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535A -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 Google Patents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535A
KR20070040535A KR1020050096015A KR20050096015A KR20070040535A KR 20070040535 A KR20070040535 A KR 20070040535A KR 1020050096015 A KR1020050096015 A KR 1020050096015A KR 20050096015 A KR20050096015 A KR 20050096015A KR 20070040535 A KR20070040535 A KR 2007004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near motor
movable body
piezoelectric
elast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택
맹서영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0535A/ko
Publication of KR2007004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10N30/886Additional mechanical prestressing means, e.g.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등의 렌즈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전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기판을 탄성체에 부착한 것에 샤프트를 부착하여 압전효과에 의해 압전기판 및 탄성체가 변위됨에 따라 샤프트에 탑재된 이동체도 함께 선형적으로 진동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이동체 사이의 접촉방식을 개선하여 둘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압전효과에 의한 진동이 이동체에 전달되는 효율을 높여 그 구동성능을 개선한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압전효과, 리니어 모터, 이동체, 샤프트, 마찰력, 선 접촉

Description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Micro piezoelectric linear motor}
도 1은 종래 압전 리니어 모터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이동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체와 샤프트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체와 샤프트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 : 탄성체 기판 12 : 압전기판
13 : 지지수단 14 : 샤프트
15 : 이동체 16 : 이송계
17 : 압착링 31, 41 : 샤프트
32, 42 : 이동체
본 발명은 카메라 등의 렌즈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전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기판을 탄성체에 부착한 것에 샤프트를 부착하여 압전효과에 의해 압전기판 및 탄성체가 변위됨에 따라 샤프트에 탑재된 이동체도 함께 선형적으로 진동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그 구동성능이 개선된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폰, PDA 등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렌즈를 구동하기 위해 탑재되는 모터는 초소형으로 형성된다. 카메라 렌즈구동용으로 탑재 가능한 초소형 모터 중 전자계 방식의 모터(Stepping Motor)는, 빠른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감속기어와 캠(cam)을 사용하여야 하며 정 또는 역회전 시 백레쉬(backlash)가 생겨 오차가 발생하고 전력소모가 크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받으며, 높은 전류와 열을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전효과를 이용해서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가 개발되었다. 압전효과를 이용한 리니어 모터는 굴곡파(flexural wave)에 의해 발생한 진행파로 구동하는 방법과 종진동(longitudinal vibration)과 횡진동(transversal vibration) 액츄에이터를 결합하여 수직과 수평진동을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이동체를 구동하는 정상파형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정상파형(standing wave type) 리니어 모터의 기본적인 형태로 서로 다른 동작 양태를 갖는 진동자를 결합하여 발생하는 복수진동을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압전 액츄에이터와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의 진동을 동작하는 이동체에 기계적 변위로 전달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의 수직방향의 종진동을 샤프트를 통해 이동체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압전체 기판을 탄성체에 접착 형성하여 탄성체와 압전기판의 굴곡운동을 구동력으로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 압전 리니어 모터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압전 리니어 모터는 탄성체 기판(11)과 상기 탄성체 기판에 접착된 압전기판(12), 상기 탄성체 기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13)과 상기 탄성체 기판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체 기판의 굴곡운동을 이동체에 전달하는 샤프트(14), 및 이동체(15)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 기판(11)은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압전기판(12)이 압전효과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압전기판과 함께 변형되는데, 탄성체 기판(11)의 주변부가 지지수단(13)에 고정되어 있어서 지지수단(13)에 고정되지 않은 가운데 부분이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변위한다.
상기 탄성체 기판의 상부에는 샤프트(14)가 부착되는데, 상기 샤프트는 상기 굴곡변위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며, 이에 따라 이동체(15)가 구동되어 리 니어 모터로서의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탄성체 기판(11) 및 압전기판(12)의 가운데 부분이 위아래로 변위되면, 상기 탄성체 기판의 상부에 부착된 샤프트(14)는 선형적으로 운동한다. 상기 샤프트의 선형적인 운동을 통해 탄성체 기판 및 압전기판의 굴곡운동이 이동체(15)에 전달되어 이동체가 구동되며, 상기 이동체(15)는 렌즈 등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렌즈를 구동한다.
상기 이동체(15)는 관성과 마찰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종래의 이동체는 샤프트(14)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고 접촉되는 이송계와 상기 이송계를 샤프트에 압착시켜 구속하는 구속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이동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압전 리니어 모터에 포함되는 이동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이동체 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동체는 안쪽의 'ㄴ' 모양의 이송계(16)와 상기 이송계를 샤프트에 압착시키는 바깥쪽의 압착링(17)을 포함한다.
도 2b는 이동체가 샤프트에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의 이동체의 이송계(16)가 샤프트(14)에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동체는 이송계(16)가 샤프트(14)에 대해 마찰력을 가지고 접촉됨으로써 샤프트의 운동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종래의 이동체는 'ㄴ' 형태의 이송계 하나당 샤프트에 2개의 선 접촉으로 접촉되어, 이송계와 샤프트의 접촉이 전체적으로 네 개의 선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체는 'ㄴ' 형태 또는 기타의 형태의 이송계가 샤프트에 선 접촉으로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의 선 접촉은 그 수가 부족하여 선 접촉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접촉면적을 넓혀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이동체에 탄성체 기판과 압전기판의 굴곡운동이 전달되는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곡운동의 전달 효율이 개선된 압전 리니어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는 양면에 전극이 형성된 압전기판,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압전기판이 부착되는 탄성체 기판, 상기 탄성체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 기판의 외곽이 고정되어 상기 탄성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탄성체 기판 또는 상기 탄성체 기판에 부착된 상기 압전기판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 기판 및 압전기판의 변형에 연동되어 선형 운동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부 이상을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와 마주보는 쪽에 적어도 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에서 상기 샤프트와 접촉하고 상기 샤프트의 운동에 따라 선형 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샤프트와 마주보는 종단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가 접착하는 위치에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각각의 돌기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는 상기 이동체의 전부를 감싸며 상기 이동체를 내측으로 압박하는 압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압전기판의 변형에 연동되어 선형 운동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샤프트 사이의 마찰력보다 상기 이동체의 관성력이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는 샤프트에 이동체가 접촉하는 방식 및 샤프트와 이동체의 형태를 개선한 것으로, 이동체와 샤프트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에 나타난 종래의 압전 리니어 모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체와 샤프트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샤프트는 원기둥 형태로 종래의 그것과 그 형태가 크게 다르지 않다.
도 3에서 이동체는 샤프트를 감싸는 고리의 형태로, 고리의 안쪽에는 샤프트와 접촉하는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는 그 끝이 샤프트와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접촉된다.
상기 도 3에서 상기 돌기는 그 종단이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되었다. 각각의 돌기는 상기 직사각형의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만큼 샤프트와 선 접촉한다. 각각의 돌기가 샤프트와 접촉함으로써 이동체는 돌기의 개수만큼 샤프트와 선 접촉하며, 돌기의 개수에 따라 선 접촉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끝 모양이 샤프트와 선 접촉할 수 있는 어떤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보다 긴 길이만큼 샤프트와 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의 끝 모양은 원기둥 형태인 샤프트와 면으로 접촉하도록 원기둥의 둘레와 같은 곡률로 굴곡이 형성된 단면의 형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동체는 상기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고리 모양(32)이 종래의 압전 리니어 모터의 이동체에서 이송계 부분, 즉 도 2a에서의 이송계(16)와 같은 부분을 대체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체를 샤프트에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구속하는 구속수단, 즉 도 2a의에서의 압착링(17)과 같은 수단을 상기 고리 모양의 이동체 외곽에 더 포함하여 상기 고리 모양의 이동체와 샤프트가 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체와 샤프트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이동체는 샤프트를 둘러싸고 내부에 샤프트와 선 접촉하는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된 고리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끝은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형태가 도 3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도 4에 나타난 샤프트는 원기둥의 형상이되, 표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이동체의 돌기와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맞물려 접촉할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원기둥의 외곽 중 일부분이 원기둥의 중심방향으로 파임으로써 그루브가 형성되었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그루브 부분은 그루브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샤프트의 외곽면 사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은 평평한 단면이 아니라 함몰되지 않은 샤프트의 외곽면과 같이 굴곡이 있는 단면이고, 상기 사면은 경사가 직각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 부분에 상기 이동체의 돌기가 맞물려 접촉되면 상기 돌기와 상기 샤프트는 그루브의 바닥면과 두 개의 사면에서 선 접촉되어, 돌기 하나가 세 개의 선 접촉으로 샤프트와 접촉된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이동체의 돌기와 접촉함에 있어서 선 접촉의 수가 더 늘어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특히 상기 돌기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남지 않고 서로 완전히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루브와 상기 돌기는 더 많은 수의 선 접촉으로 접촉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면 접촉이 이루어져 마찰력이 보다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는 샤프트와 이동체를 접촉함에 있어서, 종래의 'ㄴ'자 형의 이송계에 의한 선 접촉이 아니라, 샤프트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이동체에서 샤프트와 대면하는 고리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돌기로써 이동체와 샤프트가 접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과 같은 방식에 의하면 이동체에 형성된 돌기의 수에 따라 이동체와 샤프트가 선 접촉되는 수가 증가하여 샤프트와 이동체 간의 마찰력이 커짐으로써 기존의 모터에서보다 굴곡운동이 이동체에 전달되는 효율이 증대된다. 그리고 샤프트에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샤프트와 이동체 간의 선 접촉의 수 및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전 리니어 모터에서도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압전기판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상기 압전기판 및 압전기판이 접착된 탄성체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 굴곡운동하며, 상기 탄성체 기판 또는 압전기판의 상부에 일측이 부착된 샤프트가 상기 굴곡운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선형 운동한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탄성체 기판 및 압전기판의 굴곡운동을 이동체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가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접촉된 이동체는 상기 샤프트와 연동되어 선형 운동하는데, 상기 샤프트의 일부 이상을 감싸도록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있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이동체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한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운동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와의 마찰력과 운동의 계속에 따른 관성력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샤프트 상에서 이동하면서 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찰력보다 상기 관성력이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이동체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여 샤프트에 접촉되는 위치가 달라지면서 운동할 수도 있고, 마찰력이 매우 큰 경우에는 샤프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크게 달라지지 않으면서 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마찰력을 증대시키며, 이는 샤프트와 이동체가 일체로 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보다 유용하다.
상기 샤프트와 상기 이동체의 형태 및 구성을 제외한 탄성체 기판, 압전기판, 지지수단의 구성, 굴곡운동의 발생 등은 도 1에 나타난 종래의 압전 리니어 모 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바, 도면을 참조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와 샤프트가 더 많은 부분에서 서로 접촉됨으로써, 이동체와 샤프트 간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압전효과에 의한 굴곡운동이 이동체에 전달되는 효율이 높아진다.

Claims (8)

  1. 양면에 전극이 형성된 압전기판;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압전기판이 부착되는 탄성체 기판;
    상기 탄성체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 기판의 외곽이 고정되어 상기 탄성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탄성체 기판 또는 상기 탄성체 기판에 부착된 상기 압전기판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 기판 및 압전기판의 변형에 연동되어 선형 운동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적어도 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에서 상기 샤프트와 접촉하고 상기 샤프트의 운동에 따라 선형 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샤프트와 마주보는 종단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가 접촉하는 위치에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각각의 돌기와 빈틈없이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그루브가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전부를 감싸며 상기 이동체를 내측으로 압박하는 압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압전기판의 변형에 연동되어 선형 운동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샤프트 사이의 마찰력보다 상기 이동체의 관성력이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리니어 모터.
KR1020050096015A 2005-10-12 2005-10-12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20070040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015A KR20070040535A (ko) 2005-10-12 2005-10-12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015A KR20070040535A (ko) 2005-10-12 2005-10-12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535A true KR20070040535A (ko) 2007-04-17

Family

ID=3817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015A KR20070040535A (ko) 2005-10-12 2005-10-12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05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80B1 (ko) * 2010-10-12 2012-04-13 김양준 압전 리니어 모터
KR101283705B1 (ko) * 2012-07-23 2013-07-12 김양준 카메라모듈 압전 오토포커스 액츄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80B1 (ko) * 2010-10-12 2012-04-13 김양준 압전 리니어 모터
KR101283705B1 (ko) * 2012-07-23 2013-07-12 김양준 카메라모듈 압전 오토포커스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8856B (zh) 小型压电或电致伸缩线性电机
JP5278836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有するレンズ移送装置
KR101100484B1 (ko) 플랫 공명 전기-기계적 구동 장치
US20090127974A1 (en) Small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inear motor
KR101361783B1 (ko)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JP2007226234A (ja) レンズ移送装置
KR20110080297A (ko) 압전 액추에이팅 장치
KR100996521B1 (ko) 압전 전기기계식 구동유니트
JP2010081778A (ja) 駆動装置の駆動方法
KR100723172B1 (ko) 렌즈 이송장치
KR101048047B1 (ko)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649756B1 (ko) 렌즈 이송장치
KR20070040535A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728372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683933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683934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683930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728373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728374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683932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JP2009296794A (ja) 慣性駆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70065699A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728371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KR100728370B1 (ko)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JP2012151924A (ja) 振動体保持機構、振動モータ及び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