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715A -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715A
KR20070039715A KR1020050094915A KR20050094915A KR20070039715A KR 20070039715 A KR20070039715 A KR 20070039715A KR 1020050094915 A KR1020050094915 A KR 1020050094915A KR 20050094915 A KR20050094915 A KR 20050094915A KR 20070039715 A KR20070039715 A KR 2007003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isplay
auxiliary
broadcast
digita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738B1 (ko
Inventor
박정훈
류가현
염선희
박성일
서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7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방송 신호 처리부;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주 서비스가 제1 디스플레이로 출력되고 보조 서비스가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주 서비스를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보조 서비스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서비스 및 보조 서비스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최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주 서비스, 보조 서비스, 디스플레이, P/S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 장치{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 the DMB receiver having dual display and DMB receiver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의 다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DMB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방송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구성 필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DMB 수신 장치에서 DMB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DMB 수신 장치에서 DMB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0: 튜너 330: 방송 신호 처리부
340: 제어부 350: 메모리
360: 제1 디스플레이 370: 제2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은 높은 압축률을 갖는 최신 음성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CD 수준의 고품질 오디오 서비스뿐 아니라 날씨, 교통, 오락 및 영상 등의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EUREKA-147 DAB은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오디오 레이어 II에 기반한 고품질 오디오 압축 기술을 사용하여 CD 수준의 오디오 서비스 및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DAB에서 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방송으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 있다. DMB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방송을 모두 제공한다. DMB는 전송 수단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DMB의 오디오 방송에는 EUREKA-147과 같은 DAB 규격이 이용된다.
이러한 DMB 방송의 서비스는 주 서비스 및 보조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서비스가 다양화됨에 따라 주 서비스 및 보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 서비스 및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방송 신호 처리부;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주 서비스가 제1 디스플레이로 출력되고 보조 서비스가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주 서비스를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보조 서비스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FIG 0/2 필드에 포함된 P(Primary)/S(Secondary) 필드의 값을 해석하여 선택된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서비스 요소들이 주 서비스인지 또는 보조 서비스인지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다수 개의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다수 개의 보조 서비스 중 첫번째로 처리되어 제공되는 보조 서비스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의 보조 서비스를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고,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에 비해 저해상도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은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단계;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주 서비스는 제1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보조 서비스는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의 다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의 다중 구조는 앙상블(Ensemble), 서비스(Service) 및 서비스 요소(Service Component)를 가진다.
앙상블(Ensemble)은 복수의 인코딩된 오디오 스트림 및 복수의 데이터가 각 각 채널 코딩을 거친 후 시스템 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다중화된 것을 말한다. 하나의 방송국에서 하나의 앙상블을 제공함이 일반적이다. 서비스는 프로그램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출력을 말하고, 서비스 요소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말한다. 주어진 서비스의 서비스 요소들은 다중화 구성정보(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MCI)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서비스 요소들은 서브 채널(Sub Channel) 또는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FIDC)에 실려 전송된다.
도 1에서, DMB 서비스는 앙상블 #0(110) 및 앙상블 #1(115)를 포함한 적어도 2개의 앙상블을 포함한다. 앙상블 #0(110)은 서비스 #0(130) 및 서비스 #1(135)를 포함한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0(130)은 다시 서비스 요소 #0(150) 및 서비스 요소 #1(155)을 포함한 적어도 2개의 서비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요소는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로 나누어진다. 비디오 서비스인 경우, 예를 들어 비디오 방송 서비스를 주 서비스로 제공하고, 비디오 방송 서비스와 함께 텍스트 데이터 형태의 교통 정보 서비스를 보조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되며, 사용자가 보조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주 서비스만 사용자의 DMB 수신 장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보조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는 한 주 서비스만 DMB 수신 장치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가 보조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를 모두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주 서비스에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보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와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주 서비스로서 자막을 포함하는 AV 데이터가 표시되고, 보조 서비스로서 텍스트 형태의 교통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 AV 영상 위에 자막 및 교통 방송이 겹쳐서 출력되거나, 겹쳐서 출력되지 않더라도 자막과 교통 방송이 쉽게 식별되어 인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주 서비스는 주 디스플레이로서 해상도가 높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보조 서비스는 보조 디스플레이로서 제1 디스플레이보다 해상도가 낮은 데이터를 데이터를 출력하기에 적합한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보조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고도 주 서비스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와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보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DMB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DMB 수신 장치(300)는 안테나(310), 튜너(320), 방송신호처리부(330), 제어부(340), 메모리(350) 및 제1 디스플레이(360) 및 제2 디스플레이(370)를 포함한다. 튜너(320)는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여 안테나(310)에 수신되는 다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중 하나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방송신호처리부(330)는 튜너(3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 및/또는 디코딩한 후 제1 디스플레이(360) 및 제2 디스플레이(370)에 출력한다.
제어부(340)는 튜너(320), 방송 신호 처리부(330), 메모리(350), 제1 디스플레이(360) 및 제2 디스플레이(370)를 제어하고, 후술하는 FIG 0/2 필드에 포함된 P(Primary)/S(Secondary) 필드의 값을 해석하여 서비스 요소들이 주 서비스인지 또는 보조 서비스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주 서비스는 제1 디스플레이(360)로 출력하고, 보조 서비스는 제2 디스플레이(37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사용자 입력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방송 서비스 신호가 보조 서비스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경우, 보조 서비스 중 첫번째로 처리되어 제공되는 보조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 예를 들어, 시청 횟수가 많은 서비스의 유형의 보조 서비스를 제2 디스플레이(37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350)에는 사용자가 시청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유형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에 대한 검색 정보를 제어부(340)에 제공한다.
제1 디스플레이(360)는 통상 해상도가 높은 주 서비스의 데이터를 출력하기에 적합하며, 제2 디스플레이(370)는 텍스트 데이터나 저해상도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보조 서비스의 데이터를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360) 및 제2 디스플레이(370)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으 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방송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신호처리부(330)는 채널 디코더(331), 역다중화부(332), 디코더(333) 및 FIC 파서(334)를 포함한다. 채널 디코더(331)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고, 역다중화부(332)는 채널 디코딩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DMB 전송 프레임을 디코더(333)로 출력한다. 역다중화부(332)는 DMB 전송 프레임으로부터 FIC를 추출하여 FIC 파서(334)로 출력한다. FIC 파서(334)는 FIC를 파싱한 후 후술할 FIG 0/2 등의 정보를 제어부(340)로 제공한다. 디코더(333)는 DMB 전송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360) 및 제2 디스플레이(370)로 제공한다. 디코더(333)는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오디오 디코딩 수단, 비디오 디코딩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구성 필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구성은 앙상블에 전달되는 서비스 및 서비스 요소를 정의한다. FIG 0/2(The Extension 2 of FIG type 0)은 기본적인 서비스 구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하나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에 관한 내용기술(description)은 하나의 필드(서비스 필드 k)에 담겨 있다.
서비스 요소가 주(Primary) 요소인지 보조(Secondary) 요소인지는 서비스 요소 디스크립션의 P/S(Primary/Secondary) 필드(510)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P/S의 값이 "0"이면 보조 서비스임을 나타내고, "1"이면 주 서비스임을 나타낸다.
TMId(Transport Mechanism Identifier)의 값이 "00"인 경우 스트림 모드 오디오 서비스를 나타내고, "01"인 경우 스트림 모드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내고, "10"인 경우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 서비스를 나타내고, "11"인 경우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낸다. 패킷 모드와 스트림 모드의 비디오 서비스는 예를 들어, DSTCy(Data Service Component Type) 필드의 정해지지 않은 값을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P/S 필드(510)를 확인하여 서비스 요소가 주 요소인지 보조 요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DMB 수신 장치에서 DMB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방송 서비스 신호가 선택되고, 선택된 DMB 서비스가 방송 수신 장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보조 서비스가 포함된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보조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주 서비스를 주 디스플레이인 제1 디스플레이(610)에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서비스를 보조 디스플레이인 제2 디스플레이(620)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주 서비스가 비디오 방송 서비스이고 보조 서비스가 교통 방송 서비스인 경우, 주 서비스와 보조 서비스를 별개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AV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 이함과 동시에 보조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교통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6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DMB 수신 장치에서 DMB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서비스를 선택한다(S 710). 선택된 서비스를 디코딩한다(S 720).
선택된 서비스가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확인한다(S 730).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인지 여부는 FIG 0/2 필드에 포함된 P(Primary)/S(Secondary) 필드의 값을 해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주 서비스는 제1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보조 서비스는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S 740).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서비스 및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방송을 수신할 때 주 서비스는 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보조 서비스는 보조 디스플레이로 출력함으로써 주 서비스 및 보조 서비스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최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DMB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방송 신호 처리부;
    상기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주 서비스가 제1 디스플레이로 출력되고 상기 보조 서비스가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주 서비스를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보조 서비스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FIG 0/2 필드에 포함된 P(Primary)/S(Secondary) 필드의 값을 해석하여 상기 선택된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서비스 요소들이 주 서비스인지 또는 보조 서비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다수 개의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보조 서비스 중 첫번째로 처리되어 제공되는 보조 서비스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의 보조 서비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비해 저해상도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방송 서비스가 주 서비스 또는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서비스는 제1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상기 보조 서비스는 제2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50094915A 2005-10-10 2005-10-10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KR10073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15A KR100739738B1 (ko) 2005-10-10 2005-10-10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15A KR100739738B1 (ko) 2005-10-10 2005-10-10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715A true KR20070039715A (ko) 2007-04-13
KR100739738B1 KR100739738B1 (ko) 2007-07-13

Family

ID=3816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915A KR100739738B1 (ko) 2005-10-10 2005-10-10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7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770B1 (ko) * 2000-05-30 2002-08-28 한용철 차세대 모니터 및 이 모니터에 이피지를 디스플레이 하는방법
JP2004134931A (ja) * 2002-10-09 2004-04-30 Kenwood Corp Dab放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738B1 (ko) 200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18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cating programs after relocation
US8830404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4327233B2 (ja) 地上放送、ケーブル放送または衛星放送に適したプログラム・マップ・情報の形成および処理を行うシステム
JP4721478B2 (ja) 地上放送、ケーブル放送または衛星放送に適したプログラム特定情報を形成し処理するシステム
JP4805639B2 (ja) プログラム関連テキスト・メッセージを含んでいるパケット化されたビデオ・プログラム情報をデコードする方法
US8359614B2 (en) Channel hopping scheme for update of data for multiple services across multiple digital broadcast channels
JP4812936B2 (ja) 地上放送、ケーブル放送または衛星放送のためのテキストデータを含むプログラム特定情報の形成および処理を行うシステム
KR100636216B1 (ko)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송 수신 장치
KR100693653B1 (ko) 지상파 dmb수신기에 채널 튜닝 시 서비스 맵 구현방법
KR100750144B1 (ko)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채널정보 제공 방법
KR10073973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US7787817B2 (en) Method for providing heterogeneous services in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using picture-in-picture function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US776076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output time of broadcast content
KR1007064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0754185B1 (ko) 방송 서비스의 수신능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0310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및 방법
JP4281751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
KR200156496Y1 (ko) 프로그램정보를 표시하는 tv수상기
KR2007006551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KR2008003674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의 방송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