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329A - 방열기 - Google Patents

방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329A
KR20070049329A KR1020050106399A KR20050106399A KR20070049329A KR 20070049329 A KR20070049329 A KR 20070049329A KR 1020050106399 A KR1020050106399 A KR 1020050106399A KR 20050106399 A KR20050106399 A KR 20050106399A KR 20070049329 A KR20070049329 A KR 2007004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radiator
hot air
heating
carbon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663B1 (ko
Inventor
권상희
오영한
Original Assignee
권상희
오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희, 오영한 filed Critical 권상희
Priority to KR102005010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6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05B1/0277Electric radi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카본히터와 탄소리본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근적외선과 열풍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소비전력은 줄일 수 있는 방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면에 그릴과 열풍구 및 흡기구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 그릴의 후방에 설치한 나노카본히터와; 상기 나노카본히터의 후방에 설치한 반사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 중 흡기구의 후방에 설치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면서 그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의 탄소리본히터와; 탄소리본히터를 통과한 열풍을 송풍구 측으로 안내하는 열풍 가이드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열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소비는 줄이면서 난방 효율은 높이고, 근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과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세균 및 먼지 등의 살균 제거를 통해 실내 환경을 개선하면서 사용자의 건강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열기, 나노카본히터, 탄소리본히터, 송풍기, 그릴.

Description

방열기{Electric he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방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열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열기 중 탄소리본히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열기 200 : 몸체
210 : 그릴 220 : 열풍구
230 : 흡기구 300 : 나노카본히터
400 : 반사판 500 : 송풍기
600 : 탄소리본히터 610 : 탄소리본
620 : 핀 700 : 열풍 가이드덕트
본 발명은 방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카본히터와 탄소리본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근적외선과 열풍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소비전력은 줄일 수 있는 방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난방기구는 석유를 사용하는 석유히터,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히터, 전기를 사용하는 전열히터로 크게 구분된다.
이중에서 석유히터나 가스히터의 경우에는 전열히터에 비하여 제품의 가격이 다소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롭고, 불완전연소로 인하여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연료 주입과정에서 화재의 위험성 높고, 연료 주입작업이 번거로우며, 특히 최근 유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유류 및 가스비용의 지출이 크게 증가되어 석유히터나 가스히터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반면, 전열히터는 전기를 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구로서, 그 제품의 구성이 간단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취급이 극히 간편함은 물론, 화재위험도 상대적으로 낮은 장점이 있으며, 수시로 연료를 보충할 필요도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간편하여 최근 실내 난방수단으로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열히터는 대부분 니크롬코일상의 전기발열체를 내장한 투명 내열 재질의 석영관이나 불투명 내열 재질의 세라믹관을 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한 개 이상 배열 설치한 것, 또는 텅스텐으로 된 선상의 전기발열체가 내장된 세라믹판을 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한 것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히터 중에서 니크롬코일상의 전기발열체를 내장한 석영관 이나 세라믹관을 이용한 제품은 높은 소비전력으로 인하여 과다한 전기료의 지출을 수반하고, 또한 석영관 또는 세라믹관의 발열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열방사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텅스텐으로 된 선상의 전기발열체가 내장된 세라믹판을 이용한 것은 세라믹판이 가열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신속한 난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전열히터는 니크롬코일상의 전기발열체를 내장한 석영관이나 세라믹관의 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시켜 직접적으로 열전도하는 난방 방식이므로 근거리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효율적 난방을 위한 공기의 순환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난방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전열히터는 니크롬코일상의 전기발열체를 사용하므로 전자파가 많이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건강에 관심이 많은 최근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점점 외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비는 줄이면서 난방 효율은 높일 수 있는 방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방시 근적외선도 함께 방출되도록 하고,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세균 및 먼지 등을 제거하여 난방뿐만 아니라 실내환경의 개선 및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방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열기는 전면에 그릴과 열풍구 및 흡기구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 그릴의 후방에 설치한 나노카본히터와; 상기 나노카본히터의 후방에 설치한 반사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 중 흡기구의 후방에 설치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면서 그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의 탄소리본히터와; 탄소리본히터를 통과한 열풍을 송풍구 측으로 안내하는 열풍 가이드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열기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방열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열기(100)는 크게 몸체(200), 나노카본히터(300), 반사판(400), 송풍기(500), 탄소리본히터(600), 열풍 가이드덕트(700)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200)는 케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면에 전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그릴(210)을 설치하고, 그릴(210)의 상부에는 열풍이 송풍될 수 있는 열풍구(220)를 형성하며, 상기한 그릴(210)의 하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230)를 형성한다.
나노카본히터(300)는 석영관이나 세라믹관 등의 관 안에 나노카본이 설치된 발열체로서, 상기한 몸체(200)의 내부 중 그릴(210)의 후방에 다수 설치한다. 이러한 나노카본히터(300)는 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전원장치와 제어장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근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반사판(400)은 나노카본히터(3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몸체(200)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200)의 내부 중 나노카본히터(300)의 후방측에 다수의 나노카본히터(300) 전체를 커버하는 형태로 설치한다.
송풍기(500)는 실내 하부의 찬공기를 흡입하여 탄소리본히터(600) 측으로 송풍하는 것으로, 몸체(2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230)의 배면 측에 흡기구(230)와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탄소리본히터(600)는 송풍기(500)를 통해 송풍되는 차가운 공기를 더운 공기로 가열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이물질 및 악취 등을 연소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탄소리본히터(600)는 송풍기(500)의 배기폴더 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며, 그 구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섬유인 리본형상의 리탄소리본(610)을 다수의 핀(620) 사이에서 다층으로 구성하되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므로 송풍 및 전열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 가이드덕트(700)는 탄소리본히터(600)를 통해 발생되는 열풍을 송풍구 측으로 안내하도록 몸체(200) 내측에 설치한 것으로, 이러한 열풍 가이드덕트(700)는 열풍으로 인하여 몸체(200)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전열체 재질을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면에 내열성의 단열재가 설치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열기(100)는 전원인가시 나노카본히터(300)를 통해 대략 600℃의 근적외선이 방사되고, 이러한 근적외선은 반사판(400)을 통해 방열기(100)의 전방 측으로 반사되어 실내를 난방시키게 되며, 특히 나노카본히터(300)를 통해 발생되는 근적외선은 비교적 먼 거리까지도 그 열을 전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기(100)는 나노카본히터(300)를 통한 난방이외에 방열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500)와 탄소리본히터(600)를 작동시키므로 열풍구(220)를 통해 열풍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열풍구(220)를 통해 송풍되는 열풍은 흡기구(230)를 통해 흡입된 실내 하부의 차가운 공기를 가열한 것으로, 실내 공기를 고르게 난방시키는 큰 장점이 있으며, 근적외선에 의한 난방과 함께 실내 난방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욱이 탄소리본히터(6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탄소리본(610)이 핀(620) 사이에 다층으로 설치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구조이므로 송풍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는 반면, 공기저항은 줄이므로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탄소리본히터(600)는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 된 각종 세균이나 냄새 및 이물질을 대략 250℃의 열에 의해 제거하거나 연소시키므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탄소리본(610)이 갖는 특성상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므로 보다 쾌적하고 인체에 유익한 난방을 도모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열기(100)는 열원으로서 나노카본히터(300)와 탄소리본히터(600)를 사용하므로 그 특성상 종래의 니크롬코일상의 전기발열체를 사용한 전열히터와 비교하여 볼 때에 소비전력이 12~15% 이상 크게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기료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100)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거실 등의 실내 내벽 중 벽난로가 설치되는 위치에 내장(Builtin)시키므로 벽난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이외에 방열기(100)의 크기를 변경하여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온풍기나 개인용 히터의 용도로 활용하는 것도 실시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열기는 나노카본히터와 탄소리본히터를 통해 근적외선과 열풍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실내 난방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열기는 나노카본히터와 탄소리본히터에 의해 열원을 제공하므로 난방시 전자파의 발생이 매우 적고,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과 악취, 이물질 등을 제거하면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도 함께 방출하므로 보다 쾌적하고 유익한 난방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기는 난방에 따른 소비전력의 감소로 인하여 전기료를 크게 절감할 뿐만 아니라, 거실 등에 설치되는 벽난로나 온풍기, 소형 전열히터의 용도로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면에 그릴(210)과 열풍구(220) 및 흡기구(230)를 구비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내부 중 그릴(210)의 후방에 설치한 나노카본히터(300)와;
    상기 나노카본히터(300)의 후방에 설치한 반사판(400)과;
    상기 몸체(200)의 내부 중 흡기구(230)의 후방에 설치한 송풍기(500)와;
    상기 송풍기(500)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면서 그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의 탄소리본히터(600)와;
    탄소리본히터(600)를 통과한 열풍을 송풍구 측으로 안내하는 열풍 가이드덕트(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가이드덕트(700)는 몸체(200)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전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리본히터(600)은 다수의 핀(620) 사이에 탄소섬유재질인 리본형상의 탄소섬유(610)를 다층으로 구성하되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
KR1020050106399A 2005-11-08 2005-11-08 방열기 KR100775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399A KR100775663B1 (ko) 2005-11-08 2005-11-08 방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399A KR100775663B1 (ko) 2005-11-08 2005-11-08 방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89U Division KR200406514Y1 (ko) 2005-11-09 2005-11-09 방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329A true KR20070049329A (ko) 2007-05-11
KR100775663B1 KR100775663B1 (ko) 2007-11-22

Family

ID=3827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399A KR100775663B1 (ko) 2005-11-08 2005-11-08 방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35B1 (ko) * 2012-09-07 2014-06-03 박청동 탄소나노히터를 이용한 살균소독기
KR20220089601A (ko) * 2020-12-21 2022-06-28 이민우 휴대용 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86B1 (ko) * 2009-02-19 2011-07-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부유미생물 살균용 열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29Y1 (ko) 2002-07-08 2002-10-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도전성 판상 발열체를 이용한 방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35B1 (ko) * 2012-09-07 2014-06-03 박청동 탄소나노히터를 이용한 살균소독기
KR20220089601A (ko) * 2020-12-21 2022-06-28 이민우 휴대용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663B1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032B1 (ko) 헤어드라이어
KR101188774B1 (ko) 열풍기
KR100775663B1 (ko) 방열기
US8463113B2 (en) Fan heater applying a carbon fiber ribbon secured in each heating cartridge
KR200406514Y1 (ko) 방열기
KR200364346Y1 (ko) 모발건조기
KR101047638B1 (ko) 카본발열체를 이용한 온풍장치
CN1979000A (zh) 热风对流加热装置的微波炉
KR20130018013A (ko)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히터
US20100133259A1 (en) Heater usable with cook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oker
KR101139897B1 (ko) 방열 온풍기
KR20090093054A (ko) 온풍기
WO2007064130A1 (en) Heat media device for hot wind blower
KR200497503Y1 (ko) 휀이 결합된 난방용 전기히터
KR100987318B1 (ko) 대류난방이 가능한 복사열히터
CN212319834U (zh) 一种复合加热取暖器
KR100768252B1 (ko) 기능성 열풍기용 열전달 기구
CN201429149Y (zh) 电加热取暖器
KR200404374Y1 (ko) 헤어드라이어
CN202101318U (zh) 远红外电暖器
JPS60223957A (ja) 調理器具廃熱利用室内暖房装置
KR200303907Y1 (ko) 온풍기
CN113390157B (zh) 具有杀菌效果的电热对流器
CN202040887U (zh) 一种强制对流内置发热管反射型取暖器
KR20090006046U (ko) 열풍식 원적외선 전기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