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291A -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 Google Patents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291A
KR20070049291A KR20050106319A KR20050106319A KR20070049291A KR 20070049291 A KR20070049291 A KR 20070049291A KR 20050106319 A KR20050106319 A KR 20050106319A KR 20050106319 A KR20050106319 A KR 20050106319A KR 20070049291 A KR20070049291 A KR 20070049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ap
container
discharge hol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욱
Original Assignee
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욱 filed Critical 박정욱
Priority to KR2005010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9291A/ko
Publication of KR2007004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주입구를 막는 캡형의 본체에 이종물질 수용부와, 본체 상부에서 나사로 결합하여 나사를 풀 때 수용부 배출공을 막았다가 열리도록 기능하여 이종물질을 수용부에서 용기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대와, 배출대를 중앙에서 결합시키고 본체와 상부에서 나사 결합하는 삽캡을 가지는 용기캡에 있어서,
수용부 배출공(22) 주변에 설치되며 배출공(22)의 중앙으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절단칼(23);
배출대(30)가 분리시 배출대(30) 하단의 수용부 배출공(22)을 막는 부분이 절단칼(23)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배출대(30)에 형성한 절단벽(33)을 포함하는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이다.
용기캡,위조방지

Description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Bottle cap}
도 1 은 일반적인 용기캡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사용하는 용기캡의 본체 부분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도 1 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절단칼 31;결합후크 33;절단벽 35;분리마개
본 발명은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 이종물질을 수용후 첨가하는 수용부의 배출공을 막는 배출대의 하단에 분리벽을 두고 수용부 배출공에는 절단칼을 두어 결합 후 분리시 절단칼에 의하여 분리벽이 분리되도록 하여 재사용시에는 배출공의 밀페가 불가능토록 하여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막아주도록 하는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이종물질을 수용한 용기캡은 도 1 내지 도 3 과 같이 배출장치는(1)는,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수 있으나,일상태를 표현하면, 용기(100)의 구부에 결합되는 본체(10)와 그 본체(10)의 내부로 수용되는 저장공간(21)을 갖는 수용부(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체(10) 및 수용부(20)를 중심으로 결합되고,저장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대(30)와,상기한 배출대(30)를 승하강 시키는 상캡(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장치(1)를 갖는 용기(100)의 용기내부(101)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호표시 "H") 일정 높이로 내용물이 상승된 것처럼 진공이 걸려지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내용물이 냉각되는 과정에도 될 수 있고,다르게는 공기를 빨아내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또 다르게는,용기(100)의 측방부를 압박하면서 배출장치(1)를 조립하는 것도 자연 진공이 걸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중요한 점은, 어떤 형태의 배출장치(1)라 할지라도 배출장치(1)를 개방하게 되면, 이와 동시 용기내부(101)의 진공이 풀리면서 외기의 공기가 배출장치(1)의 수용부(20) 저장공간(21)을 통하게 하면, 저장공간(21)에는 자연적으로 상당한 흡입력에 의해 이종물질이 용기(100)내부로 낙하희석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공시 용기(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무늬나 도안을 적용할수 있으며,이때는 진공이 걸리면 그러한 문양이나 도안 등이 내부로 향하였다가,진공이 풀리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배출장치(1)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는 용기내부(101)와 희석되게 된다.
즉, 상기한 과정에,외기의 공기가 용기내부(101)와 통공되는 과정에,즉, 용기내부(101)의 진공이 풀리는 과정에 외기의 공기는 수용부(20)의 저장공간(21)을 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저장공간(21)을 통과하게 되는 공기는 저장공간(21)의 내용물을 매우 빠른 속도로 용기내부(101)로 낙하희석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바,이종물질을 용기(100) 내의 내용물과 희석하는 것이 매우 빠르고 효율적일수 있는 것이나, 배출대가 수용부의 배출공을 완전 실링하느 구조이기에 언제든지 수용부에 첨가물을 채워 재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물질을 사용한 후, 어린 아이나 불순한 생각을 하는 자가 수용부에 위험하거나 성능이 저급한 첨가물을 넣어, 새것처럼 사용하는 것을 막아주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수용부를 막았다가 터지도록 할 때 막는 부위가 함께 절단되어 수용부에 수용물질을 수용 못하도록 하는 용기마개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은 용기의 주입구를 막는 캡형의 본체에 이종물질 수용부와, 본 체 상부에서 나사로 결합하여 나사를 풀 때 수용부 배출공을 막았다가 열리도록 기능하여 이종물질을 수용부에서 용기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대와, 배출대를 중앙에서 결합시키고 본체와 상부에서 나사 결합하는 상캡을 가지는 용기캡에 있어서,
수용부 배출공 주변에 설치되며 배출공의 중앙으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절단칼;
배출대가 분리시 배출대 하단의 수용부 배출공을 막는 부분이 절단칼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배출대에 형성한 절단벽을 포함하는 용기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절단벽 하부 경계면에는 절단칼과 삽입은 가능하고 분리시 절단벽이 분리되도록 후크 기능을 하는 결합후크가 부가된 것이 좋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원 발명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원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 용기의 주입구를 막는 캡형의 본체에 이종물질 수용부와, 본체 상부에서 나사로 결합하여 나사를 풀 때 수용부 배출공을 막았다가 열리도록 기능하여 이종물질을 수용부에서 용기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대와, 배출대를 중앙에서 결합시키고 본체와 상부에서 나사 결합하는 상캡을 가지는 용기캡에 있어서,
수용부 배출공(22) 주변에 설치되며 배출공(22)의 중앙으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절단칼(23);
배출대(30)가 분리시 배출대(30) 하단의 수용부 배출공(22)을 막는 부분이 절단칼(23)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배출대(30)에 형성한 절단벽(33)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벽(33)하부 경계면에는 절단칼(23)과 삽입은 가능하고 분리시 절단벽이 분리되도록 후크 기능을 하는 결합후크(31)가 부가된다. 상기 배출대(30)의 하단에는 절단벽(33)으로 분리되는 분리마개(35)를 형성한다.
상기 분리마개(35)는 대응하는 절단용 절단칼(23)의 위치에 따라 수용부(20) 내부나 저면으로 분리 되도록 할 수 있는바, 도면에서는 수용부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위주로 도시 및 설명한다.
이를 사용할 때는 수용부(20)에 첨가물을 상캡(40)을 돌려 풀 때 배출대(30)가 함께 상승하고, 상승시 수용부 바닥의 배출공(22)이 노출되어 첨가물이 배출공(22)으로 배출되는 기능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본원발명은 도 4 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캡(40)을 돌려 배출대(30)르 상승시킬 때, 배출공(22)둘레에 절단칼(23)이 설치되고, 배출대(30) 하단은 절단벽(33)을 통하여 분리마개(35)가 분리되도록 이루어지기에, 절단칼(23)이 결합후크(31)를 눌러주는 상태에서, 배출대(30)가 상승하면 절단칼(23)이 결합후크(310를 누름과 동시에 얇은 절단벽(33)이 절단되어 분리마개(35)가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시 사용하여 수용부(20)에 첨가물질을 수용하려 해도, 배출공(22)이 배출대(20)의 하단과 실링 결합이 않되어(분리마개(35)가 분리되었으므로), 수용부에 수용할 수 없어 위조 첨가물의 수용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수용부의 바닥을 이루는 배출공이 한번 사용할 때 막고있던 배출대의 하단이 배출공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배출대에서도 분리되므로, 배출대를 다시 막아도 배출공을 다 막을 수는 없어 위조 첨가물을 수용부에 수용할 수 없어 사용자는 안전하게 사용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용기의 주입구를 막는 캡형의 본체에 이종물질 수용부와, 본체 상부에서 나사로 결합하여 나사를 풀 때 수용부 배출공을 막았다가 열리도록 기능하여 이종물질을 수용부에서 용기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대와, 배출대를 중앙에서 결합시키고 본체와 상부에서 나사 결합하는 삽캡을 가지는 용기캡에 있어서,
    수용부 배출공(22) 주변에 설치되며 배출공(22)의 중앙으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절단칼(23);
    배출대(30)가 분리시 배출대(30) 하단의 수용부 배출공(22)을 막는 부분이 절단칼(23)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배출대(30)에 형성한 절단벽(33)을 포함하는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벽(33)하부 경계면에는 절단칼(23)과 삽입은 가능하고 분리시 절단벽이 분리되도록 후크 기능을 하는 결합후크(31)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KR20050106319A 2005-11-08 2005-11-08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KR20070049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6319A KR20070049291A (ko) 2005-11-08 2005-11-08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6319A KR20070049291A (ko) 2005-11-08 2005-11-08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91A true KR20070049291A (ko) 2007-05-11

Family

ID=3827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6319A KR20070049291A (ko) 2005-11-08 2005-11-08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9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217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JP5450379B2 (ja) 安全蓋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KR20070049291A (ko) 재사용 방지 기능의 이종물질 배출 용기캡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101504834B1 (ko)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캡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37122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0205310Y1 (ko) 천공돌기를 구비한 튜브용기 뚜껑
KR100655516B1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구조
KR200417490Y1 (ko) 안전 캔
KR200376678Y1 (ko) 분리형 마개
KR20050103807A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KR101074986B1 (ko) 이동형 배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의 밀폐구조
KR100342914B1 (ko) 천공 및 절취용 홈이 형성된 생수통 마개
KR200398345Y1 (ko) 화장품 용기
JP2005029232A (ja) 容器から分離可能なキャップ体
KR200367790Y1 (ko) 이중 캡
KR20040040421A (ko) 스트로를 삽입하게 구성된 병뚜껑
KR101321579B1 (ko) 용기마개
KR200295511Y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040101178A (ko) 원터치방식의 이종물질 수용용 병뚜껑
KR20070065171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40040422A (ko) 내마개에 스트로를 삽입하게 구성된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