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172A -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172A
KR20070040172A KR1020050095576A KR20050095576A KR20070040172A KR 20070040172 A KR20070040172 A KR 20070040172A KR 1020050095576 A KR1020050095576 A KR 1020050095576A KR 20050095576 A KR20050095576 A KR 20050095576A KR 20070040172 A KR20070040172 A KR 2007004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voltage
driv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환
강남수
박행원
이용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0172A/ko
Publication of KR2007004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bucking or boosting dc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가변부와,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CIRCUIT FOR GENERATING DRIVING VOLTAG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GENERATING DRIVING VOL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전압 생성부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 전압 생성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3의 스위칭 전압 가변부를 구성하는 저항들의 값에 따른 구동 전압 생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각 저항들의 값에 따른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 레벨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정 표시 장치 100 : 액정 패널
200 : 타이밍 컨트롤러 300 : 소스 드라이버
400 : 게이트 드라이버 500 : 구동 전압 생성부
510 : 전압 승압부 520 : 스위칭 전압 가변부
530 :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 540 : 게이트 오프 전압 생성부
550 : 전원 전압 생성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의 구동 전압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화, 저전력 소모의 장점들을 가지며, 노트북 컴퓨터 및 LCD TV 등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스위치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동영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정한 공간을 갖고 합착된 두 개의 기판(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표시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 방식으로 원하는 화상 신호가 표시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화소의 액정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야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기 위해서는 +20V 이상, -5V 이하의 게이트 전압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게이트 온 전압을 만드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차지 펌프 회로(Charge Pump Circuit)를 사용하는 것이다.
차지 펌프 회로는 기준이 되는 스위칭 펄스 전압의 배수로(2배 혹은 3배) 게이트 온 전압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차지 펌프 회로에서 10V의 스위칭 펄스 전압으로 게이트 온 전압을 생성할 경우, 20V 혹은 30V의 게이트 온 전압만 생성되며, 그 외 원하는 전압 레벨은 생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위칭 펄스 전압에 관계없이 원하는 게이트 온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가변부와,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펌핑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가변부는 상기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전압 펌핑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부와, 그리고 상기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전압 펌핑부 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부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부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들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부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부는 저항 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은 상기 각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각 다이오드의 연결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펌핑부는 차지 펌핑 방식으로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구동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전압 생성 회로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가변부와,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펌핑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전압 생성 회로로부터 상기 구동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라인별로 차례로 온 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방법은,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액정 패널(100), 타이밍 컨트롤러(200), 소스 드라이버(300), 게이트 드라이버(400), 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부(500)로 구성된다.
액정 패널(100)은 다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각각의 픽셀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R), 액정으로부터의 전류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저장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액정 커패시터(Liquid Crystal Capacitor, CLC)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일 단자는 소스 라인(SL)에 연결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박막 트랜지스터(TR)의 타 단자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액정 커패시터(CLC)는 박막 트랜지스터(TR)의 타 단자와 공통 전압(Common Voltage, VCOM) 사이에 연결된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200)는 소스 드라이버(300) 및 게이트 드라이버(400)에서 요구되는 타이밍에 맞도록 영상 데이터 신호들(Data)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소스 드라이버(300) 및 게이트 드라이버(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한다.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혹은 데이터 드라이버(Data Driver), 30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들로 구성된다. 소스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 및 구동 전압 생성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전압(AVDD)에 응답하여, 액정 패널(100) 상에 배치되는 소스 라인들(SL)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 라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400)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IC들로 구성되며, 액정 패널(100)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40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에서 인가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스캔 펄스를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와, 스캔 펄스의 전압을 액정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 등으로 구성된다. 스캔 펄스는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게이트 온 전압이 인가된 게이트 라인(GL)의 픽셀을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구동 전압 생성부(5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VCC)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10)에서 필요한 전압들(AVDD, VON, VOFF 등)을 생성한다. 구동 전압 생성부(500)에서 생성되는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게이트 드라이버(400)에 인가되어, 액정 패널(100)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TR)를 온/오프시킨다. 이를 위해, 게이트 온 전압(VON)은 +20V 이상이 되어야 하고,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5V 이하가 되어야 한다.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스위칭 펄스 전압을 기준으로 차지 펌프 회로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때, 차지 펌프 회로는 스위칭 펄스 전압의 레벨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다이오드의 전압 드롭(Voltage Drop)을 이용하여 스위칭 펄스 전압의 레벨을 원하는 레벨로 가변하여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생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전압 생성부(50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구동 전압 생성부(500)는 전압 승압부(510),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 게이트 오프 전압 생성부(540), 그리고 전원 전압 생성부(550)로 구성된다.
전압 승압부(Voltage Booster, 510)는 입력 전압(VCC)을 소정 배수 정도 승압하여, 0V에서 승압된 전압 레벨 사이를 스윙하는 스위칭 펄스 전압(VSW)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3.3V인 입력 전압(VCC)이 3배 승압의 능력을 가진 전압 승압부(510)를 거치게 되면, 0V에서 약 10V 사이를 스윙하는 스위칭 펄스 전압(VSW)이 발생된다.
전원 전압 생성부(550)는 스위칭 펄스 전압(VSW)을 이용하여 전원 전압(AVDD)을 생성한다.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는 전압 승압부(510)에서 출력된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레벨을 가변하여,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발생한다.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들(Diode)로 구성되며, 다이오드의 전압 드롭을 이용하여 원하는 레벨의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발생한다.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과 전원 전압(AVDD)을 이용하여 게이트 온 전압(VON)을 생성한다.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는 순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차지 펌프 회로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배수(2배 혹은 3배)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발생한다. 이때, 전원 전압(VCC)은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시작 전압이 되는 기준 전압(Reference Voltage)이 된다.
게이트 오프 전압 생성부(540)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이용하여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생성한다. 게이트 오프 전압 생성부(540)는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차지 펌프 회로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1)배가 되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발생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에서 출력되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이용하게 되므로, 다양한 범위의 전압 레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구동 전압 생성부(500)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구동 전압 생성부(500)의 전압 승압부(510)는 DC-DC 컨버터(511), 저항(R1, R2), 그리고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입력 전압(VCC)을 소정 배수 정도 승압하여, 스위칭 펄스 전압(VSW)을 발생한다. DC-DC 컨버터(511)는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레벨을 저항(R1, R2) 분압을 이용하여 피드백 받아(VFB), 원하는 레벨의 스위칭 펄스 전압(VSW)이 생성되도록 한다. 입력 전압(VCC)에 대한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레벨은 DC-DC 컨버터(511)의 승압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는 저항(R3, R4, R5, R6), 전압 승압부(510)와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2, D4), 그리고 전압 승압부(510)와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 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 (D3, D5)로 구성된다. 저항(R3, R4, R5, R6)은 0Ω 혹은 오픈(Open)되어 다이오드(D2, D3, D4, D5)의 연결을 제어한다. 저항(R3, R4, R5, R6)은 외부에 점퍼 옵션(Jumper Option)을 두고, 그 값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 중, 각 다이오드(D2, D3, D4, D5)의 전압 드롭은 약 0.7V 정도로, 연결된 다이오드의 개수에 의해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레벨이 결정된다. 즉,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레벨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레벨에서 다이오드의 개수만큼의 전압 드롭을 뺀 나머지 값이 된다. 예를 들어,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0Ω인 경우, 전류 패스는 다이오드(D2, D3, D4, D5)를 거치지 않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과 동일한 레벨을 갖게 된다. 만약,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오픈인 경우, 전류 패스는 다이오드(D2, D3, D4, D5)를 모두 거치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에서 4개의 다이오드에 대한 전압 드롭을 뺀 나머지 값이 된다. 도 3의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는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실시예로 든 것으로, 원하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레벨에 따라 다이오드는 가감될 수 있다.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는 전원 전압(AVDD)와 게이트 온 전압(VON)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네 개의 다이오드(D6, D7, D8, D9)와 네 개의 커패시터들(C1, C2, C3, C4)로 구성된 차지 펌프 회로이다. 게이트 온 전압 생성부(530)는 전원 전압(AVDD)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되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3배로 펌핑한 게이트 온 전압(VON)을 발생한다.
게이트 오프 전압 생성부(540)는 출력되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에 대해 역방향으로 연결된 네 개의 다이오드(D10, D11, D12, D13)와 네 개의 커패시터들(C5, C6, C7, C8)로 구성된 차지 펌프 회로이다. 게이트 오프 전압 생성부(540)는 입력되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1)배로 펌핑한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발생한다.
전원 전압 생성부(550)는 커패시터들(C9 ~ C13)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스위칭 펄스 전압(VSW)을 일정한 레벨을 갖는 전원 전압(AVDD)으로 출력한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3의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를 구성하는 저항들의 값에 따른 구동 전압 생성부(5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A와 같이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0Ω인 경우, 전류 패스는 다이오드(D2, D3, D4, D5)를 거치지 않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과 동일하게 된다.
도 4B와 같이 R3와 R6이 0Ω이고, R4와 R5는 오픈인 경우, 전류 패스는 저항 R3와 다이오드 D3, 그리고 다이오드 D4와 저항 R6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상하 전압 값에서 각각 하나의 다이오드에 대한 전압 드롭을 뺀 나머지 값이 된다. 도 4의 B는 R3과 R6이 오픈이면서, R4와 R5는 0Ω인 경우와 동일하다.
도 4C와 같이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오픈인 경우, 전류 패스는 다이오드(D2, D3, D4, D5)를 모두 거치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상하 전압 값에서 각각 두 개의 다이오드에 대한 전압 드롭 을 뺀 나머지 값이 된다.
도 5는 도 4의 각 저항들의 값에 따른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 레벨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이때 스위칭 펄스 전압(VSW)은 0V에서 10V 사이를 스윙하는 펄스 신호로 가정한다.
도 5의 A는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0Ω인 경우,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파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0Ω이면, 전류 패스는 다이오드(D2, D3, D4, D5)를 거치지 않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과 동일한 파형을 갖게 된다.
도 5의 B는 R3과 R6이 0Ω이고, R4와 R5는 오픈인 경우,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파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 전류 패스는 저항 R3와 다이오드 D3, 그리고 다이오드 D4와 저항 R6을 거치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상하 전압 값에서 각각 하나의 다이오드에 대한 전압 드롭을 뺀 나머지 값이 된다.
도 5의 C는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오픈인 경우,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파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항들(R3, R4, R5, R6)이 모두 오픈이면, 전류 패스는 다이오드(D2, D3, D4, D5)를 모두 거치게 되므로,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은 스위칭 펄스 전압(VSW)의 상하 전압 값에서 각각 두 개의 다이오드에 대한 전압 드롭을 뺀 나머지 값이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전압 생성부(500)에서 발생된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에서 출력되는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을 이용하게 되므로, 원하는 전압 레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가변 스위칭 펄스 전압(VSWC)의 레벨은 스위칭 전압 가변부(520)를 구성하는 다이오드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한 구동 방식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 예를 들면 ECD(Electrochromic display), DMD(Digital Mirror Device), AMD(Actuated Mirror Device), GLV(Grating Light Valu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는 대화면 TV,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휴대용 컴퓨터, 캠코더,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정보통신용 멀티미디어, 및 가상현실 분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칭 펄스 전압에 관계없이 원하는 게이트 온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류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승압부;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가변부;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가변부는,
    상기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전압 펌핑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부; 그리고
    상기 전압 승압부와 상기 전압 펌핑부 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부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부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부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부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은 상기 각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각 다이오드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펌핑부는 차지 펌핑 방식으로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
  6. 패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압 생성 회로;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구동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전압 생성 회로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승압부;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가변부;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펌 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전압 생성 회로로부터 상기 구동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라인별로 차례로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위칭 구동 전압의 레벨을 가변하여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구동 전압을 펌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전압 생성 방법.
KR1020050095576A 2005-10-11 2005-10-11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KR20070040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76A KR20070040172A (ko) 2005-10-11 2005-10-11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76A KR20070040172A (ko) 2005-10-11 2005-10-11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72A true KR20070040172A (ko) 2007-04-16

Family

ID=3817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576A KR20070040172A (ko) 2005-10-11 2005-10-11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01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378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176740B2 (en) 2015-03-19 2019-0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378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123309B2 (en) 2011-11-25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ing boosting-on and boosting-off gate driving voltages
US10176740B2 (en) 2015-03-19 2019-0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111B1 (ko) 온도 보상이 된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KR20070042367A (ko) 온도 보상이 된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KR10128192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82189B1 (ko) 전압발생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723853B2 (en) Driving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US200701092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334114B2 (ja) 表示装置
US20060289893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having reduced pixel electrode discharge time upon power cut-off
KR100755599B1 (ko)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기기
US20090066684A1 (en) Display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same
KR20180066375A (ko) 시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13393790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装置及显示装置
US200801581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354601B2 (en) DC voltage conversion circuit, DC voltage conversion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40172A (ko)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 방법
KR20060127504A (ko) 공통 전압 피드백 회로를 포함한 소스 드라이버를 가지는액정 표시 장치
KR10145157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7582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5796A (ko) 구동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1617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9457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 발생 모듈
KR20100042359A (ko) 표시 장치
KR2011007541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723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90045B1 (ko) 전하펌핑회로를이용한게이트온전압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