005-11-27 2005-11-27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667A true KR20070055667A (en) 2007-05-31

Family

ID=3827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901A KR20070055667A (en) 2005-11-27 2005-11-27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6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ias et al. Half-QWERTY: A one-handed keyboard facilitating skill transfer from QWERTY
JPH07200121A (en) Keyboard with incorporated pointer and inclination device
Cecotti et al. A multimodal virtual keyboard using eye-tracking and hand gesture detection
KR20060038464A (en) Non-linear ergonomic keyboard
US20060257191A1 (en) Universal keyboard
Turpin et al. Evaluation of alternative computer input devices us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US6558056B2 (en) Barrier free computer keyboard
KR20070055667A (en) Keyboard for ol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JP4894032B2 (en) Character keyboard
Baker et al. Digit kinematics during typing with standard and ergonomic keyboard configurations
KR20130006861U (en) For the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o easily operate the keyboard
JPH04324516A (en) Handy keyboard
Trewin Physical disabilities
Trewin Physical impairment
JP3967531B2 (en) Data input device
CN101692186B (en) Four-section input method and keyboard layout thereof
Koch Fager Alternative access for adults who rely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JP2003536130A (en) Alphabet character input device
Nguyen et al. The uitk: Towards the designing a ubiquitous soft keyboard for disabled people
JP2003150299A (en) Input device with one-hand operation
Hobday The maltron keyboards
KR102065532B1 (en) Eye Recognition Key Board for Korean Alphabet Input
JPH0477331B2 (en)
EP2407857A2 (en) The method of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and the keyboard for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Kotzé et al. Accessible computer interac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