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399A - Air cond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399A
KR20070053399A KR1020050111142A KR20050111142A KR20070053399A KR 20070053399 A KR20070053399 A KR 20070053399A KR 1020050111142 A KR1020050111142 A KR 1020050111142A KR 20050111142 A KR20050111142 A KR 20050111142A KR 20070053399 A KR20070053399 A KR 2007005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cleaning unit
heat exchanger
ai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훈
방기석
송창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399A/en
Priority to PCT/KR2006/002007 priority patent/WO2007058418A2/en
Priority to TW095124332A priority patent/TWI306932B/en
Priority to EP06015596.7A priority patent/EP1788317B1/en
Priority to CN200610107583A priority patent/CN100588879C/en
Priority to US11/518,282 priority patent/US20070113527A1/en
Publication of KR2007005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3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2003/00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with primary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and subsequent secondary air treatment in air treatment units located in or near the rooms
    • F24F2003/0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with primary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and subsequent secondary air treatment in air treatment units located in or near the rooms with two air ducts for separately transporting treated hot and cold primary air from the central station to air treatment units located in or near the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공기 청정 유니트가 전열 교환기 등과 같은 다른 공기 조화 장치와 함께 연동 운전되도록 하고, 하나의 전열 교환기에 다수 개의 공기 청정 유니트가 연결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an air cleaning unit is interlocked with another air conditioning apparatus such as a heat exchanger, and a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are connectable to a single heat exchanger.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토출 그릴이 구비되는 디스차지 그릴과,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 유니트;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에 연결되는 전열 교환기; 상기 인스톨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와 상기 전열 교환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덕트 부재;가 포함된다.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grill having a discharge grill, a fan mounted therein to suck air, a filter for purifying the sucked air, and a suction por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An air cleaning unit including an installation case in which an exhaust port is formed; A total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And a duct memb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case to connect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heat exchang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환기 장치로부터 다수 개의 방으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ir purified from one ventilation device to the plurality of rooms is discharged.

전열 교환기, 공기 청정 유니트, 덕트 부재 Heat exchanger, air cleaning unit, duct member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ing unit.

도 3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의 수직 단면도.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ing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installation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실내 벽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interior wall.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환기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air cleaning unit ventilation mode stat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청정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a clean mode of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천정 부위를 통과하는 덕트부재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passing through the ceiling por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와 전열교환기가 연결된 모 습을 보여주는 시스템도.10 is a system diagram showing how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상기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system.

도 1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덕트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memb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각각의 실시예.13 to 15 are respective embodiments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1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공기 청정 유니트 11 : 프런트 커버10 air cleaning unit 11: front cover

12 : 커버 가이드 13 : 필터12: cover guide 13: filter

14 : 디스차지 그릴 15 : 팬14: discharge grill 15: pan

16 : 리어 패널 17 : 인스톨 케이스16: rear panel 17: installation case

18 : 인스톨 바 30 : 덕트 부재18: installation bar 30: duct member

31 : 급기 덕트 32 : 배기 덕트31: air supply duct 32: exhaust duct

40 : 전열 교환기 50 : 분배기40: heat exchanger 50: distributo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공기 청정 유니트가 전열 교환기 등과 같은 다른 공기 조화 장치와 함께 연동 운전되도록 하고, 하나의 전열 교환기에 다수 개의 공기 청정 유니트가 연결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an air cleaning unit is interlocked with another air conditioning apparatus such as a heat exchanger, and a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are connectable to a single heat exchange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실외 공기와 차단된 공간 내에서 생명체가 일정 시간 이상 호흡하는 경우, 실내에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이 많은 사람이 함께 머무는 공간이나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실내 공기를 수시로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 시스템이다. In general, when a living organism breath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pace that is blocked from outdoor air,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creases in the room, which interferes with the living breathing. Therefore, indoor space should be ventilated frequently in a space where many people stay together, such as an office, or in a narrow space such as a vehicle. At this time, a commonly used ventilation system.

상세히, 상기 환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실내 바닥에 설치되거나 천정 부위에 고정 장착되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이나 많은 사람이 머무는 공간에는 환기 시스템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detail, the ventilation system is generally a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indoor floor or fixedly mounted on the ceiling, such that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is required in a space where the circulation of indoor air is not smooth or a space where many people stay.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환기 시스템의 경우 단순한 실내 공기 정화를 위한 청정 장치 또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순환을 위한 환기 장치만이 설치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현저한 겨울철에 환기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실내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난방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general ventilation system, only a clean device for cleaning indoor air or a ventilation device for circulation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is installed. In other words,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operated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s remark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heat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lowered.

뿐만 아니라, 환기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구획된 각각의 실내 공간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에어컨 또는 온풍기와 같은 별도의 공조 장치를 부가로 작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air condition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 heater is additionally operated in ord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of each indoor space partitioned while the ventilation device is operated.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환기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수 개의 구획된 실내 공간으로 퍼지도록 하여야 하므로, 용적 대비 환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the air discharged from one ventilation device is to be spread 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he ventilation efficiency is inferior to the volume.

또한, 한 건물 내에 다수 개의 방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각 방의 실내 환경이 별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환기 장치 또는 냉방 장치 등이 각각의 실내에 비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방에는 냉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다른 방에는 환기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하는 등과 같이, 각각의 실내 공간이 서로 다른 공조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oms in a building in order to maintain the indoor environment of each room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or cooling device, etc. must be provided in each room. In other word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ach indoor space is maintained in a different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such as to maintain a cooling state in one room and to perform only a ventilation function in another roo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환기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수 개의 구획된 실내 공간으로 퍼지도록 하여 용적 대비 환기 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one ventilation device is sprea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ed indoor spaces, thereby increasing the ventilation efficiency relative to the volume. It is done.

또한, 한 건물 내에 다수 개의 방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각 방의 실내 환경이 별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indoor environment of each room is maintained separately when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oms in a building.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토출 그릴이 구비되는 디스차지 그릴과,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 유니트;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에 연결되는 전열 교환기; 상기 인스톨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와 상기 전열 교환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덕트 부재;가 포함된다.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scharge grill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grill, a fan mounted therein to suck air, a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 the discharge An air cleaning uni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rill and including an installation cas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 total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And a duct memb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case to connect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heat exchang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환기 장치로부터 다수 개의 방으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ir purified from one ventilation device to the plurality of rooms is dischar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의 수직 단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ing unit, and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ing uni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대략 중앙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11)와, 상기 프런트 커버(11)가 안착되는 커버 가이드(12)와, 상기 커버 가이드(12)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장착되며 측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디스차지 그릴(14)과,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하측에 적층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고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13)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하측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19)와,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트롤 패널(21)과,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측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부재(2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박스(19) 내부에는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PCB 기판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21)의 배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PCB 기판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벽면과 천정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장착되는 경우, 벽면에 의하여 가려지는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구 부분은 상기 차폐 부재(23)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구 중 전면 및 일측면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된다.1 to 3, the air clean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11 having an air inle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cover guide 12 on which the front cover 11 is seated, In addition, the cover guide 12 is mounted by a sliding method, and the discharge grill 14 having an air outlet is formed on the side,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sucked up by being stacked below the discharge grill 14. A filter 13 for filtering and removing odors, a control box 19 coupled to a lower edge of the discharge grill 14, and a control panel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guide 12. 21 and a shielding member 23 for selectively shielding a discharge po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e 14. In detail, the control box 19 has a main PCB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unit 10. In addition, a display PCB substrate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leaning unit 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21. In addition, whe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mounted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wall surface and the ceiling meet, the discharge port portion of the discharge grille 14 covered by the wall surface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23.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and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grill 14.

또한,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상기 필터(13)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팬(15)과,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팬(15)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쉬라우드(145)와,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20)와, 상기 팬모터(20)가 장착되며 일측면에 배기 덕트 및 급기 덕트가 연결되는 리어 패널(16)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13 and the fan 15 for sucking indoor air or outdoor ai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14, the A shroud 145 for guiding the flow of indoor or outdoor air sucked by the fan 15, a fan motor 20 for driving the fan, and the fan motor 20 are mounted, and an exhaust duct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a rear panel 16 to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connected.

또한,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측에 결합되어 리어 패널(16)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베이스 패널(22)과, 상기 리어 패널(16)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 덕트 및 급기 덕트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인스톨 케이스(17)와,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 패널(16)이 벽면 또는 천정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인스톨 바(18)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panel 16 to the base panel 22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ear panel 16,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panel 16 An installation case 17 for easily coupling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supply duct and a detachable coupling to an upper side of the rear panel 16 to easily mount the rear panel 16 to a wall or a ceiling. An installation bar 18 is included.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천정에 장착된 것을 기본 실시예로 하여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unit 10 mounted on the ceiling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천정에 부착된 경우 상기 프런트 커버(11)가 바닥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 청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팬(15)을 구동하는 팬모터(20)가 작동하여 상기 팬(15)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15)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프런트 커버(11)에 구비된 실내 흡기구(111)를 통하여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팬(15)은 공기가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원심팬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쉬라우드(145)를 통하여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부면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부면으로 이동된 공기는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측면에 형성된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First, whe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attached to the ceiling, the front cover 11 faces the bottom. When the air cleaning mode is selected in this state, the fan motor 20 driving the fan 15 is operated to rotate the fan 15. As the fan 15 rotates, indoor air flows through the indoor air intake port 111 provided in the front cover 11. Here, the fan 15 is preferably a centrifugal fan in which air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n, the sucked indoor air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3, and is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14 through the shroud 145. In addition, the air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14 is guided by the air guide 144, and is discharged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41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14 .

한편, 사용자가 환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 그릴(148)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 청정 유니트(10)와 연결된 배기 덕트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에 연결된 급기 덕트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한 다음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에 형성된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ventilation mode,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exhaust grill 148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14, and flows to the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10. In addition, out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10, and the introduced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13 and then discharges the discharge grill 141 formed in the discharge grill 14. Through the room.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 시도이다.Figure 4 is a trial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17)는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와 연결되는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17)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절곡되는 면에 안착된다.Referring to FIG. 4, the installation case 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when the intake duct and the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10 are formed through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ase 17 is seated on the bent surface of the rear panel 16.

상세히,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양측 상부면에는 상기 인스톨 바(18)의 단부가 안착되기 위한 인스톨바 안착면(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가장자리에는 각종 전기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 관통홀(1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전면에는 흡기구(173)와 배기구(172)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구(173)와 배기구(172)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 : 도 8 참조)와 배기구(162 : 도 8 참조)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와 배기구(162) 테두리부에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161 : 도 8 참조)가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흡기구(173)와 배기구(172) 외주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 또는 배기구(162)를 통하여 유입/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161)에 의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In detail, both side upper surfaces of the installation case 17 ar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bar seating surface 171 for mounting the end of the installation bar 18. In addition, a wiring through hole 174 through which various electrical wires pass is formed at an edge of the installation case 17. In addition, an inlet port 173 and an exhaust port 172 ar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case 17, and the inlet port 173 and the exhaust port 172 are inlet ports 163 of the rear panel 16 (see FIG. 8). And the exhaust port 162 (see Fig. 8) are in close contact. The guide ribs 161 (see FIG. 8)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 163 and the exhaust port 162 of the rear panel 16 ar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inlet port 173 and the exhaust port 172 of the installation case 17. Is fitted on. Therefore, the air flowing in / out through the inlet 163 or the exhaust port 162 of the rear panel 16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the guide rib 161.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27)는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천정에 형성되는 경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installation case 2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duct and the exhaust duct is mounted when the ceiling is formed.

상세히, 상기 인스톨 케이스(27)는 상측면과 전면부에 형성되는 흡기구(273) 및 배기구(272)와, 상측면 양 가장자리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인스톨 바(18)가 안착되도록 하는 인스톨바 안착면(271)과, 상기 인스톨바 안착면(271)의 후단에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인스톨바 삽입홀(271a)이 포함된다.In detail, the installation case 27 includes an inlet port 273 and an exhaust port 272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front side, and an installation bar seated to recess the installation bar 18 to a predetermined depth at both edges of the upper side. A surface 271 and an installation bar insertion hole 271a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bar seating surface 271 are included.

더욱 상세히, 상기 인스톨바 삽입홀(271a)에는 상기 인스톨바(18)의 절곡되는 부분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27)의 전면에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 및 배기구(162)에 결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bent portion of the install bar 18 is inserted into the install bar insertion hole 271a. In addition,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or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case 27 are coupled to the intake port 163 and the exhaust port 162 of the rear panel 16.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실내 벽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interior wall surface.

도 6을 참조하면,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로 이루어지는 덕트 부재가 실내 벽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17)가 적용된다. 즉, 인스톨 바(18)가 결합된 인스톨 케이스(17)의 흡기구(173)와 배기구(172)가 각각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에 연결되도록 실내 벽면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인스톨 바(18)의 체결홀(184)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천정에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와 인스톨 바(18)의 조립체가 실내 벽면 및 천정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상기 인스톨 케이스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인스톨 바(18)는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리어 패널(16)에 형성된 인스톨 바 장착 구조에 체결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duct member consisting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wall surface, an installation case 17 in which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ort ar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applied. That is, the inlet port 173 and the exhaust port 172 of the installation case 17 to which the installation bar 18 is coupled are attached to the indoor wall surfac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take duct and the exhaust duc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184 of the installation bar 18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so that the assembly of the installation case 17 and the installation bar 18 is fixedly mounted on the indoor wall and the ceiling. . The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be coupled to the installation case assembly. Then, the installation bar 18 is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bar mounting structure formed on the rear panel 16 of the air cleaning unit 10.

상기와 같은 조립 순서에 의하여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덕트 부재와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되어 환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급기 덕트(31)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배기 그릴(148)을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32)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벽면 모서리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삼면을 통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and the power is applied and the ventilation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assembly sequence as described abov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unit 10 through the air supply duct 31. . Then, the discharge grille 14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rille 141. In addition,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exhaust grill 148 of the discharge grill 1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32. When the air cleaning unit 10 i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wall, out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ree surfaces of the discharge grille 14.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와 인스톨 바(18)로 이루어지는 인스톨 케이스 조립체는 건물 시공시에 덕트 부재와 연결되도록 벽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에 구비된 실외 공기 흡입구와 실내 공기 토출구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연결되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ase assembly consisting of the installation case 17 and the installation bar 18 can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An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outdoor air intake port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air cleaning unit 10, i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room.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환기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in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ntilation mode.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스톨 케이스의 흡기구(173)에는 급기 덕트(31)가 연결되고, 배기구(172)에는 배기 덕트(32)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7, as described above, an air supply duct 31 is connected to an inlet 173 of the installation case, and an exhaust duct 32 is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172.

상세히, 상기 급기 덕트(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를 통하여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실내 흡기구(1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환기와 청정이 동시에 수행되며, 흡기구(111)가 밀폐되는 경우 환기만이 수행된다. 이는 상기 프런트 패널(112)이 고정 장착되는 경우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 따 라 결정된다.In detail,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31 is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unit 10 through the inlet 163 of the rear panel 16. 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indoor air intake port 111 of the front cover 11 is opened, ventilation and cleaning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When the air intake port 111 is closed, only ventilation is performed. Thi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se in which the front panel 112 is fixedly mounted or selectively coupled to open and close.

더욱 상세히, 상기 흡기구(163)를 통하여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저면에 적층되는 필터(13)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상기 팬(15)의 작용에 의하여, 흡입된 실외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퍼지게 된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공기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에 형성된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상기 토출 그릴(141)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실내로 토출된다.In more detail,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63 ri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13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e 14 to filter foreign matter. In addition, by the action of the fan 15 which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ucked outdoor air is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sprea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oved toward the discharge grill 141 by the air guide 144 formed in the discharge grill 14. Then, it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41 and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room.

한편, 상기 급기 덕트(31)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동안 상기 배기 덕트(32)를 통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Meanwhile, while the out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31, the indoor air contaminated through the exhaust duct 3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청정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a clean mode of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청정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실내 흡기구(111)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clean mode is selected,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door intake port 111. In addition, the suctioned indoor air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3 and then discharged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41 of the discharge grill 14.

한편, 청정 모드가 선택되면 먼저 상기 급기 덕트(31)와 연결된 흡기구(173)는 차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 mode is selected, the inlet 173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31 may be shielded.

상세히, 청정 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팬(15)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배기 그릴(148) 쪽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일은 없으므로, 상기 배기구(172)측에 별도의 차단 부재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기 흡기구(173)는 상기 필터(13)와 연통되므로, 상기 실내 흡기구(111)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실외 공기도 함께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In detail, since the clean mode is selected and the fan 15 is rotated, air is not sucked toward the exhaust grill 148,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blocking member on the exhaust port 172 side. However, since the intake port 173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13,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utdoor air is also sucked together when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door intake port 111.

따라서, 청정 모드에서 상기 급기 덕트(31)와 연결되는 흡입구(173)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순수한 청정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구(173)가 특정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Thus, in order to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rough the inlet 173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31 in the clean mode and to perform only a pure clean function, the inlet 173 is sel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a specific mod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open and close may be provided.

한편, 청정 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팬(15)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상기 오리피스(143)를 관통하여 팬(15)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15)에 도달한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144)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of the air in more detail in the clean mode, first,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door intake port 111 by the drive of the fan (15). The sucked indoor ai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3, and passes through the orifice 143 to reach the fan 15. Then, the air reaching the fan 15 is disper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uided by the air guide 144 is discharged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41.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가 천정 부위를 통과하는 덕트부재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passing through the ceiling portion.

도 9를 참조하면, 천정을 지나는 덕트 부재(30)에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5에서 제시된 천정 연결용 인스톨 케이스(27)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27)의 상측에 형성되는 흡기구(273)는 상기 급기 덕트(31)의 저면에 분지되는 급기 분지 덕트(3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27)의 배기구(273)는 상기 배기 덕트(32)의 저면에 분지되는 배기 분지 덕트(321)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톨 케이스(27)의 흡배기구는 상기 덕트 부재(30)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덕트와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의 단부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세히, 상기 덕트 부재(30)에 다수 개의 공기 청정 유니트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분지 덕트가 공기 청정 유니트에 연결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덕트 부재(30)에 하나의 공기 청정 유니트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덕트 부재(30)의 단부가 직접 공기 청정 유니트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9, in order to connect the air cleaning unit 10 to the duct member 30 passing through the ceiling, the installation case 27 for ceiling connection shown in FIG. 5 is mounted. The inlet port 273 formed on the installation case 27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branch duct 311 bran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duct 31. In addition, an exhaust port 273 of the installation case 27 is connected to an exhaust branch duct 321 bran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exhaust duct 32. Here, the intake and exhaust of the installation case 27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duct branched from the duct member 30, it is noted that the end of the air supply duct 31 and the exhaust duct 32 may be directly connected. In detail, when a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are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30, each branch duct is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On the other hand, when one air clea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30, the end of the duct member 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와 전열교환기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고, 도 11은 상기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FIG. 10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cleaning unit and a total heat exchanger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in the system.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덕트 부재(30)에 의하여 전열 교환기(4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환기 또는 청정 기능과 함께 전열 교환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10 and 11, the air clean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r 40 by the duct member 30, so that the total heat exchange func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ventilation or clean function. can do.

상세히, 상기 흡기 덕트(31) 및 배기 덕트(32)의 일단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열 교환기(30)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열 교환기(30)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열교환되도록 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실내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높은 상태인 경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실내 온도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차를 좁혀서 실내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막을 수 있다.In detail, one end of the intake duct 31 and the exhaust duct 32 is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1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r (30). Here, the heat exchanger (30) allow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exchange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room temperature from dropping or increasing rapidly b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at is,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to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thereby narrow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thereby rapidly changing the indoor temperature. You can stop it.

또한, 상기 흡기 덕트(31)의 타단에는 급기 연결관(33)이 연결되고, 배기 덕트(31)의 타단에는 배기 연결관(34)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 연결관(33) 및 배기 연결관(34)은 상기 전열 교환기(40)에 연결된다.In addition, an air supply connecting pipe 3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ake duct 31, and an exhaust connecting pipe 3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duct 31. In addition, the air supply connection pipe 33 and the exhaust connection pipe 34 ar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한편, 상기 전열 교환기(40)는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 흡입구(42)와, 상기 배기 흡입구(4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급기 토출구(43)와, 상기 배기 흡입구(42)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기 토출구(44)와, 상기 급기 토출구(43)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급기 흡입구(45) 및 전열 교환 소자(41)가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40 is opposed to the exhaust inlet port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air supply discharge port 43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inlet port 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xhaust inlet port 42 An exhaust discharge port 44 formed at a position, an air supply suction port 45 formed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air supply discharge port 43, and a heat exchange element 41 are included.

또한, 상기 배기 흡입구(42)와 배기 토출구(44)를 연결하는 관로 내부에 장착되는 배기팬(47)과, 상기 급기 흡입구(45)와 급기 토출구(43)를 연결하는 관로 내부에 장착되는 급기팬(46)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n exhaust fan 47 mounted inside the conduit connecting the exhaust inlet 42 and the exhaust outlet 44, and an air supply mounted inside the conduit connecting the air supply inlet 45 and the air supply outlet 43 The fan 46 is further included.

상세히, 상기 배기 흡입구(42)는 상기 급기 토출구(43)와 동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 토출구(44)는 급기 흡입구(45)와 동일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흡입구(42)와 급기 토출구(43)의 위치 또는 상기 배기 토출구(44)와 급기 흡입구(45)의 위치는 전열 교환기(4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detail, the exhaust inlet 42 is formed on the same side as the air supply outlet 43, and the exhaust outlet 44 is formed on the same side as the air supply inlet 45. The position of the exhaust inlet 42 and the air supply outlet 43 or the positions of the exhaust outlet 44 and the air supply inlet 45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40.

더욱 상세히, 상기 배기 흡입구(42)는 상기 배기 연결관(34)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 토출구(43)는 상기 급기 연결관(33)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로 실외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exhaust inlet 42 is connected to the exhaust connection pipe 34 so that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ing unit 10 flows. In addition, the air supply outlet 43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nection pipe 33 so that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air cleaning unit 10.

또한, 상기 배기팬(47)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배기 흡입구(42)를 통하여 전열 교환기(40)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 토출구(44)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팬(46)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급기 흡입구(45)로 흡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급기 토출구(43)를 통하여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흡입구(42)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상기 급기 흡입구(45)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전열 교환 소자(4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exhaust fan 47 is operate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exhaust inlet 4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outlet 44. When the air supply fan 46 is operated, outdoor air sucked into the air supply inlet 45 is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unit 10 through the air supply outlet 43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In addition,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intake port 42 and the outdoor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pply intake port 45 exchange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othermal exchange element 41.

또한, 상기 급기 토출구(43)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148)을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32)와 상기 배기 흡입구(42)를 통하여 전열 교환기(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토출구(44)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In addition,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unit 10 through the air supply discharge port 43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3, and the discharge grill 141 of the discharge grill 14 is removed. It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In addition,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exhaust grill 148 is introduced into the total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exhaust duct 32 and the exhaust suction port 42. The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ischarge port 44.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환기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함께 구동하게 된다.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ventilation mode,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are driven together.

상세히, 환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내부에 장착된 팬(15)과 상기 전열 교환기(40)의 내부에 장착된 급기팬(46) 및 배기팬(47)이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팬(46)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급기 덕트(31)를 따라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팬 (15)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팬(47)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기 그릴(138)을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32)를 통하여 상기 전열 교환기(4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 교환기(40) 내부에서는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기 전열 교환 소자(4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게 된다. In detail, when the ventilation mode is selected, the fan 15 mounted inside the air cleaning unit 10 and the air supply fan 46 and the exhaust fan 47 mounted inside the heat exchanger 40 are driven. . In addition, outdoor air sucked by the air supply fan 46 is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unit 10 along the air supply duct 31. In addition, the outdoor air sucked by the driving of the fan 15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3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41. In addition,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exhaust grill 138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ing unit 10 by the driving of the exhaust fan 47. In addition, the suck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exhaust duct 32. In the electrothermal heat exchanger 40, indoor air and outdoor air sucked in exchange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othermal heat exchange element 41.

도 1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덕트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memb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부재(30)는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급기 덕트(31)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32)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duct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supply duct 31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in, and an exhaust duct 32 through which indoor air is discharged.

상세히, 상기 덕트 부재(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일직선 형태의 직선관(312,322))과,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는 엘보우(313,323)와, 상기 직선관(312,322))과 직선관(312,322)) 또는 엘보우(313,323)를 연결하는 동형 커넥터(301) 및 상기 직선관(312,322)) 또는 엘보우(313,323)와 전열 교환기(40)를 연결하는 이형 커넥터(314,32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부재(30)는 행어(302)에 의하여 천정 부위에 지지된다.In detail, the duct member 30 includes a straight straight tube 312 and 3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lbows 313 and 323 that ar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straight pipes 312 and 322 and a straight tube 312 and 322. Or a homogeneous connector 301 connecting the elbows 313 and 323 and a release connector 314 and 324 connecting the straight pipes 312 and 322) or the elbows 313 and 323 to the heat exchanger 40. The duct member 30 is supported by the hanger 302 on the ceiling por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보우(313,323)는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일직선 상에 위치되지 아니하여 덕트 부재(30)의 방향을 전환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이형 커넥터(313,323)는 일측 단부는 상기 직선관(312,322)) 또는 엘보우(313,323)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전열 교 환기(40)의 흡배기구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As shown, the elbows 313 and 323 are used when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are not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to redirect the duct member 30. And, one end of the release connector (313,323) forms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straight pipe (312,322) or elbow (313,323), the other end has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mechanism of the heat exchanger (40). Achieve.

또한, 상기 엘보우(313,323)와 상기 커넥터(301,323)의 단면 크기는 상기 직선관(312,322))의 단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직선관(312,322))이 상기 엘보우(313,323)와 또는 상기 커넥터(301,323)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덕트 부재(30)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덕트 연결 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elbow (313, 323) and the connector (301, 323)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straight pipe (312, 322), so that the straight pipe (312, 322) and the elbow (313, 323) or the connector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301,323)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fore, the phenomenon that the ai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uct member 30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ct connecting portion is prevented.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각각의 실시예이다.13 to 15 are respective embodiments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덕트 부재(30)에 의하여 전열 교환기(40)와 연결되며,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동일한 실내 공간 또는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전열 교환기(40)는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면에 부착되어, 실외 공기가 직접 전열 교환기(4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은 건물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덕트 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덕트 부재(30)를 구성하는 직선관(312) 또는 엘보우(313) 등을 적절히 배열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air clean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by the duct member 30, and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are the same indoor space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in other interior spaces. In other words, the heat exchanger 40 is attached to the wall partitioning the indoor and outdoor, so that the outdoor air flows directly into the heat exchanger 40. Whe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air cleaning unit 10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duct member 30. And the linear pipe 312, the elbow 313, etc. which comprise the said duct member 30 are arrange | positioned suitab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aid air cleaning unit 10.

또한, 상기 전열 교환기(40)에 연결되는 덕트 부재(30)가 실내 벽면을 관통하는 경우, 흡입구와 배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17)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측면에 장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duct member 30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penetrates the interior wall surface, an installation case 17 having inlet and exhaust port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air cleaning unit 10. Be sure to

또한,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실내 벽면을 관통하는 덕트 부재(30)의 위치에 따라 토출 그릴(141)이 형성되는 일측면이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거나, 벽면에 가까이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leaning unit 10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14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r close to the wall surf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uct member 30 penetrating the indoor wall surface. have.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덕트 부재(30)의 배열 방식에 따라 하나의 전열 교환기에 다수 개가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14, the air cleaning unit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can be mounted to one electrothermal exchang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duct member (30).

상세히, 상기 덕트 부재(30)는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는 직선관(312) 및 엘보우(313)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의 단부에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 덕트(31)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급기 분지 덕트(311)가 분지되고, 상기 배기 덕트(32)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배기 분지 덕트(321)가 분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 분지 덕트(311)와 배기 분지 덕트(321)의 단부에도 별도의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되며, 각각의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각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uct member 30 includes an air supply duct 31 and an exhaust duct 32, and the air supply duct 31 and the exhaust duct 32 are connected by a straight pipe 312, an elbow 313, or the like. do. The air cleaning unit 10 is connected to ends of the air supply duct 31 and the exhaust duct 32. The air supply branch duct 311 is branched from the air supply duct 31 upwardly or downwardly, and the exhaust branch duct 321 is branched upwardly or downwardly from the exhaust duct 32. In addition, separate air cleaning units 10 may be connected to ends of the air supply branch duct 311 and the exhaust branch duct 321, and each air cleaning unit 10 may be installed in each indoor space. .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유니트(10)는 덕트 부재(30)가 실내 공간에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다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5, the air clean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member 30 is insta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nner in which it is connected to the indoor space.

상세히, 하나의 덕트 부재(30)가 어느 실내 공간에는 천정 부위를 지나가고 다른 실내 공간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경우, 공기 청정 유니트(10)에 장착되는 인스톨 케이스의 종류를 달리하여 공기 청정 유니트(10)를 설치할 수 있다.In detail, when one duct member 30 passes through a ceiling portion in one indoor space and penetrates a wall surface in another indoor space, the air cleaning unit 10 may be changed by different types of installation cases mounted on the air cleaning unit 10. Can be installed.

더욱 상세히, 덕트 부재(30)가 천정 부위를 통과하면서 하측으로 급기 분지 덕트(311)와 배기 분지 덕트(321)가 연장되는 경우, 천정용 인스톨 케이스(27)가 장착된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실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덕트 부재(30)를 구성하는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의 단부가 다른 실내 공간의 벽면을 관통하는 경우, 벽면용 인스톨 케이스(17)가 장착된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실내 벽면에 설치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air supply branch duct 311 and the exhaust branch duct 321 extend downward while the duct member 30 passes through the ceiling portion, the air cleaning unit 10 equipped with the ceiling installation case 27 is installed. Is installed indoors. When the air supply duct 31 constituting the duct member 30 and the end of the exhaust duct 32 penetrate the wall surface of the other interior space, the air cleaning unit 10 to which the wall case installation case 17 is mounted.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wall.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덕트 부재(30)에 천정 연결 방식의 공기 청정 유니트(10)와 벽면 연결 방식의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장착 가능함은 물론, 상기 도1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로부터 별도의 덕트 부재가 더 연장되어, 건물 내에 구획되는 실내 공간의 수 만큼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air cleaning unit 10 of the ceiling connection method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of the wall connection method may be mounted on one duct member 30, as shown in FIG. 14. 31 and a separate duct member from the exhaust duct 32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air cleaning unit 10 can be connected by the number of interior spaces partitioned in the building.

도 1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하나의 전열 교환기(40)에 다수 개의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되는 방식의 하나로서, 전열 교환기(40)로부터 연장되는 급기 덕트(31)와 배기 덕트(32)의 단부에 분배기(5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one of the methods in which a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10 are connected to one heat exchanger 40 includes a supply air duct 31 and an exhaust duct 32 extending from the heat exchanger 40. Dispenser 50 may be installed at the end.

상세히, 상기 분배기(50)로부터 다수 개의 덕트 부재(30)가 분배되도록 하고, 분배되는 덕트 부재(30)의 단부에 공기 청정 유니트(10)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분배기(50)가 설치됨으로써, 연결이 요구되는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수 만큼 덕트 부재(30)가 분배되면 덕트 부재(30)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덕트가 필요 없게 된다. In detail, the plurality of duct members 30 are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or 5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uct member 30 to be distributed. By installing the distributor 5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ct member 30 is distribut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air cleaning units 10 required to be connected, there is no need for the branch duct branched from the duct member 30.

도 1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를 기본으로 하고,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의 연결 구간에 가습기(60)와 같은 부가적인 장치가 더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otal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and the humidifier 6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Additional devices such as) may be further connected.

상세히, 상기 전열 교환기(40)와 공기 청정 유니트(10)를 연결하는 덕트 부재(30)의 일 지점에 상기 가습기(60)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가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humidifier 60 is connected to one point of the duct member 30 that connects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air cleaning unit 10, so that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maintains an appropriate humidity. have.

더욱 상세히, 상기 전열 교환기(40)에 연결되는 급기 덕트(31)의 중간에 상기 가습기(60)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10)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설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봄철과 같이 공기가 다소 건조하여 실내 습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가습기(60)가 급기 덕트(31) 중간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습도가 항상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가습 장치가 실내 공간마다 가각 비치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umidifier 6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air supply duct 31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so th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unit 10 maintains the set humidity. . In other words,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door humidity by air drying somewhat, such as spring, the humidifier 6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31 in the middle. Therefore, since the humidity of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is alway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humidifier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for each indoor space.

뿐만 아니라, 목적에 따라 상기 가습기(60) 이외에 히터 또는 에어컨이 연결되도록 하여, 겨울철에는 실외 공기가 실내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여름철에는 실외 공기가 실내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저하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열손실 또는 냉기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 heater or an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the humidifier 60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so that the outdoor air is heated to a temperature close to the room temperature in winter,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or the outdoor air is close to the room temperature in the summer. It can be lower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Therefore, heat loss or cold air loss can be minimized in the circulation process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하여, 하나의 환기 장치로부터 다수 개의 방으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urified air from one ventilation device to the plurality of rooms is discharged.

또한, 공기 청정 유니트가 전열 교환기와 함께 연동 운전 가능하게 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적어지게 되므로,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 손실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leaning uni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discharged indoor air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oling or heating loss of the room.

또한, 전열 교환기와 공기 청정 유니트를 연결하는 덕트의 분배 형태 또는 덕트의 형상에 따라 다수 개의 공기 청정 유니트가 연결 가능하게 되므로, 하나의 전열 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다수 개의 공기 청정 유니트를 통하여 각각의 구획된 실내 공간에 분포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form of the duct connect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air cleaning unit or the shape of the duc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ne heat exchanger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There is an effect distributed in the partitioned interior space.

또한, 전열 교환기와 공기 청정 유니트의 연결 구간에 히터 또는 가습기 등이 설치될 수 있어, 환기 및 청정뿐 아니라 가습 기능 또는 온풍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heater or a humidifier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air cleaning unit, so that the humidification function or the warm air func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as well as ventilation and cleaning.

Claims (9)

토출 그릴이 구비되는 디스차지 그릴과,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 유니트;A discharge grill having a discharge grill, a fan mounted therein to suck air, a filter for purifying the sucked air, and an installation cas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and having an inlet and an exhaust port formed therein; Air cleaning unit;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에 연결되는 전열 교환기;A total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air cleaning unit; 상기 인스톨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와 상기 전열 교환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덕트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And a duct memb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case to allow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heat exchanger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 부재는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급기 덕트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가 포함되고,The duct member includes an air supply duct for sucking outdoor air, and an exhaust duct for discharging indoor air, 상기 급기 덕트 및/또는 배기 덕트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선관과, 상기 직선관에 연결되의 관로의 방향을 전환하는 엘보우와, 다수 개의 직선관 및/또는 엘보우를 연결하는 동형 커넥터와, 상기 직선관 또는 엘보우와 전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이형 커넥터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air supply duct and / or the exhaust duct may include a straight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 elbow for changing a direction of a pipe connected to the straight pipe, a same type connect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raight pipes and / or elbows,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includes a release connector that connects a straight tube or elbow to a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 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덕트 부재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덕트의 단부가 천정 부위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상측면에 형 성되는 인스톨 케이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If the end of the duct member or the end of the branch duct branching from one point of the duct member is connected to the ceiling por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case in which the inlet and exhaust port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 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덕트 부재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덕트의 단부가 벽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And an installation case in which an inlet and an exhaust port ar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an end of the duct member or an end of a branching duct branched from one point of the duct member is connected to the wall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 부재의 단부가 실내 벽면에 연결되고, 덕트 부재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덕트의 단부가 천정에 연결되며, 상기 덕트 부재의 단부와 분지 덕트의 단부에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The end of the duct member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wall surface, the end of the branch duct branched from one point of the duct member is connected to the ceiling, and the air clea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uct member and the end of the branch duct, respectively Featuring air condition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열 교환기와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가 서로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And the electrothermal heat exchanger and the air cleaning unit are installed in separate spa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와 상기 전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덕트 부재 사이에 가습기가 개입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기 조화 시스템.And a humidifier is interposed between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duct member connecting the heat exchanger, so that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is controll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열 교환기에 연결되는 덕트 부재의 단부에 분배기가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분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 부재에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A distributor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duct member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the air cleaning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duct member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청정 유니트와 상기 전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덕트 부재 사이에 히터 또는 에어컨이 개입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A heater or an air conditioner is interposed between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duct member connecting the electrothermal heat exchang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is controlled.
KR1020050111142A 2005-11-21 2005-11-21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70053399A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42A KR20070053399A (en) 2005-11-21 2005-11-21 Air conditioning system
PCT/KR2006/002007 WO2007058418A2 (en) 2005-11-21 2006-05-26 Air conditioning system
TW095124332A TWI306932B (en) 2005-11-21 2006-07-04 Air conditioning system
EP06015596.7A EP1788317B1 (en) 2005-11-21 2006-07-26 Air conditioning system
CN200610107583A CN100588879C (en) 2005-11-21 2006-07-27 Air conditioning system
US11/518,282 US20070113527A1 (en) 2005-11-21 2006-09-11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42A KR20070053399A (en) 2005-11-21 2005-11-21 Air condition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399A true KR20070053399A (en) 2007-05-25

Family

ID=3811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42A KR20070053399A (en) 2005-11-21 2005-11-21 Air condition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53399A (en)
CN (1) CN100588879C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19U (en) * 2015-05-07 2016-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8488915A (en) * 2018-04-17 2018-09-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ll-hang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3101A (en) * 2013-12-11 2014-03-26 苏州工业园区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fresh air system with centralized heat recovery zone and independent control function
CN109990406B (en) * 2019-04-09 2020-03-10 中南大学 Indoor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circul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19U (en) * 2015-05-07 2016-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8488915A (en) * 2018-04-17 2018-09-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ll-hang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08488915B (en) * 2018-04-17 2023-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8879C (en) 2010-02-10
CN1971153A (en)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31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1693629A2 (en) Ventilating system
KR20170129484A (en) Ventilation system using ventilation fan for bathroom
KR100577206B1 (en) Ventilation Systems
KR101830812B1 (e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Room
KR2007005339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1330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55199B1 (en) air conditioner
JP2004308930A (en) Air conditioner
KR10064236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74330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16953285U (en)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5711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80044650A (en) Air conditioner
KR200468966Y1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121127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454877B1 (en) A Ventilation Apparatus
KR20150122393A (en) Perimeter fan assembly for an indoor air inlet
CN215909282U (en)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15260249U (en)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65569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674277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67427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33705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70107196A (en) Install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