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837A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837A
KR20070042837A KR1020050098846A KR20050098846A KR20070042837A KR 20070042837 A KR20070042837 A KR 20070042837A KR 1020050098846 A KR1020050098846 A KR 1020050098846A KR 20050098846 A KR20050098846 A KR 20050098846A KR 20070042837 A KR20070042837 A KR 2007004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emergency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2837A/ko
Publication of KR2007004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시에 발신하는 호에 대해서는 해당 기지국에서 호를 처리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위급상황시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호 착발신에 대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부와;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비상 전화번호의 발신에 따른 망사용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그에 따른 망사용허용 정보를 수신하여 호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THER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업 시간표 등록 및 설정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무선 통신부 12: 오디오 처리부
13: 키패드 14: 메모리
15: 제어부 16: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시에 발신하는 호에 대해서는 해당 기지국에서 호를 처리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음성통화 기능외에 카메라, 음악재생, 헬스케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가 주된기능이므로 음성통화 서비스 또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는 유사시(도난, 화재, 교통사고 등)에 해당 비상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경우, 해당 비상 전화번호의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호 서비스를 커버하고 있는 망의 해당 기지국으로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Access Overload Class)의 필드값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은 호 서비스를 요청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정보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4비트(bits)의 전화번호인 전화번호의 끝자리가 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서 커버해야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호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단말보다 더 많은 단말이 호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기지국은 비상 전화번호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인접 기지국을 통해 호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명령을 하달한다. 이에, 시간을 다퉈야 하는 위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재차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호 서비스를 요청해야 하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비상시에 발신하는 호에 대해서는 해당 기지국에서 호를 처리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급상황시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호 착발신에 대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부와;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비상 전화번호의 발신에 따른 망사용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그에 따른 망사용허용 정보를 수신하여 호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급상황시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에 있어서,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 망사용요청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에 따른 망사용허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망사용허용 정보가 수신되면, 호 발신을 요구한 상기 기지국을 통해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시,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 필드값으로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특정 값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 필드의 특정 값을 수신하고, 위급상황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위급상황임을 확인하고, 해당 호 발신에 따른 호 서비스가 종료될때까지 위급상황의 음성통화를 서비스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11)는 호 착발신에 대한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 화하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는 상기 무선통신부(11)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1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13)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 전화번호 단축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비상 전화번호의 발신에 따른 망사용요청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는 전화번호(MIN)가 되고,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는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Access Overload Class)의 필드값이 특정값으로 가변되는 것으로, 최초 호 발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중에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옮겨 통신하지 못하게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 상기 메모리(14)로부터 망사용요청 정보를 독출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그 기지국 으로부터 그에 따른 망사용허용 정보를 수신하여 호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상 전화번호의 호 서비스가 종료되면, 망사용요청 정보를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로 전환하여 일반 호 발신시 기지국으로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을 전송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16)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13)와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전화 처리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특정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하고자 사용자가 키패드(13)를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요구하면, 제어부(15)는 메모리(14)로부터 일반 호 발신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대신, 망사용요청 정보를 독출하여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15)는 무선통신부(11)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의 망사용 요청정보에 따라 망사용허용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제어부(15)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비상 전화에 따른 호 서비스를 호가 종료될때까지 서비스 받는다.
이후, 상기 특정 비상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가 종료되면, 제어부(15)는 망사 용요청 정보를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로 전환하여 일반 호 발신 요구시 기지국으로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업 시간표 등록 및 설정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5)는 키입력을 대기하거나, 호 착신을 대기하는 대기상태에서 203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키입력이 발생하면, 205단계에서 제어부(15)는 호 발신을 요구하는 키입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207단계로 진행한다.
즉, 호 발신을 요구하는 키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207단계에서 제어부(15)는 특정 비상전화번호인가를 판단하여 특정 비상전화번호가 아니면 209단계로 진행하고, 특정 비상전화번호이면 211~219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211단계부터 219단계까지는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기술임을 인지해야 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제어부(15)는 일반 전화번호로 인식하고 기지국으로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일반 호 처리과정을 거쳐 호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일반 호 처리과정은 기지국에서 커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수보다 더 많은 휴대용 단말기가 호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인접 기지국을 이용하여 호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반 호 처리과정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제어부(15)는 키패드(13)를 통해 호 발신을 요구한 전화번호가 특정 비상 전화번호임에 따라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을 특정값으로 전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앞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상기 213단계에서 제어부(15)는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에 따른 망사용 허용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망사용 허용정보는 최초 호 발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중에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옮겨 통신하지 못하게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5)는 망사용 허용정보에 의해 호 서비스를 감당할 수 없는 기지국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그 기지국을 통해서 특정 비상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처리한다.
이후 217단계에서 제어부(15)는 특정 비상전화 번호에 대한 호가 종료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호가 종료되면, 219단계에서 제어부(15)는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의 필드값을 특정값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정보로 전환한다. 이는 일반 호 발신요구시에 기지국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시에 호 발신을 기지국에 요청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그 기지국의 로드 밸런스(load balance)에 관계없이 상기 기지국에서 비상 상황의 호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비상상황의 호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빠른 시간내에 비상상황의 호를 처리할 수 있어, 비상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위급상황시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호 착발신에 대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부와;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비상 전화번호의 발신에 따른 망사용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그에 따른 망사용허용 정보를 수신하여 호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는,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Access Overload Class)의 필드값이 특정값으로 가변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는,
    일반 호 발신시에는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하고,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에는 특정값으로 가변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용허용 정보는,
    최초 호 발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중에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옮겨 통신하지 못하게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
  5. 위급상황시 비상 전화번호로 호 발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에 있어서,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 망사용요청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에 따른 망사용허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망사용허용 정보가 수신되면, 호 발신을 요구한 상기 기지국을 통해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은,
    호 서비스가 종료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호 서비스가 종료되면, 망사용요청 정보를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일반 호 발신시 전송되는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망사용요청 정보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용요청 정보는,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Access Overload Class)의 필드값이 특정값으로 가변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오버로드 클래스는,
    일반 호 발신시에는 고유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하고, 비상 전화번호로 발신요구시에는 특정값으로 가변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용허용 정보는,
    최초 호 발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중에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옮겨 통신하지 못하게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 전화 처리방법.
KR1020050098846A 2005-10-19 2005-10-19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KR20070042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46A KR20070042837A (ko) 2005-10-19 2005-10-19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46A KR20070042837A (ko) 2005-10-19 2005-10-19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837A true KR20070042837A (ko) 2007-04-24

Family

ID=3817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46A KR20070042837A (ko) 2005-10-19 2005-10-19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28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28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US8620217B2 (e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EP168449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porting a speakerphone call mod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a calling partner
KR1006300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방법
KR2007001818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제한장치 및 방법
KR20070042837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비상 전화 처리 방법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JP2737672B2 (ja) 携帯情報通信装置
JP2009089380A (ja) 音声設備の消音処理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100413625B1 (ko) 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제한방법과, 착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착신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6516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032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KR1011648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ms 착신 시 음성 호 처리 방법
JP4660235B2 (ja) 親機
KR100401785B1 (ko) 화상 전송 제어 서비스 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448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제한 설정 방법
JPH11239206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無線電話装置の電話帳データ転送方法
KR200400257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KR2008000609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기능 제한을 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409587B1 (ko) 분실된 휴대 단말기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