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591A - 차량용 텐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591A
KR20070050591A KR1020050107975A KR20050107975A KR20070050591A KR 20070050591 A KR20070050591 A KR 20070050591A KR 1020050107975 A KR1020050107975 A KR 1020050107975A KR 20050107975 A KR20050107975 A KR 20050107975A KR 20070050591 A KR20070050591 A KR 2007005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nt
fixed
connec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583B1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희 filed Critical 김용희
Priority to KR102005010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5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차량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텐트가 개시된다.
종래에는 차량의 지붕에 설치하거나 차량의 내부에서 인출된 바닥판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설치 및 철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텐트와 차량의 연결부가 긴밀하지 못하여 바람이나 빗물 등이 침입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이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선단이 차량의 배면 개구부 내에 삽입 고정되어 차량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텐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텐트를 설치하거나 철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매우 견고하고 사용 중 사용자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며, 텐트와 차량의 배면 개구부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긴밀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바람이나 빗물 등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텐트, 차량, 연결, 삽입, 고정

Description

차량용 텐트{Tent f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설치상태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당김밴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에서 집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차량 21: 개구부
30: 텐트 40: 본체
42: 지주 46: 탄성밴드
50: 연결부 51: 삽입부
52: 당김밴드 52b: 탄성띠
53: 당김고리 60,600: 덮개부
61: 탄성밴드 62: 집게
63: 자석 64: 외부고정 고리
65: 폴대
본 발명은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의 배면 측에 차량의 내부와 연결하여 설치되는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비바람, 햇빛 등을 가리기 위해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상적 주거가 아닌 임시적인 야영용으로 캠프나 등산 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야외 레저 활동의 증가로 차량에 의한 이동의 편리성과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고 장소 등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더욱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종래에도 차량의 지붕에 텐트를 설치한 구성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닥 공간이 협소하며 출입이 매우 불편하고 충격 등에 차량의 지붕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차량의 배면 측에 텐트를 설치하는 것이 차량에 적재된 장비 등을 사용하거나 출입이 자유롭게 되는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레저용 차량이나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 해치 백도어 스타일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텐트를 설치하면 차량의 내부 공간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종래에 이와 같이 차량의 백도어 측에 텐트를 설치하는 구성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521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배면 내측 바닥에서 배면 개구부(10a)의 외측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닥확장판(11)과, 상기 바닥확장판(11)을 지지하는 2개의 지주(12), 그리고 상기 바닥확장판(11)과 백도어(13)의 사이에 설치되는 텐트외피(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텐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텐트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철거 작업이 불편하고 사용 중에는 바닥확장판에서 바닥으로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텐트외피와 배면 개구부와의 연결부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바람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사용시 낙하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이 매우 편리한 차량용 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트와 차량의 배면 개구부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바람이나 빗물 등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는, 바닥이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선단이 차량의 배면 개구부 내에 삽입 고정되어 차량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텐트를 설치하거나 철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매우 견고하고 사용 중 사용자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며, 텐트와 차량의 배면 개구부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긴밀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바람이나 빗물 등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로서, 헤치백 도어 스타일의 레저용 또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20)의 배면 측에 형성된 개구부(21)에는 백도어(22)가 개폐 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1)에는 텐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텐트(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40)와, 이 본체(4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차량(20)의 개구부(21) 내측에 고정되는 연결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40)는 전면 및 양측면에 도어(41)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측에 설치된 지주(42)에 본체(40)의 전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복수 개의 걸림고리(43)가 걸려지고, 바닥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끈(44)이 형성되고, 이 고정끈(44)의 선단에는 팩커(45)를 지면에 박음으로써 텐트(30)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텐트(30)의 형상은 일반적인 돔형, 반원형, 삼각형 등의 어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42)의 형상도 텐트(30)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0)의 일측 모서리 양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밴드(46)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밴드(46)는 설치시 차량의 종류에 따른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50)는 선단에 차량(20)의 개구부(21) 내에 위치되는 삽입부(51)가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51)의 선단 각 모서리에는 차량(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당김밴드(52)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당김밴드(52)의 선단에는 차량(20)의 내부에 구비된 손잡이, 안전벨트 고리 등에 고정되도록 걸려지는 당김고리(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51)는 차량(20)의 내부와 텐트(30)의 본체(4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당김밴드(52)는 연결부(5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0)의 선단에 고정된 고정밴드(52a)와, 이 고정밴드(52a)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띠(52b)와, 이 탄성띠(52b)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52c)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51)의 외측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차량(20)의 개구부(21) 외측의 패킹부에 덮어 씌워지는 덮개부(60)가 전체면에 걸쳐서 소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60)는 삽입부(51)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탄성밴드(61)가 내측에 삽입되어 차량(20)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덮개부(60)는 연결부(50)의 선단에 접은 상태에서 재봉하여 일부는 삽입부(51)가 형성되도록 하고 일부는 덮개부(6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50)의 선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소정의 폭을 가지는 별도의 덮개부(60)를 덧대어 재봉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60)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밴드(61)를 삽입 설치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영구자석을 삽입하여 자력에 의해 차량(20)의 외측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60)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집게(6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집게(6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패킹부(23)에 덮개부(60)가 외측으로 덮여지면 그 외측에 삽입되어 덮개부(60)가 벗겨지지 않도록 긴밀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부(51)에는 덮개부(60)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51)의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자석(63)을 부착하여 차량(20)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면에 복수 개의 외부고정 고리(64)를 형성하여 차량(20)의 외측면에 별도로 설치된 고리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삽입부(51)의 선단에 탄성력을 가지는 폴대(65)를 전체 둘레에 삽입하여 차량(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0)의 외측에 차량(20)의 배면측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부(600)를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텐트는 차량(20)의 배면 측에 개구부(21)와 적정의 거리를 두고 텐트(30)를 위치시키고, 세워 설치된 지주(42)에 본체(40)의 걸림고리(43)를 걸고 바닥의 고정끈(44)에 팩커(45)를 박으면 본체(4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본체(40)의 연결부(50) 측 모서리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밴드(46)가 형성됨에 따라 차량(20)의 종류에 따른 개구부(21)의 바닥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어떤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케 된다.
이어서 차량(20)의 백도어(22)를 열고 개구부(21)의 내측에 연결부(5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부(51)를 삽입한 후 각 모서리에 고정된 당김고리(53)를 당겨서 차량(20)의 내부의 손잡이나 안전벨트 고리 및 바닥에 걸어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당김고리(53)는 탄성력을 가지는 당김밴드(52)에 의해 적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51)의 외측에 형성된 덮개부(6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패킹부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그 상측에 집게(62)를 설치하면 덮개부(60)는 개구부(21)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0)는 차량(20)의 개구부(21) 내측으로 삽입된 삽입부(51)가 당김밴드(52) 및 당김고리(53)에 의해 긴장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51)의 외측에는 덮개부(60)가 차량(20)의 개구부(21)에 집게(62)로써 고정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바람이나 빗물이 차량(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50)의 설치 상태가 견고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20)의 내부에서 지면으로 낙하되는 등의 불편이 해소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둘레에 부착된 복수 개의 자석(63)을 이용하여 자력으로 차량(20)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외부고정 고리(64)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0)의 외측에 형성된 덮개부(600)를 이용하여 차량(20)의 배면 외측 전부를 덮어 씌워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자석 또는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텐트를 설치하거나 철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매우 견고하고 사용 중 사용자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며, 텐트와 차량의 배면 개구부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긴밀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바람이나 빗물 등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바닥이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본체;
    상기 텐트 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선단이 차량의 배면 개구부 내에 삽입 고정되어 차량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차량의 개구부 외측에 덮여지는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차량의 외부에 밀착되도록 선단에 탄성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끝단에 복수 개의 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끝단에 복수 개의 외부고정 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차량의 외측에 부착되도록 복수 개의 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선단에 차량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폴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결부 측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차량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는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당김밴드가 고정되고, 이 당김밴드의 선단에는 당김고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측면에 차량의 배면 외측 전체에 덮여져 고정되는 덮개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KR1020050107975A 2005-11-11 2005-11-11 차량용 텐트 KR10075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75A KR100751583B1 (ko) 2005-11-11 2005-11-11 차량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975A KR100751583B1 (ko) 2005-11-11 2005-11-11 차량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591A true KR20070050591A (ko) 2007-05-16
KR100751583B1 KR100751583B1 (ko) 2007-08-22

Family

ID=3827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975A KR100751583B1 (ko) 2005-11-11 2005-11-11 차량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5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05B1 (ko) * 2014-06-23 2015-03-06 심군섭 차량용 텐트
WO2018034547A1 (ko) * 2016-08-19 2018-02-22 아프로비에이 주식회사 텐트
KR200490550Y1 (ko) 2019-01-28 2019-11-2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적재함 캠핑용 확장장치
KR200490968Y1 (ko) 2019-06-18 2020-01-3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의 적재실용 하드탑 텐트 설치구조
KR102108495B1 (ko) 2019-06-07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 적재실용 하드탑
KR20210070831A (ko) 2019-12-05 2021-06-15 이무성 차량용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25Y1 (ko) * 2016-12-06 2018-10-26 이무성 차량용 텐트
KR20220001075A (ko)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엠케이카라반 차량용 차박텐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7502A (en) 1988-10-03 1989-09-19 Sylvester Christopher J Van camper
JP2686687B2 (ja) * 1991-10-31 1997-12-08 昌平 新谷 自動車を利用したレジャー用テント
US5738130A (en) 1997-01-06 1998-04-14 Thomas; William Vehicle supported tent
US6179367B1 (en) 1998-07-01 2001-01-30 Frank P. H. Bowen Inflatable tent for sport utility vehicle
GB0221365D0 (en) 2002-09-16 2002-10-23 Thomas Nicola Canopy for use in association with a vehi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05B1 (ko) * 2014-06-23 2015-03-06 심군섭 차량용 텐트
WO2018034547A1 (ko) * 2016-08-19 2018-02-22 아프로비에이 주식회사 텐트
KR200490550Y1 (ko) 2019-01-28 2019-11-2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적재함 캠핑용 확장장치
KR102108495B1 (ko) 2019-06-07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 적재실용 하드탑
KR200490968Y1 (ko) 2019-06-18 2020-01-3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의 적재실용 하드탑 텐트 설치구조
KR20210070831A (ko) 2019-12-05 2021-06-15 이무성 차량용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583B1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583B1 (ko) 차량용 텐트
US20040238021A1 (en) Modular tent system
AU2017100365B4 (en) Trampolines and trampoline covers
KR102311914B1 (ko) 차량용 텐트
US20110126873A1 (en) Hunting blind having a camouflaging sloped profile
US20080210283A1 (en) Tent with hinged door or window
US8939164B2 (en) Solar shade
US6926334B1 (en) Soft golf cart shield
KR20160050015A (ko)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KR20170003590U (ko) 텐트 조립체
CA2887209C (en) Vehicle window cover with deployable and retractable canopy
CN101331284B (zh) 带有铰接的门或者窗的帐篷
KR200415842Y1 (ko) 설치가 용이한 천막 겸용 텐트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KR20090001576U (ko) 차량루프 설치용 텐트
EP2721230B1 (en) Tepee provided with means for rain diverting
KR200386358Y1 (ko)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US10718131B2 (en) Vehicle tent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CN219491899U (zh) 一种具有外帐的帐篷
KR20070104313A (ko) 파라솔 일체형 텐트
CN218150156U (zh) 一种车尾帐篷
KR20240022137A (ko) 차량용 텐트
KR200175176Y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