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625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625A
KR20070052625A KR1020050110457A KR20050110457A KR20070052625A KR 20070052625 A KR20070052625 A KR 20070052625A KR 1020050110457 A KR1020050110457 A KR 1020050110457A KR 20050110457 A KR20050110457 A KR 20050110457A KR 20070052625 A KR20070052625 A KR 2007005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631B1 (ko
Inventor
김은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6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외부에 컬러수단을 부착함으로써, 공정의 편의 및 외부압력에 유리하고, 외광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 및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과 봉지기판을 봉지하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필름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응하는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컬러필터, 블랙매트릭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필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하부기판 310 : 박막트랜지스터
340 : 제 1 전극 360 : 유기막층
370 : 제 2 전극 380 : 상부기판
510 : 화소부 520 : 서브픽셀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판 외부에 컬러수단을 부착함으로써, 공정의 편의 및 외부압력에 유리하고, 외광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청색을 비롯한 가시광선의 모든 영역의 빛이 나오므로 천연색 표시 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다.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가지며, 또한 자체 발광이므로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공정이 간단하여 환경 오염이 적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적, 녹, 청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유기막층을 사용하게 되는데, 각 유기막층은 수명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장시간 구동시 색상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컬러수단을 이용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기판(10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110)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10) 상에 평탄화막(120)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막(120) 상에 제 1 전극(14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140)은 콘택홀(130)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110)에 연결된다.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140) 상에 화소 정의막(150)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정의막(150) 상에 유기막층(160)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160) 상에 제 2 전극(170)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부기판(180)의 일면에 블랙 매트릭스(190)를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190)가 형성된 이외의 영역에 컬러필터(200)를 안료분산법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블랙매트릭스(190) 및 컬러필터(200)를 보호하는 보호막(210)을 형성한다. 이와는 다르게,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봉지기판 상부에 편광판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하부기판(100)과 봉지기판(180)을 얼라인하여 실런트(220)로 접착하여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컬러수단을 형성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기판을 얼라인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컬러수단이 외부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컬러수단이 봉지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컬러수단의 결함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전체를 폐기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의 편의 및 외부압력에 유리하고, 기판을 쉽게 얼라인 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 및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과 봉지기판을 봉지하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발 광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필름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응하는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300) 상에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310)를 형성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310) 상에 평탄화막(320)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막(320) 상에 제 1 전극(34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340)은 ITO 또는 IZO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전극(340)은 콘택홀(330)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3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340)은 전면발광일 경우,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140) 상에 개구부를 구비한 화소정의막(350)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정의막(350) 상에 유기막층(36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막층(360)은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그 외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층(360)은 각 R, G, B를 발광하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각 R, G, B를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막층(360)은 화이트를 구현하는 화이트 발광층이거나 R, G, B가 적층되어 화이트를 발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기막층(360) 상에 제 2 전극(3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370)은 일함수가 낮은 Mg, Ag, Al, Ca 및 이들의 합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부기판(300)과 상부기판(380)을 실런트(390)로 봉지한다.
이어서, 도 3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부(510) 내에 각 R, G, B를 발광하는 다수의 서브픽셀(520)이 도시되어 있다. 컬러수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구동시켜 화소부(510)의 다수의 R 서브픽셀(520)을 발광시킨다.
이어서, 도 4는 컬러수단을 구비한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컬러필터(560) 및 블랙 매트릭스(570)를 구비한 필름(5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름(550)은 각 R, G, B 의 컬러필터(550)와 이외의 영역은 블랙 매트릭스(5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수단을 구비한 필름(550)은 PET, PEN, PC, PS, PMMA, PES, acrylate poli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한 필름 상에 컬러필터(560) 및 블랙 매트릭스(5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560) 및 블랙 매트릭스(570) 상에 무기막, 유기막 또는 유-무기 복합막으로 이루어진 투명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하는 다수의 R 서브픽셀(520)에 대응되게 상기 필름(550)을 대응시 킨 후 휘도를 측정하여 부착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다수의 R 서브픽셀(520)을 발광시킨 후, 상기 필름(550)의 각 R 컬러필터(560)를 발광하는 각 R 서브픽셀(520)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후, 휘도측정장치로 상기 필름(550)을 통해 발광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한다.
또한, 화이트 발광인 경우에는, 전체를 발광시켜 필름(550)을 대응시킨 후 모서리부분의 휘도가 정상으로 대응되는지 확인하여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서브픽셀(520) 상에 컬러필터가 정확히 대응되었을 경우, 그 영역의 휘도가 모두 일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휘도가 불규칙적이다.
이로써, 상기 필름(550)이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각 서브픽셀(520) 상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후에,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막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550)을 부착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은 전면발광일 경우에, 상기 필름을 봉지기판의 외부에 형성할 수 있고, 배면발광일 경우에는 상기 필름을 하부기판의 외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판 외부에 컬러수단을 구비한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기판이 외부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쉽게 얼라인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편광판을 형성하지 않고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여 외광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공정의 편의 및 외부압력에 유리하고, 또한 기판을 쉽게 얼라인 할 수 있으며, 외광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 및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과 봉지기판을 봉지하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필름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응하는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막층은 각 R,G,B를 발광하는 유기물질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막층은 화이트를 발광하는 유기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층은 R, G, B의 적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50110457A 2005-11-17 2005-11-17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81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57A KR100810631B1 (ko) 2005-11-17 2005-11-17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57A KR100810631B1 (ko) 2005-11-17 2005-11-17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625A true KR20070052625A (ko) 2007-05-22
KR100810631B1 KR100810631B1 (ko) 2008-03-06

Family

ID=3827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57A KR100810631B1 (ko) 2005-11-17 2005-11-17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93B1 (ko) * 2008-06-03 2009-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809873B2 (en) 2008-10-28 2014-08-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8866170B2 (en) 2010-12-30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627654B2 (en) 2014-09-19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9262A3 (en) * 1999-08-05 2003-09-10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KR100435203B1 (ko) * 2001-08-17 2004-06-09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백라이트용 백색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4591B1 (ko) * 2001-09-28 2007-10-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필름 전사법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및그의 제조방법
US7045955B2 (en) * 2002-08-09 2006-05-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478759B1 (ko) * 2002-08-20 2005-03-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05011793A (ja) * 2003-05-29 2005-01-13 Sony Corp 積層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構造、表示素子ならびに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93B1 (ko) * 2008-06-03 2009-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008859B2 (en) 2008-06-03 2011-08-3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809873B2 (en) 2008-10-28 2014-08-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8866170B2 (en) 2010-12-30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627654B2 (en) 2014-09-19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9853093B2 (en) 2014-09-19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631B1 (ko)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31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35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025727A (ko)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72388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09702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TWI730991B (zh) 有機el裝置、有機el裝置之製造方法、電子機器
KR2017008044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6007158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165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7240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W201806141A (zh) 顯示裝置
KR20060057446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0429126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60082760A (ko) 양자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0761076B1 (ko) 평판표시장치
KR102431372B1 (ko)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16132954A1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20190073979A (ko) 양방향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968886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10209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7001404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81063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77764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4572561B2 (ja) 自発光型表示装置
KR20180077856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