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134A -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134A
KR20070050134A KR1020050107337A KR20050107337A KR20070050134A KR 20070050134 A KR20070050134 A KR 20070050134A KR 1020050107337 A KR1020050107337 A KR 1020050107337A KR 20050107337 A KR20050107337 A KR 20050107337A KR 20070050134 A KR20070050134 A KR 2007005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terminal
base station
cell
bluetoot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0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134A/ko
Publication of KR2007005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134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사용모드가 접속되면 사용모드 요청을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교환망부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기지국에 담당하는 상기 셀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셀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이면 상기 교환망부는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거절하도록 거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블루투스 사용모드를 거절하는 거절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한하는 단계로 구비되어 특정 지역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시도할 때 해당 지역이 근거리 통신이 차단된 장소, 예를 든다면 해당 지역(셀)내에서 국가고시 등의 시험이 운용되고 있다든가 또는 국가 기밀 시설이 위치한 장소이거나 그 외에 사설 근거리 통신이 제한되어야 할 위치인 경우 해당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차단토록 하여 블루투스 단말기에 의한 불법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블루투스, 통신차단, 슬립모드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Method of restriction bluetooth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셀 구성도에서 블루투스 모드를 제한하기 위한 셀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기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 단말기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 : 마이크로 폰 130 : 스피커
200 : CDMA 모듈 210 : CDMA 안테나
220 : CDMA 송수신부 230 : CDMA 클럭
300 : 블루투스 모듈 310 : 블루투스 안테나
320 : 블루투스 송수신부 330 : 블루투스 모드 인증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모드에 슬립모드를 적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차세대 통신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는, 약 10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비인가(非認可)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다양한 기기 간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저전력(RF전력: 1mW, 100mW)의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특히 블루투스는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면허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측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별도의 추가 비용부담이 전혀 없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은 무선 이동 통신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헤드셋(head-set), 프린터(print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근거리에 있는 각종 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블루투스 단말의 통신은 근래에 몇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각종 국가고시 등의 수험 장소에서 수험자 상호간의 은밀한 통신, 또는 외부 조력자와 수험자 간의 불법 행위에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시 지역적 조건에 따라 블루투스 기능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사용모드가 접속되면 사용모드 요청을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교환망부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기지국에 담당하는 상기 셀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셀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이면 상기 교환망부는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거절하도록 거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블루투스 사용모드를 거절하는 거절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한하는 단계로 구비된다.
상기 제한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셀이 제한지역인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한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셀이 제한지역인가의 여부와, 상기 사용모드 요청 시간이 설정된 제한시간 이내인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을 제하는 거절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는 슬립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이 제한된 상기 셀을 벗어나면 상기 교환망부는 상기 단말기에 다른 기지국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인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교환망부에서 판단한 시간이 블루투스 통신을 제한하는 시간이내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단말기로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인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셀 구성도에서 블루투스 모드를 제한하기 위한 셀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기의 블록 다이아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의 구성, 즉, CDMA 등과 같은 셀 방식 전화(cellular telephony)는 서비스 영역이 셀(cell; A, B)이라는 다수의 작은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각 셀(A, B)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 500)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이들 기지국(500)은 교환망부(400)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운용지원부(6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모든 장치들을 통합하여 유지보수를 위하여 교환망부(400) 및 기지국(500)의 운용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교환망부(400)는 신호망을 통해 호 설정시 이동통신 가입자의 현재위치 및 인증관련 정보를 가입자 위치등록장치(HLR: 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얻어서 착신지역 이동통신 교환기까지 루팅(rout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등록장치는 가입자 전화번호, 단말기의 일련번호 호처리 루팅정보, 가입자 권한정보와 같은 기본적인 관리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외에 착신전화, 호 대기 및 기타 정보관리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위치등록장치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사용모드에 대한 사용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단말기의 사용요청을 인증하는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위치등록장치 외에 교환망부(400)에 다른 블루투스 모드 인증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할 수 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00)는 본 실시예의 경우 블루투스/CDMA를 일실시예로 하고 있다. 무선 통신은 CDMA 이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기술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00)의 구성은 CDMA 모듈(200)과 블루투스 모듈(300)을 구비한다. CDMA 모듈(200)은 기지국(500)과의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210), 송신기/수신기(220)를 구비하고, 억세스/슬립모드를 위하여 클럭(230)을 구비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300)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안테나(310), 송신기/수신기(320)를 구비하고, 블루투스 모드 신청시 블루투스 모드의 인증 또는 거절신호를 처리하는 블루투스 모드 인증신호 처리부(330)를 구비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300)은 자신의 수신기/송신기(320) 및 안테나(310)를 이용해 다른 블루투스-인 에이블 된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100)는 음성 통신을 위한 마이크로폰(120)과 스피커(13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100)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 PDA, 랩탑 컴퓨터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가 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모듈(300)과 CDMA 모듈(200)이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억세스/슬립 모드의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로 블루투스 모듈(300)과 CDMA 모듈(200)이 서로 연동하도록 프로세서(processor)에 결합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이때의 프로세서는 슬립모드에서 블루투스 모듈(300)의 억세스/슬립 사이클을 제어하고, 동시에 CDMA 모듈(200)의 억세스/슬립 사이클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모듈(300)과 CDMA 모듈(200)에 공통의 클럭 신호 또는 타이밍 신호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두 가지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환망부(400)에 부가적으로 특정 셀(B) 영역에 대한 블루투스 사용을 제한하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이때의 데이터 입력은 운용지원부(600)에서 입력하여 교환망부(400)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의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블루투스 사용모드가 접속되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00)는 자동적으로 블루투스 모듈(300)이 CDMA 모듈(200)과 연동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모드 요청을 해당 셀(B)의 기지국(500)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거친다(S10).
그리고 해당 셀(B)의 기지국(500)에서는 교환망부(400)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전송한다(S20). 이때 교환망부(400)는 해당 셀(B)이 블루투스 사용이 제한된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계속해서 해당 셀(B)에 대한 블루투스 사용이 제한된 시간인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S40).
이후 해당 셀(B)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이면 교환망부(400)는 기지국(500)을 통하여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거절하도록 거절신호를 전송한다(S50). 그리고 거절신호를 수신받은 기지국(500)에서는 해당 단말기(100)로 블루투스 사용모드를 거절하는 거절신호를 전송하고(S60), 해당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통신은 제한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70). 그리고 해당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사용이 제한된 지역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제한시간이 끝날 때까지 슬립모드로 진행 하게 된다.
한편, 해당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통신이 제한된 셀을 벗어나거나 지역적으로 시간적으로 제한상태가 아니면 교환망부(400)는 단말기(100)에 해당 기지국(500)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인가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 해당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사용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한다(S31).
여기서 해당 단말기(100)의 슬립모드의 동작은 블루투스 모듈(300)이 기지국(500)으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인가신호를 받을 때까지 슬립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 블루투스 모듈(200) 자체에 타이머가 내장되어 거절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함께 수신받아 제한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르게는 CDMA 모듈(200)에 내장된 클럭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모듈(300)의 사용인가 시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정 특정 셀 영역에 대한 무작위 사용제한을 강제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며, 이때에는 해당 셀의 기지국을 통하여 전체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을 제한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서 실시예의 일부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변형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시도할 때 해당 지역이 근거리 통신이 차단된 장소, 예를 든다면 해당 지역(셀)내에서 국가고시 등의 시험이 운용되고 있다든가 또는 국가 기밀 시설이 위치한 장소이거나 그 외에 사설 근거리 통신이 제한되어야 할 위치인 경우 해당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차단토록 하여 블루투스 단말기에 의한 불법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사용모드가 접속되면 사용모드 요청을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교환망부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기지국에 담당하는 상기 셀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셀의 영역이 블루투스 통신 제한상태이면 상기 교환망부는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사용모드 요청을 거절하도록 거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블루투스 사용모드를 거절하는 거절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한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셀이 제한지역인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셀이 제한지역인가의 여부와, 상기 사용모드 요청 시간이 설정된 제한시간 이내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을 제하는 거절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는 슬립모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이 제한된 상기 셀을 벗어나면 상기 교환망부는 상기 단말기에 다른 기지국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인가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판단한 시간이 블루투스 통신을 제한하는 시간이내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단말기로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인가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KR1020050107337A 2005-11-10 2005-11-10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KR20070050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337A KR20070050134A (ko) 2005-11-10 2005-11-10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337A KR20070050134A (ko) 2005-11-10 2005-11-10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134A true KR20070050134A (ko) 2007-05-15

Family

ID=3827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337A KR20070050134A (ko) 2005-11-10 2005-11-10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1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095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연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095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연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9994B1 (en) Emergency call-back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user removable module
US200602324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wireless device wit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9554351B2 (en) Method for handling radio activities of multiple SIM cards equipped in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TWI441530B (zh) 執行由無線寬頻(全球互通微波存取)服務至無線區域網路服務交遞之方法及使用其之終端裝置
KR20060092884A (ko) 이기종망에서 동작하기 위한 듀얼 모드 이동국 및 그이동국에서의 동작 방법
CN102067680A (zh) 用户发起的优选毫微微蜂窝式基站的移动学习
EP1915023B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location registration
US20090149177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registration period defining nod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CN101217746A (zh) 单gsm通讯模块的双卡双待手机进行周期性位置区更新的方法
WO2018227927A1 (zh) 一种无线信号的屏蔽方法及装置
CN110431863B (zh) 跟踪区更新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87807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drain while camped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4124165A1 (en) Improved throughput and radio resource utilization for user equipment hav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US200800579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s occupying a common frequency region
KR20090060443A (ko) 다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국에서 비활성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 효율적 활성화를 위한 방법
CN102857609A (zh) 在耳机与基站之间传输无线电信号
JP473685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通信モード切換え方法
JP5656925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CN112929964B (zh) 一种通信方法与通信装置
JP4749125B2 (ja) リピータ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KR20070050134A (ko)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EP1895719B1 (en)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haring a frequency band
JP2013239907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100997049B1 (ko) 특정 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시스템 및 장치
JP2004056508A (ja) 携帯無線通信装置、プライベートユニット及び携帯無線通信装置本体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