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281A -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281A
KR20070054281A KR1020050112105A KR20050112105A KR20070054281A KR 20070054281 A KR20070054281 A KR 20070054281A KR 1020050112105 A KR1020050112105 A KR 1020050112105A KR 20050112105 A KR20050112105 A KR 20050112105A KR 20070054281 A KR20070054281 A KR 20070054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refrigerator
corner
take
e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281A/ko
Publication of KR2007005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다양한 저장물이 취출 가능한 다수개의 취출코너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200,300)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400)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4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을 취출 가능한 다수의 취출코너(4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코너(422)는 상기 디스펜서(400)를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컵 또는 용기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지고 상기 도어(200,300)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디스펜서, 취출코너

Description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 Multi dispenser for refrigerator }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냉장실도어
220. 도어핸들 240. 홈바
242. 홈바도어 300. 냉동실도어
400. 디스펜서 420. 디스펜서베이스
422. 취출코너 424. 취출구
426. 공급수단 428. 작동스위치
440. 디스펜서커버 442. 출입구
444. 디스플레이 446. 조작버튼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에 다양한 저장물이 취출 가능한 다수개의 취출코너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이러한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냉매의 열교환작용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와 이러한 기호의 충족을 위해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구성의 냉장고 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양문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반적인 냉장고의 본체(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내측은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도시되지 않음)과 냉장실(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다수의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된다.
상기 개구된 본체(1)의 전면에는 각각 냉동실도어(10)와 냉장실도어(20)가 장착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0)와 냉장실도어(20)는 각각 상기 본체(1)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10)와 냉장실도어(20)의 전면 내측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0)와 냉장실도어(20)의 회동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도어핸들(30)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30)을 파지하여 외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냉동실도어(10) 및 냉장실도어(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도어(20)의 전면에는 홈바(40)가 형성된다. 상기 홈바(40)는 빈번하게 출입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 등을 상기 냉장실도어(20)의 개방 없이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 향상은 물론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전면에는 디스펜서(5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10)의 내부에 구비된 제빙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정수장치(도시되지 않 음)에서 제빙 및 정수된 얼음과 물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0)에 장착되는 디스펜서(50)의 형상은 디스펜서베이스(52)와 디스펜서커버(5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는 상기 디스펜서(50)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물컵과 같은 용기를 접근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냉동실도어(10)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의 함몰된 일측은 부분은 용기의 보다 용이한 접근을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의 상측에는 물 또는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로 공급될 수 있도록 취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의 상방에는 공급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상기 취출구를 통해서 물 또는 얼음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의 내측면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56)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버튼(56)은 상기 공급수단의 작동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 또는 파지하고 있는 용기를 이용하여 누르게 되면, 상기 공급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용기에 물 또는 얼음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작동버튼(56)은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버튼타입이 아닌 레버타입으로 형성되어 레버를 밀어줌에 따라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의 전방에는 디스펜서커버(54)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펜서커버(54)는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펜서(5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10)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커버(54)에는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를 노출시키기 위한 출입구(58)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58)는 상기 디스펜서베이스(52)와 작동버튼(56)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커버(54)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펜서(50)의 상태 또는 온도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60)와 상기 디스펜서(50)에 의해 취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62)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50)는 하나의 취출구에서 정수된 물과 얼음이 선택적으로 취출되도록 구성되므로, 물과 얼음을 따로 취출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취출구가 형성되지 않아 물과 얼음을 제외한 다른 음료의 취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펜서에 다양한 저장물이 취출 가능한 다수개의 취출코너가 구비되는 냉 장고의 멀티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멀티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에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을 취출 가능한 다수의 취출코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출코너는 상기 디스펜서를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컵 또는 용기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지고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에는 다양한 음료 및 얼음을 독립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취출코너 각각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상기 취출코너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에는 잠금기능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취출코너에서 동시에 다수의 음료 등을 취출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멀티 디스 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는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도시되지 않음)과 냉동실(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바구니와 선반 및 서랍들이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바구니와 선반 및 서랍들에 의해서 그 흐름이 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냉기의 대류가 제한 또는 조절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냉기공급의 차이로 인한 온도특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적합한 음식물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전면 즉,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전면은 각각 냉장실도어(200)와 냉동실도어(30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도어(200)와 냉동실도어(300)는 양 측단이 상기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도어(200)와 냉동실도어(300)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200)와 냉동실도어(300)의 전면 내측에는 도어핸들(220)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핸들(220)은 상기 냉장실도어(200)와 냉동실도어(300)의 회동시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전면에는 홈바(240)가 형성된다. 상기 홈바(240)는 빈번하게 출입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 등을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개방 없이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 향상은 물론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바(240)는 상기 냉장실도어(200)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관통형성하는 개구부(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242)로 구성되며, 상기 홈바도어(242)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후면에 형성된 홈바(240)의 선반이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홈바도어(242)의 선택적인 개방을 통해 빈번하게 출입되는 음료수 등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300)의 전면 대략 중앙부에는 디스펜서(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400)는 정수된 물과 얼음 등을 냉장고의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수된 물과 얼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음료들을 취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동실의 일측 또는/및 상기 냉동실도어의 내측에는 정수장치와 제빙장치 그리고, 다양한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수단들이 구비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400)의 외형은 크게 디스펜서베이스(420)와 디스펜서커버(44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는 상기 디스펜서(400)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300)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에는 가로방향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취출코너(422)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취출코너(422) 각각은 상기 냉동실도어(300)의 내측 즉, 후방을 향해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취출코너(422)는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함에 있어서, 컵이나 병과 같은 용기를 파지한 채로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를 보다 용이하게 접근시키기 위해서 상기 취출코너(422)는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취출코너(422)가 연속적으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취출코너(422)는 필요에 따라서 별도로 형성된 베리어에 의해 구획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422)는 서로 다른 음료 및 얼음 등을 취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컨데, 도 2 에서 볼 때 좌측 첫번째의 취출코너(422)에서는 얼음을 취출하고, 두번째 취출코너(422)에서는 정수된 물을 취출하며, 세번째 취출코너(422)에서는 음료수, 또는 생맥주를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추가의 취출코너(422)를 구성하여 슬러시, 아이스크림을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의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취출 코너(422)의 상부에는 각각의 취출구(424)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424)에는 해당 음료 또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426)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수단(426)은 별도로 구성된 제어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며, 각각의 코너에서 해당 음료가 동시에 취출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동시에 작동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상기 취출코너(422)의 상측에 구비된 각각의 공급수단(426)은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422)에서 음료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공급수단(426)의 위치는 상기 취출코너(422)의 상측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취출코너(422)에 위치한 용기로 음료 또는 얼음 등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422)의 일측에는 작동스위치(428)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스위치(428)는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422)에 구비된 해당 공급수단(426)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당 취출코너(422)에 구비된 공급수단(426)으로부터 음료가 공급된다.
상기 작동스위치(428)는 상기 취출코너(422)의 내측면에 버튼식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기를 파지한 채로 상기 작동스위치(428)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레버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에는 상기 디스펜서 (400)의 내부를 밝히는 전구와 물 또는 얼음을 공급하는 공급수단(426)를 개폐하는 모터, 솔레노이드밸브,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 등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의 함몰된 부분의 일부는 디스펜서커버(440)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디스펜서커버(440)는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의 전면을 차폐하여 상기 디스펜서(400)의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400)가 구비되는 상기 냉동실도어(300)의 전면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냉동실도어(300)가 이를 대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커버(440)에는 상기 디스펜서커버(440)를 관통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된 출입구(442)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442)는 상기 디스펜서커버(440)의 장착시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의 취출코너(4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용기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디스펜서커버(440)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에 구비된 대부분의 전기장치와 부품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되어지며,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컵 또는 병과 같은 용기를 가져가게 되는 취출코너(422) 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커버(440)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전체적인 상태와 상기 디스펜서(400)의 상태 및 취출코너(422)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상태 등을 도시하는 디스플레이(4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444)가 구비된 상기 디스펜서커버(440)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펜서(400) 또는 냉장고의 작동을 위한 조작버튼(446)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446)은 상기 다수개의 취출코너(422)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작버튼(44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취출코너(422)로부터 취출되는 음료의 양 또는/및 온도 등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버튼(446)은 다수개로 구획된 상기 취출코너(422)의 각각의 조작을 위해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422)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펜서커버(440)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취출코너(422)에 구비된 상기 조작버튼(446)의 조작으로 상기 취출코너(422)를 조작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버튼(446)은 잠금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조작버튼(446)이 눌러지게 되어 상기 취출코너(422)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조작버튼(446)의 조작으로 상기 작동스위치(428)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사용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상기 취출코너(422)에서의 음료 및 얼음의 취출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4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취출코너(422)에서 음료 및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버튼(446)을 조작하여 상기 취출코너(422)의 작 동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취출코너(422)의 작동조절로 사용자는 원하는 상태의 음료 및 얼음을 취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치 않는 상기 취출코너(422)의 동작을 제한하는 등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컵과 같은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베이스(420)의 취출코너(422) 중 원하는 음료에 해당하는 취출코너(422)에 가져간 후, 상기 작동스위치(428)를 누르게 되면, 해당 취출코너(422)에 구비된 공급수단(426)이 작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용기로 선택한 음료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때의 음료 또는/및 상기 디스펜서(400)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444)에 도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사용자는 상기 조작버튼(446)을 조작하여 이와 같은 상태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두가지 이상의 음료의 취출을 원하거나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음료의 취출을 원하게 되는 경우에는 각각 취출을 원하는 취출코너(422)에 용기를 가져간 후 작동스위치(428)를 눌러 상기 공급수단(426)으로부터 원하는 음료수를 공급받게 되며, 이때 상기 공급수단(426)은 상기 작동스위치(428)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얼음과 음료를 동시에 취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400)가 냉동실도어(300)에 구비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400)가 냉장실도어(20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에서는, 디스펜서베이스에 다수의 칸으로 구획된 다수의 취출코너가 구비되며, 이들 다수의 취출코너에는 각각 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음료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음료를 원하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들 공급수단은 각각의 취출코너에 구비되며, 동시에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복수의 음료 또는 얼음 등을 동시에 취출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기 다른 음료 또는 얼음 등을 동시에 취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코너가 다수개로 구획됨으로써 해당 코너에서 음료를 정확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용기를 가져갈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취출코너가 후측으로 소정곡률을 가지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음료용기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가져갈 수 있게 됨으로써 음료의 취출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취출코너들은 각각의 폭이 비교적 작게 됨으로써 도어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곡률 또한 완만하여 함몰 깊이가 비교적 작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펜서에 비해 함몰되는 깊이가 작아지게 되어 도어의 두께를 그만큼 작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냉장고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장고의 도어(200,300)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400)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4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을 취출 가능한 다수의 취출코너(42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코너(422)는,
    상기 디스펜서(400)를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컵 또는 용기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지고 상기 도어(200,300)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취출코너(422)에는,
    다양한 음료 및 얼음을 독립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426)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스위치(42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400)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취출코너(422) 각각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446)이 상기 취출코너(42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멀 티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446)에는 잠금기능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KR1020050112105A 2005-11-23 2005-11-23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KR20070054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105A KR20070054281A (ko) 2005-11-23 2005-11-23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105A KR20070054281A (ko) 2005-11-23 2005-11-23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281A true KR20070054281A (ko) 2007-05-29

Family

ID=3827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105A KR20070054281A (ko) 2005-11-23 2005-11-23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2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84Y1 (ko) * 2010-08-27 2011-05-31 김대광 음료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84Y1 (ko) * 2010-08-27 2011-05-31 김대광 음료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2145B1 (en) Refrigerator
US8656731B2 (en) Refrigerator
KR100488074B1 (ko) 냉장고의 도어구조
KR101584805B1 (ko) 냉장고
CN107270614B (zh) 冰箱
KR20150018962A (ko) 냉장고
KR20110112377A (ko) 냉장고
KR20060085985A (ko) 냉장고
US8650902B2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1828528B2 (en) Water dispenser
CN113330261B (zh) 具有安装在门上的流体分配器的冰箱
KR20100061185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09407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100688657B1 (ko) 착탈식 수납코너가 구비된 냉장고
KR20070054281A (ko)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KR20090099260A (ko) 냉장고
US8074466B2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door
US11578907B2 (en) Temperature-controlled drawer in a refrigerator
US20170059235A1 (en) Refrigerator drawer having french doors
KR20100001250A (ko) 냉장고의 서랍 장착 구조
KR101153136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 구조
KR100690201B1 (ko) 숙박시설용 냉장고
KR20060096534A (ko) 서브피시비가 구비된 냉장실도어
KR200389123Y1 (ko) 숙박시설용 냉장고
KR200387893Y1 (ko) 음료수 전용 저장실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