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318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318A
KR20070044318A KR1020050100452A KR20050100452A KR20070044318A KR 20070044318 A KR20070044318 A KR 20070044318A KR 1020050100452 A KR1020050100452 A KR 1020050100452A KR 20050100452 A KR20050100452 A KR 20050100452A KR 20070044318 A KR20070044318 A KR 20070044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creen
broadcast program
displayed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398B1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398B1/ko
Priority to CNB2006101635638A priority patent/CN100486307C/zh
Priority to US11/585,236 priority patent/US7907214B2/en
Publication of KR2007004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현재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메인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된 경우,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상기 메인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소정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메인화면의 시청 중에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자동 스크롤 표시함으로써, 메인화면의 시청하는데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면서도 타 채널의 방송정보를 볼 수 있으며,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로 메인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블록도 및 제어흐름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채널튜닝부 20 : 신호처리부
21 : 역다중화부 23 : 비디오디코더
25 : 비디오처리부 27 : 오디오디코더
29 : 오디오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스피커 50 : 메모리
60 : 자막생성부 70 : 사용자입력부
8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신호에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가이드 정보(ex. EPG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아날로그 방송인 경우 VBI 구간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실어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인 경우 해당 채널 또는 별도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서비스 하고 있다.
TV에서는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여 안내 테이블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때,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테이블은 화면 전체로 표시되어 사용자의 TV 시청을 방해할 수 있다. 설사 안내 테이블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된다고 하더라도, 테이블 형태라는 한계로 인해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테이블 형태로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커서를 옮기고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키 조작이 다수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화면의 시청 중에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자동 스크롤 표시함으로써, 메인화면의 시청하는데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면서도 타 채널의 방송정보를 볼 수 있으며,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로 메인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메인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된 경우,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상기 메인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소정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막을 스크롤 시키는 단계는, 상기 자막으로 표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에 지시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를 프로그램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막 상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메인화면시청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상기 메인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아울러, PIP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튜닝하여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메인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PIP 계속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막표시기능을 오프 시키고, 현재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계속적으로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 명 및 프로그램 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채널튜닝부,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자막생성부; 및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자막생성부가 자막으로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자막을 현재 튜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메인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자막이 소정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으로 표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지시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를 프로그램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PIP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튜닝하여 부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PIP 계속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막표시기능을 오프 시키고, 현재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계속적으로 부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메인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메인화면시청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상기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 명 및 프로그램 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TV를 일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는 채널튜닝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스피커(40), 메모리(50), 자막 생성부(6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채널튜닝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튜너와, 튜닝된 신호를 VSB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80)의 튜닝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게 된다.
이렇게 튜닝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신호는 신호처리부(20)의 처리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여기서, 신호처리부(20)는 역다중화부(21), 비디오 디코더(23), 비디오 처리부(25), 오디오 디코더(27), 오디오 처리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21)는 튜닝된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PSIP(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정보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한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23)는 역다중화부(21)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신호를 디코딩하고, 비디오 처리부(25)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의 규격에 맞게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 처리부(25)는 디코딩된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역다중화부(21)를 통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27)를 통해 디코딩되고, 오디오 처리부(29)를 통해 스피커(40) 출력규격에 따라 처리되어 스피커(40)를 통해 재생된다.
한편, 역다중화부(21)를 통해 분리된 PSIP에 의한 각종 부가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가이드 정보인 EPG 정보를 포함하며, 수신된 EPG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80)에 의해 메모리(50)에 저장된다.
여기서, EPG 정보는 PSIP에 의한 STT(System Time Table), MGT(Master Guide Table), VCT(Virtual Channel Table), RRT(Rating Reg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ETT(Extended Text Table) 정보를 포함한다.
자막 생성부(60)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자막 및 지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며, OSD발생기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0)는 채널을 선택,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 및 PIP 기능의 선택 등을 위한 것으로, 무선 리모콘에 마련된 메뉴 키와,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70)는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마련되거나 TV의 본체 판넬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80)는 사용자 입력부(70)의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기능이 수행되 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컴, CPU 등의 컨트롤러 또는/및 프로세서와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된다.
제어부(80)는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50)에 저장된 EPG 정보에서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자막 생성부(60)로 자막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생성된 자막은 비디오 처리부(25)에서 현재 튜닝된 채널의 영상과 함께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자막은 현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메인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며, 그 영역은 메인 화면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된 자막은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되는데, 자막의 크기, 자막의 스크롤 속도 및 스크롤 방향은 제품의 양상 과정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는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메인화면 시청기능(ex. 엔터 키 입력)이 선택되면,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튜닝하도록 채널튜닝부(10)에 해당 채널 튜닝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메인화면을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자막은 오프 시킨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PIP 시청기능(ex. PIP 기능 키 입력)이 선택되면,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튜닝하도록 채널튜닝부(10)에 해당 채널 튜닝제어신호를 인가하며,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는 PIP 기능이 지원 가능하며, 채널 튜닝부는 메인화면에 대응되는 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메인튜너와, 서브화면에 대응되는 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서브튜너를 가진다.
이렇게 표시되는 서브화면에 대응되는 채널은 지시하이라이트의 이동에 따라 전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영상을 PIP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서브화면으로 선택된 채널의 메인화면시청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80)는 서브화면에 대응되는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하고 PIP 기능을 오프 시킨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제어부(80)의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자막생성방법 및 채널전환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흐름도 및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막이 메인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일예로 한다.
제어부(80)는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도록 채널튜닝부(10)에 해당 튜닝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이렇게 튜닝된 채널의 영상은 신호처리부(20)를 통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메인화면으로 표시된다(100).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신호에 EPG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80)는 수신된 EPG 정보를 메모리(50)에 저장한다(100).
만약,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 된 경우(101), 제어부(8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EPG 정보에서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102).
그리고, 자막 생성부(60)는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관한 자막을 생성한다(103). 이렇게 생성된 자막은 신호처리부(20)에서 현재 튜닝된 채널이 영상과 합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튜닝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메인화면(A)의 하단(B)에 표시된다(103).
자막에는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번호, 채널 명 및 프로그램 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자막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타 채널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이 방송 중인지 알 수 있다.
이렇게 메인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자막은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된다(103). 이때, 자막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는 지시 하이라이트(C)가 위치하게 되는데, 제어부(80)는 지시 하이라이트가 프로그램 단위로 자동 이동하도록 자막 생성부(60)를 제어한다(104).
구체적으로, 현재 "8-1 KBS 동물의 왕국"에 위치하고 있는 지시 하이라이트를 소정 시간동안 자막의 이동에 따라 "8-1 KBS 동물의 왕국"과 함께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7-1 KBS 스포츠 뉴스"를 지시하도록 스크롤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80)는 이와 같은 자막의 자동 스크롤 및 지시 하이라이트의 이동을 자막표시기능의 오프가 선택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만약, 자막표시기능 수행 중에,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PIP 기능이 선택 되면(105), 제어부(80)는 지시하이라이트가 위치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채널을 튜닝하도록 채널 튜닝부에 튜닝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영상이 서브화면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부(20)를 제어한다(106). 서브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8-1 KBS 동물의 왕국"에 대응되는 영상이 (D)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지시하이라이트가 이동하여 다음 프로그램인"7-1 KBS 스포츠 뉴스"에 위치하면, (D) 영역에는 "7-1 KBS 스포츠 뉴스"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지시하이라이트 이동에 따른 서브화면의 전환은 PIP 기능의 오프, PIP 계속시청기능 및 자막 오프 기능이 선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만약, 이렇게 PIP 기능 실행 중에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서브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의 메인화면 시청기능이 선택되면(107), 제어부(80)는 현재 서브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키고, 자막을 오프 시킨다(108).
또한, 만약 PIP 기능 실행 중에 사용자 입력부(70)를 통해 PIP계속 시청 기능이 선택된 경우(109), 제어부(80)는 현재 서브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의 영상을 계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며, 자막을 오프시킨다(110). 그리하여, 사용자는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통해 원하는 채널을 복수로 시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IP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메인화면과 자막이 표시되는 도중 자막의 메인화면시청기능이 선택되면(111), 제어부(80)는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채널을 튜닝하도록 채널튜닝부(10)에 해당 튜닝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메인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고, 자막을 오프시킨다(112). 그리하여 사용자는 자막을 통해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TV는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아날로그 겸용 TV 및 TV 수신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화면의 시청 중에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자동 스크롤 표시함으로써, 메인화면의 시청하는데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면서도 타 채널의 방송정보를 볼 수 있으며,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로 메인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메인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된 경우,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상기 메인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소정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을 스크롤 시키는 단계는, 상기 자막으로 표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에 지시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를 프로그램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상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메인화면시청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상기 메인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채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PIP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튜닝하여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메인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PIP 계속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막표시기능을 오프 시키고, 현재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계속적으로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 명 및 프로그램 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채널튜닝부,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자막생성부; 및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자막표시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현재 방송 중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자막생성부가 자막으로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자막을 현재 튜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메인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자막이 소정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으로 표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지시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를 프로그램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PIP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튜닝하여 부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PIP 계속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막표시기능을 오프 시키고, 현재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을 계속적으로 부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의 메인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부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 하이라이트가 위치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채널을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메인화면시청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널을 상기 메인화면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 명 및 프로그램 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50100452A 2005-10-24 2005-10-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26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52A KR101026398B1 (ko) 2005-10-24 2005-10-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B2006101635638A CN100486307C (zh) 2005-10-24 2006-10-24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1/585,236 US7907214B2 (en) 2005-10-24 2006-10-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52A KR101026398B1 (ko) 2005-10-24 2005-10-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318A true KR20070044318A (ko) 2007-04-27
KR101026398B1 KR101026398B1 (ko) 2011-04-07

Family

ID=3798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52A KR101026398B1 (ko) 2005-10-24 2005-10-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07214B2 (ko)
KR (1) KR101026398B1 (ko)
CN (1) CN10048630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4673B2 (ja) 2007-09-26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及び情報の送受信方法
CN101472103B (zh) * 2007-12-24 2010-12-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终端播放视频的方法及该视频终端
US8130318B2 (en) * 2008-09-15 2012-03-06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udio/video device for generating response data related to selected caption data
KR101588660B1 (ko) * 2008-09-30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7870242B2 (en) * 2008-10-01 2011-01-11 Man Nguyen Flexible compliance agent with integrated remediation
TWI392349B (zh) * 2008-12-17 2013-04-01 Mstar Semiconductor Inc 字幕視窗顯示裝置與顯示方法
US20100211988A1 (en) * 2009-02-18 2010-08-19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resources to display media content
US20100215340A1 (en) * 2009-02-20 2010-08-26 Microsoft Corporation Triggers For Launching Applications
US9069585B2 (en) * 2009-03-02 2015-06-30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tune manifests and tune state recovery
US20100231792A1 (en) * 2009-03-12 2010-09-16 Microsoft Corporation Seamlessly cycled video resources
US20120086860A1 (en) * 2009-06-19 2012-04-12 Shenzhen Tcl New Technology Co., Ltd. Television and channel browsing method thereof
KR20130007824A (ko) * 2011-07-11 2013-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15314A (ko) * 2014-04-03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서버, 이의 제어 방법, 채널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32883A (ko) * 2014-09-17 2016-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N107690072B (zh) 2017-04-19 2019-0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和装置
CN108093301A (zh) * 2017-12-21 2018-05-29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电视机中跑马灯显示文本的方法、电视机及可读存储介质
US10459620B2 (en) * 2018-02-09 2019-10-29 Nedelco, Inc. Caption rate control
WO2022016306A1 (en) * 2020-07-20 2022-01-27 Arris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in a bullet screen format
USD992562S1 (en) * 2020-12-23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653A (en) 1989-08-29 1990-12-04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FM detector using switched capacitor circuits
CN1192602C (zh) * 1996-05-03 2005-03-09 三星电子株式会社 适于音节文字的观众选择型字幕播放和接收方法及其装置
US5929927A (en) * 1996-12-19 1999-07-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dulated scroll rate for text display
US6816201B1 (en) * 1998-01-13 2004-11-09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XDS enhancement system
KR19990075944A (ko) * 1998-03-26 1999-10-15 전주범 위성방송수신기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100577288B1 (ko) 1998-09-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표시 방법
KR100522122B1 (ko) * 1999-02-08 2005-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장치에서의 프로그램가이드정보 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KR100608040B1 (ko) * 1999-10-30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에 대한 기록매체
KR100608642B1 (ko) 1999-11-27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50021684A (ko)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문자 방송을 이용한 방송 채널 안내 방법
KR20060128295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 방송 채널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6307C (zh) 2009-05-06
KR101026398B1 (ko) 2011-04-07
US7907214B2 (en) 2011-03-15
CN1968366A (zh) 2007-05-23
US20070091208A1 (en)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3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76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채널 네비게이션 방법
KR10071033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013602A (ko) 방송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28295A (ko) 타 방송 채널 확인 방법
US20040239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multi-picture-in-guide information
KR100716292B1 (ko)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902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US20080163296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7844989B2 (en) Method and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the receiving status of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KR101265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29805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JP2006115227A (ja) 番組表搭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1014781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026148B2 (ja) 番組表搭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148117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709074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KR1014902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00027671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변경 방법
KR20060071174A (ko)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KR20090052137A (ko)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