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724A -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724A
KR20070048724A KR1020077003229A KR20077003229A KR20070048724A KR 20070048724 A KR20070048724 A KR 20070048724A KR 1020077003229 A KR1020077003229 A KR 1020077003229A KR 20077003229 A KR20077003229 A KR 20077003229A KR 20070048724 A KR20070048724 A KR 2007004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upply
storage chamber
rotating member
count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743B1 (ko
Inventor
세이지 모치즈키
다이 가와다
요시타카 츠지
시게토 오기노
히토시 도요나가
히로후미 헨미
마사타케 야마노
Original Assignee
이덱 코포레이션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덱 코포레이션,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4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3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4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driving the stage of lowest order
    • G06M1/04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driving the stage of lowest order for drum-type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을, 1 회의 회전 조작당, 단회 공급분씩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카운터 기구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이고, 저장물의 공급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장치 내부의 저장물의 잔량을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카운터 기구는, 공급 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에 캠부를 갖는 고정 부재 (10) 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카운트수 표시를 구비하는 톱니바퀴 (20) 와,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회전방향의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회전 규제되어 있는 회전 부재 (40) 와, 회전 부재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에, 클릭을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캠 팔로워부를 갖는 링 부재 (30) 를 구비한다. 회전 부재가 1 회의 공급 조작분의 회전을 하는 동안, 캠부와 캠 팔로워부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클릭을 톱니바퀴에 걸어 톱니바퀴를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킨다.

Description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 장치{COUNTER MECHANISM OF FEEDER AND FEEDER HAVING COUNTER MECHANISM}
본 발명은, 분말 또는 액체 등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이러한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정량의 분말 약제를 복수회 투여할 수 있는 분말 약제 다회 정량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다회 투여 조작분의 분말 약제를 저장 가능한 약제 저장실 바닥면의 하부에 단회 투여 조작분의 분말 약제를 수용 가능한 약제 수용실을 형성한다. 약제 도출부는 약제 저장실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 위치와 투여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충전 위치에서 약제 수용실을 약제 저장실에 개구시키고, 투여 위치에서 약제 수용실을 약제 저장실에 대하여 폐쇄함과 함께 관을 통해 상기 약제 수용실을 장치의 외부로 연결하여 통하게 한다. 약제 도출부가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약제 저장실 내의 분말 약제가 약제 수용실 내에 충전되고, 충전 위치로부터 투여 위치로 이동될 때, 약제 수용실 내의 분말 약제가 단회 투여 조작분으로 평평하게 깎아서 계량되고, 투여 위치에서, 펌프부를 조작함으로써 필터를 통해 약제 수용실로 공기를 이송하여, 약제 수용실 내의 분말 약제 를 공기와 함께 관을 통해 장치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 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는, 회전 조작과 펌프의 조작만으로 일정한 분량의 분말 약제를 정확하게 분무ㆍ흡입 투여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시의 조작이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하며, 또한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는 분말 약제의 투여 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터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분말 약제의 양을 파악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분말 약제의 흡입기 등의 카운터링 수단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5).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카운터링 수단은, 스프링에 의해 클릭을, 축이 동일한 2 개의 톱니바퀴에 걸어 맞추고, 그 2 개의 톱니바퀴의 톱니의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회전 운동과 함께 그 2 개의 톱니바퀴가 상이한 인터벌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품점수가 많으며, 또한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4 에 개시되어 있는 카운터링 수단은, 분무를 위한 흡입기의 회전 조작을, 축이 상이한 2 개의 톱니바퀴를 통해 카운트수 표시를 구비한 2 개의 톱니바퀴에 연동시키는 것으로, 이것도 부품점수가 많고, 또한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5 에 개시되어 있는 카운터링 수단은, 프로펠러형 액츄에이터의 상하동을 이 프로펠러와 기계적으로 걸어 맞추어져 있는 톱니바퀴를 통해 카운터의 회전 운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부품점수가 적고, 또한 구조도 복잡하지 않지만,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충전 조작이 회전 조작인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 다.
특허문헌 1: WO00/41755 명세서
특허문헌 2: WO01/95962 명세서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보 2924924호
특허문헌 4: WO05/002654 명세서
특허문헌 5: WO02/091293 명세서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고, 저장물의 공급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장치 내부의 저장물의 잔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이러한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을, 1 회의 회전 조작당, 단회 공급분씩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기구는, 공급 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에 제 1 접촉부를 갖는 고정 부재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카운트수 표시를 구비하는 톱니바퀴와,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회전방향의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회전 규제되어 있는 회전 부재와, 그 회전 부재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에 제 2 접촉부를 갖는 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의 어느 일방은, 클릭을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캠 팔로워부로 이루어지고, 타방은 그 캠 팔로워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캠부 (예를 들어 캠산(山)) 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부재가 1 회의 공급 조작분의 회전을 하는 동안, 상기 캠부와 캠 팔로워부 사이의 작용에 의해 상기 클릭을 상기 톱니바퀴에 걸어 그 톱니바퀴를 상기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키도록, 상기 톱니바퀴를 회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한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에 있어서, (회전 부재를 정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형식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부재는, 정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정방향 회전 조작 중에,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회전방향의 제 1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제 2 위치를 취하도록 회전 규제되고, 그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 사이를 거쳐 다시 제 1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톱니바퀴의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회전 부재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형식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부재는,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제 1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제 2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그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를 1 스트로크분의 왕복 회전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톱니바퀴의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 부재를 일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형식의 것, 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형식의 것 모두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a)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접촉부를 캠 팔로워부로 하고, 상기 링 부재의 제 2 접촉부를 캠부로 한 것.
b) 반대로,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접촉부를 캠부로 하고, 상기 링 부재의 제 2 접촉부를 캠 팔로워부로 한 것.
또한, 상기한 a) 및 b) 의 모두에 있어서,
c) 상기 링 부재에 상기 톱니바퀴에 걸어 맞추는 돌기를 형성하여, 그 톱니바퀴가 카운트수 표시의 변경시 이외에는 상기 링 부재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그 톱니바퀴의 공전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 이 구성에 의하면, 통상 톱니바퀴가 회전 부재 및 링 부재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d) 반대로,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톱니바퀴에 걸어 맞추는 돌기를 형성하여, 그 톱니바퀴가 카운트수 표시의 변경시 이외에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그 톱니바퀴의 공전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 이 구성에 의하면, 통상 톱니바퀴가 고정 부재와 함께 정지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톱니바퀴는 링형상으로서, 외면에 톱니면을 갖는 원통부와 그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그 플랜지부에 상기 카운트수 표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공급 장치의 노즐부와, 그 노즐부보다 직경이 크고 또한 공급 장치의 회전 조작을 하기에 적합한 원통부와, 그 노즐부와 원통부를 연결하는 원판부가 일체 형성된 것이고, 또한 외부에서 상기 카운트수 표시를 볼 수 있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수 표시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원통부와는 반대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은, 상기 회전 부재의 원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톱니바퀴의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카운트수 표시를 보기 위한 작은 구멍을 갖는 박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카운트수 표시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측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은, 상기 회전 부재의 원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카운터 기구를 구비하는 공급 장치로서, 다회 공급 조작분의 저장물을 저장 가능한 저장실과, 그 저장실의 벽면의 일부에 형성한 단회 공급 조작분의 저장물을 수용 가능한 수용실과, 상기 회전 부재가 충전 위치에 있을 때, 단회 공급 조작분 저장물의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수용실로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실 내의 단회 공급 조작분 저장물의 외부로의 토출을 허용하는 저장물 도출부와, 상기 수용실의 상기 저장실과는 반대측에 필터를 통하여 연결하여 통하도록 장착된 펌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상기 저장실 바닥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물 도출부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 위치와 공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회전 부재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고, 충전 위치에서 그 저장물 도출부에 형성한 개구 수단에 의해 상기 수용실을 상기 저장실에 대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수용실로의 충전을 허용하고, 공급 위치에서 상기 수용실을 상기 저장실에 대하여 폐쇄함과 함께, 그 저장물 도출부에 형성한 도출 경로를 통해서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한 노즐에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상기 펌프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수용실 내의 단회 공급 조작분 저장물을 상기 도출 경로 및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상기 펌프부에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충전 위치에서 그 구멍은 그 상기 펌프부를, 상기 저장물 도출부의 도출 경로 및 상기 회전 부재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공급 위치에서 그 구멍은 상기 저장물 도출부에 의해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전술한 WO01/95962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저장실의 바닥면에 압력 빼기용 구멍을 형성한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카운터 기구를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운터 기구는 회전 동작에 의해 카운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 동작이 정회전만인 경우, 또는 정회전과 역회전의 쌍방향을 조합한 경우라도, 카운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동작은, 다회 공급분의 저장물을 저장한 공급 장치에 있어서,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을 계량할 때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장물의 계량시에 발생하는 회전 동작에 연동하는 카운터 기구에 의해, 저장물의 공급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을 계량하여,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장치로는, WO00/41755호 명세서 (특허문헌 1), WO01/95962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103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093호에 기재된 장치를 들 수 있다. 또, WO00/41755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공급 장치와 같이, 저장실의 바닥면에 압력 빼기용 구멍을 갖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카운터 기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의 저장물은, 다회 공급분을 저장하고, 그것을 단회 공급분씩 계량하여 공급하는 것이면 그 성질ㆍ형태를 불문한다. 이러한 저장물로는, 식품, 건강식품, 또는 의약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물의 형태로서, 분말, 과립, 세립 등의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를 들 수 있다. 공기압에 의해 저장물을 토출하는 경우에는 분말을, 장치를 기울이거나, 거꾸로 함으로써 저장물을 토출하는 경우에는 액체를, 각각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식품으로는, 조미료, 향신료 등, 그 종류에 상관없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으로는, 비타민제나 기타 영양제로 대표되는 보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의약품은, 예를 들어 약물, 젖당, 전분,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폴리머 등 종래 공지된 부형제와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약물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통상 제제화에 사용되는 담체나 부형제, 그밖의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젖당,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타치, 탤크, 젤라틴, 한천, 펙틴, 아라비아 고무, 올리브유, 참기름, 카카오버터, 에틸렌글리콜 등, 기타 상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은, 예를 들어 경구 투여, 경비 투여, 점안, 흡입, 직장 투여, 경질(膣) 투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물로는, 광범위하게 여러 가지 약물에 대해서 이용이 가능하다. 그 구체예로는, 소염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약, 해열 진통약, 진정제, 울병 치료약, 진해 거담약, 항히스타민약, 항앨러지약, 구토 억제약, 최면약, 비타민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약, 항종양약, 항부정맥약, 고혈압약, 항불안약, 향정신약, 항궤양약, 강심약, 진통약, 기관지 확장약, 비만 치료약, 혈소판응집 저해약, 당뇨병약, 근이완약, 편두통약, 항류머티즘약, 항생물질약, 혈관 수축약 등의 비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호르몬류, 사이토카인류, 항체류, 백신류 등의 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이나, 안티센스나 유전자 등의 핵산류 등도 그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카운터 기구를 갖는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운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덮개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톱니바퀴의 사시도 (a) 및 플랜지측에서 본 평면도 (b) 이다.
도 6 은 링 부재의 사시도 (a), 평면도 (b) 및 단면도 (c) 이다.
도 7 은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운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운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의 카운터 표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은 블라인드 플레이트를 포함한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블라인드 플레이트를 포함한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문자판이 상면에서 보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문자판이 측면에서 보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약제 공급 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는 이 공급 장치의 일부, 주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운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 카운터 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나타낸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운터 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 은 장치 본체의 덮개부, 도 4∼도 7 은 카운터 기구의 구성 부품을 각각 나타내고, 도 4 는 고정대, 도 5 는 톱니바퀴, 도 6 은 링 부재, 도 7 은 회전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덮개부 (4) 는, 후술하는 약제 저장실 (5a) 의 뚜껑을 구성한다. 덮개부 (4) 의 상면에는 약 180°대향하는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1 쌍의 돌기 (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 (4a) 의 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대 (10) 가 덮개부 (4) 에 부동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면 1 개여도 되고 복수 개여도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링형상의 고정대 (10) 는, 플랜지부 (11) 와 원통부 (12) 가 적당한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플랜지부 (11) 의 바닥면에는 약 180°대향하는 위치에 1 쌍의 구멍 (13)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대 (10) 는 1 쌍의 구멍 (13) 이 덮개부 (4) 의 1 쌍의 돌기 (4a) 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덮개부 (4)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구멍 (13) 은, 고정대 (10) 가 덮개부 (4) 에 부동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면 1 개여도 되고 복수 개여도 된다. 또, 적당한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고리형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수지」 라고 하면, 동일한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고정대 (10) 의 플랜지부 (11) 에는, 후술하는 톱니바퀴 (20) 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 1 쌍의 돌기 (14) 가 약 180°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원통부 (12) 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들 돌기 선단부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고정대 (10) 의 플랜지부 (11) 에는, 후술하는 링 부재 (30) 의 탄성부 (31) 와 협동하여 캠 기구를 구성하는 1 쌍의 캠산 (15) 이 약 180°대향하는 위치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회전 부재 (40) 의 슬릿 (45) 에 끼워지는 1 개의 돌기 (16) 가 고정대 (10) 의 플랜지부 (11) 외주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홈 (17) 은, 1 쌍의 캠산 (15) 에 대향하여 그 반경방향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 부재 (30) 의 클릭부 (32) 가 캠산 (15) 에 접촉했을 때에, 이 캠홈 (17) 을 따라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톱니바퀴 (20) 의 톱니면에 걸어 맞출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링형상의 톱니바퀴 (20) 는 적당한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플랜지부 (21), 내통부 (22), 외톱니 (23) 로 이루어지고, 내통부 (22) 가 고정대 (10) 의 원통부 (12)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그러나, 톱니바퀴 (20) 가 고정대 (10) 에 끼워져 있는 동안, 고정대 (10) 의 1 쌍의 돌기 (14) 가 외톱니 (23) 에 가볍게 접촉 내지 결합되어 있어, 톱니바퀴 (20) 가 고정대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플랜지부 (21) 의 외톱니 (23) 와는 반대측 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약제의 투여 횟수를 나타내는 눈금 (24) 이 새겨져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링 부재 (30) 는, 적당한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된 대략 링형상의 것으로, 링의 내주측으로 조금 돌출하여 소정 거리만큼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약 180°의 간격으로 1 쌍의 탄성부 (31) 를 갖고, 각 탄성부 (31) 의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클릭부 (32) 를 갖는다. 또한, 이들 클릭부 (32) 의 하측에 약간 돌출된 캠 팔로워부의 돌기 (33) 를 갖는다. 이들 1 쌍의 탄성부 (31) 는 링 부재 (30) 에 대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고, 캠 팔로워부의 돌기 (33) 는 고정 대 (10) 의 1 쌍의 캠산 (15) 과 협동하여 캠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링 부재 (30) 는 또한 그 외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3 개의 돌기 (34) 를 갖는다. 이들 돌기 (34) 는, 후술하는 회전 부재의 구멍 (44) 에 끼워져, 링 부재 (30) 를 회전 부재 (40) 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 돌기 (34) 의 수는, 링 부재 (30) 와 회전 부재 (40) 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 개 또는 2 개여도 좋다.
도 7 에 나타낸 회전 부재 (40) 는, 저장물을 토출하는 노즐부 (41), 원판부 (42), 원통부 (43) 가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원통부 (43) 에는, 링 부재 (30) 의 돌기 (34) 가 끼워지는, 예를 들어 원주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3 개의 구멍 (44) 을 가짐과 함께, 고정대 (10) 의 돌기 (16) 가 걸리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연장된 슬릿 (45) 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 (40) 는 슬릿 (45) 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고정대 (10)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을 계량하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와, 계량한 저장물의 토출을 허용하는 제 2 위치 (토출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해진다. 또, 회전 부재 (40) 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슬릿 (45) 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 (40) 의 원통부 (43) 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슬릿 (45) 을 회전 부재 (40) 의 원판부 (42) 에 형성하고, 한편, 고정대 (10) 의 돌기 (16) 를 이 슬릿에 끼워지는 위치에 형성하여, 동일한 기능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돌기의 위치는, 슬릿과 회전 규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3 및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바퀴 (20) 의 플랜지부와 회전 부재 (40) 의 원판부 사이에 작은 구멍 (51) 을 갖는 링형상의 박판 (50) 을 개재시키고, 이 박판 (50) 의 상면에 회전 부재 (40) 의 원판부 (42) 에 형성한 슬릿과 끼워 맞춰지도록 돌기 (52)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박판 (50) 과 고정대 (10) 가 함께 움직이도록 양자를 고정시킨 구조 (예를 들어 박판 (50) 의 하면에 원통부 (53) 를 형성하고, 이 원통부 (53) 와 고정대 (10) 의 원통부 (12) 를 고정시킨다.) 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박판 (50) 의 작은 구멍 (51) 과 톱니바퀴 (20) 의 토출 위치에서의 눈금부를 일치시켜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눈금은 토출 위치에서만 육안으로 볼 수 있고, 그밖의 위치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토출 위치와 충전 위치가 알기 쉽게 된다. 또, 박판 (50) 의 구조로서,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덮개부 (4), 고정대 (10), 톱니바퀴 (20), 링 부재 (30) 및 회전 부재 (40) 는 동심원 상에서 조립되고, 그 조립 상태를 도 1 의 상부에 나타낸다. 덮개부 (4) 는 약제 저장부 (5) 의 주위에 끼워져 고정되고, 회전 부재 (40) 의 내주 돌기 (40a) 가 약제 저장부 (5) 의 둘레홈 (5d) 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대 (10), 톱니바퀴 (20), 링 부재 (30) 가 덮개부 (4) 와 회전 부재 (40) 사이에 배치되고, 각 부품이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 (40) 의 슬릿 (45) 이 고 정대 (10) 의 돌기 (16) 에 끼워지고, 고정대 (10) 가 덮개부에 고정되며, 덮개부가 약제 저장부 (5) 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회전 부재 (40) 는 고정대 (10) 에 대하여, 즉 약제 저장부 (5) 에 대하여 슬릿 (45) 에 의해 규제된 소정 각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링 부재 (30) 는 그 주위의 3 개의 돌기 (34) 가 회전 부재 (40) 의 3 개의 대응하는 구멍 (44) 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 (4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 (40) 가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토출을 허용하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제 2 위치 (토출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때에, 링 부재 (30) 도 마찬가지로 동일 각도 범위 내에서 고정대 (10) 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링 부재 (30) 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안, 톱니바퀴 (20) 를 눈금 1 칸만 회전시켜, 카운트 표시를 실시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링 부재 (30) 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 이동할 때, 탄성부 (31) 선단의 캠 팔로워부 (33) 가 고정대 (10) 의 캠산 (15) 에 맞닿고, 탄성부 (31) 선단의 클릭부 (32) 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린다. 그 때, 클릭부 (32) 는 고정대 (10) 의 캠홈 (17) 의 내측에서,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에 걸린다. 그리고, 톱니바퀴 (20) 는 돌기 (14) 에 의한 저항에 대항하여, 클릭부 (32) 에 의해 회전시켜진다. 톱니바퀴 (20) 가 1 톱니분 내지 1 눈금분 회 전하면, 탄성부 (31) 선단의 캠 팔로워부 (33) 가 고정대 (10) 의 캠산 (15) 의 반대 경사면에서, 클릭부 (32) 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귀되어, 클릭부 (32) 는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로부터 빠진다. 톱니바퀴 (20) 는 고정대 (10) 의 돌기 (14) 에 의해 공전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1 톱니분 내지 1 눈금분밖에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링 부재 (30) 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되돌아갈 때에는, 마찬가지로, 탄성부 (31) 선단의 캠 팔로워부 (33) 가 고정대 (10) 의 캠산 (15) 에 도달하는데, 이 때에는, 캠산 (15) 의 반대면에 접촉하기는 하지만, 캠산 (15) 을 타고 넘는 동작이 될 뿐이다. 즉, 탄성부 (31) 선단의 클릭부 (32) 는 링 부재 (30) 의 축방향으로는 다소 변위되지만 반경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클릭부 (32) 가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에 걸리지 않고, 따라서, 톱니바퀴 (20) 는 고정대 (10) 의 돌기 (14) 에 의해 공전이 저지된 채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링 부재 (30) 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만, 톱니바퀴 (20) 의 눈금 1 칸만 회전된다. 단, 반대로, 링 부재 (30) 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되돌아갈 때에만 톱니바퀴 (20) 의 눈금을 회전시키고,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 이동할 때에는, 톱니바퀴 (20) 의 회전을 정지시킨 채로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링 부재 (30) 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단회 조작분의 저장물을 토출한 후, 링 부재 (30) 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되돌아감으로써 1 회의 조작이 완료될 때마다, 톱니바퀴 (20) 의 눈금 1 칸만 회전되 고, 예를 들어 톱니바퀴 (20) 의 플랜지부 (21) 의 외톱니 (23) 측과는 반대측의 링형상 면에, 도 5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눈금 (24) 등의 표시를 형성해 둠으로써, 예를 들어 회전 부재 (40) 의 원판부 (42) 의 창 (도시 생략) 을 통해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어, 장치의 용기 내의 약제의 사용 횟수를 알 수 있다 (도 15).
또한, 도 16 과 같이, 톱니바퀴 (20) 의 플랜지부 (21) 측면에 눈금 (24) 을 형성하여, 회전 부재 (40) 의 측면에서 눈금을 보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공급 장치에 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WO00/41755호 명세서, WO01/95962호 명세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103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093호에 기재되어 있는 분말 약제 다회 투여기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정량 공급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공급 장치의 실시형태로서,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해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 (1) 는, 덮개부 (4) 와 약제 저장부 (5) 로 구성된다. 약제 저장부 (5) 는, 원통형상의 측벽과 바닥벽이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다회 투여 조작 가능한 양의 분말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약제 저장실 (5a) 이 규정됨과 함께, 이 약제 저장실 (5a) 의 바닥벽에는 단회 투여 조작분 분말 약제의 용량을 가진 구멍이 약제 수용실 (5b) 로서 규정되어 있다. 이 약제 수용실 (5b) 의 바닥면측에는 공기를 유통시키지만 분말 약제는 유통시키지 않는 필터 (6) 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부 (4) 는 그 중앙에, 후술하는 약제 도출부 (2) 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4b) 를 갖는다. 덮개부 (4) 는 약제 저장부 (5) 의 상면을 폐쇄함으로써, 덮개부 (4), 약제 저장부 (5) 및 이 약제 도출부 (2) 에 의해 약제 저장실 (5a) 내의 밀폐성을 가능하게 한다.
약제 도출부 (2) 는, 본체 (1) 의 약제 저장실 (5a) 의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분말 약제 또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공기 통로 (2d) 를 규정하는 막대형 부분과, 약제 저장부 (5) 의 내경 이하인 직경을 갖고, 바닥면 (2e) 이 약제 저장실 (5a) 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원반형 부분이 일체적으로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약제 저장실 (5a) 의 바닥면에서 중심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볼록부가 있고, 한편, 약제 도출부 (2) 의 바닥부 원반형 부분의 중심 위치에는 오목부가 있어, 이들이 끼워짐으로써 약제 도출부 (2) 가 약제 저장실 (5a) 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약제 도출부 (2) 의 바닥부 원반형 부분에는, 약제 저장실 (5a) 과 약제 수용실 (5b) 을 연결하기 위한, 약제 수용실 (5b) 보다 구경이 큰 구멍 (2f) 이 형성되어, 약제 도출부 (2) 의 바닥면 (2e) 이 약제 저장실 (5a) 의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약제 저장실 (5a) 의 분말 약제가 약제 수용실 (5b) 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약제 저장실 (5a) 과 약제 수용실 (5b) 을 구획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약제 도출부 (2) 의 바닥부 원반형 부분의 일부에는, 약제 수용실 (5b) 과 본체 (1) 의 약제 수용실 (5b) 을 통하여 펌프부 (3) 로부터 이송되는 분 말 약제와 공기의 공기 통로 (2d) 를 연결하기 위한 관 (2g) 을 갖고 있다. 이 관 (2g) 은 약제 도출부 (2) 의 중심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 통로 (2d) 에 연결하여 통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위치 (약제의 충전 위치) 에서는 약제 저장부 (5) 의 바닥벽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5c) 에 정합하고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자루형상의 펌프부 (3) 는, 본체 (1) 를 구성하고 있는 약제 저장부 (5) 의 바닥부 하부에 접합된다. 펌프부 (3) 를 가압ㆍ이완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말 약제를 토출하거나, 공기를 이송하거나 할 수 있다.
회전 부재 (40) 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말 약제를 토출하는 노즐부 (41), 원판부 (42), 원통부 (43) 가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노즐부 (41) 의 내부에는, 분말 약제 또는 공기를 반송하는 공기 통로 (48) 를 갖고, 선단에는 분무구 (2h) 를 갖는다. 원통부 (43) 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 부재 (30) 의 돌기 (33) 에 끼워지는, 예를 들어 원주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3 개의 구멍 (44) 을 가짐과 함께, 고정대 (10) 의 돌기 (16) 에 걸리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연장된 슬릿 (45) 이 형성된다. 원통부 (43)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 (40a) 가 본체를 구성하는 약제 수용부 (5) 의 주위에 형성된 홈 (5d) 에 끼워짐으로써, 회전 부재 (40) 는 본체에 대하여 슬릿 (45) 에 의해 규제된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해진다.
한편, 이 회전 부재 (40) 의 노즐부 (41) 하단의 각형 구멍 (13c) 이 약제 도출부 (2) 상단의 각형 축부 (2k) 에 끼워져 있어, 회전 부재 (40) 와 약제 도출부 (2) 는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본체 (1) 에 대하여 회전 부재 (40) 를 외부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도출부 (2) 는 회전 부재 (40) 와 함께 약제 저장부 (5) 를 포함하는 본체 (1) 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여, 단회 공급분의 분말을 충전ㆍ계량하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와, 계량한 분말의 노즐부 (41) 로부터 외부로의 토출을 허용하는 제 2 위치 (토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해진다.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에서는, 약제 도출부 (2) 바닥면 (2e) 의 구멍 (2f) 이 본체 (1) 의 약제 수용실 (5b) 에 정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저장실 (5a) 과 약제 수용실 (5b) 을 연결하여 통하게 함으로써, 약제 저장실 (5a) 내의 분말 약제가 약제 도출부 (2) 의 구멍 (2f) 을 통해 하방으로 유입되어, 약제 수용실 (5b) 에 충전된다. 그 때, 약제 저장실 (5a) 바닥면의 구멍 (5c) 은, 약제 도출부 바닥면의 관 (2g) 과 정합하는 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약제 도출부 (2) 를 회전 부재 (40)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도출부 (2) 의 바닥면 (2e) 이 약제 수용실 (5b) 상의 약제 분말을 평평하게 깎아냄으로써 약제 수용실 (5b) 내의 분말 약제가 일정량이 되고, 또한 약제 도출부 (2) 를 회전 부재 (40)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실 (5b) 이, 관 (2g), 공기 통로 (2d), 및 분무구 (2h) 가 연결된, 제 2 위치 (토출 위치) 가 된다. 이 상태에서, 펌프부 (3) 를 가압하여 공기를 이송시킴으로써 일정량으로 칭량된 약제 분말이, 약제 수용실 (5b) 로부터, 약제 도출부 (2) 의 관 (2g) 및 공기 통로 (2d) 를 통과하여, 회전 부재 (40) 의 분무구 (2h) 로부터 외부로 분무된다.
분말 약제의 분무 후, 펌프부 (3) 는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외부로부터 회전 부재 (40) 의 분무구 (2h), 약제 도출부 (2) 의 공기 통로 (2d) 및 관 (2g), 약제 수용부 (5) 의 구멍 (5c) 을 거쳐, 공기가 펌프부 (3) 로 유입된다.
이어서, 회전 부재 (40) 를 초기 위치 내지, 전술한 충전 위치로 회전시킨다. 또, 회전 부재 (40) 와 함께 약제 도출부 (2) 가 회전함으로써, 약제 도출부 (2) 에 형성된 날개 (21) 가 약제 저장부 (5a) 내의 분말 약제를 교반한다.
본 발명의 정량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우선, 필터 (6) 를 본체 (1) 의 바닥부 외측에 설치된 약제 수용실 (5b) 에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어 설정 위치에 설치한다. 설정 위치는 본체 (1) 성형시에 약제 수용실 (5b) 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규정된다. 이어서, 약제 도출부 (2) 를 취해, 예를 들어 그 약제 수용실 (5b) 과 약제 도출부 (2) 에 있는 그 약제 수용실보다 구경이 큰 구멍 (2f) 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약제 저장부 (5) 내로 삽입하여, 약제 도출부 (2) 바닥면 (2e) 의 중심의 구멍 (2i) 을 본체 내부 바닥면의 중심에 있는 돌기 (5d) 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분말 약제의 필요량을 본체 (1) 내 약제 저장실 (5a) 에 장전한다. 이어서, 덮개부 (4) 를 취해 중심의 구멍 (4b) 에 약제 도출부 (2) 를 통해서 본체 (1) 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전술한 카운터 기구를 구성하는 고정대 (10), 톱니바퀴 (20), 링 부재 (30) 를 개재시켜, 회전 부재 (40) 를 조립한다. 그 때, 약제 도출부 (2) 선단의 단면을 비원형의 축부 (2h) 를 회전 부재 (40) 의 비원형구멍 (13c) 에 끼워맞 춤으로써 본체 (1) 에 장착한다. 축부 (2k) 및 비원형구멍 (13c) 의 단면 형상은 서로의 회전 위치를 일의적으로 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평행한 2 변와, 이것과 직각인 1 변과, 그 반대측의 2 변으로 이루어지는 홈베이스형의 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펌프부 (3) 를 취하여 본체 (1) 하부에 접속하고 고정시켜 본 공급 장치를 완성한다.
한편, 약제 저장실 (5a) 바닥면의 구멍 (5c) 에도 필터를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펌프부 (3) 는, 분말 약제를 (분무 내지 흡입) 투여하는 데에 필요한 공기를 가압하기 위한 요소인데, 이러한 펌프로는 가요성 재료 또는 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라는 것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가압ㆍ이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실 (5b) 에 수용된 분말 약제를 분무, 흡입 가능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 펌프부 (3) 의 전체를 이러한 가요성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나, 또는 예를 들어 그 펌프부 (3) 중 그 본체 (1) 와의 접합부 부근을 들여다보는 부분을 가요성 재료로 구성하고, 그 이외에는 비가요성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약제 저장실 (5a) 내의 약제를 회전 부재 (40) 에 연동시켜 약제 도출부 (2) 를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실 (5b) 에 수납하고, 또한 그 약제 도출부 (2) 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평평하게 깎아 단회 투여분의 약제를 그 약제 수용실 (5b) 내로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레이퍼 등의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 또한 보존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분말 약제의 부피 밀도의 변화나 치우침에 대해서는 공기를 유통시켜 밀도 변화를 막는 등의 수단없이, 약제 저장실 (5a) 내에 축적된 복수회 투여분의 분말 약제로부터 단회 투여분의 약제를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분리ㆍ정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급 장치에 있어서, 부품수를 적게 한 것이 장치 전체의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이밖에 예를 들어 공기 통로 (2d) 가 약제 도출부 (2) 의 축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것 등이 장치 전체의 치수 (높이) 의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어, 휴대에도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충전 위치에서는, 약제 도출부 (2) 바닥면 (2e) 의 구멍 (2f) 과 그 본체 (1) 의 약제 수용실 (5b) 이 겹쳐져서 약제 수용실 (5b) 에 분말 약제가 충전되고, 또 약제 저장부 (5) 바닥면의 구멍 (5c) 과 약제 도출부 (2) 의 관 (2g) 이 맞춰짐으로써, 펌프부 (3) 의 내부가 투여기의 외부와 연이어 통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펌프부 (3) 를 압축한 경우에는, 펌프부 (3) 로부터의 약제 수용실 (5b) 로의 공기압이 경감되고 약제 저장실 (5a) 내의 분말 약제는 적절히 교반되어, 약제 수용실 (5b) 에 대한 충전 정밀도가 높아진다. 회전 부재 (40) 및 약제 도출부 (2) 가 회전하여 토출 위치에 오면, 약제 도출부 (2) 의 관 (2g) 과 약제 수용실 (5b) 이 연결 접속되어 그 약제 수용실 (5b) 내의 분말 약제가 분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급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 저장부 (5) 에 약제 도출부 (2) 및 덮개부 (4) 를 조립함으로써 약제 저장실 (5a) 안은 밀폐에 가까운 상태로 할 수 있지만, 약제를 충전할 때에는 이 밀폐 상태로 인해, 약제 저장실 (5a), 펌프부 (3), 및 투여기 외부와의 사이에서 공기압에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 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약제 저장실 (5a) 의 바닥면에 구멍 (5c) 을 형성해 두고, 약제를 충전할 때에 그 구멍 (5c) 과 약제 도출부 바닥면에 개구된 관 (2g) 이 맞춰짐으로써, 약제 저장실 (5a), 펌프부 (3), 및 투여기 외부의 공기압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정량의 약제를 계량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공급 장치 카운터 기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저장물의 1 회의 토출 조작당, 회전 부재 (40) 를,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을 계량하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와, 계량한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제 2 위치 (토출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한 구조이지만,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부재 (40) 를 소정 방향의 회전 (정회전) 만 가능하게 하였다.
즉, 링 부재 (30) 는 회전 부재 (4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점, 그리고 톱니바퀴 (20) 가 고정대 (10) 의 돌기 (14) 에 의해 공전이 저지되는 점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링 부재 (30) 의 내주부에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서 회전 규제하는 부재로서, 1 군데 형성된 탄성부 (31) 선단의 클릭 (32) 과, 이들 클릭 (32) 에 대응하여, 고정대 (10) 에 180°대향하여 2 군데 형성된 변형 가능한 리브 (19) 가 있다. 따라서, 링 부재 (30) 의 돌기 (32) 가 정회전시에, 리브 (19) 의 오목부 (19a) 로 들어가, 회전 규제된다. 그리고, 또한 회전 규제력을 상회하는 힘으로 정회전시키면 돌기 (32) 와 오목부 (19a) 의 결합이 해제되어 회전 가능해지고, 180°회전 후 다시 회전 규제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서는, 180°마다 충전ㆍ토출이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고정대 (10) 에 있어서의 전술한 돌기 (16) (도 4) 및 회전 부재 (40) 의 슬릿 (45) (도 7) 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 1 위치 (충전 위치) 및 제 2 위치 (토출 위치) 로 정회전하고, 또 이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정회전하는 1 회의 공급 조작 동안, 링 부재 (30) 의 탄성부 (31) 의 클릭 (32) 이 톱니바퀴 (20) 에 걸려 톱니바퀴 (20) 의 눈금 1 칸만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그 톱니바퀴 (20) 의 횟수 표시를 예를 들어 회전 부재 (40) 의 창 (47) 으로부터 볼 수 있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부재 (40) 및 링 부재 (30) 가 360°회전하여 톱니바퀴 (20) 가 1 눈금분 회전하기 때문에, 고정대 (10) 의 캠산 (15) 은 1 개만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링 부재의 사시도, 도 11 은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정지되어 있는 고정대 (10) 측에 캠 베이스 (캠산) 를 형성하고, 회전되는 링 부재 (30) 측에 캠 팔로워 (탄성부 (31)) 를 형성한 구조이지만,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반대로, 정지되어 있는 고정대 (10) 측에 캠 팔로워 (탄성부) 를 형성하고, 회전되는 링 부재 (30) 측에 캠 베이스 (캠산) 를 형성한 구조로 하였다.
덮개부 (4) 는 그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돌기 (4a)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링형상의 고정대 (10) 는, 플랜지부 (11) 와 내원통부 (12a) 와 외원통부 (12b) 가 적당한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플랜지부 (11) 의 바닥면에는 덮개부 (4) 의 돌기 (4a) 에 끼워지는 구멍 (13) 이 형성되어, 링형상의 고정대 (10) 가 덮개부 (4)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대 (10) 의 내원통부 (12a) 에는, 후술하는 회전 부재 (40) 의 원판부 (42) 에 형성된 원호형 슬릿 (45) 에 끼워지는 1 개의 돌기 (16) 가 플랜지부 (11) 와는 반대측 선단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대 (10) 의 외원통부 (12b) 에는, 내주측으로 조금 돌출하여 소정 거리만큼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약 180°의 간격으로 1 쌍의 탄성부 (31) 를 갖고, 각 탄성부 (31) 의 선단에 내경측으로 돌출된 클릭부 (32) 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클릭부 (32) 의 상측에 약간 돌출된 캠 팔로워부 (33) 를 갖는다. 이들 1 쌍의 탄성부 (31) 는 고정대 (10) 에 대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며, 캠 팔로워부 (33) 는 후술하는 링 부재 (30) 의 1 쌍의 캠산 (15) 과 협동하여 캠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링 부재 (30) 는, 적당한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된 대략 링형상의 것으로서, 그 외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1 개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180°간격으로 배치된 2 개의 돌기 (34) 를 갖는다. 이들 돌기 (34) 는 회전 부재 (40) 의 구멍 (44) 에 끼워져서, 링 부재 (30) 를 회전 부재 (40) 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링 부재 (30) 에는, 원주방향으로 캠홈 (17) 가 형성되고, 이 캠홈 (17) 을 따라서 1 쌍의 캠산 (15) 이 캠홈 (17) 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대 (10) 의 탄성부 (31) 를 안내하여, 고정대 (10) 의 클릭부 (32) 가 캠산 (15) 에 접촉했을 때에, 이 캠홈 (17) 에 의해 클릭부 (32) 를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에 걸어 맞출 수 있다. 또, 돌기 (34) 의 수는, 링 부재 (30) 와 회전 부재 (40) 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고, 2 개보다 많아도 된다.
링 부재 (30) 에는, 후술하는 톱니바퀴 (20) 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 1 개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80°대향하는 위치에 1 쌍의 돌기 (14) 가 형성되어, 톱니바퀴 (20) 의 원통부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들 돌기 선단부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고,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에 접촉하고 있다.
톱니바퀴 (20) 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내통부 (22) 가 고정대 (10) 의 원통부 (12a)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그러나, 톱니바퀴 (20) 가 고정대 (10) 에 끼워져 있는 동안, 링 부재 (30) 의 1 쌍의 돌기 (14) 가 외톱니 (23) 에 가볍게 접촉ㆍ결합되어 있어, 톱니바퀴 (20) 는 링 부재 (30) 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플랜지부 (21) 의 외톱니 (23) 와 반대측 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약제의 투여 횟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회전 부재 (40) 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원통부 (43) 에 링 부재 (30) 의 돌기 (34) 에 끼워지는 1 개 또는 복수 개의 구멍 (44) 을 가짐과 함께, 고정대 (10) 의 돌기 (16) 에 걸리는 원판부 (42) 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연장된 슬릿 (45) 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 (40) 는 슬릿 (45) 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고정대 (10)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어,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을 계량하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와, 계량한 저장물의 토출을 허용하는 제 2 위치 (토출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해진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덮개부 (4), 고정대 (10), 톱니바퀴 (20), 링 부재 (30) 및 회전 부재 (40) 는 동심원 상에 조립되고, 링 부재 (30) 는 회전 부재 (4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회전 부재 (40) 가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토출을 허용하는 제 1 위치 (충전 위치) 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제 2 위치 (토출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때에, 링 부재 (30) 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각도 범위 내에서, 고정대 (10) 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게 된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 부재 (30) 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안, 톱니바퀴 (20) 를 눈금 1 칸만 회전시켜, 카운트 표시를 실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는 초기 (제 1) 위치로, 예를 들어, 분말 약제를 공급하는 공급 위치로 한다. 도 12(b) 는 회전 부재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켜, 캠의 작용이 시작하는 시점, 도 12(c) 은 캠의 작용이 완료된 시점, 도 12(d) 는 회전 부재가 화살표방향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120 도) 회전되어, 예를 들어 분말 약제를 충전하는 충전 위치 (제 2 위치) 에 도달한 시점, 도 12(e) 은 회전 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캠이 그 작용을 행하지 않고서 통과하는 시점을 각각 나타낸다.
도 12(a)∼(e) 에 있어서, 외측에서부터 회전 부재 (40), 고정대 (10), 링 부재 (30) (돌기 (14)), 및 톱니바퀴 (20) 의 기준 위치를 각각 동그라미 표시 P, Q, R, S 로 나타낸다. 도 12(a) 의 초기 위치에서는, 각 부재의 기준 위치 P, Q, R, S 는 회전방향의 동일한 위치로서 나타낸다. 고정대 (10) 는, 회전 부재 (40), 링 부재 (30) 및 톱니바퀴 (20) 의 동작에 관계없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그 기준 위치 Q 는 각 단계를 통해 변화하지 않는다.
회전 부재 (40) 및 링 부재 (30) 는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그들의 기준 위치 P 및 R 은 항상 회전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있다. 또한, 톱니바퀴 (20)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 부재 (30) 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을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캠의 작용에 의해서 카운트 눈금이 1 눈금분 나아가지 않는 한, 즉, 도 12(b) 의 캠 작용의 개시 시점까지는 링 부재 (30) 와 동일한 움직임을 하고, 그 기준 위치 (S) 는 P 및 R 와 회전방향의 동일 위치이다.
그러나, 링 부재 (30) 의 캠산 (15) 이 고정대 (10) 의 탄성부 (31) 선단에 형성한 캠 팔로워부의 돌기 (33) 에 도달하면, 양자가 맞닿아, 탄성부 (31) 선단의 클릭부 (32) 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그 때, 클릭부 (32) 는 링 부재 (30) 의 캠홈 (17) 의 내측에서,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에 걸린다. 그리고, 톱니바퀴 (20) 는 돌기 (14) 에 의한 공전 저지의 힘보다 강한 힘으로 클릭부 (32) 에 의해 링 부재 (30) 에 대하여 회전시켜진다. 톱니바퀴 (20) 가 1 톱니분 내지 1 눈금분 회전하면, 탄성부 (31) 선단의 캠 팔로워부의 돌기 (33) 가 링 부재 (30) 의 캠산 (15) 의 반대 경사면에서, 클릭부 (32) 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귀되어, 클릭부 (32) 는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로부터 빠진다. 톱니바퀴 (20) 는 링 부재 (30) 의 돌기 (14) 에 의해 공전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링 부재 (30) 에 대하여 1 톱니분 내지 1 눈금분밖에 회전하지 않는다. 즉, 이 상태를 도 1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바퀴 (20) 의 기준 위치 (S) 는 P 및 R 에서 1 눈금분만큼만 어긋난 위치가 된다.
다음으로, 도 12(d) 에 나타내는 충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도 12(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 (40) 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대 (10) 의 탄성부 (31) 선단의 캠 팔로워부 (33) 가 링 부재 (30) 의 캠산 (15) 에 도달하는데, 이 때에는, 캠산 (15) 의 반대면에 접촉하기는 하지만, 캠산 (15) 을 타고 넘는 동작이 될 뿐이다. 즉, 탄성부 (31) 선단의 클릭부 (32) 는 링 부재 (30) 의 축방향으로는 다소 변위되지만 반경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클릭부 (32) 가 톱니바퀴 (20) 의 외톱니 (23) 에 걸리지 않고, 따라서, 톱니바퀴 (20) 는 링 부재 (30) 의 돌기 (14) 에 의해 공전이 저지된 채인 상태가 된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형태의 작용에 맞는, 동일한 원리의 캠 작용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갖는 공급 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 내지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형태, 변형, 수정 등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고, 저장물의 공급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장치 내부의 저장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이러한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회의 사용량이 미량인 분말의 복수회분의 양을 용기 내에 수용한 정량 공급 장치로서 적합하며,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이미 사용한 횟수, 즉 분말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분말 등을 공급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약제 도출부
3: 펌프부
4: 덮개부
5: 약제 저장부
6: 필터
10: 고정대
15: 캠산
17: 캠홈
20: 톱니바퀴
30: 링 부재
31: 탄성부
32: 클릭부
33: 돌기 (캠 팔로워)
40: 회전 부재

Claims (14)

  1.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을, 1 회의 회전 조작당, 단회 공급분씩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기구는,
    공급 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에 제 1 접촉부를 갖는 고정 부재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카운트수 표시를 구비하는 톱니바퀴와,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회전방향의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회전 규제되어 있는 회전 부재와,
    그 회전 부재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에 제 2 접촉부를 갖는 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의 어느 일방은, 클릭을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캠 팔로워부로 이루어지고, 타방은 그 캠 팔로워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부재가 1 회의 공급 조작분의 회전을 하는 동안, 상기 캠부와 캠 팔로워부 사이의 작용에 의해 상기 클릭을 상기 톱니바퀴에 걸어 그 톱니바퀴를 상기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키도록, 상기 톱니바퀴를 회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정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정방향 회전 조작 중에,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회전방향의 제 1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제 2 위치를 취하도록 회전 규제되고, 그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 사이를 거쳐 다시 제 1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톱니바퀴의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단회 공급분의 저장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제 1 위치와, 저장물의 공급을 저지하는 제 2 위치 사이의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그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를 1 스트로크분의 왕복 회전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톱니바퀴의 카운트수 표시의 1 표시분만큼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접촉부를 캠 팔로워부로 하고, 상기 링 부재의 제 2 접촉부를 캠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에, 상기 톱니바퀴에 걸어 맞추는 돌기를 형성하여, 그 톱니바 퀴가 카운트수 표시의 변경시 이외에는 상기 링 부재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그 톱니바퀴의 공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접촉부를 캠부로 하고, 상기 링 부재의 제 2 접촉부를 캠 팔로워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톱니바퀴에 걸어 맞추는 돌기를 형성하여, 그 톱니바퀴가 카운트수 표시의 변경시 이외에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그 톱니바퀴의 공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바퀴는 링형상으로서, 외면에 톱니면을 갖는 원통부와 그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그 플랜지부에 상기 카운트수 표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공급 장치의 노즐부와, 그 노즐부보다 직경이 크고 또한 공급 장치의 회전 조작을 하기에 적합한 원통부와, 그 노즐부와 원통부를 연결하는 원판부가 일체 형성된 것이고, 또한 외부에서 상기 카운트수 표시를 볼 수 있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수 표시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원통부와는 반대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은, 상기 회전 부재의 원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톱니바퀴의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카운트수 표시를 보기 위한 작은 구멍을 갖는 박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수 표시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측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은, 상기 회전 부재의 원통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운터 기구를 구비하는 공급 장치로서,
    다회 공급 조작분의 저장물을 저장 가능한 저장실과,
    그 저장실의 벽면의 일부에 형성한 단회 공급 조작분의 저장물을 수용 가능 한 수용실과,
    상기 회전 부재가 충전 위치에 있을 때, 단회 공급 조작분 저장물의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수용실로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실 내의 단회 공급 조작분 저장물의 외부로의 토출을 허용하는 저장물 도출부와,
    상기 수용실의 상기 저장실과는 반대측에 필터를 통해 연결하여 통하도록 장착된 펌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상기 저장실 바닥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물 도출부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 위치와 공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회전 부재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고,
    충전 위치에서 그 저장물 도출부에 형성한 개구 수단에 의해 상기 수용실을 상기 저장실에 대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수용실로의 충전을 허용하고,
    공급 위치에서 상기 수용실을 상기 저장실에 대하여 폐쇄함과 함께, 그 저장물 도출부에 형성한 도출 경로를 통해서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한 노즐에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상기 펌프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수용실 내의 단회 공급 조작분 저장물을 상기 도출 경로 및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공급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상기 펌프부에 연속하여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충전 위치에서 그 구멍은 그 상기 펌프부를, 상기 저장물 도출부의 도출 경로 및 상기 회전 부재의 노즐을 통해 외부에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공급 위치에서 그 구멍은 상기 저장물 도출부에 의해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KR1020077003229A 2004-08-12 2005-08-12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장치 KR101166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35415 2004-08-12
JP2004235415 2004-08-12
PCT/JP2005/015112 WO2006016726A1 (ja) 2004-08-12 2005-08-12 供給装置のカウンタ機構及びカウンタ機構を備えた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724A true KR20070048724A (ko) 2007-05-09
KR101166743B1 KR101166743B1 (ko) 2012-07-19

Family

ID=3583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29A KR101166743B1 (ko) 2004-08-12 2005-08-12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7819285B2 (ko)
EP (1) EP1779884B1 (ko)
JP (1) JP4592701B2 (ko)
KR (1) KR101166743B1 (ko)
CN (1) CN101039714B (ko)
AT (1) ATE459939T1 (ko)
AU (1) AU2005272309B2 (ko)
BR (1) BRPI0514291A (ko)
CA (1) CA2576673C (ko)
DE (1) DE602005019748D1 (ko)
DK (1) DK1779884T3 (ko)
ES (1) ES2342089T3 (ko)
HK (1) HK1111639A1 (ko)
MX (1) MX2007001659A (ko)
NZ (1) NZ553181A (ko)
PT (1) PT1779884E (ko)
TW (1) TWI360427B (ko)
WO (1) WO2006016726A1 (ko)
ZA (1) ZA200701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4770A1 (de) * 2008-08-28 2010-03-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ntriebseinheit für Dosiszähler
US8550071B2 (en) 2008-09-26 2013-10-08 Oriel Therapeutics, Inc. Inhalers with airway disks having discrete airway channels and related disks and methods
US8887722B2 (en) 2008-09-26 2014-11-18 Oriel Therapeutics, Inc. Inhaler mechanisms with radially biased piercers and related methods
SI2346556T1 (sl) 2008-09-26 2015-02-27 Oriel Therapeutics, Inc. Inhalatorji za suhi prah z elementi za dvojno prebadanje in z njimi povezane naprave in postopki
WO2010039201A2 (en) 2008-09-30 2010-04-08 Oriel Therapeutics, Inc. Dry powder inhalers with multi-facet surface deagglomeration chamb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EP2328645B1 (en) 2008-10-01 2015-11-11 Oriel Therapeutics, Inc. Dry powder inhalers with rotating piercing mechanis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EP2692328A1 (en) * 2012-08-03 2014-02-05 Becton Dickinson France Dose counting device for coupling with a medical container
CN106535970A (zh) * 2014-05-28 2017-03-22 赛诺菲股份有限公司 用于药物输送装置的计数器机构的组件和药物输送装置
US11369760B2 (en) * 2016-08-24 2022-06-28 Anovent Pharmaceutical (U.S.), Llc Inhalation atomizer comprising a blocking function and a counter
KR20200032723A (ko) 2017-07-21 2020-03-26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분무기
WO2020016135A1 (en) * 2018-07-16 2020-01-23 Softhale Nv Improved inhalation device
CN110068515A (zh) * 2019-05-21 2019-07-30 湖州华科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建设工程用多功能检测器
TWI736438B (zh) * 2020-10-05 2021-08-11 荷倈生醫股份有限公司 蓋體
CN112541561B (zh) * 2020-12-24 2022-07-22 湖南五新隧道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拱架安装榀数计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2160A1 (de) * 1983-01-22 1984-07-26 Ing. Erich Pfeiffer GmbH & Co KG, 7760 Radolfzell Betaetigbare dosiereinrichtung
GB9015522D0 (en) 1990-07-13 1990-08-29 Braithwaite Philip W Inhaler
GB9025654D0 (en) * 1990-11-26 1991-01-09 Riker Laboratories Inc Device
FR2721106B1 (fr) * 1994-06-10 1996-09-13 Step Compteur de doses pour inhalateurs.
US5482030A (en) * 1994-06-13 1996-01-09 Klein; David Aerosol and non-aerosol spray counter
WO1997030743A2 (en) * 1996-02-21 1997-08-28 Schering Corporation Powdered medication inhaler
DE69918267T2 (de) * 1998-01-16 2005-07-28 1263152 Ontario Inc., London Anzeigevorrichtung zur verwendung mit einer abgabevorrichtung
DE19846382C1 (de) * 1998-10-08 2000-07-06 Pari Gmbh Zählwerk und seine Verwendung in Inhalatoren, Verneblern oder ähnlichen Dosieraerosolvorrichtungen
GB9924949D0 (en) * 1999-10-22 1999-12-22 Innovata Biomed Ltd Inhaler
GB0222023D0 (en) 2002-09-21 2002-10-30 Aventis Pharma Ltd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9884A4 (en) 2009-07-22
HK1111639A1 (en) 2008-08-15
AU2005272309A1 (en) 2006-02-16
ZA200701226B (en) 2008-04-30
ES2342089T3 (es) 2010-07-01
CA2576673A1 (en) 2006-02-16
TWI360427B (en) 2012-03-21
DK1779884T3 (da) 2010-05-17
JPWO2006016726A1 (ja) 2008-05-01
PT1779884E (pt) 2010-05-28
JP4592701B2 (ja) 2010-12-08
DE602005019748D1 (de) 2010-04-15
MX2007001659A (es) 2007-07-04
EP1779884B1 (en) 2010-03-03
TW200615012A (en) 2006-05-16
NZ553181A (en) 2010-08-27
ATE459939T1 (de) 2010-03-15
CN101039714A (zh) 2007-09-19
BRPI0514291A (pt) 2008-06-17
WO2006016726A1 (ja) 2006-02-16
KR101166743B1 (ko) 2012-07-19
CA2576673C (en) 2013-10-01
US20080105702A1 (en) 2008-05-08
AU2005272309B2 (en) 2010-08-19
CN101039714B (zh) 2012-07-11
US7819285B2 (en) 2010-10-26
EP1779884A1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743B1 (ko) 공급 장치의 카운터 기구 및 카운터 기구를 구비한 공급장치
CA2140021C (en) Multi-dose powdered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HU227076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osing medicine
JP3830972B2 (ja) 粉体薬剤吸入器
JP3317823B2 (ja) 投薬器
US11918769B2 (en) Applicator and system for administering and dispensing flowabl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MXPA97001957A (en) Inhalac device
US20220313557A1 (en) Delivery device for drug pellets
US20200397662A1 (en) Delivery device for drug pellets
US11155371B2 (en) Device for the dosed filling of a container with a filling material
CN114423690B (zh) 药物团粒递送装置
CN210882732U (zh) 颗粒制剂调剂装置
CA3024444C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metered filling of a container with a filling material
US20230181424A1 (en) Delivery device for units of an oral dosage form
WO2018183141A1 (en) Dispensing device for micro-tablets
WO2021198494A1 (en) Delivery device for oral dosage 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