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469A -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 Google Patents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469A
KR20070046469A KR1020050103211A KR20050103211A KR20070046469A KR 20070046469 A KR20070046469 A KR 20070046469A KR 1020050103211 A KR1020050103211 A KR 1020050103211A KR 20050103211 A KR20050103211 A KR 20050103211A KR 20070046469 A KR20070046469 A KR 2007004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accident
core
power pla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908B1 (ko
Inventor
윤덕주
이재용
전황용
변충섭
정광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5010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9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에서 정지 및 저출력운전시 원자로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시 발전소를 원활히 운전하기 위해 비정상 대응지침서를 개발하고, 이 지침서를 통해 발전소의 안정성을 이룸과 더불어 노심비등을 방지하기 위한 지침서를 개발하여 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침서 개발의 절차와 단계로서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 분석, 저온과압사고 예상시나리오 분석, 가압기 압력 방출밸브 고착개방 분석, 운전원 조치시간에 따른 분석을 사용하여 최적의 대응지침서 개발함으로써 발전소의 비정상 사고 발생시 사고완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 개발방법{Response operation guideline of loss of coolant accident at shutdown and low powe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상 지침서 체계구축을 위한 평가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발전소의 정지운전중 냉각재 상실사고가 발생했을 때 비정상 대응지침서 개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정상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원이 대응하고 조치를 취할 경우 사용하기 위한 문서로서 비정상 대응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해 구체적인 개발방향 및 절차 등을 상세히 기술한 비정상 대응지침서 개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통, 비정상 대응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사고해석은 비정상 운전절차서의 다양한 초기사상, 원전계통의 작동 및 운전원 조치와, 그리고 계통 내 이상유동 등에 대한 복잡한 현상들을 최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비정상 운전지침서는 보수적 안전해석 방법론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비정상 운전절차서에는 실질적인 과보수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상운전 조건에서 실질적인 원전 안전성 및 운전 여유도 확보에 제한성을 갖는다.
따라서, 비정상시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적해석 체계의 구축 및 적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적 안전해석 코드체계를 적용하고, 최적 원전계통 모델링 및 최적 운전원 조치 모델링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취약성을 보완한다.
또한, 정지운전중 사고의 효과적인 대처로 원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지 및 저출력 모드를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인 비정상 운전체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비정상 지침서 개발을 위한 해석 방법으로는, 다양한 사고 거동분석에 의한 체계적 지침서 개발 방법이 아니라, 특정한 사고에만 적용이 가능한 특정사고중심의 절차서이며, 보수적 안전해석에 따른 분석결과에 따라 운전지침 및 절차가 결정되어 실제 사고결과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정지 및 저출력운전시 원자로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시 발전소를 원활히 운전하기 위해 비정상 대응지침서를 개발하고, 이 지침서를 통해 발전소의 안정성을 이룸과 더불어 노심비등을 방지하기 위한 지침서를 개발하여 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지침서 개발의 절차와 단계로서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 분석, 저온과압사고 예상시나리오 분석, 가압기 압력 방출밸브 고착개방 분석, 운전원 조 치시간에 따른 분석을 사용하여 최적의 대응지침서 개발함으로써 발전소의 비정상 사고 발생시 사고완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비정상 대응지침서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정상 지침서를 개발하는 단계로서 노심노출(Core Uncover) 및 노심가열(Core Heat-up) 최적분석에 의해 운전원 조치가 없는 경우,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시 원자로 냉각재 계통 내의 열수력학적 거동(Thermal Hydraulic Behavior) 평가를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열 충격상태의 여유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사고별 고온관 온도 대 원자로 냉각재 계통 압력변화를 기술지침서 제한곡선과 여유를 평가하여 저온과압 보호계통 성능과 운전전략의 적절성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열 크기별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사고 발생 후 운전원 조치로 안전주입이 시작된다고 가정하고 핵연료 피복재의 최대온도가 피복재 온도 허용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여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운전원 조치 허용시간 평가항목은 사고의 초기단계인 사고 인지시간, 사고 진단시간 및 운전원 조치 소요시간과, 운전원이 수동조치를 시작하여 안전기능 종료까지의 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발전소의 정지운전중 냉각재 상실사고인 비정상 정지 및 저출력 상태 발생시 비정상 대응지침서 개발방법에 따른 비정상 지침서 체계구축을 위한 평가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비정상 대응지침서는 사고완화 기능을 위한 점검항목과 이에 필요한 행위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S1)는 최적분석코드에 관한 단계로, 시뮬레이션은 RELAP코드를 이용하여 발전소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코드는 원자로 냉각재 계통, 2차 냉각재 계통, 제어봉 제어계통 등의 상세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최적해석을 위해 사용된다.
제2단계(S2)는 발전소 계통 모델링 단계로, 1차 계통의 원자로 냉각재 루프의 비대칭 현상 모의를 위해 1차측 루프를 루프1, 루프2, 루프3과 같이 3개로 모델링 한다.
상기 각각의 루프는 고온관,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펌프 흡입관, 원자로 냉각재 펌프 및 저온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기와 밀림관은 루프2와 연결되어 있으며, 원자로 용기, 증기발생기, 루프, 가압기 및 밀림관 등의 금속 질량을 모델링 하였다.
제3단계(S3)는 저온과압 보호계통 모델링 단계로, 원전 저온운전중 발생할 수 있는 과압사고는 압력용기의 취성파괴(Fracture Toughness)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발전소는 압력용기 취화압력 한계의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다중성의 가압기 압력 보호밸브와 잔열 제거계통 입구 안전방출 밸브를 모델링 한 다.
제4단계(S4)는 안전주입 감량기준 적용 단계로, 제4단계에서는 안전주입 유량 감량시 원자로 냉각재 계통 압력이 포화압력 이하로 떨어져 계통 내에 기포가 발생하고, 노심 냉각효과를 저하시키는 등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어진 사고에 따른 적절한 안전주입 감량을 위해 발전소의 비상 노심 냉각계통의 펌프별로 계통의 과냉각을 유지시킬 안전주입 감량기준을 적용한다.
노심 잔열이 원자로 냉각재 계통 냉각시점에서 이미 감소되었고, 안전주입 작동 설정치 압력 근처까지 원자로 냉각재 압력이 감압되었으므로 소형 냉각재 상실사고 진전에 따른 핵연료 피복재 온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허용기준을 만족하기 때문에, 원자로 냉각재 계통을 냉각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기준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제5단계(S5)에서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제6단계(S6)는 해석유형 선정단계로, 노심노출(Core Uncover) 및 노심가열(Core Heat-up) 분석은 운전원 조치가 없는 경우로,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시 원자로 냉각재 계통 내의 열수력학적 거동(Thermal Hydraulic Behavior)을 파악하기 위한 해석유형이다.
한편, 저온과압 분석은 저온과압 보호계통 작동중 파열사고 발생 후 격리시 운전원 조치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해석유형이고, 가압기 압력 방출밸브 고착개방 분석은 가압기 압력 방출밸브 고착개방 사고시 운전원 조치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유형이다.
또한, 운전전략에 따른 분석은 운전모드 3 또는 4에서 1인치 또는 3인치 고온관/저온관 파열사고로서 사고 발생 이후 운전원 조치로 적절한 보충수 공급과 냉각 및 감압 등이 수행된 분석유형이다.
제7단계(S7)는 시나리오 분석단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7단계(S7)의 시나리오 분석단계에 있어서 그 분석방법은 첫째, 비정상 지침서 점검항목 및 필요행위를 나타낸 이하의 [표 1]과 같이 정지운전중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시 최적의 운전절차를 수립하기 위해 정지운전중 냉각재 상실사고에 대한 비정상 운전지침서에 기초해서 최적 안전해석코드를 사용하여 정지운전중 냉각재 상실사고 분석을 수행한다.
둘째,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 분석, 가압열 충격 분석, 가압기 압력 방출밸브 고착개방 분석 및, 운전모드 3,4에서 고온관 및 저온관 소형 냉각재 상실사고시 운전 전략에 따른 분석을 수행한다.
셋째, 고온관 및 저온관 파열크기에 따른 냉각재 상실사고 분석을 통해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 시간을 계산하여 운전원 조치시간을 평가한다.
넷째, 가압열 충격(Pressurized Thermal Shock) 분석은, 고온관 파열후 파단부위가 조기에 차단된 경우로 원전 저온 운전중 발생할 수 있는 가압열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설치된 저온과압 보호설비의 역할 및 운전원 조치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다섯째, 가압기 압력 방출밸브 고착개방 분석시에는 2대 충전/안전주입 펌프를 이용해서 원자로 냉각재 계통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가압기 수위 및 원자로 냉각 재 계통 과냉각도가 안전하게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여섯째, 절차서를 바탕으로 수행된 운전전략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는, 운전모드4에서 1인치 저온관 또는 고온관 파열사고, 운전모드 3에서의 1인치 고온관 파열사고시 안전주입 감량기준으로 사용된 과냉각도 기준은 안전주입 재기동을 요구하지 않고, 저온과압 열충격도 발생하지 않아서 안전주입 감량기준으로 적합함을 확인한다.
다만, 3인치 저온관 파열사고시 2대의 안전주입 유량을 주입하더라도 원자로 냉각재 계통 과냉각도의 회복은 매우 느리게 진행됨으로, 원자로 냉각재 계통을 충분히 감압하여 저압 안전주입 유량이 공급되면 냉각이 원활히 진행됨을 확인한다.
일곱째, 가압열 충격상태의 여유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사고별 고온관 온도 대 원자로 냉각재 계통 압력변화를 기술지침서 제한곡선과 여유를 평가하여 저온과압 보호계통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분석을 제외하고는 저온과압 보호설비 개방 설정치와 여유가 있음을 확인한다.
[표 1]
점검 항목 필요행위
안전주입 점검 안전주입 감량, 안전주입 정지, 재기동
잔열 제거계통 점검 저압 안전주입 전환, 정지, 재기동
과냉각도 점검 감압, 충수
증기발생기 수위 점검 급수 증가, 감소
원자로 냉각재 펌프 점검 정지, 재기동
온도 점검 잔열 제거 기동, 정지, 절차서 종결
계속해서, 제8단계(S8)는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 허용기준에 따른 분석단계로, 파열 크기별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사고 발생 후 운전 원 조치로 안전주입이 시작된다고 가정하고 수행하여 핵연료 피복재의 최대온도가 피복재 온도 허용기준인 1204℃(2200℉)를 만족함을 확인하여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을 결정한다.
제9단계(S9)는 운전원 조치 허용시간 종합분석단계로, 원전조건에 대해 초기단계인 사고 인지시간, 사고 진단시간과 운전원 조치시간, 수동조치를 시작하여 안전기능 종료까지의 시간으로 상기 제8단계의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보다 작아야한다.
마지막으로, 제10단계(S10)는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 체계 구축단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 체계 구축은 첫째, 원전의 성능해석 결과, 열수력학적 거동 평가결과, 노심 비등시간 및 노심노출시간을 지침서에 반영한다.
둘째, 계통 및 기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절차서에 반영한다.
셋째, 설정치 분석, 계측기 불확실도를 분석해서 최적의 설정치를 계산하여 절차서에 적용한다.
넷째, 운전 편의성을 고려한 운전경험을 조사분석하여 운전중 안전성 확보할 수 있도록 지침서 체계를 구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적 해석이 아닌 최적 과도해석을 통해 비정상 지침서의 설정치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단계별 운전전략을 수립하여 최적의 지침서를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개발된 비정상 지침서는 어떠한 과도상태에서도 비정상 상대의 사고완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최적으로 발전소를 복구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하며, 사고 상황에 대한 초기대응을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비정상 지침서의 초기 대응체계를 구체화 함과 더불어 체계화 할 수 있다.

Claims (1)

  1.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 최적분석에 의해 운전원 조치가 없는 경우,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시 원자로 냉각재 계통 내의 열수력학적 거동 평가를 채택하는 단계와,
    가압열 충격상태의 여유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사고별 고온관 온도 대 원자로 냉각재 계통 압력변화를 기술지침서 제한곡선과 여유를 평가하여 저온과압 보호계통 성능과 운전전략의 적절성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파열 크기별 노심노출 및 노심가열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사고 발생 후 운전원 조치로 안전주입이 시작된다고 가정하고, 핵연료 피복재의 최대온도가 피복재 온도 허용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여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운전원 조치 허용시간 평가항목은 사고의 초기단계인 사고 인지시간, 사고 진단시간 및 운전원 조치 소요시간과, 운전원이 수동조치를 시작하여 안전기능 종료까지의 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운전원 조치 요구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 개발방법.
KR1020050103211A 2005-10-31 2005-10-31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KR10071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11A KR100719908B1 (ko) 2005-10-31 2005-10-31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11A KR100719908B1 (ko) 2005-10-31 2005-10-31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469A true KR20070046469A (ko) 2007-05-03
KR100719908B1 KR100719908B1 (ko) 2007-05-18

Family

ID=3827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11A KR100719908B1 (ko) 2005-10-31 2005-10-31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9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58B1 (ko) * 2006-12-20 2008-06-23 한국전력공사 증기발생기 누설 최적복구지침서 개발방법
CN104332206A (zh) * 2013-07-22 2015-02-04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压水堆核电站启/停堆工况的超压保护方法
CN110444300A (zh) * 2019-07-04 2019-11-12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基于征兆的核电厂堆芯冷却功能控制策略的设计方法
CN110706834A (zh) * 2019-11-15 2020-01-17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堆芯冷却监视信号有效性处理方法及装置
CN113972019A (zh) * 2020-07-23 2022-01-25 华龙国际核电技术有限公司 核电厂事故处理策略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89A (ko) 2019-11-08 2021-05-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소형 냉각재 상실사고로 인해 발생한 중대사고 영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58B1 (ko) * 2006-12-20 2008-06-23 한국전력공사 증기발생기 누설 최적복구지침서 개발방법
CN104332206A (zh) * 2013-07-22 2015-02-04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压水堆核电站启/停堆工况的超压保护方法
CN110444300A (zh) * 2019-07-04 2019-11-12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基于征兆的核电厂堆芯冷却功能控制策略的设计方法
CN110444300B (zh) * 2019-07-04 2023-12-22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基于征兆的核电厂堆芯冷却功能控制策略的设计方法
CN110706834A (zh) * 2019-11-15 2020-01-17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堆芯冷却监视信号有效性处理方法及装置
CN110706834B (zh) * 2019-11-15 2021-09-24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堆芯冷却监视信号有效性处理方法及装置
CN113972019A (zh) * 2020-07-23 2022-01-25 华龙国际核电技术有限公司 核电厂事故处理策略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972019B (zh) * 2020-07-23 2024-04-16 华龙国际核电技术有限公司 核电厂事故处理策略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908B1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908B1 (ko) 정지 및 저출력시 냉각재 상실 비정상 대응운전지침서개발방법
Mandelli et al. BWR station blackout: a RISMC analysis using RAVEN and RELAP5-3D
KR20090032374A (ko) 냉각재 상실 사고시 운전원 조치 제한시간을 결정하기 위한분석방법
Yun et al. Verification of SAMG entry condition for APR1400
Montero-Mayorga et al. Effects of RCP trip when recovering HPSI during LOCA in a Westinghouse PWR
Sanchez-Torrijos et al. On the use of time-dependent success criteria within risk-informed analyses. Application to LONF-ATWS sequences in PWR reactors
Krajnc et al. MAAP station blackout analyses as a support for the NPP Krško STORE (safety terms of reference) actions
Bajs et al. Application of the UMAE Methodology for the Uncertainty Evaluation in Support to the EOP Background Analysis
EP1436816A1 (en) Method for licensing increased power output of a boiling water nuclear reactor
Yoo et al. Prediction of Golden Time for Recovering the Safety Injection System in Severe LOCA Circumstances
Imaizumi et al. Development of LORL evalu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a loop-type sodium-cooled fast reactor
Thabethe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of Koeberg spent fuel pool
Chien Ultimate response guideline strategy evaluation for Maanshan power plant
KR20170118346A (ko) 장기 전원상실 시 노심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전 운전방법
Pham et al. A pre-test analysis of ATLAS SBO with RCP seal leakage using MARS code
Lin et al. The ultimate response guideline simulation and analysis by using TRACE for Lungmen ABWR nuclear power plant
District LIC-06-0038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Attn.: Document Control Desk Washington, DC 20555 References: 1. Docket No. 50-285
Lee et al. Simulation of Station Black Out accident scenario (PKL H2. 2) in PKL test facility
Parzer et al. SGTR analysis for Krsko Full Scope Simulator validation
Lee et al. Transient Analysis of STELLA-2 using MARS-LMR
Cho et al. Evaluation of Coolant Injection Procedure in the Severe Accident Management Strategy of APR1400
Pham et al. Pre-test analysis of ATLAS SBO with RCP seal leakage scenario using MARS code
Groudev et al. Loss of ‘Core cooling’at low power and cold condition of VVER-1000/V320
Choi et al. Evaluation of Shutdown LOCA for OPR1000
He et al. Analysis of Temporary Cooling Strategy for CPR1000 Power Plant Under Situation Similar to Fukushima Severe Accid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