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756A -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756A
KR20070038756A KR1020050094022A KR20050094022A KR20070038756A KR 20070038756 A KR20070038756 A KR 20070038756A KR 1020050094022 A KR1020050094022 A KR 1020050094022A KR 20050094022 A KR20050094022 A KR 20050094022A KR 20070038756 A KR20070038756 A KR 2007003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urrent
precharge
supplying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8756A/ko
Publication of KR2007003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화상구현 영역내의 휘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충전을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들에 전계발광셀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따라 다른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고 상기 예비충전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예비충전 구동부와; 상기 예비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된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위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패시브방식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어레이를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식에서 발생되는 응답시간의 지연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4는 종래의 구동전압(전류) 편차에 따른 동일화상영역 내에서의 크로스 토크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비발광영역에서의 역전류 형성에 따른 크로스 토크 발생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구동전압(전류) 편차에 의한 예비충전전류 편차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적용되는 예비충전 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예비충전 구동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표시패널과 그 구동회로들을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충전 구동방식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리기판 2 : 양극
3 : 정공주입층 4 : 발광층
5 : 음극 161 : 데이터 구동부
162 : 예비충전 구동부 163 : 스캔 구동부
164 : 표시패널 165 :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
165 : 룩업 테이블 171 : 선택부
172a, 172b : 스위치소자
본 발명은 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비충전(Pre-charge)을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 및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 이하 "EL 표시장치"이라 함) 등이 있다.
PDP는 구조와 제조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대화면화에 가장 유리하지만 발광효율과 휘도가 낮고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LCD는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소자로 주로 이용되면서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LCD는 반도체공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대화면화에 어려움이 있고 자발광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고 그 광원으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LCD는 편광필터, 프리즘시트, 확산판 등의 광학소자들에 의해 광손실이 많고 시야각이 좁은 단점이 있다.
EL 표시장치는 무기 EL 표시장치와 유기 EL 표시장치로 대별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 EL 표시장치는 대략 10[V] 전후의 전압으로 수만 [cd/㎡]의 높은 휘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용화되고 있는 대부분의 EL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장치의 단위 소자는 도 1과 같이 유리기판(1) 상에 투명도전성물질로 된 양극(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공주입층(3), 유기물질로 된 발광층(4), 일함수가 낮은 금속으로 된 음극(5)이 적층된다. 양극(2)과 음극(5) 사이에 전계 가 인가되면, 정공주입층(3) 내의 정공과 금속 내의 전자는 각각 발광층(4) 쪽으로 진행하여 발광층(4)에서 결합된다. 그러면 발광층(4) 내의 형광물질이 여기 및 천이되면서 가시광이 발생된다. 이 때, 휘도는 양극(2)과 음극(5) 사이의 전류에 비례하게 된다.
유기 EL 표시장치는 패시브방식과 액티브방식으로 나뉘어진다.
도 2는 패시브방식 유기 EL 표시장치의 일부를 등가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패시브방식 유기 EL 표시장치의 스캔신호와 데이터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패시브방식 유기 EL 표시장치는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및 다수의 스캔라인들(S1 내지 Sn)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스캔라인들(S1 내지 Sn) 사이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유기EL셀(OLED)들을 구비한다.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은 유기 EL 소자(OLED)의 양극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류(Id)를 유기EL소자(OLED)의 양극에 공급한다.
스캔라인들(S1 내지 Sn)은 유기EL셀(OELD)의 음극에 접속되어 데이터전류(Id)에 동기되는 스캔펄스(SP1 내지 SPn)를 유기EL소자(OLED)의 음극에 공급한다.
유기EL소자(OLED)들은 스캔펄스(SP1 내지 SPn)가 인가되는 표시기간(DT) 동안 양극과 음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여 빛을 방출하게 된다.
유기EL표시장치의 유기EL소자(OLED)들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의 저항성분과 유기EL소자(OLED)들에 존재하는 정전용량(Capacitance)에 의해 지연되는 응답 시간(RT) 동안 전류가 충전되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낮고 휘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EL소자(OLED)들의 낮은 응답속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표시기간(DT)과 표시기간(DT) 사이의 비표시기간으로 예비충전기간을 마련하고 그 예비충전기간 동안 유기EL소자(OLED)들을 예비충전(Pre-charging)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한편, 이러한 유기EL표시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 및 스캔라인들(S1 내지 Sn)의 위치에 따라 동일 예비충전기간 대비 예비충전전압파형이 다르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수평 크로스 토크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는 화면의 중심에는 블랙 화상이 구현되고 블랙 화상을 제외한 영역에는 화이트 화상이 구현되는 정지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블랙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화이트 화상영역(이하 "제1 화이트 영역(A)" 이라 한다)과 제1 화이트 영역(A)의 수직방향에서의 화이트 화상영역(이하 "제2 화이트 영역(B)" 이라 한다)들 간에는 동일 휘도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전류 및 예비충전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수평라인간의 부하량의 차이로 인하여 구동 전압(전류) 편차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N+1 번째 스캔라인에서 블랙 화상영역과 대응되는 유기EL소자(OLED)들은 발광을 하지 않음으로써 비광발 유기EL소자(OLED)들에 대응되는 부하량은 N+1 번째 스캔라인에서의 총 부하량에서 제외되게 된다. 이에 따라, N+1 번째 스캔라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N 번째 스캔라인에 대응되는 제2 화이트 영역(B)에는 제1 화이트 영역(A)보다 큰 구동전압이 충전되게 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전류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면, 하나의 스캔라인에는 유기EL소자(OLED)들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비발광 유기EL소자(OLED)들(C)에는 소량의 역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역전류는 하나의 스캔라인을 공유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류가 인가되는 발광 유기EL소자(OLED)들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발광을 위한 데이터 전류의 일부가 발광을 하지 않는 유기EL소자(OLED)들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N+1 번째 스캔라인에 비하여 N 번째 스캔라인에 큰 구동전압이 충전되게 된다.
이후, 제1 화이트 영역(A) 및 제2 화이트 영역(B)에 동일한 크기의 예비충전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제1 화이트 영역(A)과 제2 화이트 영역(B)간의 구동전압 편차는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예비충전공급 대비 N+1 번째 스캔라인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에 충전되는 전류량이 N 번째 스캔라인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에 충전되는 전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됨으로써 동일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동일 데이터 전류 및 예비충전전류가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제1 화이트 영역(A)과 제2 화이트 영역(B)간의 휘도차(또는 구동전압편차)에 의한 크로스 토크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화상구현 영역내의 휘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충전을 이용한 유기EL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들에 전계발광셀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따라 다른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고 상기 예비충전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예비충전 구동부와; 상기 예비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된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충전 구동부는 동일계조의 화상구현시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작은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보다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에 상대적으로 많은 예비충전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상기 스캔라인들에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예비충전전류양을 지시하는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가 등재된 룩업 테이블과; 상기 데이터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에 대응하는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예비충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충전 구동부는, 전류 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전류원과; 상기 다수의 전류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예비충전 전류로써 선택하는 선택부와; 비표시기간 동안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제1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비표시기간에 이어지는 표시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에 상기 데이터전류를 공급하는 제2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들에 전계발광 소자들이 배치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따라 다른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예비충전전류를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된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계조의 화상구현시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작은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보다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에 상대적으로 많은 예비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상기 스캔라인들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예비충전 전류양을 지시하는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에 대응하는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선택하는 단계는, 전류 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전류원중 어느 하나를 상기 예비충전 전류로써 선택하는 단계와; 비표시기간 동안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상기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비표시기간에 이어지는 표시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에 상기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m×n 개의 유기EL소자(OLED)들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되는 표시패널(164)와, 데이터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61)와, 예비충전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예비충전 구동부(162)와, 데이터 전류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163)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166)에 따라 예비충전 구동부(162)를 제어하기 위한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64)에는 m 개의 데이터라인들(CL1 내지 CLm)과 n 개의 스캔라인들(RL1 내지 RLn)이 교차하며 그 교차부들 사이에 유기EL소자(OLED)들이 배치된다.
데이터 구동부(161)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회로와, 전류미러회로나 전류싱크 회로 등의 전류원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구동부(16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류를 예비충전 구동부(162)를 경유하여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예비충전 구동부(162)는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의 제어 하에 데이터(RGB)의 부하량에 따라 예비충전 전류를 다르게 하고 그 예비충전 전류를 데이터 전류에 앞서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63)는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포함하여 데이터 전류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스캔라인들(S1 내지 S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는 각 수평라인에의 총 부하량을 판단하고 그 부하량에 대응하는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166)에서 독취한다. 그리고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는 도시하지 않은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를 입력 받아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SEL1, SEL2)를 선택적으로 발생하고, 그 제어신호(SEL1, SEL2)를 이용하여 예비충전 구동부(162)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제어신호(SEL1)는 스캔기간 즉, 표시기간에 앞선 예비충전기간 동안 발생되어 예비충전 전류의 양을 선택하고 그 예비충전기간 동안 예비충전 전 류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그리고 제2 제어신호(SEL2)는 스캔기간 즉, 표시기간 동안 데이터 전류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룩업 테이블(166)에는 각각의 스캔라인에 공유하는 유기EL소자(OLED)들에 의한 부하량에 대응하는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가 등재되어 있다. 이 룩업 테이블(166)은 ROM(Read only memoy)에 저장된다. 룩업 테이블(166)에 등재된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는 일정한 부하량 범위로 나뉘어지는 값을 가지며, 그 값은 도 8과 같이 부하량이 증가할수록 예비충전 전류(Ipre)의 양이 감소되는 비율로 설정된다.
도 8에 있어서, 예비충전 구동부(162)와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는 원칩으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룩업 테이블(166)도 예비충전 구동부(162) 및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와 함께 일체화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66)에 등재된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에 의해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 최대 부하량을 100%로 가정하면,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는 브하량이 최소일 때 예비충전 전류(Ipre)의 양은 미리 설정된 기준 예비충전전류(Ipre)의 20배인데 비하여, 부하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기준 예비충전전류(Ipre)의 15배, 10배, 5배로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예비충전 전류(Ipre)를 동일계조 대비 상대적으로 데이터 부하량이 작은 스캔라인들을 공유하는 유기EL소자(OLED)들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의한 크로스 토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도 4를 참조하면, 정지 화면의 중심에는 블랙 화상이 구현되고 블랙 화상을 제외한 영역에는 화이트 화상이 구현되는 정지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블랙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수평라인(또는 스캔라인)은 블랙 화상이 구현되지 않는 화상영역에 비하여 데이터 부하량이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이 경우, 블랙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화이트 화상영역(이하 "제1 화이트 영역(A)" 이라 한다)과 제1 화이트 영역(A)의 수직방향에서의 화이트 화상영역(이하 "제2 화이트 영역(B)" 이라 한다)들 간에는 동일 휘도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전류 및 예비충전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수평라인(또는 스캔라인)방향으로의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로 인하여 구동 전압(전류) 편차가 발생된다.
이러한,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원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작은 스캔라인에의 데이터가 인가되는 유기EL소자(OLED)들 상대적으로 큰 예비충전전류(Ipre)를 공급하고,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과 접속되는 유기EL소자(OLED)들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예비충전 전류(Ipre)를 공급한다. 즉, 데이터 부하량에 따른 전류(전압) 편차 만큼 예비충전 전류(Ipre)를 공급함으로써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예비충전 구동부(162)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비충전 구동부(162)는 예비충전 전류(Ipre)의 전류양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171)와, 예비충전전류(Ipre)를 데이터라인(D1)에 공급하기 위한 제1 스위치소자(172a)와, 데이터전류(Id1)를 데이터라인(D1)에 공급하기 위한 제2 스위치소자(172b)를 구비한다. 제2 스위치소자(172b)는 데이터 구동부(16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전류 선택부(171)는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로부터의 제1 선택신호(SEL1)에 응답하여 예비충전 전류(Ipre)를 전류양이 서로 다른 k(단, 'k'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전류원(I1, I2,...Ik)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하여 제1 스위치소자(172a)에 공급한다.
제1 스위치소자(172a)는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65)로부터의 제1 선택신호(SEL1)에 응답하여 전류 선택부(171)에 의해 선택된 예비충전전류(Ipre)를 표시기간에 앞선 비표시기간 동안 데이터라인(D1)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치소자(172b)는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로부터의 제2 선택신호(SEL2)에 응답하여 데이터 구동부(161)로부터의 데이터 전류(Id1)를 스캔기간 즉, 표시기간 동안 데이터라인(D1)에 공급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신호라인(D1 내지 Dm, S1 내지 Sn) 및 유기EL소자(OLED)를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면부호 'R'은 데이터라인(D1 내지 Dm)의 기생저항이며 'CAP'은 유기 EL 소자(OLED)의 기생 정전용량이다. 그리고 '161a'는 데이터 구동부(161)에 포함된 정전류원으로써 데이터전류를 발생하며, '163a'는 스캔 구동부(163)에 포함된 스위치소자로써 표시기간 즉, 스캔기간 동안 기저전압(GND)을 유기 EL 소자(OLED)의 음극에 인가하고, 비표시기간 즉, 비스캔기간 동안 유기 EL 소자(OLED)의 음극에 정극성의 스캔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VDD'는 정전류원 (161a)에 인가되는 고전위 구동전압이며, 'VSS'는 비표시기간 즉, 비스캔기간 동안 유기 EL 소자(OLED)의 음극에 인가되는 스캔 바이어스 전압이다.
도 10 및 도 11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예비충전 구동부(162)의 제1 스위치소자(172a)는 표시기간(DT)에 앞선 예비충전 기간(PCHA) 동안 턴-온(turn-on)되어 예비충전/데이터 제어부(165)에 의해 데이터 부하량에 따라 선택된 예비충전 전류(Ipre)를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그러면 유기EL소자들(OLED)은 예비충전 기간 동안(PCHA) 도 8과 같이 데이터 부하량이 증가할수록 그 전류양이 감소되는 예비충전 전류(Ipre)를 충전하게 된다. 이러한 예비충전 전류(Ipre)에 의해 유기EL소자들(OLED)은 동일계조구현 영역내에서 데이터 부하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스캔라인에의 발광 유기EL소자들(OLED)에 더 많은 전류양으로 예비충전하고,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에의 발광 유기EL소자들(OLED)에는 작은 전류양으로 예비충전한다.
예비충전 기간(PCHA)에 이어서, 표시기간(DT)에는 제2 스위치소자(172b)가 턴온되는 반면에 제1 스위치소자(172a)는 턴-오프(turn-off)된다. 그러면 표시기간(DT) 동안 예비충전 구동부(161)의 제2 스위치소자(172b)를 경유하여 데이터전류(Id1)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된다. 이 데이터전류(Id1)에 동기되어 스캔 구동부(163)의 스위치소자(163a)는 기저전압(GND)의 스캔펄스를 스캔라인들(S1 내지 Sm)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표시기간(DT) 동안 유기EL소자들(OLED) 은 정극성 바이어스에 의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데이터전류(Id1)가 흐르게 되면서 발광한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계조를 구현하는 영역내에서 N+1 번째 스캔라인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에 충전되는 전류량과 N 번째 스캔라인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에 충전되는 전류량 간에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의 제1 화이트 영역(A)과 제2 화이트 영역(B)간의 휘도차(또는 구동전압편차)에 의한 크로스 토크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패시브방식에 기반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공지의 어떠한 액티브 방식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EL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동일 계조구현 영역에서 데이터 부하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스캔라인에 공유되는 발광 유기EL소자들(OLED)에 많은 전류양으로 예비충전하고,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에 공유되는 발광 유기EL소자들(OLED)에 작은 전류양으로 예비충전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의한 휘도차이를 완화시킴으로써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들에 전계발광셀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따라 다른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고 상기 예비충전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예비충전 구동부와;
    상기 예비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된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충전 구동부는
    동일계조의 화상구현시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작은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보다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에 상대적으로 많은 예비충전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상기 스캔라인들에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예비충전전류양을 지시하는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가 등재된 룩업 테이블과;
    상기 데이터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에 대응하는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예비충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충전 구동부는,
    전류 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전류원과;
    상기 다수의 전류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예비충전 전류로써 선택하는 선택부와;
    비표시기간 동안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제1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비표시기간에 이어지는 표시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에 상기 데이터전류를 공급하는 제2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7.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스캔라인들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들에 전계발광 소자들이 배치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캔라인 간의 데이터 부하량의 차이에 따라 다른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예비충전전류를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된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충전전류를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계조의 화상구현시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작은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보다 상대적으로 부하량이 큰 스캔라인에의 전계발광셀에 상대적으로 많은 예비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상기 스캔라인들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예비충전 전류양을 지시하는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의 부하량에 대응하는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예비충전 전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선택하는 단계는,
    전류 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전류원중 어느 하나를 상기 예비충전 전류로써 선택하는 단계와;
    비표시기간 동안 상기 예비충전 전류를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에 상기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비표시기간에 이어지는 표시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에 상기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50094022A 2005-10-06 2005-10-06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38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22A KR20070038756A (ko) 2005-10-06 2005-10-06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22A KR20070038756A (ko) 2005-10-06 2005-10-06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756A true KR20070038756A (ko) 2007-04-11

Family

ID=3815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22A KR20070038756A (ko) 2005-10-06 2005-10-06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8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27B1 (ko) * 2007-01-12 2009-02-10 주식회사 인테그마 패시브 매트릭스 oled의 크로스토크 보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27B1 (ko) * 2007-01-12 2009-02-10 주식회사 인테그마 패시브 매트릭스 oled의 크로스토크 보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023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224328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2869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에이징 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082668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6114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94721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80557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074726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0602066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40078437A (ko)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구동방법 및 장치
KR20070038756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61142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58163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9824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680916B1 (ko) 멀티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568599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69283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607516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681033B1 (ko) 멀티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5995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705272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70043101A (ko) 유기 전계 발광 패널, 이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60078563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20040088240A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