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119A - 극돌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극돌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119A
KR20070048119A KR1020060106232A KR20060106232A KR20070048119A KR 20070048119 A KR20070048119 A KR 20070048119A KR 1020060106232 A KR1020060106232 A KR 1020060106232A KR 20060106232 A KR20060106232 A KR 20060106232A KR 20070048119 A KR20070048119 A KR 2007004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arm
spinous process
fixing
fixing devic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086B1 (ko
Inventor
진동규
Original Assignee
진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동규 filed Critical 진동규
Priority to PCT/KR2006/0045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52975A1/en
Publication of KR2007004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7Devices bearing against one or more spinous processes and also attached to another part of the spine;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49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는 극돌기로 연장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일단에 취부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극돌기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극돌기의 타측을 지지하여 인접하는 극돌기들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인접하는 여러 개의 극돌기들을 고정할 수 있어 척추 수술후의 척추의 퇴행성 변성을 예방할 수 있고, 호환성이 우수하여 대부분의 척추 고정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극돌기, 척추고정장치, 제 1 고정부, 제 2 고정부, 연장암, 횡바, 연장암

Description

극돌기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Spinous Process}
도 1은 일반적인 척추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척추고정장치의 척추스크류가 척추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를 척추고정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태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연장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연장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연장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와 도 4a에 도시된 연장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와 도 4b에 도시된 연장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와 도 4c에 도시된 연장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연결부재가 횡바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가 극돌기의 전후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가 추궁판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극돌기 장치의 제 1 고정부와 제 2 연장암의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13은 도 11a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1a의 극돌기 장치가 척추고정장치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1a의 극돌기 장치가 척추고정장치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1a의 극돌기 고정장치가 척추에 이식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19a는 좌우 로드 고정 링크 및 하부 연결부재의 삽입공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예의 사시도,
도 19b는 좌우 로드 고정 링크 및 하부 연결부재의 삽입공의 단면 형상이 오각형인 예의 사시도,
도 20은 좌우 로드고정링크가 일체로 형성된 횡바의 상세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척추 10~16:척추골
131:극돌기 132:횡돌기 133: 추공
134:추체 135:유도돌기
20:척추스크류 21:로드 22:횡바
23:연결부재 201:너트
30:연결부재 32:연장암고정부
321:볼트 322: 삽입공 331:횡바고정부
311:너트 312: 삽입공 40:연장암
41:걸림부 42:제2고정부 50:제1고정부
51:삽입통 511:멈춤부 52:메인후크 53:보조후크
본 발명은 극돌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제거수술을 받은 척추골과 척추골을 척추스크류와 로드로 고정한 척추고정장치에 연장암을 부설하고 여기에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이용해 척추스크류로 수술된 척추골의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를 잡아줌으로써 척추시술 후 인접 척추골에서의 퇴행성 변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척추는 다수의 척추골이 상하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척추골은 디스크가 그 사이에 개재되며 상하로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 척추체와, 각각의 단위 척추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인체의 등쪽으로 연장된 극돌기(spinous process)와 좌우 측으로 각각 돌출 연장된 횡돌기(transverse process)와, 상기 극돌기와 횡돌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도돌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척추체와 극 돌기의 사이에는 척추신경이 상하로 통과하는 척추공이 형성되고, 척추공은 상하로 연결된 척추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척추용 고정장치는 척추가 골절되거나 질병의 발생 등으로 인해 척추에 이상이 발생된 환자를 수술에 의해 치료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척추골절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에, 척추를 이루는 각 척추골에 척추용 고정장치를 식립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척추가 정상의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돕게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상이 있는 해당 척추마다 척추스크류(20)를 유도돌기(135)와 횡돌기(132)사이에 매식하고 매식된 척추스크류의 헤드상에 로드(21)을 위치시킨 뒤 너트를 고정함으로써 시술된 척추골들을 상호 견고하게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양측에 장착된 로드(21)에 연결부재(23)를 부설하고 여기에 횡바(22)를 끼움고정하여 양측의 로드를 상호 결속시켜 척추골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척추고정장치는 시술된 척추골들을 상호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만을 하므로 시술된 척추골들은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고정된 척추골에 인접하는 척추골들이 과도하게 운동을 할 수 밖에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인접 척추골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인접 척추분절에 퇴행성 변성이 유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2, 13, 14의 척추골에 척추고정술을 행하게 되면, 12, 13, 14 척추골은 단단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10 또는 11 그리고 15 또는 16의 척추골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게 되어 이들 척추골에 퇴행성 변성이 유발되게 되는 것이다.
대략 척추고정술 시행 후 4~5년이 경과되면 척추 고정 시술 환자의 약 30~50%가 퇴행성 변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퇴행성 변성이 발생하면, 재수술이 불가피하게 되는데, 재수술시에는 기존에 삽입된 척추스크류와 로드를 제거하고 다시 척추스크류를 고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심한 통증 및 감염 등의 위험성이 수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를 잡아줌으로써 인접 척추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고정 후라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인접 척추골의 유동이 가능하여 인접하는 척추골에 발생할 수 있는 퇴행성 변성을 예방할 수 있는 극돌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어떠한 척추고정장치에도 사용가능한 호환성을 가진 극돌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극돌기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극돌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척추골에 매식된 척추스크류와 상기 척추스크류를 상호 고정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척추고정 장치에서 인접하는 극돌기로 연장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일단에 취부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극돌기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극돌기의 타측을 지지하여 극돌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에서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암에 끼움되는 삽입통과 상기 삽입통의 일단에 취부된 갈고리 형상의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상기 제1고정부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이동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의 이동수단을 타고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연장암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연장암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래치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 는 삽입통과 상기 삽입통의 일측에 부착되는 갈고리 형상의 메인후크와 상기 메인후크의 소정위치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의 보조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통과 상기 삽입통의 일측에 부착되는 갈고리 형상의 메인후크와 상기 메인후크의 소정 위치에서 일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의 보조후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통은 그 상단부에 상기 연장암의 래치돌기에 연동되는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삽입통은 상기 연장암에 삽입된 후 그 측면에 취부된 볼트에 의해 연장암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삽입통은 상기 연장암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통의 상하에 위치되며 연장암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연장암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척추고정장치의 횡바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 실 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상기 척추고정장치의 로드상에 취부된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횡바가 끼움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횡바고정부와 상기 횡바고정부와 교차되어 상기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연장암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바고정부는 상기 횡바가 삽입고정되는 중공통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연장암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중공통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횡바와 연장암은 각각 중공통형상의 부재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바고정부는 측면에 안내홈을 가진 판형상의 횡바의 양 측면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는 부재이고 상기 연장암고정부는 상기 횡바고정부의 소정 위치에 취부되어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중공통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횡바고정부는 상기 판형상의 횡바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 관통된 다수의 삽입공상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위치고정되며 상기 연장암고정부는 볼트에 의해 연장암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극돌기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암으로 구성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연장암과 평행하게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장암; 및 상기 제 1 연장암과 상기 제 2 연장암을 관통시키고 극돌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극돌기를 고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복수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해서 여러 개의 극돌기들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환자의 체내에 이식되는 경우에 척추 고정장치의 대향하는 한 쌍의 로드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횡바: 및 상기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상기 횡바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를 척추고정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척추스크류(20), 로드(21)로 구성되는 척추고정장치에 연결되는 연장암(40), 상기 연장암의 일단에 일체형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취부된 제1고정부(42)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연장암(40)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고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척추고정장치는 본원의 출원이전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암(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고정장치의 횡바(22)에 연결부재(30)를 통해서 연결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지만 로드(21)에 직접 결합되어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암(4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제1고정부(42)를 가진다. 상기 제1고정부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이며 연장암과 일체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연장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암(4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일체형으로 취부된 갈고리 형상 후크인 제 1 고정부(42)와, 소정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설된 다수의 래치돌기(41)를 가진다. 상기 제 1 고정부(4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극돌기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곡률이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래치돌기(41)는 도 5a 내지 도 5b의 제2고정부(50)가 연장암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으로서 기능하는데, 제2고정부가 제 1 고정부(42)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반대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일례로서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411)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연장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암(4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인 제1고정부(42')가 탈부착가능하게 취부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고정부(42')는 상기 연장암이 관통고정되는 중공의 통형상의 삽입통(421')과 상기 삽입통(421')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측으로 굴곡된 갈고리 형상의 후크(422')와 상기 삽입통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삽입통(421')을 연장암에 가압고정하는 볼트(423')로 이뤄진다. 도 4b에 도시된 연장암(40')은 도 6a에 도시된 제2고정부(5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연장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암(40")은 도 4a의 연장암(40)과 유사하지만 이동수단으로서 나사산(41")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연장암(40")은 도 7a에 도시된 제2고정부(5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a 또는 도 4c의 연장암의 구조에 도 4b와 같이 제1고정부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제2고정부(50,50',50")는 상기 연장암(40,40',40")을 따라 삽입되어 제1고정부(42,42',42")와 함께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를 고정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형상이 제1고정부의 후크와 같이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고정부의 후크와는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도록 제1고정부의 후크와 반대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50)는 중공형상의 통부재(51)와 상기 통부재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측으로 굴곡된 메인후크(52)와 상기 메인후크(52)의 소정 위치에서 연장되어 상기 메인후크와 소정 경사각으로 상측으로 굴곡되는 보조후크(53)를 포함한다. 상기 통부재(51)는 그 중심공(512)의 내주면 상단부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11)를 가지며, 상기 돌기(51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50)가 상기 연장암(40)의 래 치돌기(41)를 타고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반면 화살표 B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2고정부(50)는 상기 연장암의 래치돌기를 타고 제1고정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후크(5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의 타측을 걸어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후크(53)는 메인후크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척추골의 추공의 상측을 걸어서 지지하며, 이는 메인후크와 제1고정부만으로 극돌기를 걸어 지지하게 되면 극돌기가 부러지는 등의 이유로 메인후크나 제1고정부가 극돌기에서 분리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후크를 이용해 추공의 상측을 걸어 더욱 안전하고 단단한 결속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50')는 중공형상의 통부재(51')와 상기 통부재(5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측으로 굴곡되는 갈고리 형상의 메인후크(52')와 보조후크(53')를 가진다. 상기 통부재(51')와 메인후크(52')와 보조후크(53')는 앞서 본 도 5a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고정부(5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11')가 통부재(51')를 관통한 후 연장암(4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는 점에 있어서만 도 5a의 제2고정부(50)와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고정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50")는 통부재(51"), 상기 통부재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측으로 굴곡된 메인후크(52"), 상기 메인후크의 소정 위치에서 상측으로 굴곡된 보조후크(53")와 상기 통부재의 상하부 측에 각각 위치되는 너트(5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후크, 보조후크는 앞서 본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지만, 상기 통부재(51")는 볼트가 아니라 아래위에 위치되는 너트(511")를 이용해 고정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4c의 연장암(40")에 너트(511'), 통부재(51")와 너트(511")순으로 삽입한 뒤 통부재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아래 위의 너트(511")를 연장암(40")의 나사산(41")에 죄여서 통부재를 연장암상에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바와 연장암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연결부재(3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0)는 횡바가 끼움고정되는 횡바고정부(31)와 상기 횡바고정부와 교차되어 상기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연장암고정부(32)로 이루어진다.
횡바고정부(31)는 중공형상의 통부재이고 중심의 중심공(312)을 통해 횡바(22)가 삽입되며, 삽입된 횡바(22)는 통부재를 관통하는 볼트(311)에 의해 통부재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연장암고정부(32)는 상기 횡바고정부의 상측 내지 하측에 교차되게 위치되는 중공형상의 통부재로서 중심공(322)을 통해 연장암이 삽입되며, 삽입된 연장암(40,40',40")은 통부재를 관통하는 볼트(321)에 의해 연장암고정부에 고정되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연결부재(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30')의 횡바고정부(31')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양측의 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횡바삽입공(312')으로 돌출되어 있는 끼움돌기(313')를 가지며 또한 상면에는 볼트(31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미도시)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연장암고정부(32')는 앞서 본 연장암고정부(3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는 도 9b에 도시된 판형상의 횡바(2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횡바(22')는 판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양측면의 모서리에는 상기 횡바고정부(31')의 끼움돌기(313')가 끼움되어 안내될 수 있는 끼움홈(221')을 가지고 있고 그 상면에는 상기 볼트(311')이 끼움되는 나사공(222')을 가지고 있다. 상기 나사공(222')은 횡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천공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고정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위치가 정해지면 볼트(311')를 상기 나사공(222')에 끼움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가 극돌기의 전후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2, 13, 14의 척추골에 척추스크류(20)를 매식한 뒤 그 헤드에 로드(21)를 안착시키고 너트(201)를 이용해 고정한 뒤 양측의 로드 사이를 횡바(22)를 이용해 상호 결속하여 병증이 있는 척추골을 상호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연장암(40)에 제2고정부(50)를 삽입한 뒤 연장암의 일단에 취부된 제1고정부00(42)를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111,151,161)의 일측에 걸어 지지한 다음 연장암의 타단부를 연결부재(30)에 고정하고 제2고정부(50)의 통부재(51)를 연장암의 래치(41)를 따라 이동시켜 극돌기(111,151,161)의 타측을 걸어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부(50)는 통부재(51)의 돌기(511)가 상기 연장암의 래치(41)를 따라 일방향만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최종 위치가 설정되면 반대방향으로의 후퇴는 불가능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4b, 도 4c의 연장암과, 도 5a, 도 6a, 도 7a의 제2고정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b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가 추궁판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보조후크(53)는 메인후크(5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척추골의 추공(103,113, 153,163)의 상측을 고정지지한다. 이와 같이 보조후크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1고정부의 후크와 제2고정부의 메인후크만을 이용해 극돌기를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극돌기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연장암을 이용해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를 고정하게 되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극돌기를 가진 척추골은 종래의 척추고정장치로 고정된 척추에 비해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는 수술 후에도 생활측면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극돌기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암으로 구성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연장암과 평행하게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장암; 및 상기 제 1 연장암과 상기 제 2 연장암을 관통시키고 극돌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극돌기를 고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제 1 고정부(1110), 제 2 연장암(1120) 및 제 2 고정부(1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1110)는 극돌기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부(1005)와 이러한 헤드부로부터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연장암(10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1005)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극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만곡된 곡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005)와 제 1 연장암(1007)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극돌기 장치의 제 1 고정부(1110)와 제 2 연장암(1120)의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연장암(1120)은 시술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고정부(1110)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를 인체 내에 이식하는 경우에는 헤드부(1005)와 제 1 연장암(1007)을 포함하는 제 1 고정부(1110)를 고정하고자 하는 극돌기에 맞추어 자리를 잡은 후에 제 2 연장암(1120)을 제 1 고정부(1110)의 헤드부(100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연장암(1120)을 헤드부(1005)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제 2 연장암(1120)의 일말단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헤드부(1005)에는 나사공이 있고 그의 내주면에 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제 2 연장암(1120)의 말단이 내주면에 암나산이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고, 헤드부(1005)의 말단이 수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1130)는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이 지나가는 두 개의 삽입공을 포함하고, 제 2 고정부를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1130)는 극돌기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제 1 고정부의 헤드부(1005)의 만곡면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은 원형통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형 기둥의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고,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척추 고정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척추 고정장치는 척추골에 매식되는 척추스크류(23)와 상기 척추스크류 사이를 연결하여 척추를 교정하는 로드(2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어떠한 형태의 척추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척추 고정장치는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를 척추 고정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2a를 참고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척추 고정장치의 대향하는 로드를 서로 결속시키는 횡바(1140) 및 상기 제 1 고정부(1110)의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 을 상기 횡바(1140)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상기 횡바(1140)는 각각의 로드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1143, 1143')가 형성된 좌우 두 개의 로드고정링크(1141, 1141')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로드고정링크(1141, 1141')는 상기 연결부재(12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 삽입부(1143, 1143')는 척추고정장치의 로드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곡률이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로드 고정링크 (1141, 1141')의 로드 삽입부(1143, 1143')의 상부 표면에 나사공(1147, 1147')이 존재하고, 로드 삽입부(1143, 1143') 내에 로드를 끼운 후 나사공에 끝이 총알 모양인 나사를 삽입하여 가압하면 한 쌍의 로드 사이에 횡바(1140)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1200)는 상기 횡바(1140)의 상기 좌우 로드 고정링크(1141, 1141')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재(1150) 및 상기 제 1 연장암(1107) 및 제 2 연장암(1120)을 횡바(1140)에 고정시키는 상부 연결부재(116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연결부재(1150)의 상부 표면 및 상부 연결부재의 하부 표면에는 상기 제 1 연장암(1107) 및 상기 제 2 연장암(1120)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재(1160)에는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1161, 1162)이 형성되고, 하부 연결부재(1150)에는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의 다른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1151, 1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연결부재(1160)와 하부 연결부재(1150)를 체결하면 제 2 고정부(1130)의 두 개의 삽입공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고, 이 안에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이 삽입고정된다.
도 13은 도 11a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각 부분의 세부 구성과 체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을 참고하면, 하부 연결부재(1150)는 좌우 로드고정링크의 연장바가 교차 삽입되는 삽입공(1153), 하부 연결부재(1150)를 횡바(1140)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나사공(1156, 1157) 및 상부 연결부재(1160)를 하부 연결부재(1150)와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나사공(1154, 115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1160)는 상하부 연결부재 사이의 수용홈에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을 삽입한 후 상부 연결부재(1160)를 하부 연결부재(1150)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공(1163, 1164)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극돌기 고정장치에서는 제 1 고정부(1110) 및 제 2 연장암(1120)은 제 2 고정부(1130)의 두 개의 삽입공에 끼워진 후 나사공 1133 및 1135에 나사못이 고정된다.
하부 연결부재의 삽입공(1153)은 두 개의 중공통형상이 인접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삽입공(1153) 내에 좌우 두 개의 로드고정링크(1140, 1140')의 연장바(1145, 1145')가 각각 삽입된다. 좌우 로드고정링크의 연장바(1145, 1145')가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공 1154, 1155, 1156, 1157에는 나사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나사를 조이면 두 연장바 사이에 나사가 삽입되어 가압고정된다.
하부 연결부재와 상부 연결부재의 수용홈 (1157, 1159 및 1161, 1162)이 맞물릴 경우에 형성되는 홀에 제 1 고정부의 제 1 연장암(1107) 및 제 2 연장암(1120) 이 끼워지고, 나사공 1163 및 1164에 나사가 삽입고정된다.
도 14는 도 11a의 극돌기 장치를 척추고정장치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a의 극돌기 장치가 척추고정장치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로드(21)를 척추에 고정하기 위한 척추스크류(23)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장치의 로드(21) 상에 횡바(1140)의 좌우 로드고정링크(1141, 1141')의 로드삽입부(1143, 1143')가 걸쳐진다. 이와 같이 해서 로드삽입부에 로드를 끼운 후 나사공 1147 및 1147'에 나사를 삽입하여 조이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가 대향하는 로드 사이에 고정된다.
도 1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로드고정링크(1141, 1141')의 연장바 1145, 1145'가 하부 연결부재의 서로 인접해서 연결되어 있는 중공통형상 삽입공 내로 서로 교차되게 삽입되고, 나사공 1156 및 1157 내에 나사를 삽입하여 조이면 나사가 이러한 두 개의 연장바(1145, 1145') 사이를 가압하여 고정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극돌기 장치를 척추에 이식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돌기의 상부에 제 1 고정부의 헤드부(1005)가 걸쳐지고, 제 2 고정부(1130)의 오목부(1131)가 극돌기의 하부를 지지해 주면, 극돌기(131)가 제 1 고정부의 헤드부(1005)와 제 2 고정부의 오목부(1131) 사이에 고정된다. 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상의 여러 개의 극돌기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제 2 고정부(1130, 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110)의 헤드부(1005)는 가장 위쪽의 극돌기에 걸쳐지고 다수의 제 2 고정부들(1130, 1130')은 각각의 극돌기 아래에서 극돌기를 지지한다.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횡바와 연결해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에서 횡바의 좌우 로드고정링크(1141, 1141')의 연장바(1145, 1145')는 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에,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 또는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고정링크의 연장바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로드고정링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드삽입부(1143, 1143')에서 연장되는 연장바(1145, 1145')가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하부 연결부재(1150)의 삽입공(1153) 또한 그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각각 사각형 또는 오각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예에서 상기 로드고정링크는 얇은 판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극돌기 장치는 제 1 연장암(1007) 및 제 2 연장암(1120)의 일부에 척추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는 탄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구조는 환자가 몸을 굽히는 등의 동작을 하는 경우에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여, 척추 수술 후의 척추의 퇴행 변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구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데, 먼저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의 소재를 금속 대신에 어느 정도의 탄성력이 있는 형상기억합금, 폴리 에스테르 밴드 등으로 제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의 일부에 스프링 구조, 금속 세선 구조, 또는 코일 구조를 형성하거나 얇은 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와 반대로 시술 또는 제작의 편의를 위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횡바가 좌우 두 개의 로드 고정 링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로드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하는 대신에 횡바의 로드고정링크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일체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바(1145)의 양 말단에 로드를 수용하는 로드삽입부(1143, 1143')가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횡바의 좌우 로드 고정 링크(1141 및 114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연결부재(1160)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삽입공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횡바와 상하부 연결부재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거나 인조인대 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대안으로 본시멘트, 세라믹, 티타늄,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의 각 부분들은 인체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와이어 형태 또는 박편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각 구성 요소의 소재나 형상이 달라짐에 따라서 나사 이외의 수단에 의해 각 구성요소를 체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경,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러한 모든 가능한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척추골에 시술된 척추고정장치의 횡바 또는 로드의 소정 위치에서 연장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일단에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를 잡아줄 수 있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구비하여 인접 척추골의 극돌기를 잡아줌으로써 인접 척추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고정 후라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인접 척추골의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접 척추골에 발생할 수 있는 퇴행성 변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종래의 어떠한 척추고정장치에도 사용가능하므로 호환성(compatibility)이 우수한 이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극돌기 고정장치는 인접 척추골의 퇴행성 변성을 예방할 수 있어서 재수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감염의 위험성과 통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8)

  1. 인접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로 연장되는 연장암;
    상기 연장암의 일단에 취부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극돌기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극돌기의 타측을 지지하여 인접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에서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암에 끼움되는 삽입통과 상기 삽입통의 일단에 취부된 갈고리 형상의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상기 제1고정부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이동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의 이동수단을 타고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연장암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연장암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래치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통과 상기 삽입통의 일측에 부착되는 갈고리 형상의 메인 후크와 상기 메인후크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의 보조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통과 상기 삽입통의 일측에 부착되는 갈고리 형상의 메인후크와 상기 메인후크의 소정 위치에서 일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의 보조후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통은 그 상단부에 상기 연장암의 래치돌기에 연동되는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삽입통은 상기 연장암에 삽입된 후 그 측면에 취부된 볼트에 의해 연장암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삽입통은 상기 연장암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통의 상하에 위치되며 연장암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연장암 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척추고정장치의 횡바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상기 척추고정장치의 로드상에 취부된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횡바가 끼움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횡바고정부와 상기 횡바고정부와 교차되어 상기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연장암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고정부는 상기 횡바가 삽입고정되는 중공통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연장암고정부는 상기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중공통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횡바와 연장암은 각각 중공통형상의 부재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고정부는 측면에 안내홈을 가진 판형상의 횡바의 양 측면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는 부재이고 상기 연장암고정부는 상기 횡바고정부의 소정 위치에 취부되어 연장암이 삽입고정되는 중공통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횡바고정부는 상기 판형상의 횡바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 관통된 다수의 삽입공상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위치고정되며 상기 연장암고정부는 볼트에 의해 연장암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5. 극돌기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암으로 구성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연장암과 평행하게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장암; 및
    상기 제 1 연장암과 상기 제 2 연장암을 관통시키고 극돌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극돌기를 고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이 지나가는 두 개의 삽입공을 포함하고, 제 2 고정부를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암은 제 1 고정부의 헤드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여러 개의 극돌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척추 고정장치의 대향하는 로드를 서로 결속시키는 횡바: 및
    상기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상기 횡바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는 대향하는 한 쌍의 로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로드를 감싸도록 로드 삽입부가 형성된 좌우 두 개의 로드고정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로드고정링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횡바의 상기 좌우 로드 고정링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을 고정하는 상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부재의 상부 표면 및 상부 연결부재의 하부 표면에는 상기 제 1 연장암 및 상기 제 2 연장암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부재는 두 개의 횡바가 삽입고정되는 평행한 삽입공,
    하부 연결부재를 횡바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나사공;및
    상부 연결부재를 하부 연결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는 상하부 연결부재 사이의 수용홈에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을 삽입한 후 상부 연결부재를 하부 연결부재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의 일부에 형성된 척추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는 탄성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폴리에스테르 밴드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는 제 1 연장암 및 제 2 연장암의 일부에 형 성된 스프링 구조, 금속 세선 구조 또는 코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28.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의 좌우 로드 고정 링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재에는 하나의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고정장치.
KR1020060106232A 2005-11-03 2006-10-31 극돌기 고정장치 KR10078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4576 WO2007052975A1 (en) 2005-11-03 2006-11-03 Fixing device for spinous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078 2005-11-03
KR20050105078 2005-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119A true KR20070048119A (ko) 2007-05-08
KR100788086B1 KR100788086B1 (ko) 2007-12-21

Family

ID=3827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232A KR100788086B1 (ko) 2005-11-03 2006-10-31 극돌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1055A1 (en) * 2007-05-10 2008-11-20 Warsaw Orthopedic, Inc. Posterior stabilization and spinous process systems and methods
US11246608B2 (en) 2017-01-09 2022-02-15 Yougun Won Device for fixing sp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527B2 (en) * 1998-10-20 2003-11-25 S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Supplemental spi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US6364883B1 (en) * 2001-02-23 2002-04-02 Albert N. Santilli Spinous process clamp for spinal fus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7048736B2 (en) * 2002-05-17 2006-05-23 Sdgi Holdings, Inc. Device for fixation of spinous process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1055A1 (en) * 2007-05-10 2008-11-20 Warsaw Orthopedic, Inc. Posterior stabilization and spinous process systems and methods
CN101707870B (zh) * 2007-05-10 2013-01-30 华沙整形外科股份有限公司 后稳定和棘突系统
US11246608B2 (en) 2017-01-09 2022-02-15 Yougun Won Device for fixing sp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086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9664B1 (en) Head-to-head connector spinal fixation system
EP1737368B1 (en) Spinal rod connector
US9763805B2 (en) Spacer with temporary fixation plate
AU2014234156B2 (en) Spinal implant assembly
EP2560566B1 (en) Spinal implants and spinal fixings
KR101053428B1 (ko) 척주 지지를 위한 전방 판을 포함하는 장치
US5360431A (en) Transpedicular screw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60052783A1 (en) Polyaxial device for spine stabilization during osteosynthesis
US8414623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ongated members
US20060052786A1 (en) Polyaxial device for spine stabilization during osteosynthesis
US20060052784A1 (en) Polyaxial device for spine stabilization during osteosynthesis
US20060212033A1 (en) Vertebral stabilization using flexible rods
US20100174315A1 (en) Device for spinal fusion
WO2007052975A1 (en) Fixing device for spinous process
CN101426435A (zh) 脊柱棒连接器系统和用于骨锚定的方法
CN103491889A (zh) 脊椎后路板固定系统
US10687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inal compression, distraction, and fixation
KR20090043569A (ko) 척추 로드 연장기 및 그의 사용방법
KR100788086B1 (ko) 극돌기 고정장치
AU2015221944B2 (en) Connector for spinal implant system
US10448974B2 (en) Flexible implant for dis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