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663A -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663A
KR20070050663A KR1020050108149A KR20050108149A KR20070050663A KR 20070050663 A KR20070050663 A KR 20070050663A KR 1020050108149 A KR1020050108149 A KR 1020050108149A KR 20050108149 A KR20050108149 A KR 20050108149A KR 20070050663 A KR20070050663 A KR 2007005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eg2
ncr
dvb
packet
centr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551B1 (ko
Inventor
정훈
장대익
오덕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0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5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DVB-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고, TDMA 기반의 DVB-RCS 방식을 역방향 링크로 사용하기 위하여 NCR 값의 삽입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방송 및 MPEG 방식에 따른 IP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MPEG2-TS 스트림을 입력받아, 하나의 MPEG2-TS 스트림으로 재다중화하기 위한 재다중화수단; 상기 재다중화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MPEG2-TS 스트림을 DVB-S2 방식에 따라 DVB-S2 프레임으로 변환 및 채널 코딩과 변조를 실행하고, NCR 추출 시점을 알리는 SOF 신호를 발생시키는 SOF 신호 발생수단; 상기 SOF 신호 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SOF 신호에 따라 NCR 값을 추출하기 위한 NCR 추출수단; 및 NCR 추출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NCR 값을 바탕으로 NCR 값이 삽입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재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패킷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DVB-S2, CCM 모드, 중심국, DVB-RCS, PCR, NCR, 위성방송, 망동기

Description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District center network synchronization acquisition apparatus for maintaining stable network synchronization using CCM mode as forwarding link and its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DVB-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는 중심국 송신부의 구성도,
도 3 은 일반적인 DVB-S2 방식 중 CCM 모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의 NCR 값의 생성, 삽입 방법, 그리고 NCR 생성의 기준 시점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MPEG2 재다중화부 42 : 모드 및 스트림 적응부
43 : 머지&슬라이스부 44 : 채널 코딩부
45 : 변조부 46 : NCR 카운터
47 : NCR 삽입 MPEF2-TS 패킷 생성기
본 발명은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Constant Coding and Modulation)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고, 역방향링크의 다중접속방식으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기반의 DVB-RCS(Digital Video Broadcasting - Return Channel via Satellite) 방식을 사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통신 및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중 위성을 통한 고속의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은 순방향링크로 TDM 방식의 DVB-S 방식을 사용하고, 역방향링크로 TDMA 기반의 DVB-RCS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위성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신측의 클럭 복원을 위하여 중심국의 기준클럭인 27MHz 클럭에 의하여 생성된 PCR(Program Clock Reference)이라 명명되는 42비트의 타임스탬프(Timestamp)값을 특정 PID(Program ID)를 가지는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2-Transport Stream) 패킷에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수신측은 이렇게 전송되는 PCR 값 자체와 수신되는 PCR의 주기를 이용하여 중심국의 기준클럭인 27MHz 클럭을 복원하여 수신측의 기준클럭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위성을 통해 역방향링크를 구성하는 DVB-RCS 규격을 따르는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PCR 값의 형태와 특성을 이용하여 역방향링크의 클럭 및 타이밍 동기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중심국의 기준 시점을 나타내는 Timestamp 정보를 MPEG 규격의 PCR값을 전달하는 필드에 삽입하여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위성을 통한 역방향링크의 클럭 및 타이밍 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MPEG 규격의 PCR 필드에 삽입되는 값을 NCR(Network Clock Reference)이라고 명명한다. 단말국은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NCR값들의 간격을 이용하여 중심국의 기준클럭인 27MHz 클럭을 복원하며, 또한 NCR 값이 수신된 그 순간의 NCR 값 자체를 이용하여 중심국과의 절대시간 동기를 유지한다.
그러나, 순방향링크로 기존의 방송 방식인 DVB-S 대신에 DVB-S2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가 MPEG2-TS 패킷이 아니고, DVB-S2 방식을 만족시키는 DVB-S2 방식의 프레임이다. DVB-S2 방식의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MPEG2-TS 패킷보다 매우 큰 길이를 가지며, 또한 항상 동일한 데이터 길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하는 변조 방식과 채널 코딩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길이가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클럭 및 망동기를 위해 삽입되는 NCR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은 전송을 위한 하나의 DVB-S2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하여 버퍼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하나의 DVB-S2 프레임이 완성되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DVB-S2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길이가 항상 가변될 수 있으므로, 버퍼에 저장되는 시간 역시 일정하지 않고 전송 변조 방식과 채널 코 딩 방식에 따라 바뀌어진다. 따라서, 수신 측에서 수신된 NCR 값에 대한 지연 요소에 대한 보상이 불가능하여 역방향 전송을 위한 정확한 시점을 알아내는데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DVB-S2 방식의 프레임이 항상 정수개의 MPEG2-TS 패킷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순방향링크를 기존의 DVB-S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망동기를 위한 NCR 값을 특정 PID를 가지는 하나의 MPEG2-TS 패킷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경우, NCR 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은 두개의 DVB-S2 프레임으로 나누어서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수신 단말은 두 개의 DVB-S2 프레임을 모두 수신하여야 하나의 완전한 NCR값이 포함된 MPEG2-TS 패킷을 복원할 수 있다. DVB-S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NCR값을 포함한 MPEG2-TS 패킷의 수신 시점을 하나의 기준 시점으로 이용하여 NCR 값을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나, DVB-S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하나의 NCR값을 포함한 MPEG2-TS 패킷이 두 개로 나뉘어 도착하는 경우에는 NCR값을 포함한 MPEG2-TS 패킷의 수신 시점을 하나의 기준 시점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방송 서비스의 경우에는 NCR 또는 PCR 값을 이용하여, 수신측에서 클럭을 복원하여 사용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위와 같은 DVB-S2 방식에서도 안정적인 필터 설계만으로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서는 클럭의 복원 및 NCR값이 도착한 시점 자체가 하나의 정보가 되어 역방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확한 시간을 찾아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지연 요소에 대한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 두 개의 DVB-S2 프레임으로 NCR값을 포함한 MPEG2-TS 패킷이 나누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클럭의 복원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역방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확한 시간을 찾아내는데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DVB-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고, TDMA 기반의 DVB-RCS 방식을 역방향 링크로 사용하기 위하여 NCR 값의 삽입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방송 및 MPEG 방식에 따른 IP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MPEG2-TS 스트림을 입력받아, 하나의 MPEG2-TS 스트림으로 재다중화하기 위한 재다중화수단; 상기 재다 중화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MPEG2-TS 스트림을 DVB-S2 방식에 따라 DVB-S2 프레임으로 변환 및 채널 코딩과 변조를 실행하고, NCR 추출 시점을 알리는 SOF 신호를 발생시키는 SOF 신호 발생수단; 상기 SOF 신호 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SOF 신호에 따라 NCR 값을 추출하기 위한 NCR 추출수단; 및 NCR 추출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NCR 값을 바탕으로 NCR 값이 삽입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재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패킷 생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한 다수의 MPEG2-TS 스트림을 하나의 MPEG2-TS 스트림으로 재다중화하는 단계; 상기 재다중화된 MPEG2-TS 스트림을 DVB-S2 방식에 따라 DVB-S2 프레임으로 변환 및 채널 코딩과 변조를 실행하고, NCR 추출 시점을 알리는 SOF 신호를 발생시키는 SOF 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SOF 신호 발생단계를 통해 발생된 SOF 신호에 따라 NCR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NCR 값을 바탕으로 NCR 값이 삽입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재다중화부로 전달하는 패킷 생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방송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한 여러 종류의 MPEG2-TS 패킷을 입력받아 재다중화 방식을 통하여 하나의 스트림으로 출력하고 DVB-S2 방식으로 순방향 링크를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송신부와 단말국으로부터 TDMA 기반 DVB-RCS 방식의 역방향링크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국 수신부로 구성되는 중심국(11)과, 중심국(11)에서 순방향 링크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단말국(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심국(11)은 양방향 위성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인터넷과 연결되어있고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다수의 방송 스트림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이를 재다중화하여 순방향링크로 DVB-S2 방식으로 송신하고, 다수의 단말국(1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다수의 단말국(12)은 중심국(11)에서 전송되는 양방향 위성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2 는 일반적인 DVB-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는 중심국 송신부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국 송신부는 크게 외부에서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MPEG2-TS스트림과 MPEG 방식을 통하여 IP를 포함 하는 MPEG2-TS 스트림을 입력받아 재다중화 방식을 통하여 하나의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MPEG2 재다중화부(21)와, DVB-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 모드로 순방향 링크를 전송하기 위한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는 입력되는 MPEG2-TS 패킷 데이터를 DVB-S2 방식에 따라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널-패킷(Null-Packet)을 제거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인코딩 등을 수행하는 모드 및 스트림 적응부(22)와, 모드 및 스트림 적응부(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정해진 채널 코딩과 변조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DVB-S2 프레임 구조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머지(merge)&슬라이스(Slice)부(23)와, 머지&슬라이스부(23)에서 출력되는 DVB-S2 프레임을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채널 코딩과 BCH(Bose-Chaudhuri-Hocquenghem) 채널 코딩을 수행하는 채널코딩부(24)와, 그리고 채널 코딩부(24)의 출력을 실제 전송하기 위한 QPSK, 8PSK, 16APSK, 32APSK와 같은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중심국은 중심국에서 단말국으로 순방향 링크만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나 역방향 링크로 지상망을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에서는 아무런 문제없이 동작된다. 그러나, 역방향 링크로 위성을 통한 TDMA 기반의 DVB-RCS 방식을 사용하는 양방향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망동기 획득과 유지를 위한 NCR 값의 생성과 전달, 그리고 전달된 NCR 값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어떠한 방법도 제공할 수 없다. 기존의 DVB-S를 순방향 링크로 사용하는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서는 망동 기의 획득과 유지를 위하여 중심국의 기준클럭인 27MHz 클럭에 의하여 생성된 NCR이라 명명되는 42비트의 Timestamp값을 특정 PID(Program ID)를 가지는 MPEG2-TS 패킷에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수신 단말측은 이렇게 수신된 NCR 값 자체를 이용하여 기준 시점을 그리고 수신되는 NCR의 삽입 주기를 이용하여 중심국의 기준클럭인 27MHz 클럭을 복원하여 수신 단말측의 기준클럭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순방향 링크로 기존의 DVB-S 방식이 아닌 DVB-S2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가 MPEG2-TS 패킷이 아니고, DVB-S2 방식을 만족시키는 DVB-S2 방식의 프레임이다. DVB-S2 방식의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MPEG2-TS 패킷보다 매우 큰 길이를 가지며, 또한 항상 동일한 데이터 길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하는 변조 방식과 채널 코딩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길이가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클럭 및 망동기를 위해 삽입되는 NCR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은 전송을 위한 하나의 DVB-S2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하여 버퍼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하나의 DVB-S2 프레임이 완성되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DVB-S2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길이가 항상 가변될 수 있으므로, 버퍼에 저장되는 시간 역시 일정하지 않고 전송 변조 방식과 채널 코딩 방식에 따라 바뀌어진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수신된 NCR 값에 대한 지연 요소에 대한 보상이 불가능하여 역방향 전송을 위한 정확한 시점을 알아내는데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 은 일반적인 DVB-S2 방식 중 CCM 모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의 NCR 값의 생성, 삽입 방법, 그리고 NCR 생성의 기준 시점에 대한 설명도이다.
상기에서 DVB-S2 방식을 순방향 링크로 사용하는 경우 NCR의 생성 시점 및 추출 시점에 대한 어떠한 정보가 없음으로 인하여 역방향 링크를 위한 망동기의 획득 및 유지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중 중심국에서 NCR값을 추출하여 NCR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을 생성하는 시점과 수신 단말에서 NCR 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의 수신 시점을 결정하는 이벤트로 DVB-S2 방식의 프레임의 맨 처음 나타나는 SOF(Start Of Frame) 신호를 이용하면 앞서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상기와 같이 DVB-S2 모듈레이터의 변조부에서 생성되는 SOF를 이벤트로 사용하여 NCR 값을 추출하고 이를 NCR 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으로 생성하여 DVB-S2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DVB-S2 모듈레이터의 변조부에서 SOF가 발생하면 이 시점에 NCR값을 추출하여 NCR 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DVB-S2 프레임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SOF의 발생시점은 모든 입력 데이터가 하나의 DVB-S2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채널 코딩까지 끝난 상태에서 발생함으로 SOF가 발생된 그 DVB-S2 프레임에 삽입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N번째 DVB-S2 프레임의 SOF에 대하여 생성된 NCR값을 포함하는 MPEG2-TS 패킷은 N+2번째 DVB-S2 프레임 하나 또는, N+2번째와 N+3번째 DVB-S2프레임에 나누어 전송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중심국 송신부)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중심국 송신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및 MPEG 방식에 따른 IP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MPEG2-TS 스트림을 입력받아 하나의 MPEG2-TS 스트림으로 재다중화하기 위한 MPEG2 재다중화부(41)와, MPEG2 재다중화부(41)를 통해 입력되는 MPEG2-TS 스트림을 DVB-S2 방식에 따라 DVB-S2 프레임으로 변환 및 채널 코딩과 변조를 실행하고, NCR 추출 시점을 알리는 SOF 신호를 발생시키는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40)와,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40)의 변조부(45)를 통해 발생된 SOF 신호에 따라 NCR 값을 추출하기 위한 NCR 카운터(46)와, NCR 카운터(46)에서 출력되는 NCR 값을 바탕으로 NCR 값이 삽입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MPEG2 재다중화부(41)로 전달하기 위한 NCR 삽입 MPEG2-TS 패킷 생성기(47)를 포함한다.
여기서,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40)는 입력되는 MPEG2-TS 패킷 데이터를 DVB-S2 방식에 따라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널-패킷(Null-Packet)을 제거하고, CRC 인코딩 등을 수행하는 모드 및 스트림 적응부(42)와, 모드 및 스트림 적응부(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정해진 채널 코딩과 변조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DVB-S2 프레임 구조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머지&슬라이스부(43)와, 머지&슬라이스부(43)에서 출력되는 DVB-S2 프레임을 LDPC 채널 코딩과 BCH 채널 코딩을 수행하는 채널코딩부(44)와, 그리고 채널 코딩부(44)의 출력을 실제 전송하기 위한 QPSK, 8PSK, 16APSK, 32APSK와 같은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45)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중심국 송신부)는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40)의 변조부(45)에서 SOF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NCR 값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NCR값이 포함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며, 이를 DVB-S2 CCM 모드 모듈레이터(40)로 입력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위성을 통하여 순방향링크로 DVB-S2 방식 중 고정 변조 방식과 채널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CCM 모드를 사용하고, 역방향 링크의 다중접속방식으로 TDMA 기반의 DVB-RCS 방식을 사용하는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DVB-S2 방식의 프레임 구조가 DVB-S 방식과 달라 발생되는 망동기 획득 및 유지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양방향 위성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방송 및 MPEG 방식에 따른 IP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MPEG2-TS 스트림을 입력받아, 하나의 MPEG2-TS 스트림으로 재다중화하기 위한 재다중화수단;
    상기 재다중화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MPEG2-TS 스트림을 DVB-S2 방식에 따라 DVB-S2 프레임으로 변환 및 채널 코딩과 변조를 실행하고, NCR 추출 시점을 알리는 SOF 신호를 발생시키는 SOF 신호 발생수단;
    상기 SOF 신호 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SOF 신호에 따라 NCR 값을 추출하기 위한 NCR 추출수단; 및
    NCR 추출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NCR 값을 바탕으로 NCR 값이 삽입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재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패킷 생성수단
    을 포함하는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생성수단은,
    상기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SOF 신호를 이용하여 NCR 값이 포함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3.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한 다수의 MPEG2-TS 스트림을 하나의 MPEG2-TS 스트림으로 재다중화하는 단계;
    상기 재다중화된 MPEG2-TS 스트림을 DVB-S2 방식에 따라 DVB-S2 프레임으로 변환 및 채널 코딩과 변조를 실행하고, NCR 추출 시점을 알리는 SOF 신호를 발생시키는 SOF 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SOF 신호 발생단계를 통해 발생된 SOF 신호에 따라 NCR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NCR 값을 바탕으로 NCR 값이 삽입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여 재다중화부로 전달하는 패킷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생성단계는,
    상기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SOF 신호를 이용하여 NCR 값이 포함된 MPEG2-TS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방법.
KR1020050108149A 2005-11-11 2005-11-11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149A KR100753551B1 (ko) 2005-11-11 2005-11-11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149A KR100753551B1 (ko) 2005-11-11 2005-11-11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663A true KR20070050663A (ko) 2007-05-16
KR100753551B1 KR100753551B1 (ko) 2007-08-30

Family

ID=3827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149A KR100753551B1 (ko) 2005-11-11 2005-11-11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05B1 (ko) * 2007-09-21 2009-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응적 엠펙-트랜스포트 스트림 집합 프레임 전송 장치 및방법
KR20210064663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 Dvb-s2 멀티채널 송신을 위한 부호화기 스케쥴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354A (ko) * 2010-10-25 2012-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통신 시스템용 중심국의 이중모드 망동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0511B1 (fr) 2003-01-28 2005-06-03 St Microelectronics Sa Terminal d'utilisateur pour systeme de telediffusion numerique interactive
KR100534597B1 (ko) * 2003-12-27 2005-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망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0811B1 (ko) * 2004-12-09 2006-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위성통신시스템의 중심국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05B1 (ko) * 2007-09-21 2009-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응적 엠펙-트랜스포트 스트림 집합 프레임 전송 장치 및방법
KR20210064663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 Dvb-s2 멀티채널 송신을 위한 부호화기 스케쥴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551B1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83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потока, совместимого с форматом dvb-h (цифрового видеовещан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ых устройств)
KR101152307B1 (ko)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코히어런트 심볼을 생성하기위한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099521A1 (en) Center district dual mode network synchroniz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6258006B2 (ja) Ip回線を利用したsfn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ts伝送方法
KR20030094313A (ko) 디지털 신호 송신기 동기화 시스템
KR100740872B1 (ko) 안정적인 망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국의 망동기 획득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KR100989677B1 (ko)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KR100658224B1 (ko) A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4445B1 (ko) 위성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디코더 및 방법
EP30448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atellite signals and receiver thereof
KR100753551B1 (ko)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WO2008151989A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of a constant bit rate stream
JP4922910B2 (ja) 再送信装置、再変調装置及び放送システム
KR100600811B1 (ko) 양방향위성통신시스템의 중심국 시스템
Uehara Application of MPEG-2 systems to terrestrial ISDB (ISDB-T)
JP535992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変換方法
KR101320544B1 (ko)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069818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av 출력 방법 및 장치
US8411704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ntribution data stream
KR100948692B1 (ko) 전송 프레임의 기준 시간 정보 복원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US202002803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transport stream, broadcast method and site,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US20160366417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daptive bitrate streams across multiple encoders with the source originating from the same baseband video
KR10075583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ts 패킷 버퍼링 장치 및 방법
KR100929873B1 (ko) Gps를 이용한 망 동기 시스템
EP3292693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daptive bitrate streams across multiple encoders with the source originating from the same baseband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