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381A -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381A
KR20070049381A KR1020050106488A KR20050106488A KR20070049381A KR 20070049381 A KR20070049381 A KR 20070049381A KR 1020050106488 A KR1020050106488 A KR 1020050106488A KR 20050106488 A KR20050106488 A KR 20050106488A KR 20070049381 A KR20070049381 A KR 2007004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soun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359B1 (ko
Inventor
김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3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쌍의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 표시부가 사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스피커 모드에 따른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다양한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표시부 사용 방향, 스피커 모드

Description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RMINAL AND IT'S METHOD FOR HAVING VARIABLE SPEAKER USAGE ACCORDING AS DISPLAY VIEW}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란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의 고속화에 부응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전화를 하는 화상통화에 있어서 초기의 뚝뚝 끊기던 화상통화 수준을 넘어서,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현실적으로 사용가능한 수준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위성/지상파 DMB 서비스로 인해서 사용자가 TV드라마와 영화를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즐기는 것이 가능해졌고,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기능까지 휴대단말기에 더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찍은 캠코더 영상이나 사용자가 소유한 영화매체(예를 들어 DVD나 컴퓨터 파일)를 일정한 과정을 거쳐 휴대단말기로 전송한 동영상이나 인터넷 컨텐츠 업체에서 전송받은 동영상을 휴대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렇게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사용이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들을 제대로 즐기기 위한 환경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와이드 화면재생이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폴더를 옆으로 슬라이딩하여 폴더의 표시부를 가로로 볼 수 있는 일명 가로-슬라이드 폰, 2축 힌지에 의한 폴더의 동작으로 폴더의 가로회전을 가능케 하여 폴더의 표시부를 가로로 볼 수 있는 일명 가로본능-폰, 폴더가 옆으로 회전하여 폴더의 표시부를 가로로 볼 수 있는 일명 스윙-폰, 폴더를 여는 방향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모두 가능하여 가로방향으로 폴더를 열었을 때 폴더의 표시부를 가로로 볼 수 있는 일명 투-웨이 폴더 폰 등 여러 가지 타입의 휴대단말기가 출시되었다.
이들 종래의 휴대단말기들은 폴더의 여러 가지 움직임에 의해서 폴더의 표시부, 즉 휴대단말기의 사용화면을 와이드 스크린(Wide Screen)형태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시각적 측면에서의 멀티미디어 조건을 충족하였지만 스피커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았다. 때문에, 와이드 스크린 사용을 위해서 폴더 조작에 의한 폴더의 표시부 사용 방향을 가로 혹은 세로 보기 형태로 전환하면, 스피커의 위치까지도 같이 바뀌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폴더의 표시부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의 사운드를 출력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환경에 설정된 사운드(예를 들어, 스테레오 사운드, 3D 사운드, 돌비 사운드 등)를 제대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가 없었다.
즉, 사람의 귀의 위치에 대칭되는 스피커의 좌/우 배치는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데, 상기 휴대단말기는 폴더 표시부의 가로보기 모드의 경우 스피커의 배치구조의 한계 때문에 입체적인 음향 구현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표시부의 사용 방향이 바뀌어도 멀티미디어 환경에 어울리는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쌍의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 표시부가 사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스피커 모드에 따른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쌍의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 표시부가 사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피커 모드에 따른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100)는 메인 하우징(10)과, 메인 하우징(10)에서 가로 방향으로 향하는 제1힌지축(A1)과, 상기 메인 하우징(10)에서 세로 방향으로 향하는 제2힌지축(A2)과, 상기 메인 하우징(10)과 대면한 상태에서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개폐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 (10)과 대면한 상태에서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보조 하우징 즉, 폴더(20)로 구성된다. 즉,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100)는 폴더(20)의 개폐가 제1힌지축(A1)과 제2힌지축(A2)를 중심으로 세로와 가로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100)는 폴더(20)가 각기 제1힌지축(A1)과 제2힌지축(A2)을 따라 열린 후에 폴더의 표시부(21)의 사용방향이 각각 세로와 가로로 된 상태이다.
도 1(a)에 도시된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100)는 표시부(2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B1)을 기준으로 두 개의 스피커(30a,30b)가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100)는 표시부(2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B2)을 기준으로, 두 개의 스피커(30a,30a)가 모두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결국 표시부(21)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의 배치가 바뀌게 되므로 입체적인 음향 구현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이후로 설명하게 될 표시부(21) 사용 방향의 의미는 폴더(20)의 조작이 어떻게 이루어지던지 결국 사용자가 표시부(21)를 사용하는, 즉 바라보는 방향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세로 혹은 가로 방향이 된다는 의미이다. 표시부(21)의 사용방향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10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가로본능-폰, 가로-슬라이드 폰, 스윙-폰들도 폴더가 열리는 방식은 각기 다르지만,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표 시부를 바라볼 때의 형태는 세로와 가로로 한정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웨이 폴더 타입 휴대 단말기(200)의 폴더(120)가 열린 후, 사용자에 의한 표시부(121)의 사용 방향이 세로일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표시부(12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C1)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스피커(130b)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스피커(130d)를 통해 각각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상기 수직선(C1)의 선상에 위치한 스피커들(130a, 130c)은 사용자 혹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별도의 사운드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도 2(b)는 휴대 단말기(200)의 폴더(120)가 열린 후, 사용자에 의한 표시부(121)의 사용 방향이 가로일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표시부(12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C2)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스피커(130c)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스피커(130a)를 통해 각각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상기 수직선(C2)의 선상에 위치한 스피커들(130b, 130d) 역시 사용자 혹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별도의 사운드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는 표시부(121)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휴대단말기(200)의 중심위치 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는 휴대 단말기(200) 폴더(120)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별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스피커 140a, 140b, 140c, 140d는 상기 130a, 130b, 130c, 130d의 스피커에 대한 또 다른 배치 예이며, 스피커 140a 내지 140d를 통한 사운드 출력방식은 상기130a 내지 130d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 출력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두 쌍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세로 스피커 모드와 가로 스피커 모드는 상기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설정되는 스피커 모드이다.
즉, 세로 스피커 모드는 표시부의 사용 방향이 세로이면, 상기 표시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스피커에는 사운드의 왼쪽 채널을, 오른쪽에 위치하는 스피커에는 사운드의 오른쪽 채널을 할당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모드이다.
또한 가로 스피커 모드는 표시부의 사용 방향이 가로이면, 상기 표시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스피커에는 사운드의 왼쪽 채널을, 오른쪽에 위치하는 스피커에는 사운드의 오른쪽 채널을 할당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모드이다.
도시된 휴대단말기(200)는 제어부(210), 모뎀(220), RF부(223), 오디오 처리부(225), 키패드(227), 메모리(230), 센서부(240) 및 표시부(25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센서부(240)에 의해 감지된 표시부(250)의 사용방향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피커 모드에 따른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한다. 즉, 제어부(210)는 센서부(240)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 모드를 세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부(240)로부터 제2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 모드를 가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에 대해서는 센서부(240)의 동작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감지된 표시부(250)의 사용방향이 세로이면 표시부(25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스피커 쌍 예컨대, 도 2(a)의 130b, 130d를 선택하여 사운드의 좌/우 채널을 할당한 후,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감지된 표시부(250)의 사용방향이 가로이면 표시부(25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스피커 쌍 예컨대, 도 2(b)의 130a, 130c를 선택하여 사운드의 좌/우 채널을 할당한 후,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좌/우 채널에 할당하기 어려운 위치,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중심 또는 표시부(250)의 중심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200) 폴더의 중심에 가까이 위 치하는 스피커는 출력되는 사운드 종류에 따라 별도의 설정이 가능하다.
RF부(223)는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223)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225)는 RF부(223)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키입력부(227)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와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저장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210)를 통해 액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21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센서부(240)는 표시부(250)가 사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표시부(250)의 사용 방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센서부(240)는 예컨대,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put pin)에 의한 센싱 방식을 통해, 휴대단말기(200)의 폴더가 열린 후 표시부(250)의 사용 방향이 세로이면 제1 감지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하고, 표시부(250)의 사용 방향이 가로이면 제2 감지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표시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5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250)는 영상처리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2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센서부(240)를 제어하여 표시부(250)의 사용방향을 감지한다(S311).
센서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50)의 사용방향을 감지한 신호를 출력한다(S313).
제어부(210)는 센서부(240)에 출력한 감지신호의 종류를 체크한다(S315).
제어부(210)는 상기 출력된 감지신호가 제1감지신호이면 휴대 단말기(200)의 스피커 모드를 세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한다(S317).
제어부(210)는 상기 전환된 세로 스피커 모드에서 사운드를 출력한다(S319).
한편, 제어부(210)는 상기 S315 과정에서 체크된 감지신호가 제2감지신호이면 휴대 단말기(200)의 스피커 모드를 가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한다(S321).
제어부(210)는 상기 전환된 가로 스피커 모드에서 사운드를 출력한다(S323).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다양한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두 쌍의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 표시부가 사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스피커 모드에 따른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사용방향이 세로이면
    상기 표시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스피커 쌍을 선택하여 사운드의 좌/우 채널을 할당한 후, 사운드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사용방향이 가로이면
    상기 표시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스피커 쌍을 선택하여 사운드의 좌/우 채널을 할당한 후, 사운드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채널에 할당하기 어려운 위치, 상기 휴대단말기의 중심 또는 상기 표시부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스피커는 출력되는 사운드 종류에 대한 별도의 설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 폴더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방법.
  8. 적어도 두 쌍의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 표시부가 사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피커 모드에 따른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방향이 세로이면 상기 표시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스피커 쌍을 선택하여 사운드의 좌/우 채널을 할당한 후, 사운드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표시부의 사용방향이 가로이면 상기 표시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스피커 쌍을 선택하여 사운드의 좌/우 채널을 할당한 후, 사운드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채널에 할당하기 어려운 위치, 상기 휴대단말기의 중심 또는 상기 폴더 표시부의 중심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 폴더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스피커는 출력되는 사운드 종류에 대한 별도의 설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 폴더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50106488A 2005-11-08 2005-11-08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6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488A KR101160359B1 (ko) 2005-11-08 2005-11-08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488A KR101160359B1 (ko) 2005-11-08 2005-11-08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381A true KR20070049381A (ko) 2007-05-11
KR101160359B1 KR101160359B1 (ko) 2012-06-26

Family

ID=3827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488A KR101160359B1 (ko) 2005-11-08 2005-11-08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49A1 (en) * 2020-06-12 2021-12-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0771B (zh) 2020-04-10 2021-06-22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该显示装置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20B1 (ko) * 2003-11-07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49A1 (en) * 2020-06-12 2021-12-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20210389923A1 (en) * 2020-06-12 2021-12-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10154477A (ko) * 2020-06-12 202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0786B2 (en) 2020-06-12 2024-04-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359B1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1976B2 (ja) 携帯電話機
KR100753397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8797999B2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US7774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US808529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78562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US20070265031A1 (en) Mobile Phon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80009330A1 (en)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791331B1 (en)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a dual-hinge type mobile terminal
US20140173667A1 (en) Mobile phon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02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via speakerphone in a mobile device
KR101160359B1 (ko)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JP4944587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5052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5175B1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91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및 방법
KR1004567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CN109348021B (zh) 移动终端及音频播放方法
KR1006300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효과음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0050618A (ja)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制御方法、携帯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6780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93988B1 (ko)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KR1006513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KR100544771B1 (ko) 폴더 회전형 단말기의 볼륨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6781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