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802A -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802A
KR20070039802A KR1020050095094A KR20050095094A KR20070039802A KR 20070039802 A KR20070039802 A KR 20070039802A KR 1020050095094 A KR1020050095094 A KR 1020050095094A KR 20050095094 A KR20050095094 A KR 20050095094A KR 20070039802 A KR20070039802 A KR 2007003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user
massage
fastening band
abd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075B1 (ko
Inventor
박진서
박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홈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홈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홈드림
Priority to KR102005009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0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마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판상의 등판부(10),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진동을 주며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트롤러(21)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조끼 형상으로 하는 안마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의 양측 상부로부터 각각 이어져, 사용자의 어깨를 두르며 이어져 끝 부분이 사용자의 양측 복부측으로 위치되도록 길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어깨부분 및 복부측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10)의 다수 곳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어, 안마조끼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비하며, 특히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도록 하여 안마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며,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에 관한 것이다.
안마조끼, 바이브레이터, 등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Easily Wearing Massage Vest}
도 1은 본 발명 안마조끼를 펼친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 안마조끼를 착용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안마조끼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안마조끼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안마조끼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마조끼 10 : 등판부
20 : 바이브레이터 21 : 콘트롤러
30 : 제1지부 31 : 제3체결띠
32 : 벨크로테잎 33 : 밀착부
40 : 제2지부 41 : 제4체결띠
50 : 체결띠 51 : 제1체결띠
52 : 제2체결띠
본 발명은 안마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주되, 특히 안마조끼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비하며,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도록 하여 안마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며,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마는 뭉친 근육을 풀어주거나, 환부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피로를 풀어주는 치료효과를 도모하는 것으로, 사람이 직접 손으로다른 사람의 신체부위를 주물러 줌이 보통인데, 최근에는 혼자서 기기를 조작하여 안마를 할 수 있는 자동 안마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마기의 한 종류로 안마용 조끼가 있는데, 이러한 안마용 조끼는 의복 조끼 형상으로, 등부뷔에 진동을 발생하는 다수 개의 진동자를 구비하고, 전기적 접속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마용 조끼는 주로 등 부분을 안마하도록 하고 있어, 신체의 다른 부위를 안마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신체에 밀착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안마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한 코일 및 자석에 의한 진동자인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안마조끼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비하며, 특히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도록 하여 안마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며,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판상의 등판부,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진동을 주며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조끼 형상으로 하는 안마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의 양측 상부로부터 각각 이어져, 사용자의 어깨를 두르며 이어져 끝 부분이 사용자의 양측 복부측으로 위치되도록 길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지부 및 제2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부 및 제2지부의 어깨부분 및 복부측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의 다수 곳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은 상기 등판부의 하측 또는 상기 제1지부 혹은 상기 제2지부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사용자의 허리에 위치되는 등판부의 다수 곳에, 그리고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1지부 및 제2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의 측면 끝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하여 사용자의 복부의 전면부를 둘러지도록 하며, 상기 제1지부 및 제2지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사용자의 복부측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띠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체결띠는 상기 등판부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복부에서 서로 중첩되어 체결되도록 제1체결띠 및 제2체결띠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지부 및 제2지부의 끝단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띠 또는 상기 제2체결띠와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띠 및 제4체결띠를 구비하며, 특히 상기 체결띠, 상기 제1체결띠, 상기 제2체결띠, 상기 제3체결띠 또는 상기 제4체결띠는 단추, 클립 또는 벨크로테잎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1지부 및 상기 제2지부는 어깨부분에서 전면의 사용자의 가슴부분으로 향하도록 별도로 구비되어, 고리, 원형 끈 또는 원형이나 추형상의 메달리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당기면 양측 어깨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더 구비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는 상기 등판부의 양측단과 상기 제1지부 또는 상기 제2지부의 측단을 각각 잇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결측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부 및 상기 제2지부의 사이를 이으며 단추, 클립 또는 벨크로테잎으로 체결되는 연결중앙끈을 더 구비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연결중앙끈은 상기 제1지부 및 상기 제2지부 사이의 사용자의 복부에서 체결되는 하중앙끈과 사용자의 가슴에서 체결하도록 하는 상중앙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지부 및 상기 제2지부는 어깨부분에서 전면의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별도로 구비되어, 고리, 원형 끈 또는 원형이나 추형상의 메달리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당기면 양측 어깨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더 구비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판상의 등판부,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진동을 주며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조끼 형상으로 하는 안마조끼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1모드 선택단계(S1)", "제2모드 선택단계(S2)", "제3모드 선택단계(S3)", "일반모드 선택단계(S4)" 로 하여 작동되며, 상기 제1모드는 등부분은 2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1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1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모드는 등부분은 1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2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1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3모드는 등부분은 1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 은 1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2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일반 모드는 등부분, 어깨부분 및 복부부분의 세기 및 회수를 동일하게 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안마조끼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안마조끼를 펼친 전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 안마조끼를 착용에 따른 착용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 안마조끼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안마조끼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8에 대한 측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 안마조끼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안마조끼(1)는,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판상 형상의 등판부(10),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진동을 주며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에 전선(24)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콘트롤러(21)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조끼 형상으로 구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특히 상기 등판부(10)의 양측 상부로부터 각각 이어져, 사용자의 어깨를 두르며 이어져 끝 부분이 사용자의 양측 복부측으로 위치되도록 길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어깨부분(20-5, 20-6) 및 복부측(20-7, 20-8)에 상기 바이브레이터(20)가 각각 설치되며, 또한 상기 등판부(10)의 다수 곳에 상기 바이브레이터(20-1, 20-2, 20-3, 20-4)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때 콘트롤러(21) 및 바이브레이터(20)에 전기를 공급하는 플러그(22)와 콘트롤러(21)의 작동을 위한 리모콘(23)이 전기선으로 각각 연결되며, 이에 전기 공급은 충전용 밧데리를 본 안마조끼의 등판부(10) 일측에 함께 구비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리모콘(23)의 작동에 의해 콘트롤러(21)는 등판부(10)와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가 작동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에 등판부(10)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20-1, 20-2, 20-3, 20-4)는 사용자의 등을 안마하듯이 진동 발진하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어깨부분의 바이브레이터(20-5, 20-6)는 사용자의 어깨를 안마하듯이 진동 발진하고, 복부 부분의 바이브레이터(20-7, 20-8)는 사용자의 복부를 안마하듯이 진동 발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바이브레이터(20)의 구성은 기본적인 코일과 자석에 의해 작동하는 일반적인 진동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기의 통전과 함께 코일의 중심에 위치한 자석과 연동되는 안마용 접촉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안마하도록 하는 통상의 안마용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350522호 "기능이 향상된 솔레노이드형 진동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1)는, 특히 상기 등판부(10)의 측면 끝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하여 사용자의 복부의 전면부를 둘러지도록 하며,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바이브레이터(20-7)(20-8)를 사용자의 복부측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띠(50)를 구비하였다. 이때 상기 체결띠(50)는 상기 등판부(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복부에서 서로 중첩되어 체결되도록 제1체결띠(51) 및 제2체결띠(52)로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등판부(10)의 양측 중 어느 한 쪽에만 지지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둘러지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끝단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띠(51) 또는 상기 제2체결띠(52)와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띠(31) 및 제4체결띠(41)를 각각 구비하였으며,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체결띠(50), 상기 제1체결띠(51), 상기 제2체결띠(52), 상기 제3체결띠(31) 또는 상기 제4체결띠(41)는 단추, 클립 또는 벨크로테잎 등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도록 하였다.
즉 체결띠(50)를 단일로 하여 구비하여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구비할 경우에는, 체결띠(50)의 내측과 등판부(10)의 후면에 각각 상호 결합되는 벨크로테잎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나, 단추-구멍 또는 한 쌍의 클립으로 하여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1체결띠(51) 및 제2체결띠(52)로 하여 구비할 경우에는 제2체결띠(52) 외측과 제1체결띠(51) 내측에 각각 상호 결합되는 벨크로테잎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나, 서로 단추-구멍 또는 한 쌍의 클립으로 하여 구비가 가능하다.
또한 제3체결띠(31) 및 제4체결띠(41)를 구비할 경우에는 제3체결띠(31)의 일측면과 제1체결띠(51) 내측면, 그리고 제4체결띠(41)의 일측면과 제2체결띠(52)의 내측면에 각각 상호 결합되는 벨크로테잎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 내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체결띠(31)를 제1지부(30)의 외측에 연결되며 제1지부(30)의 전면부에 겹쳐지도록 구비할 경우에는 제3체결띠(31)의 내측면, 측 제1지부(30)의 전면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벨크로테잎(32)을 형성하여 제1체결띠(51)의 벨크로테잎(53)과 결합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제4체결띠(41)도 제2지부(40)의 외측에 연결되며 내측면에 벨크로테잎(42)를 형성하여 제2체결띠(52)의 벨크로테잎(54)과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제2체결띠(52)를 사용자의 복부와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끝부분을 감싸듯 두른 다음, 도 6에서와 같이, 제1체결띠(51)를 두르도록 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제2체결띠(52)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띠(51)의 벨크로테잎(53)과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벨크로테잎(55)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안마조끼는 사용자의 몸에 각각의 바이브레이터(20)를 최대한 밀착하여야만 안마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에, 체결띠(50)를 체결할 경우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제1체결때(51)와 제3체결띠(31), 제2체결띠(52)와 제4체결띠(41)를 알맞게 조절하여 결합한 후, 제2체결띠(52)와 그 위에 제1체결띠(51)의 결합을 견고하도록 하여야 함이 중요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 안마조끼(1)의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에는, 어깨부분에서 전면의 사용자의 가슴부분으로 향하도록 별도로 구비되어, 고리, 원 형 끈 또는 원형이나 추형상의 메달리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당기면 양측 어깨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20-5)(20-6)가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33)(43)를 더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마조끼(1)를 착용하여 바이브레이터(20)를 작동한 상태에서 각각의 밀착부(33)(43)를 전면 아래 방향으로 당기면 각각의 바이브레이터(20-5)(20-6)가 사용자의 어깨를 더욱 강하게 진동하여 안마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를 나타내는 도 8 및 도 9에 의하면, 상기 등판부(10)의 양측단과 상기 제1지부(30) 또는 상기 제2지부(40)의 측단을 각각 잇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결측끈(6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의 사이를 이으며 단추, 클립 또는 벨크로테잎으로 체결되는 연결중앙끈(65)을 더 구비하였다. 이에 연결측끈(60)은 분리가 가능하며 벨크로테잎 등으로 구비하여 일단은 등판부(10) 양측에 구비하고 타측은 각각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에 체결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등판부(10)와 각각의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를 항상 연결되도록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벨크로테잎의 크기 및 연결측끈(60)의 크기는 각각의 바이브레이터(20)가 사용자의 몸에 최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그 크기를 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측끈(60)의 다른 형태로는 고무재질을 함유하는 신축성 끈인 신축 밴드로 구비하여, 착용할 때에는 연결측끈(60)이 늘어나 등판부(10)와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사이 공간이 넓어져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착용후에는 연결측끈(60)의 신축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쪽으로 등판부(10)와 제1지 부(30) 및 제2지부(40)가 밀착되도록 함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중앙끈(65)은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 사이의 사용자의 복부에서 체결되는 하중앙끈(66)과 사용자의 가슴에서 체결하도록 하는 상중앙끈(67)으로 구비하여, 보다 체결이 견고하도록 구비가 가능하다. 이에 상중앙끈(67)을 사용자의 복부 부근의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 끈부분에 모이도록 구비함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중앙끈(67)은 벨크로테잎 형태로 하여 제1지부(30)와 제2지부(40)가 체결되도록 하며, 하중앙끈(66)은 클립에 의하여 체결되어도 좋다.
이에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에는 어깨부분에서 전면의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별도로 구비되어, 고리, 원형 끈 또는 원형이나 추형상의 메달리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당기면 양측 어깨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20-5)(20-6)를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33')(43')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1)의 착용순서 및 작동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띠(50)의 구성을 제1체결띠(51), 제2체결띠(52), 제3체결띠(31) 및 제4체결띠(41)로 하여 구비할 경우에는, 우선 등판부(10)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위치시킨 후, 제1지부(30)를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측으로, 제2지부(40)를 사용자의 왼쪽 어깨측으로 둘러지도록 하여, 각각의 끝단이 사용자 의 복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3체결띠(31)의 외측 벨크로테잎(32)이 제1체결띠(51)의 벨크로테잎(53)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4체결띠(41)의 외측 벨크로테잎(32)이 제2체결띠(52)의 내측면 벨크로테잎(54)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한 후, 제2체결띠(52)를 사용자의 복부 및 제1지부(30)와 제2지부(40)가 감싸지도록 두른 다음, 제1체결띠(51)를 제2체결띠(5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둘러, 제1체결띠(51)의 벨크로테잎(53)과 제2체결띠(52)의 외측면 벨크로테잎(55)이 결합되도록 하여, 안마조끼(1)가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플러그(22)를 이용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등판부(10)에 구비가 가능한 충전 전기에 의하여 콘트롤러(21)가 작동하도록 한다. 즉 리모콘(23)의 전원스위치를 누른 후, "강, 중, 약"으로 하는 세기를 조절하여 리모콘(23)을 작동하면, 콘트롤러(21)는 알맞은 주기와 세기로 각각의 바이브레이터(20)로 전기를 전송하여 바이브레이터(20)가 진동하여 사용자의 적소의 몸을 안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밀착부(33)의 고리 또는 원형 장신구를 전면 하측방향으로 당기어, 어깨부분의 안마효과가 증진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등판부(10)에는 네 개소와 양측 어깨부분, 그리고 양측 복부부분에 바이브레이터(20)를 각각 구비하였으며, 이렇게 구비되는 각각의 바이브레이터(20)를 별도로 정하여진 순서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진동하도록 구비가 가능하다.
또한 어깨부분이 아픈 경우, 등부분이 아픈 경우, 또는 복부 부분의 안마가 필요한 경우를 나누어 각각 필요한 정도, 세기 및 회수를 정하여 진동하도록 하여 안마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작동은 리모콘(23)의 조작에 의해 콘트롤러(21)에서 작동신호를 각각의 바이브레이터(20)에 보내어 작동하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드 선택단계(S1)", "제2모드 선택단계(S2)", "제3모드 선택단계(S3)", "일반모드 선택단계(S4)" 그리고 상기 단계를 반복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 단계(S5)로 하여 구비되어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각각의 단계에 더 추가하여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1모드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좀더 강하게 안마할 경우에 사용함을 예시한 것으로, 등부분을 좀더 강하게 안마하거나 안마회수를 증가하여 안마하도록 한 것이다. 예로하여 등부분을 2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을 1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을 1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을 지시하면, 등부분의 안마 회수가 많아 등부분이 집중되어 안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모드로 안마작동을 완료하면 다시 제1모드를 작동할 것인지 여부를 묻도록 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바로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2모드는 사용자의 어깨부분을 좀더 강하게 안마할 경우에 사용함을 예시한 것이다. 예로하여 등부분은 1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2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1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을 지시하면, 결국 어깨부분의 안마 회수가 많아 어깨부분이 집중되어 안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모드로 안마작동을 완료하면 다시 제2모드를 반복하여 작동할 것인지 묻도록 하며, 제2 모드를 반복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반복하여 제1모드를 묻는 단계로 진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처음 단계로 가지 아니하고 바로 종료하는 것에 대한 여부를 묻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모드는 사용자의 복부부분을 좀더 강하게 안마할 경우에 사용함을 예시한 것으로, 예로하면 등부분은 1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1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2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면, 결국 복부부분의 안마 회수가 많아 복부부분이 집중되어 안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모드로 안마작동을 완료하면 다시 제3모드를 반복하여 작동할 것인지 묻도록 하며, 제3모드를 반복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반복하여 제1모드를 묻는 단계로 진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처음 단계로 가지 아니하고 바로 종료하거나 또는 제2모드를 작동하는 것에 대한 여부를 묻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모드의 경우에는 등부분, 어깨부분 및 복부부분의 세기 및 회수를 동일하게 하여 작동하도록 한 것이며, 각각의 모드에서 세기를 "강" "약", 또는 "강" "중" "약"으로 하는 등 세기를 조절하도록 하며, 각각의 모드에 알맞는 작동을 한 후에는 다시 해당하는 모드의 작동을 반복할 것이가를 묻도록 하여, 해당하는 모드의 작동을 집중하여 안마하여 안마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반모드로 안마작동을 완료하면 다시 일반모드를 반복하여 작동할 것인지 묻도록 하며, 일반모드를 반복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반복하여 제1모드를 묻는 단계로 진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처음 단계로 가지 아니하고 바로 종료하거나 또는 제2모드나 제3모드 진행하는 것에 대한 여부를 묻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각의 모드에서 예시된 회수와 세기는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집중되는 회수를 집중되는 부분은 2배 진동 회수, 그외 부분은 1배 진동 회수로 하였으나, 이는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비율일 뿐 바이브레이터의 진동회수는 아니며, 실제로 진동회수는 더 많은 수로 진동되어야만 안마효과가 있음은 바이브레이터의 안마 마사지 기술에서는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모드의 상태는 단순히 집중되는 부분은 2배, 그외 부분은 1배로 하였으나, 집중되는 부분이 다수 회, 그 외부분은 상태적으로 적은 회수 및 약한 강도로 안마되도록 한 것으로, 예로 하면 제1모드는 등 부분이 3회, 어깨부분이 2회, 배 부분을 1회로 하거나, 등 부분은 강하게 4회, 어깨 부분은 강하게 1회, 배 부분은 약하게 2회 등으로 하여, 집중되는 부분은 강하게 다수회 하며, 그 외 부분은 적정한 상태에서 약하게 안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변화되어 모드가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20)의 구비 위치가 사용자의 등부분, 어깨부분 및 복부부분 만을 예시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등과 어깨 사이의 상측 등부분, 어깨와 복부사이의 가슴 등에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함이 가능하며, 또한 작동모드도 더욱 정교하도록 추가가 가능하다. 그리고 등판부(10) 및 제1지부(30)와 제2지부(40)의 길이를 좀더 길게하여 엉덩이 부분 또는 다리의 상측부분도 안마가 가 능하도록 구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등판부(10) 및 제1지부(30)와 제2지부(40)에 총 8개의 바이브레이터(20)를 구비한 상태에서, 등판부(10)가 허벅지 뒷부분에 위치되고,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면, 하체도 골고루 안마되어 하체 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한 코일 및 자석에 의한 진동자인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안마조끼에 있어서, 양측 어깨를 두르며 착용하도록 하기 때문에 착용이 용이하며, 특히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등판부 및 복부부분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도록 하여 안마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며, 다양한 사용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안마를 하도록 하여 안마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판상의 등판부(10),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진동을 주며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트롤러(21) 및 리모콘(23)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조끼 형상으로 하는 안마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의 양측 상부로부터 각각 이어져, 사용자의 어깨를 두르며 이어져 끝 부분이 사용자의 양측 복부측으로 위치되도록 길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복부측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10)의 다수 곳인 등 부분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23)은 상기 등판부(10)의 하측 또는 상기 제1지부(30) 혹은 상기 제2지부(4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사용자의 허리에 위치되는 등판부(10)의 다수 곳에, 그리고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10)의 측면 끝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하여 사용자의 복부의 전면부를 둘러지도록 하며,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사용자의 복부측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띠(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50)는 상기 등판부(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복부에서 서로 중첩되어 체결되도록 제1체결띠(51) 및 제2체결띠(5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의 끝단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띠 또는 상기 제2체결띠와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띠 및 제4체결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50), 상기 제1체결띠, 상기 제2체결띠, 상기 제3체결띠 또는 상기 제4체결띠는 단추, 클립 또는 벨크로테잎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는
    어깨부분에서 전면의 사용자의 가슴부분으로 향하도록 별도로 구비되어, 고리, 원형 끈 또는 원형이나 추형상의 메달리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당기면 양측 어깨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사용자의 허리에 위치되는 등판부(10)의 다수 곳에, 그리고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1지부(30) 및 제2지부(40)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10)의 양측단과 상기 제1지부(30) 또는 상기 제2지부(40)의 측단을 각각 잇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결측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의 사이를 이으며 단추, 클립 또는 벨크로테잎으로 체결되는 연결중앙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중앙끈은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 사이의 사용자의 복부에서 체결되는 하중앙끈과 사용자의 가슴에서 체결하도록 하는 상중앙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부(30) 및 상기 제2지부(40)는
    어깨부분에서 전면의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별도로 구비되어, 고리, 원형 끈 또는 원형이나 추형상의 메달리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당기면 양측 어깨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안마조끼로 구비되는 안마조끼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1모드 선택단계(S1)",
    "제2모드 선택단계(S2)",
    "제3모드 선택단계(S3)",
    "일반모드 선택단계(S4)" 로 하여 작동되며,
    상기 제1모드는 등부분은 2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1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1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모드는 등부분은 1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2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1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3모드는 등부분은 1배 진동 회수, 어깨부분은 1배 진동 회수 그리고 복부부분은 2배 진동 회수로 하여 반복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일반 모드는 등부분, 어깨부분 및 복부부분의 세기 및 회수를 동일하게 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조끼의 작동방법.
KR1020050095094A 2005-10-10 2005-10-10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KR10071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94A KR100719075B1 (ko) 2005-10-10 2005-10-10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94A KR100719075B1 (ko) 2005-10-10 2005-10-10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802A true KR20070039802A (ko) 2007-04-13
KR100719075B1 KR100719075B1 (ko) 2007-05-17

Family

ID=3816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94A KR100719075B1 (ko) 2005-10-10 2005-10-10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25B1 (ko) * 2011-10-04 2013-09-05 동보시스템 주식회사 어깨 착용식 안마기
CN105030522A (zh) * 2015-08-14 2015-11-11 上海银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肺功能装置
WO2021172789A1 (ko) * 2020-02-24 2021-09-02 이현웅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02A (en) 1988-01-15 1990-12-25 Hunt Troy T Combined massage and heating devices
US6329638B1 (en) 2000-09-11 2001-12-11 Vicky W. Bloodworth Heating vest system
KR20020055558A (ko) * 2000-12-28 2002-07-09 조영만 조끼식 안마기
KR200345221Y1 (ko) 2003-12-17 2004-03-18 오국근 안마조끼
KR100575136B1 (ko) * 2003-12-19 2006-05-03 김기웅 안마용 조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25B1 (ko) * 2011-10-04 2013-09-05 동보시스템 주식회사 어깨 착용식 안마기
CN105030522A (zh) * 2015-08-14 2015-11-11 上海银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肺功能装置
WO2021172789A1 (ko) * 2020-02-24 2021-09-02 이현웅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075B1 (ko)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8886A1 (en) Detachable, hot-packing and massaging strap
CN102133151B (zh) 组合气囊式人体柔性通血排瘀按摩器
KR20140039436A (ko) 스마트 헬스 벨트
KR100719075B1 (ko) 착용이 용이한 안마조끼
CN109645577A (zh) 一种气囊式超声波按摩理疗保健内裤
KR20120001366U (ko) 복합 물리치료용 허리 밴드
CN202909062U (zh) 对人和动物实施外部刺激治疗的器械
WO2005072820A1 (ja) トリートメント用電極及びトリートメント装置
CN102026610B (zh) 一种肩背按摩器
CN209643875U (zh) 一种气囊式超声波按摩理疗保健内裤
WO2013124882A1 (ja) 電気刺激用装着具
JP3194492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CN103099727B (zh) 长条状组合气囊式人体柔性通血排瘀按摩器
KR20160099898A (ko)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KR20190121512A (ko) 의복형 척추 안정화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00063532A (ko) 저주파 근육자극장치
JP3217355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KR200305336Y1 (ko) 휴대용 저주파 마사지기
KR200394373Y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247169Y1 (ko) 건강 벨트
KR20100129095A (ko) 복대를 겸한 조립 및 분리형 밴드(고무줄) 운동기구
CN105030522A (zh) 一种保护肺功能装置
KR20150013407A (ko) 성장판 자극장치
JP3164559U (ja) サポーター
KR20200001897A (ko) 팰트니스용 골반 자극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