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606A -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606A
KR20070052606A KR1020050110424A KR20050110424A KR20070052606A KR 20070052606 A KR20070052606 A KR 20070052606A KR 1020050110424 A KR1020050110424 A KR 1020050110424A KR 20050110424 A KR20050110424 A KR 20050110424A KR 20070052606 A KR20070052606 A KR 20070052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2606A/ko
Publication of KR2007005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DMB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B 신호 송수신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 상기 DMB 신호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정보를 고속 처리 가능한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도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DMB, 직병렬 변환, 근거리 무선 통신

Description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AND A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DMB 신호 수신부
202: 영상 처리부
203: 직병렬 변환부
204: 데이터 변조부
205: 전송 인증부
206: 데이터 전송부
본 발명은 DMB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DMB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기능들 중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었다.
DMB는 음성 및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다양한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이다. DMB는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 뉴스, 및 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DVD급의 고음질 및 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그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통신 단말기를 통해 DMB를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DMB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를 구입하여야만 DMB를 시청할 수 있으며, 아직까지 DMB 서비스가 보편화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DMB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가격은 고가이다. 따라서, DMB를 시청하기 위하여 비싼 DMB 지원 단말기를 구입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DMB 지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가 DMB 방송을 시청할 경우, 화면이 작아서 시청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DMB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DMB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DMB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도 DMB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DMB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있는 새로운 전송 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DMB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DMB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방송 신호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DMB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DMB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용량이 큰 DMB 데이터를 고속 처리하기 위해 직병렬 변환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DMB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일대일, 일대다, 및 다대다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MB 사업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DMB 미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DMB 데이터 전송을 제한하거나, 또는 DMB 데이터 전송에 따른 비용을 과금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 송수신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 상기 DMB 신호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정보를 고속 처리 가능한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신 방법은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MB 신호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고속 처리 가능한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 신호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는 DMB 위성(101), DMB 기지국(102),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3), 및 DMB 미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4)를 포함한다.
DMB는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 DMB는 DMB 위성(101)을 이용하여, 위성 DMB용 방송 센터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DMB 위성(101)으로 송출하면 DMB 위성(101)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국의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3)에 뿌려주는 형식이다. 또한, 상기 지상파 DMB는 상기 위성 DMB와 달리, 지상의 DMB 기지국(102)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가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3)로 송출된다.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3)에서는 DMB 위성(101) 또는 DMB 기지국(102)에서 송출한 DMB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DMB 미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4)에서는 별도의 DMB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3)와 DMB 미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4)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DMB 미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4)에서 DMB 시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103)가 DMB 음영지역 또는 난시청 지역을 위한 중계기인 일종의 갭필러(Gap Filler)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B 신호 송신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DMB 신호 수신부(201), 영상 처리부(202), 직병렬 변환부(203), 데이터 변조부(204), 전송 인증부(205), 데이터 전송부(206)를 포함한다.
DMB 신호 수신부(201)는 DMB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DMB 수신기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상기 DMB 방송 신호는 방송 제작자가 제작한 프로그램을 소정의 영상 압축 기술을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되어 DMB 위성 또는 DMB 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신호이다.
영상 처리부(202)에서는 DMB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한 DMB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위해 디코딩 과정을 거쳐 음성 및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 신호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고속 처리가 가능한 직렬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고해상도 구현 및 높은 Frame Rate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DDI(Mobile Digital Display Interface) 기술이나 MPL(Mobile Pixel Link) 기술 등이 구현된 직병렬 변환부(203)를 방송을 송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방송 수신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하여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복합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진화하면서 데이터량이 급증하는 만큼 전송회로수가 늘어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DMB 서비스가 본격화 되면서 종래의 병렬 처리 방식 이동 통신 단말기로는 대용량의 음성 및 영상 처리에 한계가 있다.
종래의 휴대폰 내 연결 회로수는 보통 수십 가닥에 이른다. 연결 회로수가 늘어나면 전자파장애(EMI)가 발생할 뿐 아니라 전력효율도 떨어지고, 게다가 늘어나는 수치만큼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돼 소형화의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의 속도가 그만큼 느려져서 DMB와 같은 고성능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직병렬 변환부(203)를 통해 데이터 전송방식을 직렬로 연결하여, 병렬 방식에 비해 연결회로 선을 대폭 줄이고, 저전압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전력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회로수와 접속 핀 수가 적어짐에 따라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인쇄회로기판(PCB) 및 케이블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직병렬 변환부(203)를 통해 대용량 DMB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직병렬 변환부(203)에서 사용하는 직병렬 변환 방식으로는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데이터 전송 기술인 MDDI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DDI는 고용량 이미지 및 비디오 등 모바일 기기의 멀티미디어 지원 성능이 우수하여 본 발명 에 따른 DMB 신호 처리에 적합한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MPL 기술을 이용하여, DMB 송수신 안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시스템 비용을 줄이고 IC 패키지와 커넥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직병렬 변환부(203)를 통해서 DMB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처리하면, 전송선의 수가 크게 줄기 때문에 방송을 송신할 수 잇는 이동 통신 단말기 단말기의 변조 및 복조 구성이 단순해진다.
데이터 변조부(204)에서는 직병렬 변환부(203)에서 변환된 직렬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한다. 즉, 데이터 변조부(204)에서는 음성 및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조한다.
전송 인증부(205)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DMB 신호 전송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DMB 신호 전송에 따른 추가 비용 과금 업무를 수행한다.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DMB 방송을 무료로 수신하게 되면, DMB 사업자나 방송 콘텐츠 제작자의 저작권이 침해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인증부(205)에서는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소정의 과금 절차를 거쳐 DMB 데이터 전송을 인증하게 된다.
즉, 전송 인증부(205)에서는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번호와 DMB 데이터 전송량, 또는 전송 시간에 기초하여, DMB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에게 전송에 따른 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06)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DMB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일지라도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영상 처리 장치만 구비하면, 용이하게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이 작아서, 하나의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다수의 사용자가 DMB를 시청하는데 큰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각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편리하게 DMB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 Band),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은 가시 광선과 밀리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 방법은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이다. IrDA는 무선을 이용하지만 장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파를 이용한 방식처럼 상호 간섭하거나 다른 기기를 오동작시키는 오류가 없는 등 안성성에서도 뛰어나다.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위치한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기타 각종 전기전자 장치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는 규격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접속 방법은 점 대 점(Point to Point)이나 멀티 포인트(Multi-point)가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한 최대 범위는 10 m 이다. 주파 수 홉 설계는 장치들이 엄청난 량의 전자기 장애가 있는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게 해주며 내장 암호화 및 검증 기능이 제공된다.
초광대역통신은 극초단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술로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전송거리가 10m 안팎으로 짧지만 전송속도가 빨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할 무선통신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UWB 방식의 신호는 넓은 주파수 대역 이용으로 전력 밀도값을 아주 작게 할 수 있어, 다른 통신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에 중첩되게 사용하더라도 간섭을 거의 주지 않는다.
지그비는 반경 30m 이내의 거리에서 2백50kbps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정보 전송 속도가 빠르지 않지만 저전력이며 비용이 적게 들어 상용화에 가장 유리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USB와 같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하여 DMB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유선으로 연결할 경우, 연결선이 길어지면 신호 위상차 대책 및 신호 세기 감소 대책을 위해 간단히 Booster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DMB 변조 데이터 수신부(301), 데이터 복조부(302), 및 영상 출력부(303)를 포함한다.
DMB 변조 데이터 수신부(30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 터 DMB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복조부(302)에서는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조한 DMB 데이터를 복조하여 디지털 부호화된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영상 출력부(303)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DMB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DMB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 이동 통신 단말기 식별 번호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방송 수신을 위한 식별자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통해 원하는 DMB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DMB 데이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또 다른 일례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서 네비게이션 신호 또는 라디오 신호와 같이 음성 및 영상 신호 형태의 데이터를 DMB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GPS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DMB 신호 전송 방법을 이용하면, 별도의 수신 장치가 있어야만 수신 가능한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수신 장치가 없는 단말기로 쉽게 전송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401)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DMB 수신기를 통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DMB 방송 신호는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방송 제작자가 제작한 프로그램을 소정의 영상 압축 기술을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이다. 또한, 상기 DMB 방송 신호는 위성 DMB 신호일 수 있으며, 또 달리 지상파 DMB 신호일 수 있다.
단계(S402)에서는 DMB 신호를 영상 및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즉, 본 단계에서는 DMB 방송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위해 소정의 디코딩 과정을 거쳐 음성 및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단계(S403)에서는 상기 영상 정보를 고속 처리 가능한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본 단계에서 DMB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병렬 방식에 비해 연결회로 선을 대폭 줄이고, 저전압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전력 효율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대용량 DMB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단계에서는 직렬 데이터 변환 방식의 일례로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데이터 전송 기술인 MDDI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DDI는 고용량 이미지 및 비디오 등 모바일 기기의 멀티미디어 지원 성능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 신호 처리에 적합한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MPL 기술을 이용하면, DMB 송수신 안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시스템 비용을 줄이고 IC 패키지와 커넥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단계(S404)에서는 상기 직렬 DMB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한다. 즉, 본 단계에서는 DMB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DMB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음성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단계(S405)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DMB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DMB 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일지라도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용이하게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DMB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다수의 사용자가 DMB를 시청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 각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편리하게 DMB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05)이전에 DMB 사업자나 방송 콘텐츠 제작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DMB 데이터 전송 비용을 부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DMB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번호와 DMB 데이터 전송량, 또는 전송 시간에 기초하여, DMB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에게 전송에 따른 추가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DMB 사업자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가격은 낮게 유지하면서 DMB 서비스의 확장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수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도의 수신기가 없이도 DMB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DMB 데이터를 전송 받아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량이 큰 DMB 데이터를 고속 처리할 수 있는 직병렬 변환 처리를 구성함으로써, 고해상도의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DMB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DMB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 미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DMB 데이터 전송을 제한하거나, 또는 DMB 데이터 전송에 따른 비용을 과금함으로써, DMB 사업자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정보를 고속 처리 가능한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병렬 변환부는 MDDI(Mobile Digital Display Interface) 또는 MPL(Mobile Pixel Link)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 Band),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식별 번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번호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수신을 위한 식별자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전송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인증부는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DMB 신호 전송을 제한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DMB 신호 전송에 따른 추가 비용 과금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 신호는 네비게이션 신호 또는 라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고속 처리 가능한 직렬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신호 송신 방법.
  9. 제8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110424A 2005-11-17 2005-11-17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2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24A KR20070052606A (ko) 2005-11-17 2005-11-17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24A KR20070052606A (ko) 2005-11-17 2005-11-17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606A true KR20070052606A (ko) 2007-05-22

Family

ID=3827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24A KR20070052606A (ko) 2005-11-17 2005-11-17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2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05B1 (ko) * 2007-06-13 2008-06-24 (주)씨랩시스 Uwb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
KR100910245B1 (ko) * 2007-07-24 2009-07-31 (주)에프씨언와이어드 지그비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05B1 (ko) * 2007-06-13 2008-06-24 (주)씨랩시스 Uwb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
KR100910245B1 (ko) * 2007-07-24 2009-07-31 (주)에프씨언와이어드 지그비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560B2 (en) Dual-mode low-power wide-area network chip,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terminal
CN202524388U (zh) 一种蓝牙配对系统及终端
US20090181622A1 (en) Millimeter wave power conversion
US20080153541A1 (en) Single chip wireless transceiver operable to perform voice, data and radio frequency (rf) processing
EP1610546A2 (en) High frequency signal receiving apparatus
CN111556105A (zh) 基于Ka卫星基站的业务处理方法、系统和Ka卫星基站
JP2011082978A (ja) データ送受信端末機及び方法
CN100501790C (zh) 外围设备
CN101388974A (zh) 一种移动数字多媒体广播的接收装置及方法
US20050157748A1 (en) Data format conversion device for wire/wireless local-area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portable terminal and wire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70052606A (ko) 디엠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2111649B (zh) 辅助移动多媒体电视接收端接收方法及装置
CN101001121A (zh) 一种结构简单的光纤无线通信毫米波解调方法和系统
US200902336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CN202406110U (zh) 有源微型近距无线通讯天线系统
KR20070111674A (ko) 문서 파일을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서버 및 그 방법
CN201032726Y (zh) 带fm功能的无线上网卡
CN218997076U (zh) 一种终端天线及电子设备
EP1329123A1 (en) A portable wireless gateway
CN103354459A (zh) 一种WiFi通信系统及方法
CN102510294A (zh) 为移动终端提供数据服务的装置及方法
CN202488768U (zh) 集成蓝牙、U-Key和移动多媒体的USB接口WiFi无线上网适配器
CN202488734U (zh) 集成U盘、蓝牙和移动多媒体的USB接口WiFi无线上网适配器
WO2024001443A1 (zh) 发射功率限制方法及设备
CN202488746U (zh) 集成蓝牙和移动多媒体的USB接口WiFi无线上网适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