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411A -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411A
KR20070043411A KR1020050099673A KR20050099673A KR20070043411A KR 20070043411 A KR20070043411 A KR 20070043411A KR 1020050099673 A KR1020050099673 A KR 1020050099673A KR 20050099673 A KR20050099673 A KR 20050099673A KR 20070043411 A KR20070043411 A KR 2007004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ing
unit
casing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섹
Priority to KR102005009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3411A/en
Publication of KR2007004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4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Abstract

자동으로 용접비드라인을 따라 주행하면서 용접비드라인의 가스 누설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누설검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누설검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을 용접비드라인(WBL)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며, 용접비드라인(WBL)의 가스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흡입유닛; 용접비드라인(WBL)을 감지하기 위한 주행센서; 및 상기 주행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 leak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gas leakage of a weld bead line while automatically traveling along the weld bead line. Leak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asing along the welding bead line (WBL); A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casing and configured to detect a gas leak in the welding bead line WBL; A traveling sensor for detecting a welding bead line WBL;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traveling sensor.

가스, 용접, 누설, 자동, 검사, 용접비드라인 Gas, Welding, Leakage, Auto, Inspection, Welding Bead Line

Description

누설검사장치{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Leakage Inspection Device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누설검사장치의 제어 블럭도,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leak test apparatus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누설검사장치의 상면을 개방하여 도시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eak test apparatus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누설검사장치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Figure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eak test apparatus shown in FI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누설검사장치의 구동바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e wheel unit of the leak test apparatus shown in FIG.

도 7은 도 1의 흡입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haler unit of FIG. 1;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흡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haler shown in FIG.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압착유닛의 커넥팅 로드와 회전축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crimping unit shown in FIG.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압착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ressing unit shown in FIG.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주행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ensor shown in FIG.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누설검사장치가 모재(BM)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 면도,12 is a fla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ak test apparatus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ase material BM,

도 13a 및 도 13b는 도 1에 도시된 압착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a and 1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케이싱 200; 구동유닛100; Casing 200; Drive unit

210; 구동모터 220, 230;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210; Drive motors 220 and 230; First and second drive wheel unit

222, 232; 제1 및 제2구동바퀴 224, 234; 제1 및 제2구동바퀴 케이싱 222, 232; First and second drive wheels 224 and 234; First and second drive wheel casing

240; 동력전달유닛 242; 전방웜휠240; Power transmission unit 242; Front Worm Wheel

244; 후방웜휠 246a; 전방웜244; Rear worm wheel 246a; Anterior worm

246b; 후방웜 300; 흡입유닛246b; Rear worm 300; Suction unit

310; 암(Arm) 320; 흡입기 유닛310; Arm 320; Inhaler unit

322; 흡입기 340; 지지유닛322; Inhaler 340; Support unit

350; 흡입기 바퀴 360; 흡입모터350; Inhaler wheel 360; Suction motor

370; 가스 검출기 400; 주행센서370; Gas detector 400; Driving sensor

410; 탐지침 420; 신호발생부410; Detection needle 420; Signal generator

500; 압착유닛 510; 조작레버500; A pressing unit 510; Operation lever

520; 커넥팅 로드 530; 탄성부재520; Connecting rod 530; Elastic member

600; 제어부 WBL; 용접비드라인600; Control unit WBL; Weld Bead Line

BM; 모재BM; Base material

본 발명은 기밀 유지가 필수인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 라고 함) 저장탱크 및 운반탱크와 같은 기밀용기 용접부의 누설 발생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insp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leakage of the airtight container welds, such as the liquefied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G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NG') storage tank and transport tank is essential.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와 같은 기밀용기는 기밀성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대형 기밀용기는 강판 및 멤브레인(Membrane)을 용접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기밀용기의 용접부에 대한 기밀성 검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Airtight containers, such as storage tanks for liquefied natural gas, require airtightness. And most large airtight containers are manufactured by welding a steel plate and a membrane (Membrane). Therefore, the airtightness test of the welded part of the airtight container must be performed.

기밀성 검사의 방법으로는 다양한 비파괴 검사방법이 있다. 이중 기밀용기 내에 가스를 주입하고 기밀용기 외부로의 가스 누설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검사방법은 대형 기밀용기의 기밀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There are various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for the airtightness test. Inspection methods for injecting gas into a double hermetic container and for detecting gas leakage outside the hermetic container are commonly used to test the airtightness of large hermetic containers.

이러한 기밀용기의 가스 누설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누설검사장치는, 흡입모터에 연결된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로부터 흡입된 가스를 분석하기 위한 가스 검출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누설검사장치는 검사자가 직접 상기 흡입호스를 용접비드라인(Welding Bead Line, WBL)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용접비드라인으로부터의 가스 누설 여부를 검사한다. The general leak insp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gas leakage of the hermetic container includes a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and a gas detector for analyzing the gas sucked from the suction hose. In the leak test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nspector directly inspects the gas leak from the weld bead line while moving the suction hose along the weld bead line (WBL).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누설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흡입호스의 이동속도가 일정치 않고 용접비드라인과 흡입호스의 흡입공 사이의 거리도 일정하게 유지되지않아 누설 감지의 정밀성 및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한 번에 하나의 용접비드라인 만을 검사할 수 있어서 검사 시간이 지연된다.By performing the leak test manually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speed of the suction hose is not consta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elding bead line and the suction hole of the suction hose is not kept constant, so the precision and reliability of the leak detection are poor. In addition, only one weld bead line can be inspected at a time, thereby delaying the inspection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설 검사의 정밀성 및 신뢰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leak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precision and reliability of a leak insp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용접비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inspection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heck the leakage while moving along the welding bead li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 회 주행에 복수의 용접비드라인을 검사할 수 있는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nspecting a plurality of weld bead lines in one ru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누설검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을 용접비드라인(WBL)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며, 용접비드라인(WBL)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흡입유닛; 용접비드라인(WBL)을 감지하기 위한 주행센서; 및 상기 주행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Leakag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sing;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asing along the welding bead line (WBL); A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casing and configured to detect a gas leak from a welding bead line WBL; A traveling sensor for detecting a welding bead line WBL;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traveling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 유닛;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 유닛;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 각각의 하부에는 모재(BM, 도 13a 참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누설검사장치 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유닛을 근접 및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압착유닛;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rive unit, a drive motor; A first driving wheel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moto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shaft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 second driving wheel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moto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shaft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A cover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is provided below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In addition,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the compression unit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about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so as to approach and spaced apart; includes.

한편, 상기 제1구동바퀴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 케이싱; 및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바퀴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 케이싱; 및 상기 제2구동바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바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지지되는 제1전방바퀴와 제1후방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바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2구동바퀴 케이싱에 지지되는 제2전방바퀴와 제2후방바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바퀴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싱이 모재(BM, 도 13a 참조) 측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선에 대해 소정 각도(θ) 경사진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ive wheel unit, the first drive wheel casing rotatably support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first driving wheel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wherein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includes: a second driving wheel casing rotatably supported by a drive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a second driving wheel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wheel casing. The first driving wheel includes a first front wheel and a first rear wheel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wherein the second driving wheel is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second front wheel and a second rear wheel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wheel casing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And the rotation axis of each said wheel is inclin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theta) with respect to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aid casing so that the said casing may advance to the base material BM (refer FIG. 13A).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제1전방바퀴와 제1후방바퀴의 각 축과 연결되는 제1전방웜휠 및 제1후방웜휠; 상기 제2전방바퀴 및 상기 제2후방바퀴의 각 축과 연결되는 제2전방웜휠 및 제2후방웜휠; 상기 제1전방웜휠 및 상기 제2전방웜휠과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마련된 전방웜; 상기 제1후방웜휠 및 상기 제2후방웜휠과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마련된 후방웜;을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first front worm wheel and a first rear worm wheel connected to respective axes of the first front wheel and the first rear wheel; A second front worm wheel and a second rear worm wheel connected to the respective axes of the second front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A front worm gear-coupled with the first front worm wheel and the second front worm wheel and provided on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rear worm gear-coupled with the first rear worm wheel and the second rear worm wheel and provided on a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상기 압착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케이싱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케이싱을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를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The pressing un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casings to press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casings in a spaced apart direction; An operating lev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And a connecting rod mounted on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the connecting rod mov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in a direction in close proximity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t includes.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케이싱에 상기 케이싱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신축가능한 암; 상기 암에 이동가능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흡입기 유닛; 상기 흡입기 유닛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기 유닛을 통해 흡입된 가스를 분석하기 위한 가스 검출기;를 포함한다. The suction unit, the casing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casing, the flexible arm; A plurality of inhaler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movable on the arm;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the inhaler unit; And a gas detector for analyzing the gas sucked through the inhaler unit.

상기 흡입기 유닛은, 상기 암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기;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암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기가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완충부재; 및 상기 지지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흡입기 바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흡입기는, 용접비드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양면 각각에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다.The inhaler unit,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arm; And an inhaler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unit.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arm; A support installed on the sliding member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first buff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liding member. The support unit, the hold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the inhaler; A second buff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support; And an inhaler wheel for movably supporting the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inhaler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welding bead is inserted, and each of the groove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ranged up and dow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검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검사장치는, 누설검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를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00),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으로부터 누설된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흡입유닛(300),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을 감지하기 위한 주행센서(400), 상기 구동유닛(200)을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에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유닛(500) 및 상기 주행센서(4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포함한다.1 to 4, a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ing 100 forming an appearance of a leak inspection apparatus and a welding bead line WBL of FIG. 12. ) To move along the drive unit 200, the suction unit 300 for detecting the gas leaked from the weld bead line (WBL, see FIG. 12), for detecting the weld bead line (WBL, see FIG. 12)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veling sensor 400, the pressing unit 500 for pressing the driving unit 200 to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and the traveling sensor 400, the driving unit 200 The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상기 케이싱(100)은, 측면 플레이트(112,114)와 상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112,114)는 상기 구동유닛(200)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2)와 상기 구동유닛(200)의 타 측면에 부착되는 제2측면 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 플레이트(120)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 플레이트(122)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122)에는 상기 흡입유닛(300)이 지지된다.The casing 100 includes side plates 112 and 114 and a top plate 120. The side plates 112 and 114 include a first side plate 112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rive unit 200 and a second side plate 114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unit 200. The upper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122 extending forward, the connection plate 122 is supported by the suction unit 300.

상기 구동유닛(200)은, 구동모터(210), 동력전달유닛(240),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220)(230)을 포함한다.The drive unit 200 includes a drive motor 210, a power transmission unit 240, and first and second drive wheel units 220 and 230.

상기 구동모터(210)는 제어부(600)에 신호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6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ON/OFF가 제어된다.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2)은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The driving motor 210 is connected in sign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600, the ON / OFF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600. The drive shaft 212 of the drive motor 210 extends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동력전달유닛(24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2)에 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마련된 전방웜(246a) 및 후방웜(246b)과, 상기 전방웜(246a) 및 상기 후방웜(246b) 각각에 기어결합되는 전 방웜휠(242) 및 후방웜휠(244)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웜휠(242)은 상기 구동축(21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양측 각각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전방웜휠(242a)(242b)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웜휠(244)은 상기 구동축(21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양측 각각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후방웜휠(244a)(244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유닛(240)으로 웜 및 웜휠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 벨트 및 풀리 등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40 includes a front worm 246a and a rear worm 246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drive shaft 212 of the drive motor 210. And a front worm wheel 242 and a rear worm wheel 244 geared to each of the front worm 246a and the rear worm 246b. The front worm wheel 242 includes first and second front worm wheels 242a and 242b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21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The rear worm wheel 244 includes first and second rear worm wheels 244a and 244b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riving shaft 21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worm and the worm wheel as an exampl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40, in addition to various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belts and pulleys can be us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구동바퀴 유닛(220)은 상기 구동축(21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일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은, 상기 구동축(21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220)(230)은 그 배치 위치만 다를 뿐 상기 구동축(212)에 결합되는 형태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220)(230) 각각은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와 제1 및 제2구동바퀴 케이싱(224)(234)을 포함하는 점에서 동일한다. 이하,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220)(230) 각각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4 to 6,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212 so as to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ive shaft 21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212 so as to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2.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220 and 230 have the same shap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220 and 230.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220 and 230 includes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nd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casings 224 and 234. Same in. 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220 and 23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구동바퀴 유닛(220)은, 제1구동바퀴(222)와, 상기 제1구동바퀴(22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 케이싱(224)을 포함한다.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includes a first driving wheel 222 and a first driving wheel casing 224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222.

상기 제1구동바퀴(222)는, 상기 구동축(212)의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제1전방바퀴(222a)와 제1후방바퀴(2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방바퀴(222a) 및 제1후방바퀴(222b) 각각은 제1전방바퀴 축(223a) 및 제1후방바퀴 축 (223b)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전방바퀴 축(223a)과 상기 제1후방바퀴 축(223b) 각각의 타단은 상기 제1전방웜휠(242a) 및 제1후방웜휠(244a) 각각에 연결된다.The first driving wheel 222 includes a first front wheel 222a and a first rear wheel 222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2. Each of the first front wheel 222a and the first rear wheel 222b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front wheel shaft 223a and the first rear wheel shaft 223b, and the first front wheel shaft 223a. )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rear wheel shaft 223b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front worm wheel 242a and the first rear worm wheel 244a.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224)은, 상기 제1전방바퀴(222a)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전방바퀴 케이싱(224a)과, 상기 제1후방바퀴(222b)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후방바퀴 케이싱(224b)을 포함한다.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224 may include a first front wheel casing 224a in which the first front wheel 222a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first rear wheel 222b in a rotatable manner. One rear wheel casing 224b is included.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바퀴 유닛(220)과 동일한 구조로 상기 구동축(212)에 결합된다. 이하 제2구동바퀴 유닛(23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12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Hereinafter,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은, 제2구동바퀴(232)와, 상기 제2구동바퀴(23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 케이싱(234)을 포함한다.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includes a second driving wheel 232 and a second driving wheel casing 234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wheel 232.

상기 제2구동바퀴(232)는, 상기 구동축(212)의 축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제2전방바퀴(232a)와 제2후방바퀴(2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전방바퀴(232a) 및 제2후방바퀴(232b) 각각은 제2전방바퀴 축(233a) 및 제2후방바퀴 축(233b)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전방바퀴 축(233a)과 상기 제2후방바퀴 축(233b) 각각의 타단은 상기 제2전방웜휠(242b) 및 제2후방웜휠(244b) 각각에 연결된다.The second driving wheel 232 includes a second front wheel 232a and a second rear wheel 232b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2. Each of the second front wheel 232a and the second rear wheel 232b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front wheel shaft 233a and the second rear wheel shaft 233b, and the second front wheel shaft 233a. )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rear wheel shafts 233b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ront worm wheel 242b and the second rear worm wheel 244b, respectively.

상기 제2구동바퀴 케이싱(234)은, 상기 제2전방바퀴(232a)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전방바퀴 케이싱(234a)과, 상기 제2후방바퀴(232b)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후방바퀴 케이싱(234b)을 포함한다.The second driving wheel casing 234 may include a second front wheel casing 234a on which the second front wheel 232a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second rear wheel 232b on which the second rear wheel 232b is rotatably supported. 2 rear wheel casing 234b.

상기 제1전방바퀴 케이싱(224a)과 상기 제1후방바퀴 케이싱(224b)은 제1측면 플레이트(112)에 연결되며, 상기 제2전방바퀴 케이싱(234a)과 상기 제2후방바퀴 케이싱(234b)은 제2측면 플레이트(114)에 연결된다.The first front wheel casing 224a and the first rear wheel casing 224b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econd front wheel casing 234a and the second rear wheel casing 234b.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plate 114.

한편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220)(230) 각각의 하부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플레이트(250)가 마련되며, 상기 주행 플레이트(250)에는 누설검사장치가 주행시 모재(BM, 도 13a 참조)가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Teflon) 재질의 커버(252)가 부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6, a driving plate 250 is provided below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220 and 230, and the driving plate 250 is leak-tested. A Teflon cover 252 is attached to prevent the substrate BM (see FIG. 13A) from being scratched and damaged while the device is being driven.

또한 상기 각 구동바퀴의 축(223a)(223b)(233a)(233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검사장치의 진행방향(MD)에 수직한 선(PMB)으로부터 소정 각도(θ) 경사진다. 이와 같이 경사진 구조에 의해 누설검사장치는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를 따라 이동하면서 모재(BM, 도 13a 참조) 측으로 진행되어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xes 223a, 223b, 233a, and 233b of the driving wheels each have a predetermined angle θ from a line PMB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MD of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 Inclined. With this inclined structure,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moves along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and proceeds to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welding bead line (WBL, FIG. 12). It can be moved.

상기 흡입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310), 흡입기 유닛(320), 흡입모터(360) 및 가스 검출기(3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uction unit 300 includes an arm 310, an inhaler unit 320, a suction motor 360, and a gas detector 370.

상기 암(310)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122)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구동축(212)의 축 방향(AX)과 교차하는 방향 즉, 누설검사장치의 진행방향(M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암(310)은 다단으로 연결되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arm 31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22, and intersects with the axial direction AX of the drive shaft 212, that i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raveling direction MD of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Is placed. The arm 310 is preferably stretchable in length by a pipe-like structur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상기 흡입기 유닛(320)은, 복수 개가 상기 암(310)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 흡입기 유닛(320)은 복수의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사이의 거리 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암(3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3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기 유닛(320)이 3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의 수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흡입기 유닛(320) 각각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하나의 흡입기 유닛(32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A plurality of the inhaler unit 320 is installed on the arm 310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each inhaler unit 320 is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It is installed on the arm 310 to be movable along the arm 310 to be adjus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llustrated that the inhaler unit 320 is composed of three, the numb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Since each of the inhaler units 320 has the same structure, only the structure of one inhaler unit 32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흡입기 유닛(3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340) 및 상기 지지유닛(34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기(3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inhaler unit 320 includes a support unit 340 movably installed along the arm 310 and an inhaler 322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340. It includes.

상기 지지유닛(340)은, 슬라이딩 부재(342), 지지체(345), 제1완충부재(347), 흡입기 바퀴(350), 홀더(349), 제2완충부재(348)를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340 includes a sliding member 342, a support 345, a first buffer member 347, an inhaler wheel 350, a holder 349, and a second buffer member 348.

상기 슬라이딩 부재(342)에는 슬라이딩 홈(343)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343)에 상기 암(31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342)는 상기 암(3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42)에는 또한 상기 지지체(345)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 홈(344)이 형성된다.A sliding groove 343 is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342, and the arm 31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343. In this structure, the sliding member 342 is movable along the arm 310. The sliding member 342 is also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44 which is vertically penetrated to allow the support 345 to move up and down.

상기 지지체(345)에는 상기 가이드 홈(344)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346)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체(345)가 모재(BM, 도 13a 참조) 면으로부터 다양한 진동을 받더라도, 상기 지지체(345)는, 상기 가이드 핀(346)이 상기 가이드 홈(34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하 이동만을 하게 된다.The support 345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346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44, even if the support 345 is subjected to various vibrations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the support 345, As the guide pin 346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344, only the vertical movement is performed.

상기 제1완충부재(347)는 상기 가이드 핀(346)에 삽입되며, 그 일단은 상기 지지체(345)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42)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345)가 모재(BM, 도 13a 참조) 면으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제1완충부재(347)에 의해 상하 방향의 충격이 감소되어 구동유닛(200) 및 흡입기(322) 등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first buffer member 347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n 346,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45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liding member 342. Therefore, even when the support 345 is impac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the impact of the vertical direction is reduced by the first buffer member 347 and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inhaler 322. Is prevented.

상기 흡입기 바퀴(350)는, 모재(BM, 도 13a 참조) 면과 접촉되어 상기 흡입기 유닛(320)을 지지한다. 이러한 흡입기 바퀴(350)는 지지체(34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재질은 탄성고무 등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haler wheel 35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to support the inhaler unit 320. The inhaler wheel 35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345, the material is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elastic rubber.

상기 홀더(349)는, 상기 지지체(345)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흡입기(32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The holder 349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upport 345, and the inhaler 322 is detachably installed.

상기 제2완충부재(348)는, 상기 홀더(349)와 상기 지지체(345)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지지체(345)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349)에 설치되는 지지바(348a)와, 상기 지지바(348a)에 삽입되는 스프링(348b)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348a)는 탄력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완충부재(348)를 상기 흡입기(322)와 상기 지지체(345)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모재(BM, 도 13a 참조)로부터 발생되는 모든 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되어 흡입기(322)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흡입기(322)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흡입기(322)와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가스의 누설 검출 감도를 향상시킨다. The second buffer member 348 is installed between the holder 349 and the support 345,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 345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holder 349. And a spring 348b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348a. The support bar 348a is preferably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By installing the second buffer member 348 between the inhaler 322 and the support 345,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shock in all directions generated from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inhaler 322 The sh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By prevent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inhaler 322, the inhaler 322 and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thereb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gas leakage detection.

상기 흡입모터(360)는, 상기 흡입기(322)에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입기(322)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호스(330) 등으로 연결된다.The suction motor 360 is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inhaler 322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330 or the like to communicate with the inhaler 322.

상기 가스 검출기(370)는, 상기 흡입기(322)로부터 흡입된 가스를 분석하기 위한 기기이다. 이러한 가스 검출기(370)는 상기 흡입모터(360)와 하나의 기기 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가스 검출기(370)는 누설 가스가 검출되면 경보를 울리거나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모니터(미도시)와 같은 표시부(미도시)로 가스 누설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스 검출기(370)는 이미 공지되어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동작 및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as detector 370 is a device for analyzing the gas sucked from the inhaler 322. The gas detector 370 is generally installed in one device with the suction motor 360. The gas detector 370 may output an alarm to the display unit (not shown) such as a monitor (not shown) by sounding an alarm or transmitting the alarm to the control unit 600 when leakage gas is detected. Since the gas detector 370 is already known and commercially availab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and structure will be omitted.

상기 흡입기(3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비드라인이 삽입되는 삽입홈(3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24)의 양면(326a)(326b) 각각에는 상하로 배치된 3개의 흡입공(328)이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공(328)은 상기 흡입기(322)의 내부에 마련된 흡입통로에 의해 상기 흡입기(322)와 흡입모터(360)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호스(330)와 연결된다. 각 흡입기(322)와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호스(330)는 수집기(332)를 통해 상기 흡입모터(360) 및 가스 검출기(370)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8, the inhaler 322 has an insertion groove 324 into which a welding bead line is inserted. Three suction holes 328 disposed up and down are formed in each of both surfaces 326a and 326b of the insertion groove 324. The suction hole 328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330 for communicating the inhaler 322 and the suction motor 360 by the suction passage provided in the inhaler 322. Each connection hose 330 connected to each inhaler 322 is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360 and the gas detector 370 through the collector 332.

상기 주행센서(400)는, 제1전방바퀴 케이싱(224a)에 마련되며, 탐지침(410)과 상기 탐지침(410)의 동작 여부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탐지침(410)은 흡입기(322)의 전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방바퀴 케이싱(224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신호발생부(420)는 상기 제어부(600)와 신호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탐지침(410)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상기 탐지침(410)은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이 있는 경우, 도 11의 실선과 같은 상태가 되며,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이 없는 부분에 도달하는 경우, 도 11의 점선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1의 점선과 같 은 상태에 있는 경우, 신호발생부(420)는 제어부(600)에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전송하며, 이러한 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600)는 상기 구동유닛(200)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탐지침(410)을 이용한 주행센서(400)를 예시하였으나 초음파 센서나 레이져 센서 등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The traveling sensor 400 is provided in the first front wheel casing 224a and includes a detection needle 410 and a signal generator 420 for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ction needle 410 is operated. . The detection needle 410 extends forward from the first front wheel casing 224a to detect the front of the inhaler 322. The signal generator 420 is connected in sign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600 to transmit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needle 410 to the controller 600. When the detection needle 410 has a weld bead line WBL (see FIG. 12), the detection needle 410 is in the same state as the solid line of FIG. 11, and when the detection needle 410 reaches a portion without the weld bead line WBL (see FIG. 12), FIG. It becomes the same state as the dotted line of 11. In the same state as the dotted line of FIG. 11, the signal generator 42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600 that there is no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and when such a signal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600 stops the driving unit 20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raveling sensor 400 using the detection needle 410 is illustrated, but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or a laser sensor, may be used.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압착유닛(500)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510)와, 상기 조작레버(510)의 양단 각각에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 로드(520)와, 상기 커넥팅 로드(52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530)를 포함한다.5, 9, and 10, the pressing unit 500 includes an operation lever 5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both ends of the operation lever 510. And a connecting rod 520 rotatably installed on an axis eccentric from its center, and an elastic member 530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520.

상기 조작레버(510)는 회전축(512)과 상기 회전축(512)과 연결된 핸들부(51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512)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된 2개의 힌지부(513)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512)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51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을 이루는 편심축(514, 도 9참조)이 마련된다. 상기 핸들부(516)는 상기 조작레버(510)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512)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설치된다.The operation lever 510 includes a rotation shaft 512 and a handle portion 516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12. The rotation shaft 512 is inserted into two hinge parts 513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plate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512 are provided with an eccentric shaft 514 (see FIG. 9) which forms an eccentricity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512. The handle part 516 is for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510 and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512 by a method such as welding.

상기 커넥팅 로드(520)는 2개로 구성되며, 2개의 커넥팅 로드(520) 각각의 일단은 상기 조작레버(510)의 회전축(512) 양단 각각에 마련된 편심축(5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510)가 그 회전축(512)을 중심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커넥팅 로드(520)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커넥팅 로드(520)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를 관통하여 제2전방바퀴 케이싱(234a) 및 제2 후방바퀴 케이싱(234b) 각각에 그 타단이 고정된다.The connecting rod 520 is composed of two, one end of each of the two connecting rod 5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ccentric shaft 514 provided on each of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512 of the operating lever 510.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lever 51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512, the connecting rod 520 is a linear movemen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520 is fixed to each of the second front wheel casing 234a and the second rear wheel casing 234b through the first side plate 112.

상기 탄성부재(530)는 상기 커넥팅 로드(520)에 삽입되며, 그 일단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전방바퀴 케이싱(234a) 및 제2후방바퀴 케이싱(234b)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530)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을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530)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에 설치되는 상기 제1구동바퀴 유닛(220)과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을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The elastic member 5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520,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other end of which the second front wheel casing 234a and the second rear wheel casing ( 234b). The elastic member 5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are 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at is, the elastic member 5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is installed in the first side plate 112 in a direction away from d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압착유닛(5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핸들부(516)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51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12)이 회전하면, 편심축(5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 로드(520)는 회전축(512)방향으로 당겨진다. 이 때 상기 커넥팅 로드(520)의 타단은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을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은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구동바퀴 유닛(220)과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구동바퀴(222)와 제2구동바퀴(232)는 서로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구동바퀴(222)와 상기 제2구동바퀴(232)의 사이에는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이 존재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는 상기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를 압착하여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에 고정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rimping unit 5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portion 516 upward, the rotating shaft 512 is rotated. When the rotation shaft 512 rotates, the connecting rod 5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eccentric shaft 514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512.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520 pulls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Accordingly,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rotates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about the driving shaft 212 of the driving motor 210. Therefore, the first driving wheel 22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a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driving wheel 22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3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re present. ) Is fixed to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ure 12) by pressing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ure 12).

이와 반대로 상기 핸들부(516)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팅 로드 (520)는 상술한 바와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이 때 탄성부재(530)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을 이격되게 가압하여, 상기 제1구동바퀴 유닛(220)과 상기 제2구동바퀴 유닛(230)은 이격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handle part 516 is rotated downward, the connecting rod 520 linearly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530 presses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so that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are separated. ) Are spaced apart.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이 모재(BM, 도 13a 참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 한정되어 상기 제1구동바퀴(222)와 제2구동바퀴(232)가 상기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가 자성을 띄는 자석부재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가 모재(BM, 도 13a 참조) 면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용접비드라인(WBL, 도 12참조)가 모재(BM, 도 13a 참조)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를 모재(BM, 도 13a 참조) 면에 압착된 상태로 누설검사장치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is projected, the first driving wheel 22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32 is the welding Although fixed to the bead line WBL (see FIG. 12) is illustrate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re manufactured by a magnetic member having magnetic properties, and The welding bead line WBL (see FIG. 12) i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by hav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have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Even when no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may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re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see FIG. 13A).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주행센서(400) 및 상기 구동모터(210)와 신호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주행센서(4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1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600 is connected in signal communication with the driving sensor 400 and the driving motor 210 to control the driving motor 210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sensor 400.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검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ak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누설 검사 대상인 기밀용기에 헬륨(Helium)과 같은 추적 가스를 충전시킨다. 기밀용기에 가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바퀴 유닛(220)과 제2구동바퀴 유닛(230) 사이에 용접비드라인(WBL)를 위치시키고, 이와 동시에 복수 의 흡입기(322)의 삽입홈(324, 도 7참조)을 복수의 용접비드라인(WBL) 각각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516)를 상방으로 즉,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넥팅 로드(520)가 제2구동바퀴 유닛(230)을 B방향과 같이 당기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구동바퀴(222)와 제2구동바퀴(232)가 용접비드라인(WBL)을 압착하여 누설검사장치가 용접비드라인(WBL)에 고정되게 된다.12 to 13B, first, a user fills a tracer gas such as helium into a hermetic container to be leak tested. When the filling of the gas in the hermetic container is completed, the user may,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weld bead lines WBL between the first driving wheel unit 220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At the same time, the insertion grooves 324 (see FIG. 7) of the plurality of inhalers 322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welding bead lines WBL.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handle part 516 is rotated upward, that is, in the A direction, the connecting rod 520 pulls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as in the B direction. As a result, the first driving wheel 22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32 compress the welding bead line WBL so that the leakage inspection apparatus is fixed to the welding bead line WBL.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가 용접비드라인(WBL)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를 ON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0, 도 3참조)는 구동모터(210)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를 회전시키고, 흡입모터(360, 도 3참조)를 구동시켜 상기 흡입기(322)의 흡입공(328, 도 7참조)에 부압을 형성시킨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re fixed to the welding bead line WBL, the user turns on the power switch. Then, the control unit 600 (see FIG. 3) drives the driving motor 210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nd drives the suction motor 360 (see FIG. 3).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328 (see FIG. 7) of the inhaler 322.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가 회전하면, 누설검사장치는 용접비드라인(WBL)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복수의 흡입기(322)는 복수의 용접비드라인(WBL) 각각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 용접비드라인(WBL)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기(322)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연결호스(330)를 통해 흡입모터(360, 도 3 참조)를 거쳐 가스 검출기(370, 도 3참조)로 이동된다. 그러면 가스 검출기(370, 도 3참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추적가스의 성분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추적가스 성분이 검출되면, 가스 검출기(370, 도 3참조)는 경보음을 울리거나, 제어부(600, 도 3참조)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제어부(600)가 미 도시된 표시부로 가스 누설의 내용을 출력한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rotate,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moves along the welding bead line WBL, and the plurality of inhalers 322 each of the plurality of welding bead lines WBL. While moving along, air is sucked in from each weld bead line (WBL). The air sucked by the inhaler 322 is moved to the gas detector 370 (see FIG. 3) through the connection hose 330 via the suction motor 360 (see FIG. 3). The gas detector 370 (see FIG. 3) then analyzes whether the trace gas is present in the sucked air. When the trace gas component is detected, the gas detector 370 (see FIG. 3) sounds an alarm or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 (see FIG. 3), and the contents of the gas leakage to the display unit where the control unit 600 is not shown. Outputs

여기서, 상기 흡입기(322)의 삽입홈(324, 도 7참조)의 양면(326a)(326b, 도 7참조) 각각에 상하로 3개 형성된 흡입공(328)에 의해 상기 흡입기(322)가 상하 진 동을 하더라도, 3개의 흡입공(328) 중 어느 하나의 흡입공(328)가 용접비드라인(WBL)으로부터 누설된 가스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inhaler 32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uction holes 328 which are formed in three upper and lower sides 326a (326b and 7) of the insertion grooves 324 (see FIG. 7) of the inhaler 322. Even if it vibrates, any one of the three suction holes 328 can suck the gas leaked from the welding bead line (WBL).

또한, 누설검사장치가 주행하면서 모재(BM)의 표면과 접촉되는 흡입기 바퀴(350, 도 7참조)는 모재(BM)의 표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지지체(345, 도 7참조)에 전달된다. 전달된 진동은 상기 제1완충부재(347, 도 7참조)과 제2완충부재(348, 도 7참조)에 의해 흡수되어 구동유닛(200, 도 4참조) 및 흡입기 유닛(320, 도 7참조)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haler wheel 350 (refer to FIG. 7)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while the leak tester is traveling transmits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to the support 345 (refer to FIG. 7). The transmitted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347 (see FIG. 7)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348 (see FIG. 7), and the driving unit 200 (see FIG. 4) and the inhaler unit 320 (see FIG. 7). ) To prevent delivery.

또한, 누설검사장치가 용접비드라인(WBL)을 따라 이동시, 주행센서(400)의 탐지침(410)은 용접비드라인(WBL)을 탐지하게 되며, 도 11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탐지침(410)이 용접비드라인(WBL)이 끝단점을 만나면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신호발생부(420)는 제어부(600)에 용접비드라인(WBL)의 끝단점이라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600, 도 3참조)는 구동모터(210, 도 3참조) 및 흡입모터(360, 도 3참조)를 정지시켜, 누설검사장치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moves along the welding bead line WBL, the detection needle 410 of the traveling sensor 400 detects the welding bead line WBL,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1, the detection needle. 410 rotates downward when the weld bead line WBL meets the end point, whereby the signal generator 420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e end point of the weld bead line WBL to the controller 600. Then, the control unit 600 (refer to FIG. 3) stops the driving motor 210 (refer to FIG. 3) and the suction motor 360 (refer to FIG. 3) to stop the running of the leak test apparatus.

누설검사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핸들부(516)를 하방으로, 즉 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탄성부재(530)는 제1측면 플레이트(112)와 제2구동바퀴 유닛(230)이 이격되도록 가압하여 제1 및 제2구동바퀴(222)(232)는 용접비드라인(WBL)으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leak test operation is completed, the user rotates the handle portion 516 downward, that is, in the C direction. Then, the elastic member 530 is pressed so that the first side plate 112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230 is spaced apar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222 and 232 are separated from the welding bead line WBL. Spaced apart.

그 후, 사용자는 누설검사장치를 다른 용접비드라인(WBL)에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운용을 하거나, 작업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user operates the leak test apparatus through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th the other welding bead line WBL, or terminates the wor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누설검사장치가 용접비드라인(WBL)을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용접비드라인(WBL)의 가스 누설을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자동 가스 누설 검사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 누설 검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can detect the gas leakage of the weld bead line (WBL) while automatically traveling along the weld bead line (WBL). The automatic gas leak inspection can not only perform the gas leakage inspection more efficiently, but als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inspection.

또한, 압착유닛에 의해 각 구동바퀴가 용접비드라인(WBL)에 압착된 상태로 이동되어 천정이나 수직면에 형성된 용접비드라인(WBL)의 누설검사까지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누설검사장치가 모재(BM) 측으로 주행되도록 각 구동바퀴의 축이 기울어져 있어서 누설검사장치가 용접비드라인(WBL)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wheels ar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s are compressed to the welding bead line WBL by the crimping unit, so that the inspection of the welding bead line WBL formed on the ceiling or the vertical surface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the axis of each drive wheel is inclined so that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is driven toward the base material BM, so that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lding bead line WBL.

또한, 복수의 흡입기 유닛이 복수의 용접비드라인(WBL)을 일 회 주행하면서 검사를 할 수 있게 되어 누설 검사의 속도가 향상된다. 특히, 각 흡입기 유닛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간격의 용접비드라인(WBL)의 누설 검사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haler units can perform inspection while traveling the plurality of welding bead lines WBL once,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the leakage inspect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each inhaler unit to be able to inspect the leakage of the weld bead line (WBL) of various intervals.

한편, 각 흡입기 유닛은 제1 및 제2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모재(BM) 표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흡입기 유닛 및 구동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진동 전달을 방지하여 각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기와 용접비드라인(WBL)의 간격을 보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검사의 정밀성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each inhaler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a second buffer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M) to be transmitted to the inhaler unit and the drive unit, to prevent such vibration transmission each component In addition to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welder, the interval between the inhaler and the welding bead line (WBL) can be kept more constant,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of the inspection.

또한, 흡입기에 상하로 3개 형성된 흡입공에 의해 검사의 정밀성은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the precision of the inspection is further improved by the suction holes formed three up and down in the inhaler.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누설 검사의 신속성과 정밀성의 향상으로 인해 누설검사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of the leak inspection apparatus is improved due to the rapidity and accuracy of the leak inspection.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케이싱;Casing; 상기 케이싱을 용접비드라인(WBL)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asing along the welding bead line (WBL);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며, 용접비드라인(WBL)의 가스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흡입유닛;A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casing and configured to detect a gas leak in the welding bead line WBL; 용접비드라인(WBL)을 감지하기 위한 주행센서; 및A traveling sensor for detecting a welding bead line WBL; And 상기 주행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traveling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구동모터;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 유닛;A first driving wheel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moto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shaft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 유닛;A second driving wheel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moto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shaft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유닛 각각의 하부에는 모재(BM)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wheel unit, the leakage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base material (BM) is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유닛을 근접 및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crimp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about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units are close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구동바퀴유닛은,The first driving wheel unit,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 케이싱; 및A first drive wheel casing rotatably supported by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구동바퀴;를 포함하며,And a first driving wheel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상기 제2구동바퀴유닛은,The second driving wheel unit,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 케이싱; 및A second drive wheel casing rotatably supported by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상기 제2구동바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구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second driving wheel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wheel casing.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구동바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지지되는 제1전방바퀴와 제1후방바퀴를 포함하며,The first driving wheel includes a first front wheel and a first rear wheel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상기 제2구동바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2구동바퀴 케이싱에 지지되는 제2전방바퀴와 제2후방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the second driving wheel includes a second front wheel and a second rear wheel which are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wheel casing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driving moto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각 바퀴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싱이 모재(BM) 측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선에 대해 소정 각도(θ)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The rotation axis of each wheel, the leakage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casing so that the casing proceeds to the base material (BM) s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제1전방바퀴와 제1후방바퀴의 각 축과 연결되는 제1전방웜휠 및 제1후방웜휠;A first front worm wheel and a first rear worm wheel connected to each axis of the first front wheel and the first rear wheel; 상기 제2전방바퀴 및 상기 제2후방바퀴의 각 축과 연결되는 제2전방웜휠 및 제2후방웜휠; A second front worm wheel and a second rear worm wheel connected to the respective axes of the second front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상기 제1전방웜휠 및 상기 제2전방웜휠과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마련된 전방웜;A front worm gear-coupled with the first front worm wheel and the second front worm wheel and provided on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상기 제1후방웜휠 및 상기 제2후방웜휠과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마련된 후방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rear worm gear-coupled with the first rear worm wheel and the second rear worm wheel, the rear worm being provided on a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essing unit,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케이싱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 케이싱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casings to pres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 casin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 및An operating lev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And 상기 제1구동바퀴 케이싱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퀴가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 connecting rod mounted on the first driving wheel casing to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the connecting rod mov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are in close proximity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Leakage test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ction unit,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며, 신축가능한 암;An elastic arm provided on the casing; 상기 암에 설치된 흡입기 유닛;An inhaler unit mounted to the arm; 상기 흡입기 유닛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모터; 및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the inhaler unit; And 상기 흡입기 유닛을 통해 흡입된 가스를 분석하기 위한 가스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gas detector for analyzing the gas sucked through the inhaler uni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암은 상기 케이싱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The arm is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casing, 상기 흡입기 유닛은 복수 개가 상기 암에 이동가능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The inhaler unit is a leak te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so as to be movable on the arm.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각 흡입기 유닛은 상기 암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Wherein each of the inhaler units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ar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 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haler unit, 상기 암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 및A support unit movably installed along the arm; And 상기 지지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n inhaler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upport unit, 상기 암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A sliding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arm;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 및A support installed on the sliding member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상기 지지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 first buff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liding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upport unit,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기가 장착되는 홀더;A holder mounted to the support and mounted with the inhaler; 상기 홀더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완충부재; 및A second buff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support; And 상기 지지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흡입기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nd an inhaler wheel for movably supporting the suppo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haler, 용접비드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양면 각각에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검사장치.A groove for inserting a welding bead is formed, and leak de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both sides of the groove disposed up and down.
KR1020050099673A 2005-10-21 2005-10-21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KR200700434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73A KR20070043411A (en) 2005-10-21 2005-10-21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73A KR20070043411A (en) 2005-10-21 2005-10-21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672A Division KR100776764B1 (en) 2007-07-11 2007-07-11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411A true KR20070043411A (en) 2007-04-25

Family

ID=3817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673A KR20070043411A (en) 2005-10-21 2005-10-21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34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94B1 (en) * 2008-11-05 2011-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leak test with tracer g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94B1 (en) * 2008-11-05 2011-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leak test with tracer g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6770A1 (en) Driving device of all-directional automatic weld seam flaw detection instrument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499477B1 (en) A automatic ultrasonic scanner
KR101950158B1 (en)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for sealed packed product
KR101002434B1 (en) Automatic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JP4812523B2 (en) Dynamic characteristic inspection device
US6530278B1 (en) Ultrasonic testing of tank car welds
KR100776764B1 (en)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JP2007132667A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of piping welded part
JP7303051B2 (en) Inspection device for determining state when connector is inserted, and robot device equipped with inspection device
KR20070043411A (en)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welding part automatically
KR101710573B1 (en) Ultrasonic Inspe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Variable extension 2-axis rail
US11047831B2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20160034497A (en) Ultrasonic flaw detection device
KR200490799Y1 (en) Apparatus for ultrasonic test
KR102212897B1 (en) Wind turbine blade inspection platform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to maintain constant inspection pressure
CN106990573B (en) Optic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N110017802B (en) Instrument for detecting assembly precision of coaxial parts
KR101477386B1 (en) Ultrasonic detecting device
KR102212905B1 (en) Wind turbine blade inspection platform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maintaining constant inspection pressure
CN208116196U (en) voice coil motor detection device
JP2012037505A (en) Flaw detector
KR20050104248A (en) Base assembly tester and method of a shock absorber
JP2004361352A (en) Automatic flaw detector
KR200494672Y1 (en)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WO2022185424A1 (en) End effector, robot arm, and inspection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611

Effective date: 200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