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377A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377A
KR20070048377A KR1020050105390A KR20050105390A KR20070048377A KR 20070048377 A KR20070048377 A KR 20070048377A KR 1020050105390 A KR1020050105390 A KR 1020050105390A KR 20050105390 A KR20050105390 A KR 20050105390A KR 20070048377 A KR20070048377 A KR 20070048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value
reception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leve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0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8377A/ko
Publication of KR2007004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M 라디오 방송 수신 기준이 되는 RSSI 판정 레벨값을 복수 단계로 설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파워 레벨값을 이용하여 수신신호강도(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판정 레벨값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FM 라디오 수신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가 망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의 수신 파워 레벨값을 리드하고,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라디오 수신율을 나타내는 라디오 수신신호강도(RSSI) 판정 레벨값을 설정하여 설정된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에 따라 채널을 검색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RECEIVING METHOD OF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 라디오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무선 통신부 103 : 입력부
105 : 제어부 107 : 표시부
109 : 메모리부 110 : 방송수신모듈
111 : FM 라디오 수신부 113 : 핸드셋 수신파워레벨값 리드부
115: RSSI 판정 레벨값 설정부 115: RSSI 판정 레벨값 저장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M 라디오 방송 수신 기준이 되는 RSSI 판정 레벨값을 복수 단계로 설 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파워 레벨값을 이용하여 수신신호강도(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판정 레벨값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FM 라디오 수신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팜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휴대전화, 및 HPC(Hand Held PC: 휴대용 PC)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사진촬영, 라디오 수신, 음악 및 동영상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FM 라디오 수신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FM 라디오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FM 라디오 모드를 구동하고(S11), FM 라디오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 RSSI라고 함)판정 레벨값을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저장된다(S12). 그 후, 오토시크(AUTOSEEK)가 구동되어 채널을 검색하여 채널을 선택하고(S13),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S14).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FM 라디오 수신 시에 RSSI 판정 레벨값을 항상 디폴트로 설정한 후, RSSI 판정 레벨 값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여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므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정한 RSSI 판정 레벨값에 따라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이 잘되는 지역에서는 미약 한 신호까지 캐치하여 불필요한 잡음채널까지 설정하게 되고 수신이 잘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채널을 하나도 설정하지 못하여 수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FM 라디오의 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FM 라디오 방송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라디오 수신방법은, 단말기가 망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수신 파워 레벨값을 리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라디오 수신율을 나타내는 라디오 수신신호강도(RSSI) 판정 레벨값을 설정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설정된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에 따라 채널을 검색하여 설정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위치가 망내에 위치하는지를 체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파워 레벨값에 따라 라디오 방송 수신 기준이 되는 수신신호강도(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하고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 RSSI라고 함) 판정레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01), 입력부(103), 제어부(105), 표시부(107), 메모리부(109), 및 방송수신모듈(11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01)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입력부(103)는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표시부(107)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 메모리부(109)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05)의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05)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망이 있는 위치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방송수신모듈(110)을 제어하여 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방송수신모듈(110)은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되, FM 라디오 수신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한 핸드셋 수신파워 레벨값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수신 기준이 되는 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방송수신모듈(110)은 FM 라디오 수신부(111),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값 리드부(113), RSSI 판정레벨값 설정부(115), 및 RSSI 판정레벨값 저장부(117)를 포함한다.
FM 라디오 수신부(111)는 안테나(미도시)로부터 FM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채널에 따라 적절한 주파수의 신호를 검파하고 이를 복조한다.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값 리드부(113)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핸드셋 수신파워 레벨값을 읽어온다. 여기서, 핸드셋 수신파워 레벨값은 보통 -108dBm 정도에서 -20dBm 범위내이고, 단말기 제조 회사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셋 수신파워 레벨값은 지역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이 -48dBm ~ -70dBm 범위내인 경우에는 수신이 잘 되는 지역에 해당하고, 핸드셋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이 -99dBm ~ -105dBm 범위내인 경우에는 수신이 잘 되지 않는 지역에 해당한다.
RSSI 판정레벨값 설정부(115)는 핸드셋 수신파워 레벨값 리드부(113)로부터 읽어온 핸드셋 수신파워 레벨값에 따라 RSSI 판정레벨값을 설정하여 RSSI 판정레벨값 저장부(117)에 저장시킨다.
이때, FM 라디오 RSSI 판정레벨은 미리 복수의 단계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RSSI 판정 레벨은 0x0000 ~ 0x1111레벨로 구분되고, RSSI 판정레벨값은 수신이 잘되는 지역에서는 높게 설정되어 미약한 신호는 수신이 안되도록 하고, 수신이 잘 안 되는 지역에서는 낮게 설정되어 미약한 신호까지도 수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이 -48dBm ~ -70dBm인 경우는 강전계 지역이므로 RSSI 판정레벨값을 0x1000으로 높게 설정하고,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이 -99dBm ~ -105dBm인 경우는 약전계 지역이므로 RSSI 판정레벨값을 0x0001로 낮게 설정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FM 라디오 방송 수신시 핸드셋 수신 파워레벨값에 따라 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하여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05)는 해당 단말기가 이동통신망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01). 해당 단말기가 망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RSSI 판정 레벨값을 디폴트(default)로 설정해놓고(S102) 오토시크(autoseek)를 구동하여 채널을 설정하고(S103),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S108). 상기 단계 S102 ~ S104의 과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단계 S101의 판단결과, 해당 단말기가 이동통신망 내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파워 레벨값 리드부(113)는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 파워 레벨값을 읽어온다(S105). 이때, 수신파워 레벨값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율과 관련되는 것으로, 수신파워 레벨값이 높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율이 높고 수신파워 레벨값이 낮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율이 낮다.
그 후, RSSI 판정 레벨값 설정부(115)는 수신파워 레벨값에 따라 FM 라디오 방송 수신 기준이 되는 RSSI 판정 레벨값을 설정하고 RSSI 판정 레벨값 저장부(117)에 저장한다(S106).
이때, RSSI 판정 레벨값 설정부(115)는 수신 파워 레벨값이 높으면 라디오 수신율이 높은 강전계 지역으로 판단하여 RSSI 판정 레벨값을 높게 설정하고, 수신 파워 레벨값이 낮으면 라디오 수신율이 낮은 약전계 지역으로 판단하여 RSSI 판정 레벨값을 낮게 설정한다. 따라서, RSSI 판정 레벨값이 높으면 RSSI 판정 레벨값 이 하의 미약한 신호들은 수신되지 않게 되고, RSSI 판정 레벨값이 낮으면 미약한 신호까지도 수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RSSI 판정 레벨값이 설정되면, 그에 따른 오토시크(autoseek)를 작동하여 채널을 설정하여(S107),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S108).
이와같이, 본 발명은 FM 라디오의 RSSI 판정 레벨값을 수신 파워 레벨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하여, FM 라디오 수신이 잘 되는 지역에서는 RSSI 판정 레벨값을 높게 설정하여 미약한 신호를 가진 채널은 잡지 못하게 하고, 수신이 잘 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RSSI 판정 레벨값을낮게 설정하여 미약한 신호를 가진 채널을 잡게 하여 RM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셋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FM 라디오의 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FM 라디오 방송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단말기가 망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수신 파워 레벨값을 리드하는 제 1 과정;
    상기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라디오 수신율을 나타내는 라디오 수신신호강도(RSSI) 판정 레벨값을 설정하는 제 2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에 따라 채널을 검색하여 설정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라디오 수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수신 파워 레벨값이 높으면 상기 라디오 수신율이 높은 지역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높게 설정하는 제 2-1 과정;
    상기 수신파워 레벨값이 낮으면 상기 라디오 수신율이 낮은 지역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낮게 설정하는 제 2-2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라디오 수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은 복수개의 단계로 미리 설정되고, 상기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단계 중 하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라디오 수신방법.
  4. 단말기의 위치가 망내에 위치하는지를 체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파워 레벨값에 따라 라디오 방송 수신 기준이 되는 수신신호강도(RSSI) 판정 레벨값을 유동적으로 설정하고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수신파워 레벨값을 읽어오는 수신파워 레벨값 리드부;
    상기 수신파워 레벨값에 따라 상기 라디오 수신율이 높은 강전계 지역에서는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높게 설정하고, 상기 라디오 수신율이 낮은 약전계 지역에서는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낮게 설정하는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 설정부; 및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저장하는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 저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 설정부는,
    상기 수신 파워 레벨값이 높으면 상기 라디오 방송의 수신율이 높은 지역으 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높게 설정하고, 상기 수신파워 레벨값이 낮으면 상기 라디오 방송의 수신율이 낮은 지역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 설정부는,
    상기 수신신호강도 판정 레벨값을 복수개의 단계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파워 레벨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단계 중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50105390A 2005-11-04 2005-11-04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KR20070048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90A KR20070048377A (ko) 2005-11-04 2005-11-04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90A KR20070048377A (ko) 2005-11-04 2005-11-04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77A true KR20070048377A (ko) 2007-05-09

Family

ID=3827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390A KR20070048377A (ko) 2005-11-04 2005-11-04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83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0459B2 (en) FM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9294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ntenna in portable terminal
US925381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0917479B1 (ko) 무선 통신 단말 및 안테나 스위칭 제어 방법
US8223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systems
US112127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7778223B2 (en) Cord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4889729B2 (j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CN100341369C (zh) 利用移动站接收无线公用传播服务的方法
US2008017659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ation power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8874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ound volume of wireless connec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198411A1 (en) Antenna extension control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509845B2 (en)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i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8364204B2 (en)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audio path thereof
US20070191069A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control method
EP1557963A2 (en) Antenna selection system and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3647837B2 (ja) 移動局における周波数選択方法、移動局及び周波数選択用プログラム
US201101117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adio channel
KR20070048377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라디오 수신 방법
US89427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US201100866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operation state in mobile terminal
KR2009000545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셀 선택 방법
EP1804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n a wireless network
JP5058779B2 (ja) 位置登録方法および移動局
JP2006165764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