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375A -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화/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화/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375A
KR20070038375A KR1020050093621A KR20050093621A KR20070038375A KR 20070038375 A KR20070038375 A KR 20070038375A KR 1020050093621 A KR1020050093621 A KR 1020050093621A KR 20050093621 A KR20050093621 A KR 20050093621A KR 20070038375 A KR20070038375 A KR 2007003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d
time
space
symbols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750B1 (ko
Inventor
정영호
김영수
남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750B1/ko
Priority to US11/542,858 priority patent/US7680175B2/en
Priority to EP06121802.0A priority patent/EP1772974A3/en
Priority to CN2006101420439A priority patent/CN1956370B/zh
Publication of KR2007003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channel coding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73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constraints in layer or codeword to antenna mapping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고, 상기 심벌들을 무선 주파수 처리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처리한 심벌들을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레이트 1 시공간 부호화 방식, 레이트 2 시공간 부호화 방식, 송신 안테나, 파일럿, 채널 추정, 부호어 송신 시구간

Description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도 1은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송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송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다이버시티 채널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과 일반적인 신호 송수신 방법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OFDM/OFDMA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채널(channel)을 통하여 얼마나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reliably)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고 전송할 수 있는 고속 통신 시스템이 요구됨에 따라 시스템에 적절한 채널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존재하는 무선 채널 환경은 유선 채널 환경과는 달리 다중 경로 간섭(multipath interference)과, 쉐도잉(shadowing)과, 전파 감쇠와, 시변 잡음과, 간섭 및 페이딩(fading)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로 인해 불가피한 오류가 발생하여 정보의 손실이 생긴다.
상기 정보 손실은 실제 송신 신호에 심한 왜곡을 발생시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전체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보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채널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에러 제어 기법(error-control technique)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이러한 에러 제어 기법 중에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에러 정정 부호(error-correcting code)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페이딩 현상으로 인한 통신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기 위해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다이버시티 방식은 크게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 방식과,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방식 및 안테나 다이버시티(antenna diversity) 방식, 즉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방식으로 분류된다.
상기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은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은 수신 안테나들을 다수개로 구비하여 적용하는 수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과, 송신 안테나들을 다수개로 구비하여 적용하는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과, 다수개의 수신 안테나들과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여 적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IMO'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다중 입력 단일 출력 (MISO: Multiple Input Single Output, 이하 'MISO'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MIMO 방식 및 MISO 방식은 일종의 시공간 부호화(STC: Space-Time Coding) 방식이며, 상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은 미리 설정된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신호를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의 부호화 방식을 공간 영역(space domain)으로 확장하여 보다 낮은 에러율을 달성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4개의 송신 안테나(Tx.ANT)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는 부호화기(coder)(111)와, 변조기(modulator)(113)와, 시공간 사상기(space-time mapper)(115)와, 4개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RF(Radio Frequency processor)들, 즉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 내지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와, 4개의 송신 안테나들, 즉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포함한다.
먼저, 정보 데이터 비트(information data bit)들이 입력되면 상기 부호화기(111)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방식으로 상기 입력 정보 데이터 비트들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비트들로 생성한 후 상기 변조기(1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부호화 방식으로는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 방식 혹은 터보 부호 화(turbo coding)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부호화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조기(113)는 상기 부호화기(111)에서 출력한 부호화 비트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로 생성한 후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방식으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이하 'BPSK'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이하 'QPSK'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QA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PA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PSK(Phase Shift Keying, 이하 'PSK'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변조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변조기(1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입력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시공간 사상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 내지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기(1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x1x2x3x4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변조 심벌들 x1x2x3x4이 1개의 부호어(codeword)를 구성하고, 1개의 부호어가 송신되는 시구간은 4개의 심벌 시구간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1개의 부호어가 송신되는 시구간을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변조기(113)에서 출력한 4개의 변조 심벌들, 즉 x1x2x3x4를 입력하여 시공간 사상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심벌들로 출력한다.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1
G4 =
상기 수학식 1에서 G4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되는 심벌들의 부호화 행렬(matrix)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의 행렬에서 상기 각 열(column)의 엘리먼트(element)는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각 행(row)의 엘리먼트는 해당 시구간, 즉 해당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 대응된다.
즉,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119-1)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2
이 송신되고,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x2이 송신되고, 제3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3
이 송신되고,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4
이 송신된다.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119-1)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5
이 송신되고,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6
이 송신되고, 제3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7
이 송신되고,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x3이 송신된다.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119-1)를 통해 x3이 송신되고,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8
이 송신되고, 제3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09
이 송신되고,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0
이 송신된다.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 (119-1)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1
이 송신되고,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2
이 송신되고, 제3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x2이 송신되고,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3
이 송신된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로 입력되는 변조 심벌들을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간 사상한 후 해당 심벌들이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로 상기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4
를 출력하고,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117-2)로 x2를 출력하고, 제3무선 주파수 처리기(117-3)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5
을 출력하고,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6
로 출력한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로 상기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7
을 출력하고,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117-2)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8
를 출력하고, 제3무선 주파수 처리기(117-3)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19
를 출력하고,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로 -x3를 출력한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로 x3를 출력하고,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117-2)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0
를 출력하고, 제3무선 주파수 처리기(117-3)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1
를 출력하고,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2
를 출력한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 리기(117-1)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3
를 출력하고,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117-2)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4
를 출력하고, 제3무선 주파수 처리기(117-3)로 -x2를 출력하고,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로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5
를 출력한다.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 내지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는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에서 출력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즉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는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를 통해,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117-2)는 상기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상기 제3무선 주파수 처리기(117-3)는 상기 제3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상기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는 상기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 1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부호어 송신 시구간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 각각을 통해서는 상기 정보 데이터뿐만 아니라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송신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로는 일 예로 파일럿(pilot) 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기준 신호를 파일럿 신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 각각을 통해서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가 점유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일 예로 서브 캐리어(sub-carrier)의 주파수 영역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 각각은 자기 자신 이외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 캐리어 영역에서는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야만 한다. 이하, 상기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 캐리어를 '파일럿 서브 캐리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할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식을 적용할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을 사용하여 획득하는 이득은 제한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할 경우 상기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한된 자원인 파일럿 서브 캐리어들을 모든 송신 안테나들에 나누어 사용해야하므로 채널 추정 성능이 저하되며,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이 필요하게 되어 하드웨어적인 복잡도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하드웨어 복잡도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신호 송수신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성능을 시키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복잡도 및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고, 상기 심벌들 각각을 해당 무선 주파수 처리기로 출력하는 시공간 사상기와, 상기 시공간 사상기에서 출력한 심벌들 각각을 입력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는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과, 상기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 각각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상기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들 각각과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고, 상기 심벌들 각각을 해당 무선 주파수 처리기로 출력하는 시공간 사상기와, 상기 시공간 사상기에서 출력한 심벌들 각각을 입력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심벌들을 무선 주파수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주파수 처리한 심벌들을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 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 방식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하, OFDM/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Tx.ANT)들을 사용하는 OFDM/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레이트(rate 1) 시공간 부호화(STC: Space-Time Coding) 방식 및 레이트 2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하드웨어 복잡도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송신기에서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 일 예로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레이트 1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고, 수신기가 1개 혹은 그 이상의 수신 안테나(Rx.ANT)들을 사용할 경우의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 일 예로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레이트 2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고, 수신기가 다수개의 수신 안테나들, 일 예로 2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할 경우의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는 부호화기(coder)(211)와, 변조기(modulator)(213)와, 시공간 사상기(space-time mapper)(215)와, 2개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RF(Radio Frequency processor)들, 즉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와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와, 2개의 스위치(switch)들, 즉 제1스위치(219-1)와 제2스위치(219-2)와, 4개의 송신 안테나들, 즉 제1송신 안테나(221-1) 내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포함한다.
먼저, 정보 데이터 비트(information data bit)들이 입력되면 상기 부호화기(211)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방식으로 상기 입력 정보 데이터 비트들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비트들로 생성한 후 상기 변조기(2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부호화 방식으로는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 방식 혹은 터보 부호화(turbo coding)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부호화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조기(213)는 상기 부호화기(211)에서 출력한 부호화 비트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로 생성한 후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방식으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이하 'BPSK'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이하 'QPSK'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QA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PA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PSK(Phase Shift Keying, 이하 'PSK'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변조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는 상기 변조기(2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입력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시공간 사상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와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로 출력한다. 즉,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변조 심벌들을 시공간 사상하여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2송신 안테나(221-2)를 통해 송신될 신호들은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로, 상기 제3송신 안테나(221-3)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 송신될 신호들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와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는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에서 출력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상기 제1스위치(219-1) 및 제2스위치(219-2)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1스위치(219-1)는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해당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시공간 사상한 심벌이 송신되도록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와 제1송신 안테나(221-1) 혹은 제2송신 안테나(221-2)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스위치(219-2)는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해당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시공간 사상한 심벌이 송신되도록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와 제3송신 안테나(221-3) 혹은 제4송신 안테나(221-4)가 연결 되도록 한다.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는 하기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변조기(2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와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로 출력한다.
t1 t2 t3 t4
제1송신 안테나(221-1) O O
제2송신 안테나(221-2) O O
제3송신 안테나(221-3) 0 0
제4송신 안테나(221-4)
상기 표 1에 나타낸 시공간 사상 방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변조기(2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x1x2x3x4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변조 심벌들 x1x2x3x4이 1개의 부호어(codeword)를 구성하고, 1개의 부호어가 송신되는 시구간은 4개의 심벌 시구간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1개의 부호어가 송신되는 시구간을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서만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처리된 심벌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제2송신 안테나(221-2)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는 어떤 심벌도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서만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처리된 심벌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제2송신 안테나(221-2)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는 어떤 심벌도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제2송신 안테나(221-2)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만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처리된 심벌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서는 어떤 심벌도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송신 안테나(221-2)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만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처리된 심벌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서는 어떤 심벌도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2송신 안테나(221-2)를 통해 송신될 신호들은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로, 상기 제3송신 안테나(221-3)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 송신될 신호들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로 출력한다.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와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는 상기 시공간 사상기(215)에서 출력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상기 제1스위치(219-1) 및 제2스위치(219-2)로 출력한다.
상기 제1스위치(219-1)는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하고,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하고,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2송신 안테나(221-2)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하고,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217-1)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2송신 안테나(221-2)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219-2)는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하고,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하고,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상기 제3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하고,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처리기(217-2)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 송신되도록 연결한다.
한편, 상기 도 2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부호어 송신 시구간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 내지 제4송신 안테나(221-4) 각각을 통해서는 상기 정보 데이터뿐만 아니라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송신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로는 일 예로 파일럿(pilot) 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기준 신호를 파일럿 신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 내지 제4송신 안테나(221-4) 각각은 자기 자신 이외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 캐리어 영역에서는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야만 한다. 이하, 상기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 캐리어를 '파일럿 서브 캐리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호어 송신 시구간에서 심벌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데,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송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심벌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 즉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며,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상기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심벌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 즉 제1송신 안테나(221-1)와 제3송신 안테나(221-3)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며,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상기 심벌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 즉 제2송신 안테나(221-2)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며,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상기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심벌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 즉 제2송신 안테나(221-2)와 제4송신 안테나(221-4)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모든 송신 안테나들, 즉 상기 제1송신 안테나(221-1) 내지 제4송신 안테나(221-4) 모두를 통해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심벌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한된 자원인 파일럿 서브 캐리어들을 모든 송신 안테나들이 아닌 2개의 송신 안테나들만 나누어 사용하므로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 모두를 통해 심벌이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심벌이 송신되므로 파일럿 신호 역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송신되어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실제 심벌 및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는 2개이므로, 2개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만 필요로 하게 되어 하드웨어적인 복잡도 및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수신기는 1개 혹은 2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4개의 심벌 시구간에서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즉 레이트 1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풀 다이버시티(full diversity)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심벌 대 심벌(symbol by symbol) 단위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되며,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상기 송신기에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였으므로 그 채널 추정 수행시 그 성능이 향상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는 본 발명의 종래 기술 부분의 도 1에서 설명한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시공간 사상기(115)와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의 제어에 따른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 내지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의 동작이 상이할 뿐이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변조기(1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입력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시공간 사상 방식으로 시공간 사상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처리기(117-1) 내지 제4무선 주파수 처리기(117-4)로 출력한다.
t1 t2
제1송신 안테나(119-1) O O
제2송신 안테나(119-2) 0 O
제3송신 안테나(119-3) 0 0
제4송신 안테나(119-4) 0 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공간 사상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변조기(113)에서 출력한 변조 심벌들을 x1x2x3x4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변조 심벌들 x1x2x3x4이 1개의 부호어를 구성하고, 1개의 부호어가 송신되는 시구간은 4개의 심벌 시구간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이중-시공간 송신 다이버시티(D-STTD: Double-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이하 'D-STT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적용하는데 따라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115)는 상기 변조기(113)에서 출력한 4개의 변조 심벌들, 즉 x1x2x3x4를 입력하여 시공간 사상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은 심벌들로 출력한다.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6
상기 수학식 1에서 G4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되는 심벌들의 부호화 행렬(matrix)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의 행렬에서 상기 각 열(column)의 엘리먼트(element)는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각 행(row)의 엘리먼트는 해당 시구간, 즉 해당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 대응된다. 즉,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119-1)를 통해 x1이 송신되고,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x2이 송신되고, 제3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x3이 송신되고,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x4이 송신된다.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119-1)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7
이 송신되고,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8
이 송신되고, 제3 송신 안테나(119-3)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29
이 송신되고,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30
이 송신된다. 따라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심벌 시구간 t1 및 제2심벌 시구간 t2 모두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서 심벌을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호어 송신 시구간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 각각을 통해서는 상기 정보 데이터뿐만 아니라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가 송신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로는 일 예로 파일럿 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기준 신호를 파일럿 신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 각각은 자기 자신 이외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 캐리어 영역에서는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야만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호어 송신 시구간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모든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심벌이 송신되는 반면,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상기 4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2개의 송신 안테나들만을 통해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데,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며,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송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119- 1)와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며,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제3송신 안테나(119-3)와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며,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상기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송신 안테나(119-1)와 제2송신 안테나(119-2)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며,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상기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와 마찬가지로 제3송신 안테나(119-3)와 제4송신 안테나(119-4)를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모든 송신 안테나들, 즉 상기 제1송신 안테나(119-1) 내지 제4송신 안테나(119-4) 모두를 통해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한된 자원인 파일럿 서브 캐리어들을 모든 송신 안테나들이 아닌 2개의 송신 안테나들만 나누어 사용하므로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각 송신 안테나들별로 2 심벌 주기로 파일럿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 모두를 통해 심벌이 송신되고,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어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된다. 즉, 상기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할 경우 2 심벌 단위로 채널 추정이 가능하므로 그 채널 추정 신뢰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채 널 추정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수신기는 2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4개의 심벌 시구간에서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즉 레이트 2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풀 다이버시티(full diversity)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2 심벌 단위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되며,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상기 송신기에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였으므로 그 채널 추정 수행시 그 성능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다이버시티 채널(diversity channel)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과 일반적인 신호 송수신 방법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을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다이버시티 채널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과 일반적인 신호 송수신 방법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5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과 일반적인 신호 송수신 방법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득은 다이버시티 채널 환경과, 60[Km/h]의 이동 속도를 가정할 경우의 이득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Figure 112005056375667-PAT00031
공간 다중화(SM: Space Multiplexing) 방식을 적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32
D-SSTD 방식을 적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이 더 높은 다이서비티 이득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Figure 112005056375667-PAT00033
공간 다중화 방식을 적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이
Figure 112005056375667-PAT00034
D-SSTD 방식을 적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 보다 더 높은 다이버시티 이득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 모두를 통해 심벌이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심벌이 송신되므로 파일럿 신호 역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송신되어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해당 심벌 시구간에서 실제 심벌 및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는 2개이므로, 2개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만 필요로 하게 되어 하드웨어적인 복잡도 및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해당 심벌 시 구간에서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 모두를 통해 심벌이 송신되고,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파일럿 신호가 송신되어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상기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할 경우 2 심벌 단위로 채널 추정이 가능하므로 그 채널 추정 신뢰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3)

  1.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심벌들을 무선 주파수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주파수 처리한 심벌들을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벌들을 상기 시공간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벌들을 상기 시공간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의 4개이고,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 제1심벌 시구간인 t1 내지 제4심벌 시구간인 t4의 4개의 심벌 시구간일 경우,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와 제3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 신되고,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와 제3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고,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제2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고,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제2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벌들을 상기 시공간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중 상기 설정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벌들을 상기 시공간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의 4개이 고,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 제1심벌 시구간인 t1 내지 제4심벌 시구간인 t4의 4개의 심벌 시구간일 경우, 제1심벌 시구간 t1과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 제1송신 안테나와 제2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 제3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벌들을 상기 시공간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의 4개이고,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 제1심벌 시구간인 t1 내지 제4심벌 시구간인 t4의 4개의 심벌 시구간일 경우, 제3심벌 시구간 t3과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 제1송신 안테나와 제2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 제3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고, 상기 심벌들 각각을 해당 무선 주파수 처리기로 출력하는 시공간 사상기와,
    상기 시공간 사상기에서 출력한 심벌들 각각을 입력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는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과,
    상기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 각각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상기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들 각각과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기준 신호가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의 4개이고,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 제1심벌 시구간인 t1 내지 제4심벌 시구간인 t4의 4개의 심벌 시구간일 경우,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와 제3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고,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는 제1송신 안테나와 제3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고,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는 제2송신 안테 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고,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는 제2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서만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4개의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기준 신호가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4.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조 심벌들이 입력되면, 상기 변조 심벌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공간 사상 방식에 상응하게 시공간 사상하여 심벌들로 생성하고, 상기 심벌들 각각을 해당 무선 주파수 처리기로 출력하는 시공간 사상기와,
    상기 시공간 사상기에서 출력한 심벌들 각각을 입력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다수의 무선 주파수 처리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다수의 심벌 시구간들중 상기 설정 심벌 시구간들 각각에서 상기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서만 기준 신호가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의 4개이고,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 제1심벌 시구간인 t1 내지 제4심벌 시구간인 t4의 4개의 심벌 시구간일 경우, 제1심벌 시구간 t1과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제1심벌 시구간 t1에서 제1송신 안테나와 제2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심벌 시구간 t2에서 제3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가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의 4개이고, 상기 변조 심벌들이 모두 송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인 부호어 송신 시구간이 제1심벌 시구간인 t1 내지 제4심벌 시구간인 t4의 4개의 심벌 시구간일 경우, 제3심벌 시구간 t3과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 상기 제1송신 안테나 내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심벌들이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사상기는 상기 제3심벌 시구간 t3에서 제1송신 안테나와 제2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4심벌 시구간 t4에서 제3송신 안테나와 제4송신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가 송신되도록 시공간 사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50093621A 2005-10-05 2005-10-05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1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21A KR100918750B1 (ko) 2005-10-05 2005-10-05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1/542,858 US7680175B2 (en) 2005-10-05 2006-10-0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t antennas
EP06121802.0A EP1772974A3 (en) 2005-10-05 2006-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CN2006101420439A CN1956370B (zh) 2005-10-05 2006-10-08 使用多个天线的通信系统中发射/接收信号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21A KR100918750B1 (ko) 2005-10-05 2005-10-05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375A true KR20070038375A (ko) 2007-04-10
KR100918750B1 KR100918750B1 (ko) 2009-09-24

Family

ID=3760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621A KR100918750B1 (ko) 2005-10-05 2005-10-05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80175B2 (ko)
EP (1) EP1772974A3 (ko)
KR (1) KR100918750B1 (ko)
CN (1) CN19563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648A1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s transmit diversity sche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820A (ja) * 2005-09-27 2009-03-12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のためのパイロット構造
US8130858B1 (en) 2007-05-30 2012-03-06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ransmit diversity in OFDM systems
WO2010040369A1 (en) * 2008-10-09 2010-04-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arrangement for multi-stream communication in a mimo channel
CN101527618B (zh) * 2009-03-19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天线发射方法和装置
CN102546083A (zh) * 2010-12-23 2012-07-04 联芯科技有限公司 上行天线选择装置、装置无线及上行天线选择方法
CN103684564A (zh) * 2013-12-23 2014-03-26 北京大学 基于多天线的同频同时双工的通信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960A (en) * 1988-12-27 1990-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system for real aperture radar ground mapping
US6317411B1 (en) 1999-02-22 2001-11-1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an antenna array with transmit diversity techniques
US6804307B1 (en) 2000-01-27 2004-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transmit diversity using complex space-time block codes
CA2434123C (en) * 2001-11-10 2007-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fbc 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in a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30108B1 (ko) * 2002-10-1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시간 블럭부호를 사용하여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를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KR100547784B1 (ko) * 2003-01-21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공간 트렐리스 코드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26511B1 (ko) * 2003-01-2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공간 트렐리스 코드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파일럿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TE356480T1 (de) 2003-08-29 2007-03-15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Verfahren zur optimalen datenverschachtelungsübertragung in ein mimo telekommunikationssystem
KR100981580B1 (ko) * 2003-12-23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8 개 이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차등 시공간 블록 부호 송수신 장치
KR100617751B1 (ko) * 2003-12-2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장치 및 방법
KR100757963B1 (ko) * 2003-12-24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80363B1 (ko) * 2004-08-27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2개의 송신안테나를 위한 최대 다이버시티 최대 전송율을갖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913873B1 (ko) * 2004-09-13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차등 시공간 블록 부호 장치 및 방법
KR100719840B1 (ko) * 2004-11-04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20060093062A1 (en) * 2004-11-04 200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space-time block coding
US20080260053A1 (en) * 2004-11-04 200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space-time block coding
US20060107167A1 (en) * 2004-11-16 2006-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error correction scheme
US20060153312A1 (en) * 2005-01-07 2006-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pace-time frequency block 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7170A (ko) * 2006-07-13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코딩 기법을 선택하는 장치 및방법
KR100951383B1 (ko) * 2006-09-15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935098B1 (ko) * 2006-11-01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개수에 적응적인시공간 부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648A1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s transmit diversity scheme
US8155232B2 (en) 2007-05-08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s transmit diversity scheme
US8265189B2 (en) 2007-05-08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s transmit diversity scheme
US8265190B2 (en) 2007-05-08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s transmit diversity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2974A3 (en) 2013-07-24
US7680175B2 (en) 2010-03-16
US20070153759A1 (en) 2007-07-05
EP1772974A2 (en) 2007-04-11
CN1956370A (zh) 2007-05-02
CN1956370B (zh) 2010-12-08
KR100918750B1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770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데이터의 부반송파 사상 장치 및 방법
KR100817497B1 (ko) 다중 안테나를 위한 심볼 생성 장치 및 방법
RU23410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декодирова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временного блочного код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спользующей схему с многими входами и многими выходами
KR100754795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의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299386B1 (ko) 개선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인터리빙 방법 및 인터리버 시스템
EP203034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received signal,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selecting mapping rule
KR10068812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장치 및방법
KR100659539B1 (ko) 폐루프 방식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에서 송수신 장치및 방법
KR100918750B1 (ko)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0127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interleaver and layer mapp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2008510417A (ja) 性能向上のための時空間周波数ブロック符号化装置及び方法
KR20090025129A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부호어를 송수신하는방법
JP2006135990A (ja) 送信器及び送信方法
US20080232489A1 (en) Spatial interleaver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70059659A (ko) 다중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US85207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ignal based on lattice reduction to support different coding scheme for each stream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117580A (ko) 부호어의 생성 방법
JP2008109697A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843251B1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08006359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073921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
KR101276838B1 (ko) 시공간 부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RU240451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равления ошибок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поднесущих, использующей множество антенн
KR100926371B1 (ko)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수신장치
KR20070096639A (ko)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