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990A -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990A
KR20070045990A KR1020060104939A KR20060104939A KR20070045990A KR 20070045990 A KR20070045990 A KR 20070045990A KR 1020060104939 A KR1020060104939 A KR 1020060104939A KR 20060104939 A KR20060104939 A KR 20060104939A KR 20070045990 A KR20070045990 A KR 20070045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message
mess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591B1 (ko
Inventor
좌정우
강길성
Original Assignee
(주)한국아이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아이바스 filed Critical (주)한국아이바스
Publication of KR2007004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연계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1차 및 2차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 및 유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인증을 토대로, 적어도 두 개의 상대 단말기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쌍방향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유선인터넷 과금, 메시지 착신, 쌍방향 통신, 과금데이터, 마우스, 동시성

Description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MESSAG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PORTAB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처리이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마우스의 기능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인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해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과금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데이터 포맷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각종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직접 접속한 후, 메신저용 프로그램을 자신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한 메신저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상대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메신저 서비스는 유선인터넷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만 제공하고 착신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요금에 대한 과금이 메신저 운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PC의 운영체계(OS)에서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쉽게 보낼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휴대폰에서 웹으로의 메시지 전송과 웹에서 휴대폰으로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 단말기 역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운영 체제 및 동종인 개인용 컴퓨터가 대다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로 소정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함으로 써, 편리성 증대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무선 단말기에서 유선 인터넷 등에 접속된 유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의 착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선망 사용자와 무선망 사용자간 쌍방향 통신 서비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한 유선 단말기에 대한 사용료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무선 단말기로 과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는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쌍방향 메시지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 a) 상기 시스템이 제1 사용자의 단말기--상기 단말기에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음--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무선 전화 번호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 식별 정보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와의 연계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1차 및 2차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로부터 메시지와 적어도 두 개의 수신 지정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 지정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 a) 상기 시스템이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음--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화 번호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연계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시스템이 1차 및 2차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 및 유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인증용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유 번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 고유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콜백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콜백 URL 메시지를 토대로 접속하면,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은 2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인증 완료를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메시지 전송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및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이하, 설명의 편의상 "메시지 전송 시스템"이라고 명명함. 100)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네트워크(인터넷, 무선 통신망, 위성 통신망, 퓨처 네트워크 등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 포함)(200)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설명의 편의상 "300"을 대표 번호로 부여함)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며, 구체적으로 유선으로 네트워크(2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20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전송 및 수신의 주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를 크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310)와, 메시지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320)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유선 인터넷 등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또는/및 이동 통신망 등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조도이 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100)은 도 2에서와 같이 크게, 메시지 전송 서버(110), 인증 서버(120) 그리고 과금 서버(130)를 포함한다.
메시지 전송 서버(110)는 소정의 메시지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31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메시지를 입력받고,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320..32N)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한다.
인증 서버(120)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과금 서버(130)는 상기 메시지 전송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인증 서버(120)와 과금 서버(130)는 무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모듈과 연계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인증 서버(120)는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111)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증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하며, 인증 처리부(111)는 인증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별로 부여되어 있는 ID, 패스워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부여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포트(port) 주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P 주소 는 고정 IP 일 수 있다. -
또한 과금 서버(130)는 인증 서버(120) 및 메시지 전송 서버(110)와 연계하여 인증 처리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처리부(131), 그리고 사용자별로 과금 내역이 저장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132)를 포함한다. 이 경우 메시지 전송 서비스 이외에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공받는 다른 서비스들에 대한 과금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서버(120)와 과금 서버(130)는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소정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서버(110)도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다른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100)을 통하여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소정의 클라이언트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모듈은 메시지 전송 시스템(100)의 초기 접속시에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단말기(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0)가 시스템(100)에 접속할 때마다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의 버전 확인이 이루어진 후, 필요에 따라 클라이언트 모듈의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모듈로는 메시지 프로그램(예를 들어, 메신저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을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로 명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입력 장치(10)와,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 인터페이스 장치(30) 및 표시 장치(40)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10)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네트워크(200)로의 접속 기능을 포함하는 랜카드 등의 접속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40)는 단말기(300) 상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 등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인증 및 과금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는 도 3에서와 같이, 소정 메시지를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 시스템(100)을 통하여 소정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모듈(22),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시스템(100)으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모듈(23), 시스템(100)으로 인증 해제를 요청하는 인증 해제 요청 모듈(24)를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은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입력 장치(10)를 통하여 직접 입력되는 소정 컨텐츠 또는 입력 장치(10)를 통하여 선택되는 소정 컨텐츠들을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는 소정 단말기로의 메시지 발신 및 착신을 수행하며, 또한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입자 인증은 추후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과금 정산 및 부과를 위해 사용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를 구성하는 모듈들은 그 기능에 따라 분류된 것이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되어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하여 송수신된 메시지는, 단순하게 텍스트로 이루어진 컨텐츠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소리 및 그림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처리된 메시지이거나 또는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EMS(Enhanced Messag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형태, 또는 시스템의 소정 왑 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콜 백 URL(Call Back URL) 또는 시스템과의 호 연결을 위한 콜 백 넘버(Call Back Number)를 포함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처리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에 포함되는 컨텐츠는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이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컨텐츠일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업된 소정의 컨텐츠일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 사용자가 소정 메시지를 제2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3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를 구동시키면, 클라이언트 처리 장 치(20)가 구동되어 단말기 상에 메시지 전송 처리를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 때,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의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에 의하여 시스템(1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진다(S100∼S120).
이후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의 인증 요청 모듈(23)에 의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 인증 과정은 추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S120∼S140).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소정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310)에서 작업되고 있던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제공받은 소정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컨텐츠 포함)가 입력 또는 선택된 다음,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 단말기 즉,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지정한다(S150). 예를 들어, 사용자는 PC 와 같은 유선 단말기에 부여되어 있는 소정의 수신 주소(예:메신저 ID 등)를 입력하고 또는/및 휴대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의 무선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 단말기에 대한 수신 지정 정보(주소, 무선 전화 번호 등)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은 수신 지정 정보와 상기의 입력 또는 선택된 메시지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서 전송을 요청한다(S160).
이에 따라, 시스템(100)의 메시지 전송 서버(110)는 수신 지정 정보를 토대 로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320)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이에 앞서서 지정된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시스템(100)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0). 구체적으로 수신 지정 정보에 유선 단말기에 대한 수신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수신 주소를 가지는 제2 사용자 단말기(320)가 시스템 즉, 메시지 전송 서버(110)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사용자 단말기(32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전송 서버(110)는 상기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기(320)로 전송한다(S180∼S200).
또한 수신 지정 정보에 무선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없이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제2 사용자 단말기 즉, 무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은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320)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S200∼S21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일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유선 단말기뿐만 아니라 소정의 휴대 단말기로도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가진 제2 사용자의 경우 PC 등을 통하지 않고서도 메신저 전송 서버(110)를 통하여 제공되는 소정의 메시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여기서는 제1 사용자가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PC 등의 유선 단말기(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제2 사용자 단말기) 즉,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 또는/ 및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선 단말기들로 하나의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또는/및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제2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2 사용자도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아도 유선 인터넷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를 용이하게 착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 사용자가 메시지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단말기 상에서 작업 중이던 소정 컨텐츠 또는 네트워크 상의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사용자는 상기 단계(S150)에서, 입력 장치 예를 들어 마우스를 이용하여 단말기 상에서 작업 중이던 소정 컨텐츠 또는 네트워크 상의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에 이러한 마우스의 버튼 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기능이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눌러서 제1 신호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의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이 단말기 화면에 상기 마우스 동작에 따른 커서가 표시되는 부분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 경우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작업하던 컨텐츠일 수 있고,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공받은 컨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시작하며, 제1 신호의 입력이 중지되는 시점까지 화면상 에 표시되는 소정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후 제1 사용자가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제2 신호가 입력되면,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은 선택된 컨텐츠를 시스템(100)의 메시지 전송 서버(110)로 제공하여 소정의 제2 사용자의 단말기(320)로의 전송을 요청한다. 특히 이 경우 제2 신호의 입력에 따라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은 화면상에 메시지 전송 메뉴(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메뉴 등)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을 구동시키지 않아도 용이하게 메시지 전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 전송 메뉴 상에서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단말기 주소나 무선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를 지정할 수도 있고, 또는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21)이 이미 저장되어 있던 제2 사용자의 주소나 무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을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서버(110)는 이러한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소정 주소를 가지는 유선 단말기 또는/및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메시지 형태로 처리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는 유선 등의 단말기 상에서 작업 중이던 소정 컨텐츠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에게 제공되는 소정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휴대 단말기 등으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마우스의 왼쪽 버튼과 드레그 기능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고 오른쪽 버튼으로 클라이언트 모듈의 활성하여 의하여 메시지를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 우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그리고 상기 메지시를 전송받지 않은 제3 사용자 등이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인증 처리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100)을 통하여 폰-투-웹 통신서비스가 제공되어, 무선 단말기와 제1 사용자의 유선 단말기간의 쌍방향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는 인증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시스템(1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진 후, 도 7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의 인증 요청 모듈(23)은 장치(20)가 구동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소정의 인증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서 제1 사용자 단말기(31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특히 인증 요청 모듈(23)은 IP/MAC 주소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제1 사용자의 무선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S300∼S310).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별로 부여되어 있는 ID, 패스워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부여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MAC 주소, IP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의 무선 전화 번호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한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사용자가 미리 입력하여 장치(2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일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310)의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로부터 인증 정보가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면, 시스템(100)의 인증 서버(120)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먼저, 인증 처리부(111)가 전송된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IP/MAC 주소가 인증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인증을 수행하고(S320), 상기 전송된 IP/MAC 주소가 인증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있던 무선 전화 번호로 인증을 위한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2차 인증을 수행한다(S330∼S340).
상기 고유 번호는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즉, 제1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311)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제1 사용자는 무 단말기(311)에 수신된 고유 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기(310)상에서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로 입력한다(S350∼S360). 인증 요청 모듈(23)은 입력되는 고유 번호를 상기 인증 정보(단말기의 IP/MAC 주소 그리고 무선 전화 번호)와 함께 인증 서버(120)로 전송한다(S370).
인증 서버(120)는 1차 인증된 제1 사용자 단말기(310)로부터 제공되는 고유 번호와,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였던 고유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적법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2차 인증을 완료한다(S380). 이와 같이 1차 및 2차 인증 후에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판단되면 인증 서버(120)는 메시지 전송 서버(110)로 인증 결과를 통보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S390,S391,S392).
한편, 위에 기술된 2차 인증시 다른 방법으로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유 번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310)에 입력하도록 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인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차 인증 과정은 도 7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 도 8에서는 2차 인증 과정만을 나타내었다.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증 서버(120)는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소정 왑 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콜 백 URL(Call Back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S400∼S410). 이에 따라 제1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상에 수신된 상기 메시지를 토대로 인증 서버(120)로 접속하여 답변을 하면(S420∼S440), 인증 서버(120)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사용자의 단말기(310)로 인증 완료 데이터를 전송한다(S450∼S460).
이러한 다양한 인증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 후, 도 4에서와 같이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인증 서버(120)는 인증이 이루어진 후 서비스에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별도로 저장 관리하고 이후의 인증 해제시 상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삭제 처리한다.
한편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인증 과정을 통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인증 해제 과정이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해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시스템(100)에 접속한 후 로그아웃(logout) 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의 인증 해제 요청 모듈(24)은 인증 서버(120)로 IP/MAC 주소를 전송하면서 인증 해제를 요청한다(S500). 이 경우 인증 서버(120)는 과금 서버(130)로 인증 해제를 통보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중지하도록 하며, 현재 접속하여 인증 처리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삭제 처리한다(S520).
또한 인증 서버(120)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 다음,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의 인증 해제 요청 모듈(24)은 설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소정 서비스 이용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설정 시간 동안 소정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증 서버(120)로 IP/MAC 주소를 전송하면서 인증 해제를 요청한다(S510,S520).
한편 이러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20)가 수행하지 않고 시스템(100)측에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시스템(100)의 과금 서버(130)는 사용자가 설정 시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인증 서버(120)로 사용자의 정보(IP/MAC 주소)를 전달하면서 인증 해제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인증 서버(120)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증 해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 해제 요청에 따라 인증 서버(120)가 인증 해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증 해제 요청을 다시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311) 로 콜 백 URL을 전송하고(S530), 사용자가 콜백 URL을 통하여 접속하면 실질적으로 인증 해제를 수행한다(S540∼S570).
한편 위에 기술된 과정이외에도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콜백 URL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120)로 인증해제를 요청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인증이 이루어지고,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면 과금 서버(130)는 메시지 전송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한다(S600∼S640).
즉, 과금 서버(130)는 인증 서버(120)로부터 소정 사용자의 식별 정보(IP/MAC 주소)와 이에 대한 인증 완료 결과가 통보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과금 서버(130))의 과금 처리부(131)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110) 또는 인증 서버(120)로 제공하면서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접속하여 인증 완료된 시점부터 인증 해제되기까지의 시간을 토대로 과금을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시스템에 인증 접속되어 있는 동안 이용한 서비스량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용한 서비스량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경우, 과금 처리부(131)는 메시지 전송 서버(110)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면서, 특히 상기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메시지 전송 서버(110)는 상기 메시지 전송 이용 횟수, 또는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 단말기 수 등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과금 서버(130)로 제공한다. 이 때, 과금 처리부(131)는 인증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 메시지 전송 서버(110)로 과금을 위한 서비스 이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과금 처리부(131)는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대하여 과금을 하며, 특히 무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과금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금액 청구시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이용한 과금 내역이 함께 청구된다. 즉, 유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제1 사용자가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제2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에 따른 사용료를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무선 전화 번호로 청구한다. 이를 무선 전화 번호를 이용한 과금이라고 명명한다.
한편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량에 상관없이 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되어 있던 동안의 시간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경우, 과금 처리부(131)는 인증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초기 접속에 따라 인증 완료된 시간 그리고 인증 해제 시간을 제공받은 다음에, 상기 인증 완료 시간과 인증 해제 시간을 토대로 산출된 인증 시간(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을 받아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시간)을 토대로 과금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무선 전화 번호를 이용한 과금이 수행된다.
이러한 과금 처리부(131)의 과금 처리 내역(사용자 식별 정보, 서비스 이용 정보 또는 인증 시간, 이에 대응하는 사용료 등)을 과금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 관리하며, 추후 이동 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과금 처리 내역에 따른 비용이 휴대 단말기 사용 금액 청구시에 함께 부과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과금 처리 내역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과금 처리 내역 즉, 과금 데이터는 메시지 전송을 이용한 사용자가 제공한 무선 전화 번호, 제1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 단말기의 IP/MAC 주소,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ID, 사용자의 인증 기간(인증 시작 시간, 인증 해제 시간), 그리고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인증 및 과금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인증 및 과금 처리 방법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PAN(personal area network) 접속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인증 서버(120)는 휴대 단말기가 PAN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증 및 인증 해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가 휴대 단말기로 인증을 위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화 번호, PAN 접속을 위한 정보(ID, 패스워드 등), 서비스 인증 번호를 토대로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적법한 휴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인증 과정과 동일하게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 서버(120)로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
또한 위에 기술된 실시 예는 유선 인터넷 등에 접속한 유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가 다수의 제2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토대로 하여, 인증, 메시지 전송, 과금 등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선인터넷에 접속된 제1 유선 단말기에 대한 사용료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1 휴대 단말기로 과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금을 위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와 연계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타인에 의한 인증된 제 1 유선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한번의 인증으로 인증기간동안 편리하게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 유료 콘텐츠, 소액결재 구매 등의 다양한 유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휴대 단말기에서 인증된 제1 유선 단말기로 폰-투-웹 통신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에 휴대단말기간 제공되는 쌍방향 통신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메시지 전송, 인증 및 과금 과정들을 포함하는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록 매체로 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상대 단말기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 또는 수신하여 전달함으로써, 편리성 증대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곧 가입자 및 사용량 증가로 인한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 등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가 유선 인터넷을 통하여 소정 메시지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 전송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1차 인증 및 2차 인증의 두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신뢰성 있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유선 단말기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한번의 인증만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PC 운영체제(OS)에서 마우스를 사용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선 인터넷에서 이동통신망의 휴대 단말기로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3)

  1.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
    a) 상기 시스템이 제1 사용자의 단말기--상기 단말기에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음--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무선 전화 번호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 식별 정보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와의 연계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1차 및 2차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로부터 메시지와 적어도 두 개의 수신 지정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 지정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인증용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유 번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 고유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 콜백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콜백 URL 메시지를 토대로 접속하면,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2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인증 완료를 통보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인증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접속하여 인증 처리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삭제 처리하여, 인증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시스템으로부터 로그아웃 하는 경우, 설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소정 서비스 이용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상기 시스템으로 인증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5.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
    a) 상기 시스템이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음--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화 번호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전화 번호를 가지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연계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시스템이 1차 및 2차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들의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 및 유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에 대한 과금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전화 번호로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무선 전화 번호, 제1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 메시지 전송을 나타내는 서비스의 식별 정보, 제1 사용자의 인증 기간을 포함하는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
  9.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
    인증이 완료된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서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메시지 전송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및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는
    소정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모듈;
    상기 시스템을 통하여 소정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모듈;
    상기 시스템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부여되어 있는 IP 주소,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임--와 무선 전화 번호를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모듈; 및
    상기 시스템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서 인증 해제를 요청하는 인증 해제 요청 모듈
    을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의 인증 요청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 요청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전화 번호를 토대로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 장치로부터 인증 해제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삭제처리하여 인증을 해제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소리 및 그림과 관련된 유료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1020060104939A 2005-10-28 2006-10-27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56 2005-10-28
KR20050102356 2005-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990A true KR20070045990A (ko) 2007-05-02
KR100861591B1 KR100861591B1 (ko) 2008-10-09

Family

ID=3796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939A KR100861591B1 (ko) 2005-10-28 2006-10-27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61562A1 (ko)
KR (1) KR100861591B1 (ko)
WO (1) WO2007049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928B2 (ja) * 2008-08-19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9047458B2 (en) 2009-06-19 2015-06-02 Deviceauthority, Inc. Network access protection
US20100325424A1 (en) * 2009-06-19 2010-12-23 Etchegoyen Craig S System and Method for Secured Communications
US9047450B2 (en) * 2009-06-19 2015-06-02 Deviceauthority, Inc. Identification of embedded system devices
US8726407B2 (en) * 2009-10-16 2014-05-13 Deviceauthority, Inc. Authentication of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hardware
CN101808296B (zh) * 2010-03-23 2012-11-28 上海百事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编辑并群发彩信的自动实现方法及自动实现系统
AU2011100168B4 (en) 2011-02-09 2011-06-30 Device Authority Ltd Device-bound certificate authentication
JP5853424B2 (ja) * 2011-06-03 2016-02-0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AU2011101295B4 (en) 2011-06-13 2012-08-02 Device Authority Ltd Hardware identity in multi-factor authentication layer
AU2011101297B4 (en) 2011-08-15 2012-06-14 Uniloc Usa, Inc. Remote recognition of an association between remote devices
CN102595346B (zh) * 2012-02-14 2014-10-22 中国民航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航旅多客户端消息通知系统及其方法
US9143496B2 (en) 2013-03-13 2015-09-22 Uniloc Luxembourg S.A. Device authentication using device environment information
US9286466B2 (en) 2013-03-15 2016-03-15 Uniloc Luxembourg S.A.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of computing devices using a digital skeleton key
US9402001B2 (en) * 2013-05-15 2016-07-26 Ntels Co., Ltd. Separate billing system for BYOD service and separate billing method for data service
CN111970295B (zh) * 2020-08-25 2022-08-02 浙江同花顺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多终端的通话事务管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10B1 (ko) * 1997-02-28 2001-06-01 가시오 가즈오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FI982490A0 (fi) * 1998-11-18 1998-11-18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iestintää varten
KR100402749B1 (ko) * 2000-10-27 2003-10-30 (주) 엘지텔레콤 선택적 멀티 캐스팅의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6732105B1 (en) * 2001-07-27 2004-05-04 Palmone, Inc. Secure authentication proxy architecture for a web-based wireless intranet application
KR100957263B1 (ko) * 2001-11-29 201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룹 메세지 전송방법
KR20020043465A (ko) * 2002-04-01 2002-06-10 조근주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양방향성 방송서비스
KR20040044720A (ko) * 2002-11-21 2004-05-31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20040105514A (ko) * 2003-06-09 2004-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40108366A (ko) * 2004-11-29 2004-12-23 서현석 인터넷 메신저와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의 에스엠에스를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9945A1 (en) 2007-05-03
KR100861591B1 (ko) 2008-10-09
US20080261562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591B1 (ko)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09223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WO2006025461A1 (ja) 通話を伴うプッシュ型情報通信システム
JP5914415B2 (ja) 通話管理システム、通話管理方法及び通話管理プログラム
JP2006268641A (ja)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100402830B1 (ko)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과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1170733B (zh) 一种wap业务的鉴权计费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20200252446A1 (en) Mobi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message sending apparatus and message sending method
KR100721848B1 (ko)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928872B1 (ko) 무선 푸시 기반 청구서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692660B1 (ko)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5159590A (ja) 広告提供装置及び広告提供方法
KR100921013B1 (ko)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838210B1 (ko)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정액 요금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WO2023079625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74048A (ja) 携帯電話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認証方法
KR20060122443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87667B2 (ja) 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る携帯端末ならびに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2007121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6255B1 (ko) 인터넷통화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69390A (ja) 機器特定装置、画像形成装置、機器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77104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2885A (ko) 무선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한 모바일 초대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37540A (ko) 무선 인터넷에서 자동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1023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화형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