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656A -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656A
KR20070036656A KR1020060079941A KR20060079941A KR20070036656A KR 20070036656 A KR20070036656 A KR 20070036656A KR 1020060079941 A KR1020060079941 A KR 1020060079941A KR 20060079941 A KR20060079941 A KR 20060079941A KR 20070036656 A KR20070036656 A KR 2007003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unit
voice
cas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네키 시부야
시게키 모리
료 도쿠시마
가즈히로 사키야마
사토미 다나카
히로시 이토
레이코 우에나카
도모나리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33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9674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42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487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420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5069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42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50694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음성 통신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유닛, 음향(sound)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향 입력을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한 음성 신호(audio signal)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음성 통신, 핸드셋, 마우스, 일체형, 휴대형, 겸용, IP 전화, 인터넷

Description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COMMUNICATION METHOD}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의 일례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제1 케이싱(casing)이 단힌 위치(folded position)에 있는 상태의 마우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케이싱이 단힌 위치와 열린 위치(opened position) 사이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마우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케이싱이 열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마우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마우스 장치를 마우스로서 사용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8a 내지 도 11b과 함께, 제1 케이싱이 제2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될 때의 개폐 검출 기구와 각도 검출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회전 각도 약 O˚의 상태(단힌 위치)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회전 각도 약 5˚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회전 각도 약 45˚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회전 각도 약 55˚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회전 각도 약 150˚의 상태(열린 위치)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1 케이싱이 제2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될 때의 각 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의 사용예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컴퓨터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에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낸 아키텍처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는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IP 전화를 이용하는 예를 계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발명은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283335호(2005년 9월 29일 출원), 제2005-342005호(2005년 11월 28일 출원), 제2005-342006호(2005년 11월 28일 출원), 제2005-342007호(2005년 11월 28일 출원)와 관련된 대상물을 포함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 전부는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에 사용하기 바람직한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컴퓨터 장치의 발달에 따라, 전화 교환기(telephone switchboard)를 통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종래의 전화 시스템에 대신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한 상대와 실시간으로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서비스(call serveice)가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이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서비스로서 IP(Internet Protocol) 기술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IP 전화라고 하는 서비스가 알려져 있다.
IP 전화에서는, 전화 통화시의 음성(voice)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등의 소정의 음성 디바이스(audio device)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analog audio signal)로 변환되고, 또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 다음,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그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기로 증폭하여 스피커 등의 소정의 음성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IP 전화는, 예를 들면, 종래의 전화 장치와 마찬가지의 헤드셋을 사용하는 전용 전화기에 의해 이용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장치를 사용하여 IP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IP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9를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컴퓨터 장치(400)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이다. 컴퓨터 장치(400)는 (도시하지 않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다.
컴퓨터 장치(400)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인 마우스(410)와 접속되어 있다. 마우스(410)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컴퓨터 장치(400)에 설치된 USB 단자에 접속된다. 최근에, 컴퓨터 장치(400)의 OS(Operating System)의 주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를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를 지정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버튼 등을 조작하는 마우스(410)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는, 컴퓨터 장치(400)의 필수적인 입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장치(400)를 휴대 가능하게 구성한 이른바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는, 소정의 방식으로 설치된 영역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여 위치를 지정하는 터치 패드(touch pad),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을 회전시켜 위치를 지정하는 트랙 볼(track ball)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미리 내장되어 있다. 터치 패드와 트랙 볼은 위치를 세세하게 지정하는 것이 곤란하고 사람의 손으로는 다소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강요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그러한 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마우 스(410)를 접속하여 사용한다.
한편, 휴대용의 퍼스널 컴퓨터와 함께 마우스(410)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번거롭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많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47272호는 플립 타입(flip type)의 휴대 전화 단말기를 경첩부(hinge part)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표시 소자가 설치되는 측을 마우스로 사용하고, 키가 설치되는 측을 숫자 패드(ten key pad)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도 19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컴퓨터 장치(400)는 또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입출력 단자는 헤드셋(411)과 접속할 수 있다. 헤드셋(411)은 헤드폰(411A) 및 마이크로폰(411B)을 구비한다. 헤드셋(411)은 마이크로폰(411B)으로 수집한 음향(sound)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서 컴퓨터 장치(400)에 입력할 수 있고, 컴퓨터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헤드폰(411A)으로 재생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400)는 IP 전화를 컴퓨터 장치에서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IP 전화에 의한 발신(outgoing call) 처리 및 착신(incoming call) 처리를 수행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인터넷을 통하여 송수신함으로써 통화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컴퓨터 장치(400)로부터 IP 전화를 이용할 때, 해드셋(411)을 사용하여 통화한다. 발신할 때, 사용자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400)상에서 IP 전화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동하고, 소프트웨어상에서 오프 훅(off-hook) 조작을 실행하고, 발신처(calling destination)의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발신 조작을 실행한다. 발신 조작에 따라 상대와의 통신이 설정된 후, 사용자는 헤드셋(411)을 사용하여 통화한다.
착신의 경우에, IP 전화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장치(400)상에서 기동되어 미리 착신 대기 상태(stanby state)로 설정된다.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장치(400)의 화면상에 표시 및 음성 출력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착신을 통지한다. 사용자는 착신 통지에 의해 착신을 알면, 소프트웨어 상에서 오프 훅 조작을 실행하고, 헤드셋(411)을 사용하여 통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400)에서 IP 전화를 이용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착신을 확실하게 아는 것이 곤란하다. 구체적으로는, IP 전화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동한 후, 사용자는 헤드셋(411)을 컴퓨터 장치(400)에 접속하고 장착하지 않는 한 착신이 있는 경우에 착신음(ring tone)을 듣기 것이 곤란하다. 착신을 화면상에 표시하여 통지하는 경우, 사용자는 항상 그 화면을 응시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최근에, 자택, 오피스 등 소정의 영역 이외의, 인터넷을 유선이나 무선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소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형의 컴퓨터 장치(400)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경우, 헤드셋(411)도 함께 가지고 다니지 않는 한 사용자는 IP 전화를 이용하기 어렵다. 마우스(410)를 접속하여 휴대형 컴퓨터 장치(4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마우스(410)와 함께 헤드셋(411)도 가지고 다녀야 하 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컴퓨터 장치로부터 IP 전화를 더욱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47272호에 기재된 종래의 기기는, 전화로서 사용할 때는 스피커를 가지는 제1 케이싱과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제2 케이싱를 결합하여야 하고, 마우스로서 사용할 때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분리하여야 한다. 기기를 사용할 때 탈착이 필요하므로 성가시고 사용의 편리성이 나쁘다.
따라서 접이식(foding type)의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예를 들면 회전 각도로 따라 전화와 마우스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적절한 사용시에, 예를 들면 기기를 단힌 상태에서는 마우스로 사용하고, 회전에 의한 열린 상태에서는 전화로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하지만, 기기를 마우스로 사용하는 때에, 제1 케이싱이 제2 케이싱에 대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부지불식간에 회전되면, 기기는 전화로 사용되는 전화 모드가 설정될 수 있어 오조작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전화 기능 겸용 마우스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오조작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유닛; 음 향(sound)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향 입력을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한 음성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enable)과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성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고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음성 통신 장치의 음성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음성 신호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신호 통신이 수행될 때,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신호의 입력을 디스에이블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위치 검출 유닛과 가압하여 입력을 행하는 버튼 입력 유닛을 적어도 구비하는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은, 마이크로폰으로 음향을 수집하여 취득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음성 신호 처리 유닛의 상태에 따라 입력 유닛의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위치 검출 유닛과 가압하여 입력을 행하는 버튼 입력 유닛을 적어도 구비하는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은, 마이크로폰으로 음향을 수집하여 취득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음성 신호를 스 피커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되고 적어도 상기 입력 유닛의 출력과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되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입력될 음성 신호는 네트워크로 전송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는 적어도 상기 입력 유닛의 출력 및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의 음성 신호 출력과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전송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전송 상태 및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대해 수신된 음성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기능 겸용 마우스 장치에서, 제1 케이싱은 제2 케이싱에 대하여 한쪽 회전단(rotation end)인 열린 위치와 다른 쪽 회전단인 단힌 위치 사이에 회전되고, 상기 제2 케이싱에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볼 디바이스 또는 발광 및 수광 디바이스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케이싱에 대한 상기 제1 케이싱의 회전 각도가, 상기 단힌 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와 소정의 회전 각도 사이의 범위 내일 때, 상기 마우스 장치를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제2 케이싱에 대한 상기 제1 케이싱의 회전 각도가, 상기 열린 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와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 사이의 범위 내일 때, 상기 마우스 장치를 전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모드가 설정되며,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마우스 모드로 유지될 때, 손가락이 놓이는 손잡이용 오목부(holding recess part)가 상기 제2 케이싱의 측면 부분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기능을 겸용 마우스 장치는, 마우스 장치를 마우스로 사용할 때, 상기 손잡이용 오목부를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위치 검출 유닛과 가압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유닛을 적어도 구비하는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은, 마이크로폰으로 음향을 수집하여 얻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은 음성 신호 처리 유닛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가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입력될 때 또는 음성 신호가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될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때에는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위치 검출 유닛과 가압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유닛을 적어도 구비하는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은, 마이크로폰으로 음향을 수집하여 얻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되고 적어도 상기 입력 유닛의 출력과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되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입력될 음성 신호는 네트워크로 전송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는 적어도 상기 입력 유닛의 출력 및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의 음성 신호 출력과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전송된다. 제3 발명과 제4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전송 상태 및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수신된 음성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게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가 음성 신호 처리 유닛에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그렇기 않은 때에는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기능 겸용 마우스 장치는, 경첩부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구비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화 기능을 겸한 마우스 장치이다. 이 마우스 장치는 제1 케이싱은 제2 케이싱에 대하여 한쪽 회전단(rotation end)인 열린 위치와 다른 쪽 회전단인 단힌 위치 사이에 회전되고, 상기 제2 케이싱에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볼 디바이스 또는 발광 및 수광 디바이스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케이싱에 대한 상기 제1 케이싱의 회전 각도가, 상기 단힌 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와 소정의 회전 각도 사이의 범위 내일 때, 상기 마우스 장치를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제2 케이싱에 대한 상기 제1 케이싱의 회전 각도가, 상기 열린 위치에서의 회전 각도와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 사이의 범위 내일 때, 상기 마우스 장치를 전화로 사용할 수 있도 록 하는 전화 모드가 설정되며, 상기 마우스 장치가 상기 마우스 모드로 유지될 때, 손가락이 놓이는 손잡이용 오목부(holding recess part)가 적어도 상기 제2 케이싱의 측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우스 장치가 마우스로서 사용될 때, 제2 케이싱에 대한 제1 케이싱의 잘못된 회전을 방시할 수 있고, 오조작에 의한 전화 모드의 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케이싱의 단힌 위치에서 상기 제2 케이싱에 대향하는 제1 케이싱의 면에, 상기 제2 케이싱 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정리용 오목부(clearance recess part)가 형성되고, 제2 케이싱에, 단힌 위치에서 상기 제1 케이싱의 상기 정리용 오목부에 삽입되는 배치용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치용 돌기부 내부에 회로 기판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회로 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마우스 장치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마우스와 IP(Interne t Protocol) 기술을 이용하여 전화 통신을 수행하는 IP 전화 서비스에 사용되는 핸드셋(handset)를 일체로 구성한다. 마우스와 핸드셋이 일체로 구성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은 음성 신호의 처리하는, 예를 들면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같은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IP 전화 서비스에 의한 음성 신호의 A/D변환 및 D/A 변환에 관련되는 처리를 이 일체적인 구성 내에서 실행하고, 착신음의 생성 처 리 등도 수행한다.
마우스와 핸드셋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IP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헤드셋을 별도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측으로부터 착신 통지를 받았을 때 착신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착신을 확실하게 알 수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와 핸드셋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일례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1a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마우스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대응하는 배면 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핸드셋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에 나타낸 일례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경첩부(4)에 의해 상호 결합된 커버부(2) 및 본체부(3)를 포함한다. 커버부(2)와 본체부(3)는 경첩부(4)를 축으로 상호결합되어 있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는 도 1a에 일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마우스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진다. 한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을 연 상태에서는, 도 1c에 일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 및 본체부(3)의 축에 대해 닫히는 측(이하, 단지 "내측"이라고 함)에 설치되어 있는 수화기(receiver)(11), 송화기(transmtter)(9), 및 키부(key part)(8)가 노출되는 핸드셋의 형상을 가진다.
도 1a에 일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상면 측에는, 마우스 버튼(5A, 5B) 및 휠(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마우스 버튼이 2개 설치되어 있지만, 대응하는 OS에 따라서는 마우스 버튼은 1개 설치될 수도 있다. 마우스 버튼을 3개 이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휠(6)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b에 일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배면 측에는 위치 센서(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센서(7)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발광부와, PD(Photo Diode) 등으로 구성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한다. 위치 센서(7)는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반사광을 광학 센서로 수광하고, 수광의 변화에 근거하여 이동량을 검출한다.
도 1c에 일례로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8) 및 송화기(9)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내측에 있어 본체부(3)측에 설치되어 있다. 송화기(9)는 마이크로폰이 내장하고 있다. 송화기(9)는 음성(voice)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키부(8)는 일반적으로 전화로 사용되는 키, 즉, 숫자 "0", "1", "2", "3", "4", "5", "6", "7", "8" 및 "9", 및, 기호 "#" 및 "*"를 입력하기 위한 키, 발신하거나 착신에 대해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통화 키("On" 키)와 통화를 중지하고 전화를 끊기 위한 통화 종료키("Off" 키)가 설치된다.
수화기(11)는 커버부(2) 측에 설치되어 있다. 수화기(11)는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다. 수화기(11)는 공급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부(12)를 커버부(2) 측에 설치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체부(3) 측에, 예를 들면 IP 전화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 키를 포함하는 보조키부(10)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화기(1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키를 보조키부(10)의 키의 하나로서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케이싱이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진다. 예를 들면, 경첩부(4)에 스위치 구조체(switch structure)를 내장하여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커버부(2)와 본체부(3)가 닫힐 때 눌려지는 스위치 구조체는, 예를 들면 커버부(2) 및 본체부(3)의 내측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 및 본체부(3)의 내측에 광학 센서를 설치하여, 검출되는 광량의 차이로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컴퓨터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를 사용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와 컴퓨터 장치는 USB 케이블(13)에 의해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착신을 통지하는 신호가 컴퓨터 장치로부터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공급된다. 또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키부(8)에 대해 수행된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케이싱의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부터 컴퓨터 장치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통화에 대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컴퓨터 장치와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사이에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송수신된다.
부수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USB 케이블(13)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경첩부 측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것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USB 케이블(13)은,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있어서의 마우스로서의 동작 및 핸드셋으로서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있으면, 어느 위치에든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첩부(4)와는 반대측의 본체부(3)의 단부에, USB 케이블(13)을 접속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기능 겸용 마우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우스 장치(205)는 경첩부(211)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고, 접을 수 있는 제1 케이싱(209) 및 제2 케이싱(210)을 구비하고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마우스 장치(205)는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에는 마우스로 사용될 수 있다. 마우스 장치(205)는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는 전화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는, 마우스 장치(205)를 전화로 사용 가능한 전화 모드가 설정되어 전화로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기동되고, 그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2)에 표시된다.
제1 케이싱(209)은 제2 케이싱(210)에 대해 단힌 위치(도 2 참조)와 열린 위치(도 4 참조) 사이에서 회전된다. 단힌 위치는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약 0˚인 상태이고, 열린 위치는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약 150˚인 상태이다.
제1 케이싱(209)은 편평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싱(210)과의 연결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제1 케이싱(209)의 단힌 위치에 있어서 제2 케이싱(210)에 대향하는 면, 즉 내면(209a)에 제1 스피커(212)가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제1 스피커(212)는 내면(9a)에 있어 경첩부(211)의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케이싱(209)에는 제1 스피커(21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정리용 오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정리용 오목부(213)는 단힌 위치에 있어서 제2 케이싱(210) 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케이싱(209)의 부분 중, 정리용 오목부(21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기판 배치부(214)로서 제공되고, 상기 기판 배치부(214)의 두께는 정리용 오목부(213)의 두께보다 두껍다.
발광부(215)는 제1 케이싱(209)의 단부에 배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발광부(215)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215)는, 예를 들면 마우스 장치(205)가 마우스로서 사용될 때 점등(turn on)하고, 마우스 장치(205)가 전화로서 사용될 때는 소등(turn off)하며, 착신 시에 점멸(blink)한다.
제1 케이싱(209)의 외면(209b)에 있어 발광부(215)의 근방의 위치에 회전 조작이 가능한 휠(216)이 배치되어 있다. 휠(216)은, 마우스 장치(205)가 마우스로 사용될 때에 회전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발휘하고, 마우스 장치(205)가 전화로 사용될 때에 회전 조작에 의해 음량의 조절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마우스 장치(205)에 스크롤 기능과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마우스 장치(205)의 부품 수의 삭감 및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209)의 외면(209b)에 있어, 경첩부(211) 측의 단부에 제2 스피커(217)가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제2 스피커(217)는 경첩부(21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피커(217)가 배치된 위치는, 사용자가 마우스 장치(205)를 마우스로 사용할 때에 손으로 덮이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힌 위치에 있어서 제2 스피커(217)로부터 착신 음이 출력될 때에, 손바닥으로 제2 스피커(217)가 덮이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어, 착신이 있음을 귀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209)의 외면(209b)에는 폭 방향(lateral direction)(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 버튼(218L)와 우측 버튼(218R) 사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좌측 버튼(218L)과 우측 버튼(218R)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싱(209)의 기판 배치부(214)의 내부에는, 제어 회로 기판(219)이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제어 회로 기판(219)은, 예를 들면 제1 스피커(212) 및 제2 스피커(217)에 관한 제어와, 좌측 버튼(218L) 및 우측 버튼(218R)에 관한 제어 등을 수행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케이싱(210)은 제1 케이싱(209)과 대략 같은 크기의 평형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1 케이싱(209)과의 연결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제2 케이싱(210)은 마우스 장치(205)가 마우스로서 사용되는 때 및 전화로서 후술하는 핸즈프리(hands-free) 상태에서 사용되는 때에 탁상 등에 놓이는 부분이다.
단힌 위치에 있어서 제2 케이싱(210)의 제1 케이싱(209)에 대향하는 면, 즉, 내면(210a)에는, 마이크로폰(220)이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마이크로폰(220)은 내면(21Oa)에 있어서의 경첩부(211)의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케이싱(210)의 부분 중 마이크로폰(22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배치용 돌기부(221)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케이싱(210)의 부분 중 배치용 돌기부(221) 이외의 부분은 얇은 두께부(222)로서 설치되어 있다. 배치용 돌기부(221)의 두께는 얇은 두께부(222)의 두께보다 두껍다.
단힌 위치에 있어서, 제2 케이싱(210)의 배치용 돌기부(221)는 제1 케이싱(209)의 정리용 오목부(213)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제2 케이싱(210)의 얇은 두께부(222) 및 제1 케이싱(209)의 기판 배치부(214)는 중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223)은 제2 케이싱(210)의 배치용 돌기부(2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회로 기판(223)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220)에 관한 제어 및 후술하는 검출 스위치에 관한 제어 등을 수행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209) 및 제2 케이싱(210)의 필요한 부분만을 돌출시켜, 그 부분을 기판 배치부(214) 및 배치용 돌기부(221)로서 제공함으로써, 제어 회로 기판(219) 및 회로 기판(223)의 충분한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 우스 장치(205)의 전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힌 위치에서는 제2 케이싱(210)의 배치용 돌기부(221)를 제1 케이싱(209)의 정리용 오목부(213)에 삽입함으로써, 단힌 위치에서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위치 어긋남, 특히, 좌우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
마우스로서 사용될 때의 마우스 장치(205)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볼 디바이스 또는 수발광 디바이스는, 제2 케이싱(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케이싱(210)의 좌우 양쪽 면부에는 각각 마우스 장치(205)를 잡았을 때 손가락이 놓이는 손잡이용 오목부(210b, 210b)가 형성되어 있는(도 5 및 도 6 참조). 손잡이용 오목부(210b, 210b)는 제2 케이싱(210)의 좌우 양쪽 면부의 상단부에 있어서 제2 케이싱(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높이가 증가할 수록 외측으로 변위되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용 오목부(210b, 210b)는, 주로, 마우스 장치(205)가 마우스로서 사용될 때 손가락(100, 100)으로 잡는 부분이다(도 6 참조). 마우스 장치(205)를 마우스로서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마우스 장치(205)를 들어올리더라도, 손잡이용 오목부(210b, 210b)가 손잡이로서 기능하므로, 제1 케이싱(209)이 제2 케이싱(210)에 대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화 모드가 설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마우스 장치(205)가 마우스로 사용될 때에,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우발적인 회전을 방지하여 오조작에 의한 전화 모드의 설정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으로 인해 디스플레이(2) 상에 전화의 사용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불편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작은 각도, 예를 들면 5˚ 미만인 경우,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biasing spring)에 의해 제1 케이싱(209)은 제2 케이싱(210)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한편,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5˚ 이상인 경우,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제1 케이싱(209)은 제2 케이싱(21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경첩부(211)의 축방향으로 일단부에는 열림 버튼(224)이 형성되어 있다(도 2내지 도 4 참조). 단힌 위치에서 열림 버튼(224)을 누르면, 제1 케이싱(209)이 제2 케이싱(210)에 대해, 예를 들면, 회전 각도 약 50˚의 위치까지 회전된(도 3 참조).
제2 케이싱(210)의 내부에, 개폐 상태 검출 기구(225) 및 각도 검출 기구(226)가 설치되어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개폐 상태 검출 기구(225)는 회전캠(227), 조작축(228), 지지판(229), 스프링 부재(230), 및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캠(227)은 원판부(227a)와 상기 원판부(227a)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캠 돌기부(227b)로 형성된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캠(227)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조작축(228)은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와 지지축부(228b)로 형성된다.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의 외경은 지지축부(228b)의 외경보다 크다.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의 축방향에 있어서 일 단면은 회전캠(227)의 외주면과 슬라이드 접촉된다.
삽입공(229a)이 지지판(229)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228)의 지지축부(228b)가 상기 삽입공(229a)에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30)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 부재(230)는 조작축(228)의 지지축부(228b)에 지지된다. 스프링 부재(230)는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의 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단면과 지지판(229) 사이에 압축되어 있다.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는 본체(231a)와 상기 본체(231a)에 대해 이동되는 검출축(231b)을 가지고 있다.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는,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와 회전캠(227) 사이에 조작축(228)을 개입시켜 회전캠(227)의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 상태 검출 기구(225)에 있어서 회전캠(227)이 회전되면, 회전캠(227)에 대한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의 접촉 위치에 따라, 조작축(228)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작축(228)의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가 회전캠(227)의 캠 돌기부(227b)에 접촉되면, 조작축(228)이 스프링 부재(230)의 가압력(biasing force)에 저항하여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축부(228b)에 의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의 검출축(231b)이 눌려져, 개폐 상태 검출 스 위치(231)가 온(ON)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조작축(228)의 캠 슬라이드 접촉부(228a)가 회전캠(227)의 원판부(227a)와 접촉하게 되면, 조작축(228)이 스프링 부재(230)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의 검출축(231b)이 지지축부(228b)에 의한 눌림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오프(OFF) 상태로 설정된다.
개폐 상태 검출 기구(225)에 있어서,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약 0˚ 내지 약 5˚까지의 범위 내이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는 오프 상태이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약 5˚ 내지 약 55˚ 까지의 범위 내이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는 온 상태이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약 55˚ 내지 약 150˚까지의 범위 내이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는 오프 상태이다.
각도 검출 기구(226)는 캠판(cam plate)(232), 캠폴로어축(cam follower shaft)(233), 지지판(234), 스프링(235), 및 각도 검출 스위치(236)를 구비하고 있다.
캠판(232)은 원판부(232a)와 상기 원판부(232a)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캠 오목부(cam recess part)(32b)로 형성된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동작에 따라, 캠판(232)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폴로어축(233)은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와 지지축부(233b)로 형성된다.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의 외경은 지지축부(233b)의 외경보다 크다.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의 축 방향으로의 일 단면은 캠판(232)의 외주면과 슬라이드 접촉 된다.
삽입공(234a)이 지지판(23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4a)에 캠폴로어축(233)의 지지축부(233b)가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235)은,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235)은 캠폴로어축(233)의 지지축부(233b)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235)은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의 축방향에 있어서 다른 단면과 지지판(34) 사이에 압축되어 있다.
각도 검출 스위치(236)는 본체(236a)와 상기 본체(236a)에 대해 이동되는 검출축(236b)을 구비하고 있다. 각도 검출 스위치(236)는, 각도 검출 스위치(236)와 캠판(232) 사이에 캠폴로어축(233)을 개입시켜 캠판(232)의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도 검출 기구(226)에 있어서 캠판(232)이 회전되면, 상기 캠판(232)에 대한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의 접촉 위치에 따라 캠폴로어축(233)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캠폴로어축(233)의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가 캠판(232)의 원판부(232a)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캠폴로어축(233)은 스프링(23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각도 검출 스위치(23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지지축부(233b)에 의해 각도 검출 스위치(236)의 검출축(236b)이 눌려져, 각도 검출 스위치(236)가 온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캠폴로어축(233)의 캠 슬라이드 접촉부(233a)가 캠판(232)의 캠 오 목부(232b)와 접촉되면, 캠폴로어축(233)은 스프링(235)의 가압력에 의해 각도 검출 스위치(23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각도 검출 스위치(236)의 검출축(236b)이 지지축부(233b)에 의한 눌림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각도 검출 스위치(236)는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각도 검출 기구(226)에 있어서는,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약 0 ˚ 내지 약 45˚까지의 범위 내이면, 각도 검출 스위치(236)는 오프 상태이다.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예를 들면 약 45˚ 내지 약 150˚까지의 범위 내이면, 각도 검출 스위치(236)는 온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마우스 장치(205)의 개폐 시, 즉, 제1 케이싱(209)이 제2 케이싱(210)에 대해 회전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a 내지 도 12 참조). 도 12는 각 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차트이다.
단힌 위치(회전 각도 약 0˚)에 있어서,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와 각도 검출 스위치(236)는 모두 오프 상태이고(도 7a, 도 7b 및 도 12 참조), 마우스 장치(205)의 모드는 마우스 모드이다(도 12 참조). 따라서, 마이크로폰(220), 제1 의 스피커(212), 및 제2 스피커(217)은 오프 상태(디스에이블 상태, 즉 사용 불능 상태)이다.
단힌 위치에서 착신이 이루어지면, 제2 스피커(217)는 온 상태로 전환되어, 착신음이 출력된다(도 12 참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9)에 설치된 발광부(215)가 점멸한다. 착신음은 제1 케이싱(209)가 회전되어 소정의 회전 각도, 예를 들면 회전 각도 약 45˚가 될 때까지, 제2 스피커(217)로부터 출력된다.
제1 케이싱(209)이 단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회전되면, 회전 각도 약 5˚에서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온 상태로 설정된다(도 8a, 도 8b 및 도 12 참조).
제1 케이싱(209)이 열린 위치를 향해 더욱 회전되면, 회전 각도 약 45˚에서 각도 검출 스위치(236)가 온 상태로 설정된다(도 9a, 도 9b 및 도 12 참조). 따라서,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 및 각도 검출 스위치(236)가 모두 온 상태로 설정되고, 마우스 장치(205)의 모드는 마우스 모드에서 전화 모드로 전환된다(도 12 참조). 동시에, 마이크로폰(220)이 온 상태로 설정되어 음성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착신이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스피커(217)가 이미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착신이 없으면 제2 스피커(217)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음성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마우스 장치(205)를 손에 들지 않고 이른바 핸즈프리 상태에서 탁상 등에 둔 상태에서 마우tm장치(205)를 전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덧붙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 장치(205)에서 경첩부(211)의 일단부에 설치된 열림 버튼(224)을 누름으로써, 제1 케이싱(209)은 제2 케이싱(210)에 대해 회전 각도 약 50˚까지 회전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각도 약 50˚에서 이른바 핸즈프리의 상태로 마우스 장치(205)를 전화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싱(209)이 열린 위치를 향해 더욱 회전되면, 회전 각도 약 55˚에서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도 10a, 도 10b, 및 도 12 참조). 그리고, 회전 각도 약 50˚상태에서 열린 위치로의 제1 케이싱(209)의 회전은 수동으로 수행된다.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면, 제1 스피커(212)는 온 상태로 설정되고 제2 스피커(217)는 오프 상태로 설정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대상이 제2 스피커(217)에서 제1 스피커(212)로 바뀐다.
제1 케이싱(209)이 열린 위치를 향하여 더욱 회전된 후, 열린 위치가 회전 각도 약 150˚에 도달한다(도 11a 및 도 11b 참조). 이때 음성(voice)은 마이크로폰(220)으로 입력되고, 음성은 제1 스피커(212)로 출력되어(도 12 참조), 사용자는, 예를 들면 마우스 장치(205)를 손에 들고 이른바 접이식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의 상태에서 마우스 장치(205)를 전화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싱(209)이 열린 위치(회전 각도 약 150˚)에서 단힌 위치를 향하여 회전되면,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회전 각도 약 55˚에서 온 상태로 설정된다(도 12 참조). 덧붙이면, 열린 위치에서 단힌 위치를 향한 제1 케이싱(209)의 회전은, 모두 수동으로 수행된다.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온 상태로 설정되면, 제1 스피커(212)는 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제2 스피커(217)는 온 상태로 설정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대상이 제1 스피커(12)에서 제2 스피커(217)로 바뀐다. 마우스 장치(205)는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일시적으로 회전 각도 약 50˚의 상태(도 3 참조)로 유지된다.
제1 케이싱(209)이 단힌 위치를 향하여 더욱 회전되면, 각도 검출 스위 치(236)가 회전 각도 약 45˚에서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도 12 참조). 이때, 마이크로폰(220)은 오프 상태로 설정되어 음성 입력이 불가능하게 되고, 제2 스피커(217)도 오프 상태로 설정되어 음성 출력도 불가능하게 된다.
제1 케이싱(209)이 단힌 위치에 향하여 더욱 회전되면, 회전 각도 약 5˚에 서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가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도 12 참조). 따라서, 개폐 상태 검출 스위치(231) 및 각도 검출 스위치(236)가 모두 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마우스 장치(205)의 모드가 전화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로 바뀐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 장치(205)를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다.
덧붙이면, 위에서는, 제1 케이싱(209)이 열린 위치에서 단힌 위치로 회전될 때, 회전 각도 약 45˚에서 마이크로폰(220) 및 제2 스피커(217)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1 케이싱(209)이 회전 각도 약 5˚까지 회전되고 마우스 장치(205)의 모드가 전화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로 바뀔 때, 그와 동시에, 마이크로폰(220) 및 제2 스피커(217)를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1 케이싱(209)이 단힌 위치를 향하여 더욱 회전된 후, 단힌 위치가 회전 각도 약 0˚에 도달된다.
덧붙이면, 마우스 장치(205)는, 마우스 장치(205)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볼 디바이스 또는 수발광 디바이스의 구동 상태를 온 상태로 설정하여, 마우스 모드에서 마우스 장치(205)의 마우스로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 장치(205)는, 제1 케이싱(209)이 제2 케이싱(210)에 대해 회전될 때,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로 따라 마우스 모드와 전화 모드 간에 변경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기와 같이, 마우스 사용과 전화 사용 사이에 전환할 때, 제1 케이싱을 제2 케이싱에 부착하거나 제1 케이싱을 제2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모드를 전환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로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대상이 제1 스피커(212)와 제2 스피커(217) 사이에서 바뀌기 때문에, 마우스 장치(205)의 사용 모드[핸즈프리의 상태에서의 마우스 장치(205)의 사용과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의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의 마우스 장치(205)의 사용]에 적응하여 마우스 장치(205)를 전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각도로 따라 마이크로폰(220)의 사용 상태가 바뀌기 때문에, 마우스 장치(205)의 마우스 및 전화로서의 양호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이면, 마우스 장치(205)에 있어, 제2 스피커(217)로부터의 음성의 최대 출력은 제1 스피커(212)로부터의 음성의 최대 출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마우스 장치(205)를 전화로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음성이 제2 스피커(217)로 출력될 때는 사용자는 이른바 핸즈프리의 상태에서 귀에서 떨어져 있는 마우스 장치(205)로부터 음성을 듣고, 음성이 제l 스피커(112)로 출력될 때는 사용자는 이른바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의 상태에서 마우스 장치(205)를 손에 들고 마우스 장치(205)에 귀를 대고 음성을 듣는다. 따라서, 제2 스피커(217)로부터의 음성의 최 대 출력을 제1 스피커(212)로부터의 음성의 최대 출력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회전 각도의 상위에 의한 사용 모드에 관계없이 마우스 장치(205)의 전화로서의 양호한 사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장치(205)는 마우스 모드와 전화 모드의 전환을,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방향, 즉, 단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향하는 회전 방향과 열린 위치에서 단힌 위치로 향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이한 회전 각도(회전 각도 약 5˚와 회전 각도 약 45˚)에서 수행한다.
따라서, 마우스 장치(205)를 마우스로서 사용하는 중 잘못하여 제1 케이싱(209)이 제2 케이싱(210)에 대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케이싱(209)이 일정한 회전 각도(약 45˚)로 회전될 때까지는, 마우스 장치(205)가 전화 모드로 바뀌지 않기 때문에, 마우스 장치(205)의 마우스로서의 양호한 사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장치(205)를 전화로 사용하는 중에 잘못하여 제1 케이싱(209)이 제2 케이싱(210)에 대해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케이싱(209)이 일정한 회전 각도(약 5˚)로 회전될 때까지는, 마우스 장치(205)가 마우스 모드로 바뀌지 않기 때문에, 통신은 중단되지 않고 마우스 장치(205)의 전화로서의 양호한 사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덧붙이면, 위의 설명에서는 마우스 모드와 전화 모드의 전환을,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방향에 따라 상이한 회전 각도에서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마우스 모드와 전화 모드의 전환을,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회전 각도에서 수행할 수도 있 다.
또한, 상기한 각 부에 대한 온오프 제어에 관한 제1 케이싱(209)의 제2 케이싱(210)에 대한 각 회전 각도는 단지 예이다. 각 부에 대한 온오프 제어에 관한 회전 각도는, 단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의 회전 각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최선의 형태에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본 발명e의 실시할 때의 구체화의 단지 일례를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최선의 형태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다음에,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사용 예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컴퓨터 장치(20)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이다. 컴퓨터 장치(20)는 USB를 지원하고 USB 케이블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 장치(20)는 인터넷을 통해 통신 가능하다. 또, 컴퓨터 장치(20)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서 IP 전화를 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서 IP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이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USB 케이블(13)로 컴퓨터 장치(20)에 접속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마우스로 사용하는 경우, 도 13a에 일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을 닫아, 광학 센서(7)가 배치된 측을, 예를 들면 마우스 패드나 탁상 등의 평평한 장소에 놓고, 이동시킨다. 광학 센서(7)에 의해 검출된 이동량을 나타내는 신호와, 마우스 버튼(5A, 5B) 및 휠(6)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마우스 데이터로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컴퓨터 장치(20)로 송신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IP 전화 핸드셋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13b에 일례가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집어들고 케이싱을 열어, 예를 들면 키부(8)로부터 통화하고 싶은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키를 누르는 것으로, 상대를 호출한다. 전화번호는 또한 컴퓨터 장치(2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화기(11)를 귀에 가까이 가져가고, 송화기(9)를 사용자의 목소리가 수집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 통화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의 음성 신호는 디지털 음성 신호로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장치(20)로부터의 착신 통지와,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측의 키부(8) 등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전송 된다. 또한, 전원은 컴퓨터 장치(20)로부터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공급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이 열리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마우스 기능이 디스에이블 되어, 해당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마우스로서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면, 마우스 버튼(5A, 5B), 휠(6), 및, 광학 센서(7)의 기능이 디스에이블 된다. 예를 들면 통화 종료키가 눌려지고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 이싱이 닫히면, 마우스 기능이 인에이블되어 해당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다.
광학 센서(7)의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예는, 예를 들면 광학 센서(7)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것, CPU(74)가 광학 센서(7)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수신을 거부하는 것, CPU(74)가 광학 센서(7)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무시하는 것, 그리고 광학 센서(7)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를 외부 기기로의 전송을 거부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우스와 핸드셋을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마우스 기능과 전화 기능을 각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예를 들면 휴대형으로 구성된 컴퓨터 장치(20) 상에서 IP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컴퓨터 장치(20)와 함께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가지고 다님으로써 포인팅 디바이스로서의 기능과, IP 전화 통화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착신음을 발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헤드셋을 장착하거나, 컴퓨터 장치(2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지 않아도 IP 전화에 의한 착신을 알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사용한 IP 전화 통신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개략적으로 광학 블록(30), 데이터 입력 유닛(40), USB 허브 유닛(50,) 및 오디오 유닛(70)을 포함한다.
광학 블록(30)은 LED(31)와, 광센서 및 수광 유닛(32)을 구비하고 있다. 광 학 블록(30)은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이동량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광센서 및 수광 유닛(32)은 LED(31)에 의해 방출된 광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여, DSP(33)에 공급한다. DSP(33)는 소정의 클록에 기초하여 공급된 신호의 시간 변화를 구하고, 구해진 시간 변화에 기초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이동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이동량을 나타내는 이동량 정보는, 직렬 I/F(34)에 공급되고, 동기 직렬 신호(synchronous serial signal)로서 출력된다.
데이터 입력 유닛(40)은 광학 블록(30)으로부터 동기 직렬 신호로서 출력된 이동량 정보를 공급받고, 마우스 버튼(5A, 5B), 및 휠(6)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마우스 버튼(5A, 5B)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포트(42)에 공급된다. 또한, 휠(6)의 회전은 휠 인코더(45)에 의해 소정의 신호로 변환되어 포트(42)에 공급된다. 포트(42)는 입력된 이들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한편, 광학 블록(30)으로부터 공급된 동기 직렬 신호는, 직렬 I/F(41)에 공급된다. 포트(42)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및 직렬 I/F(41)에 공급된 동기 직렬 신호는, 제어 유닛(43)에 의해 소정의 방식으로 제어되어, USB I/F(44)에 공급된다. USB I/F(44)는 공급된 신호와 데이터로 이루어진 마우스 데이터를 USB의 인터럽트 전송을 사용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유닛(70)은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전화 기능을 책임지는 부분이다. 오디오 유닛(70)은 A/D 변환 유닛(71), D/A 변환 유닛(72), DSP(73)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74)를 가진다. 또한, CPU(74)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77)에 접속된다. CPU(74)는 프로그램에 따라 오디오 유닛(70)을 제어한다. 또한, CPU(74)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다른 부분도 제어할 수 있다. CPU(74)는, 예를 들면 광학 블록(30) 및 데이터 입력 유닛(4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니오 유닛(70)은 컴퓨터 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한 USB I/F(75)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IP 전화 통화의 디지털 음성 신호, 오디오 유닛(70)으로부터 출력된 전화 기능 제어 신호, 및 컴퓨터 장치(20)로부터의 착신 통지 신호 등이 USB I/F(75)를 통하여 송수신 된다. 직렬 I/F(76)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내의 직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각 부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오디오 유닛(70)은 키부(8)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공급받는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보조 키부(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조 키부(10)로부터의 출력 신호도 또한 오디오 유닛(70)에 공급된다. 키부(8) 및 보조 키부(10)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CPU(74)에 공급된다.
오디오 유닛(70)은 훅 검출 스위치(78)의 출력 신호를 공급받는다. 훅 검출 스위치(78)의 출력 신호는 CPU(74)에 공급된다. 훅 검출 스위치(78)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전화 기능에 있어 온 훅(on hook) 상태 및 오프 훅(off hook)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훅 검출 스위치(78)는, 예를 들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의 열린 상태는 오프 훅 상태이고,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의 닫힌 상태는 온 훅 상태이다.
CPU(74)는 키부(8) 및 보조 키부(10)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훅 검출 스위치(78)의 출력 신호를, 전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화 기능 제어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 전화 기능 제어 신호를 USB I/F(75)에 공급한다. USB I/F(75)는 전화 기능 제어 신호를, 예를 들면 USB의 인터럽트 전송을 사용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유닛(70)은 송화기(9)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9A)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폰(9A)은 집음된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다음, 오디오 유닛(70)에 입력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A/D 변환 유닛(71)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DSP(73)에 공급된다. DSP(73)는 CPU(74)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A/D 변환 유닛(71)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는, DSP(73)에 의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거친 다음, USB I/F(75)에 공급된다. USB I/F(75)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USB의 등시성 전송(isochronous transfer)을 사용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음성 신호가 후술하는 USB 허브 유닛(50)으로부터 등시성 전송에 의해 오디오 유닛(70)에 공급되고, USB I/F(75)에 수신된다. USB I/F(75)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DSP(73)에 전달한다. 디지털 음성 신호는 DSP(73)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거친 다음, D/A 변환 유닛(72)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수화기(11)를 구성하는 스피커(11A)에 공급된다.
CPU(74)는 또한 DSP(73)를 사용하여 소정의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74)는 컴퓨터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착신 통지 신호를 USB I/F(75)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착신 통지 신호에 따라, 착신을 통지하기 위한 착신음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을 출력한다. DSP(73)는 이 명령에 따라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음성 신호는, 증폭기(AMP)(79)에서 증폭된 다음 스피커(80)로부터 출력된다. 덧붙이면, 스피커(80)는 수화용의 스피커(11A)와는 별도로 설치된다.
USB 허브 유닛(50)은 복수의 USB 스트림과 1개의 USB 스트림 사이에 중계를 수행한다. 이 예에서는, USB 허브 유닛(50)은 다운 스트림(downstream) 측에 2개의 포트를 가진다. 다운 스트림 포트(51)(DS 포트 0)는 데이터 입력 유닛(40)의 USB I/F(44)와 접속된다. 또한, 다운 스트림 포트(52)(DS 포트 1)는 오디오 유닛(70)의 USB I/F(75)와 접속된다. 이들 다운 스트림 포트(51, 52)는, 각각 다운 스트림 라우팅 및 업 스트림 라우팅을 제어하는 다운 스트림 포트 컨트롤러(DPC)(53) 및 업 스트림 컨트롤러(UPC)(54)와, 스트림 데이터에 소정의 변환 처리 등을 행하는 SERDES(Serialzer and Deserialzer) 유닛(55)을 통하여 USB I/F(56)에 접속된다.
USB I/F(56)는 USB 커넥터(60)를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 장치와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USB 커넥터(60)에 대해 USB 케이블(13)이 접속되고, 이 USB 케이블(13)이 컴퓨터 장치(20)의 USB 커넥터에 접속됨에 따라,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과 컴퓨터 장치(20) 사이에 USB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전원은 USB의 전원 공급 기능을 이용하여 컴퓨터 장치(20)로부터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공급된다. 전원은 컴퓨터 장치(20)로부터 USB 허브 유닛(50)에 공급되고, USB I/F를 통하여 USB 허브 유닛(50)에 접속되 어 있는 데이터 입력 유닛(40) 및 오디오 유닛(70)에 전원이 공급된다. 광학 블록(30)은 데이터 입력 유닛(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표시부(12)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유닛(70)은, CPU(74)에 의해 생성된 표시 제어 신호를, LCD 등을 표시 소자로서 사용하는 표시부(12)가 표시 가능한 형식의 표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그래픽 유닛을 설치하고 있다. CPU(74)에 의해 소정의 방식으로 생성된 표시 제어 신호는 그래픽 유닛에 공급되어 소정의 형식의 표시 신호로 변환되고, 표시 신호는 표시부(12)에 공급된다.
표시부(12)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로는, 키부(8)을 사용하여 입력되는 전화번호, 키부(8) 또는 보조 키부(10)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표시, 및 전화의 착신시 등에는, 착신 상대의 전화번호나 상대의 이름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착신 상대의 이름 정보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20)에 내장된 IP 전화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전화번호부 기능을 가지고, 그 전화번호부에 착신 상대의 전화번호에 대응한 이름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2)에의 표시는 이들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정의 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대해서 카메라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촬상(image pickup)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20)에 전송된 다음, 통화 상대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15는 컴퓨터 장치(20)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버 스(80)는 CPU(81), ROM(Read Only Memory)(82), RAM(Random Access Memory)(8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84), 및 드라이브 장치(85)와 접속되어 있다. CPU(8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84)나 ROM(82)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컴퓨터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83)은, CPU(8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작업용 메모리(work memory)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 IP 전화를 실행하기 위한 전술한 소프트웨어(이하,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는, 소정의 방식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84)에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다. CPU(81)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20)의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84)로부터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 데이터를 RAM(83)상에 전개한다. CPU(81)는 RAM(83)상에 전개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판독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해당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컴퓨터 장치(20)의 기동 시에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드라이브 장치(85)는,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ROM) 등의 기록 매체(86)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데이터는, 예를 들면 CD-R(Compact Disc-Recordable), CD-RW(Compact Disc-ReWritable), DVD-R(DVD Recordable), 및 DVD-RW(DVD Re-recordable) 등의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86)에 기록될 수도 있다.
버스(80)는 또한 키보드(87) 및 그래픽 유닛(88)에 접속되어 있다. 키보드(87)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버스(80)를 통하여 CPU(81)에 공급되어, 소정의 방식으로 캐릭터 데이터(character data)로 변환된다. 또한, 그래픽 유닛(88)은 CPU(81)로부터 공급된 표시 제어 신호를, LCD,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성되는 모니터(89)에 표시 가능한 형식의 신호로 변환한다.
버스(80)는 또한 USB I/F(90) 및 통신 I/F(91)와 접속되어 있다. 통신 I/F(91)는 인터넷(92)과 접속되고, 인터넷(92)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IP 전화 통신 데이터는, 통신 I/F(91)의 제어 하에 인터넷(92)에 대해 송수신된다. USB I/F(90)는 USB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USB I/F(90)는 접속된 USB 디바이스와 USB의 규격에 따른 프로토콜로 통신하여, 데이터 전송 등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USB 케이블(13)에 의해 USB I/F(90)에 접속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마우스로 사용되는 경우,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우스 데이터는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USB I/F(90)에서 수신되고, 그 후 USB I/F(90)로부터 버스(80)를 통하여 CPU(81)에 공급된다. CPU(81)에 공급된 마우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CPU(81)는 모니터(89)에 마우스 커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다양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핸드셋으로 사용되는 경우,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키부(8) 또는 보조 키부(10)의 입력에 대응하는 전화 기능 제어 신호가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USB I/F(90)에 의해 수신된 다음, USB I/F(90)로부터 버스(80)를 통하여 CPU(81)에 공급된다. CPU(81)에 공급된 전화 기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CPU(81)는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따라, IP 전화의 통신 제어를 수행한다.
IP 전화 통화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또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전송되고 USB I/F(90)에 의해 송수신된다. 송화 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USB I/F(90)에 의해 수신되어, 버스(80)을 통하여 CPU(81)에 공급되고,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81)는, 예를 들면 공급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통신 I/F(91)로부터 인터넷(92)에 송신한다.
또한, 수화 시, 인터넷(92)으로부터 송신된 IP 전화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통신 I/F(91)에 의해 수신되어, 버스(80)를 통하여 CPU(81)에 공급되고,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81)는 공급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USB I/F(90)로부터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송신한다.
전술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84)에 기록되어 있는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CD-ROM이나 DVD-ROM과 같은 기록 매체(86)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은 드라이브 장치(85)에 의해 기록 매체(86)로부터 판독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84)에 소정의 방식으로 기록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I/F(91)를 통하여 인터넷(92)으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CPU(81)의 명령에 따라 인터넷(92)상의 도시되 지 않는 서버로부터 소정의 방식으로 다운로드된 IP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데이터가 ,통신 I/F(91)에 의해 수신되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84)에 소정의 방식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내의 EEPROM(77)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장치(20)로부터 전송하고,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20)는 인터넷(92)이나 기록 매체(86)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을, USB I/F(90)로부터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송신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프로그램을 USB 허브 유닛(50)으로 수신하고, 그 프로그램을 다운 스트림 포트(52)로부터 오디오 유닛(70)으로 송신한다. 오디오 유닛(70)은 프로그램을 USB I/F(75)로 수신한다. CPU(74)는 수신된 프로그램을 EEPROM(77)에 소정의 방식으로 기입하고, EEPROM(77) 내의 프로그램을 갱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의 일례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것이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은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 API부(102), 및 변환부(103)를 포함하며, OS(Operating System)(105)상에서 동작한다. OS(105)는 USB 통신을 제어하는 범용의 USB 드라이버(104)를 가진다. API부(102)는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에서 변환부(103)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다.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주로 IP 전화의 통신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전화의 발신 및 착신 시의 처리, 통화를 위한 디지털 음성 신호의 변조 및 복조 처리, 그리고 전화번호부 관리와 같은 처리를 수 행한다. 변환부(103)는 범용 USB 드라이버(104)와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즉, 변환부(103)는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 범용 USB 드라이버(104)를 제어하기 위한 일종의 API이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부터 인터럽트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된 전화 기능 제어 신호는 범용 USB 드라이버(104)에 의해 수신된 다음, 변환부(103)에 전달된다. 변환부(103)는 전달받은 전화 기능 제어 신호를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가 해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 다음,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에 전달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으로부터 등시성 전송을 사용하여 송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범용 USB 드라이버(104)에 의해 수신되고, 그 후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에 직접 전달된다.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변환부(103)로부터 받은 전화 기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IP 전화에 의한 발신, 착신, 및 통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일례로서,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OS(105)에 대해 인터넷(92)과의 통신 요구를 발행한다. 이 요구를 응답하여, OS(105)는 도시되지 않는 통신 드라이버에 의해 통신 I/F(91)를 제어하여, 인터넷(92)을 통해 IP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소정의 절차에 의해 인터넷(92)를 통한 발신 상대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그리고,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범용 USB 드라이버(104)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인터넷(92)을 통하여 발신 상대에게 송신한다.
인터넷(9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통화 상대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음성 신 호는, 통신 I/F(91)에 의해 수신되고, 그 후 OS(105) 등의 제어하에 소정의 방식으로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에 전달된다.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이 디지털 음성 신호를 범용 USB 드라이버(104)의 제어로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송신한다.
착신의 경우, 예를 들면, OS(105) 등이 인터넷(92)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가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로 가는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그 신호는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에 전달된다. 그 신호가 착신을 나타내면, 전화 애플리케이션부(101)는 변환부(103)에 그 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신호를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해석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신호는 범용 USB 드라이버(104)의 제어하에 USB 케이블(13)을 통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송신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있어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과 컴퓨터 장치(20)(도 17에서는 PC로 기재함)를 USB 케이블(13)을 통해 상호 접속하면(단계 S10), 다음 단계 S11에서, USB의 전원 공급 기능을 이용하여, 컴퓨터 장치(20)로부터 USB 허브 유닛(50)에 전원이 공급되고, USB 허브 유닛(50)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입력 유닛(40) 및 오디오 유닛(70)에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의 단계 S12에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내부의 개개의 USB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 장치(20)에 전송한다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USB 허브 유닛(50), 데이터 입력 유닛(40), 및 오디오 유닛(70)에 대한 USB 디바이스로서의 정보가, USB의 제어 전송에 의해 컴퓨터 장치(20)에 송신된다. 이 정보는 컴퓨터 장치(20)의 범용 USB 드라이버(104)에 의해 수신되고, 컴퓨터 장치(20)의 OS(105)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내부의 개개의 USB 디바이스를 인식한다. 다음의 단계 S13ㅇ에서, 마우스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이 온 된다.
도 17의 흐름도에 있어 단계 S14 및 후속 단계에서의 각 처리나 판단은, CPU(74)에 의해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된다.
다음의 단계 S14에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온 훅 상태에 있는지를, 훅 검출 스위치(78)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경우, 케이싱의 닫힌 상태가 온 훅 상태이고, 케이싱의 열린 상태가 오프 훅 상태이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이 열려 있어 오프 훅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5로 이행된다.
단계 S15에서, 광학 블록(30)의 전원이 오프되고, 마우스의 위치 검출 기능은 디스에이블 된다. 다음의 단계 S16에서, 발신 조작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부(8)를 조작하여 발신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전화번호 정보가 컴퓨터 장치(20)에 송신된 다음, 컴퓨터 장치(20) 내의 범용 USB 드라이버(104) 및 변환부(103)를 통하여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에 전달된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은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발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 발신 처리에 따라 발신처와 전화가 연결되면, 단계 S17에서 통화에 대한 음성 처리가 수행된. 구체적으로는, 발신처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컴퓨터 장치(20)에 의해 수신된 후,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범용 USB 드라이버(104)를 통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송신된다. 이 디지털 음성 신호 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 내의 USB 허브 유닛(50)에 의해 수신된 다음, 오디오 유닛(70)에 공급된다. 오디오 유닛(70)은 공급된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가하고, 그 결과물 디지털 음성 신호를 D/A 변환 유닛(72)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유닛(70)은 그런 다음 그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11A)에 공급한다.
또한, 오디오 유닛(70)은 마이크로폰(9A)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A/D 변환 유닛(71)에서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 다음 출력한다. 이 디지털 음성 신호는 USB 허브 유닛(50)으로부터 컴퓨터 장치(20)에 송신된다. 컴퓨터 장치(20)에서는, 범용 USB 드라이버(104)에 의해 이 디지털 음성 신호가 수신되어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에 전달된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은 전달받은 디지털 음성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가한 다음, 통화의 상대에게 송신한다.
한편, 전술한 단계 S14에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온 훅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8로 이행되어, 컴퓨터 장치(20)로부터 착신을 통지하는 착신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판단된다. 착신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서, 착신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9로 이행된다. 단계 S19에서, 이 시점에서 마우스 기능이 오프되어 있으면, 마우스 기능을 온 하여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마우스로서 사용 가능하게 한다. 처리는 단계 S14로 돌아간다.
또한, 전술한 단계 S18에서, 컴퓨터 장치(20)로부터 착신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20으로 이행된다. 단계 S20에서, 오디오 유닛(70)이 착신 신호의 통지에 응답하여 착신 음성을 생성한다. 이 착신 음성은 증폭기(79)를 통하여 스피커(80)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착신음에 따라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케이싱을 열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오프 훅 상태로 설정하면(단계 S21), 다음의 단계 S22에서, 광학 블록(30)의 전원이 오프되고, 마우스 기능이 오프된다. 마우스 기능이 오프된 후, 다음의 단계 S23에서, 컴퓨터 장치(20)에 오프 훅 상태가 통지되고, 전술한 단계 S17의 처리와 같이 통화가 개시된다.
온 훅 상태가 검출되고(단계 S24), 통화가 종료되면, 광학 블록(30)의 전원이 온 되고 마우스 기능이 온 된다(단계 S25). 그러고나서, 처리는 단계 S14로 돌아간다.
전술한 단계 S15 및 단계 S22에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오프 훅 상태로 설정되어 마우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광학 블록(30)의 전원이 오프된다. 이로써,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핸드셋 기능을 이용하고 마우스 기능을 이용하지 않을 때에,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광학 블록(30)의 전원을 오프하고 마우스 기능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면, 범용 USB 드라이버(104)의 제어에 의해, 컴퓨터 장치(20) 측으로부터는 마우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마우스 버튼(5A, 5B)이나 휠(6) 등을 조작하더라도, 컴퓨터 장치(20)상에서는 어떤 반응도 일어나지 않고, 컴퓨터 장치(20)에 있어서 예상치 않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서 설명에서는, 마우스 기능의 온/오프는 광학 블록(30)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제어되지만, 이것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우스 기능의 온/오프는 데이터 입력 유닛(40)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또는 광학 블록(30) 및 데이터 입력 유닛(40) 모두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8에 있어서, 전술한 도 14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 있어서, USB 허브 유닛(50), 마우스 제어를 위한 제어 유닛(43) 등을 생략한 것이다.
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의 경우, 광학 블록(30)의 출력과, 마우스 버튼(5A, 5B) 및 휠 인코더(45)의 출력은 범용의 CPU(120)에 공급되고, CPU(120)에 의해 소정의 방식으로 처리된 이들 출력은 마우스 데이터로서 오디오 유닛(70)의 CPU(74)에 공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광학 블록(30)의 직렬 I/F(34)로부터 동기 직렬 신호로서 출력된 이동량 정보는, 직렬 I/F(121)에 의해 수신되어 CPU(120)에 전달된다. 마우스 버튼(5A, 5B) 및 휠 인코더(45)의 출력은 CPU(120)에 공급되어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CPU(120)는 이들 데이터를 마우스 데이터로서 I2C I/F(122)로부터 오디오 유닛(70)의 직렬 I/F(76)에 직렬 전송하여, CPU(74)에 마우스 데이터를 공 급한다. CPU(74)는, CPU(120)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데이터, 오디오 유닛(70)의 처리에 관한 디지털 음성 신호, 그리고 온 훅 상태 및 오프 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제어하여, 이들 CPU(120)로부터 출력된 마우스 데이터, 오디오 유닛(70)의 처리에 관한 디지털 음성 신호, 그리고 온 훅 상태 및 오프 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USB I/F(75)에 공급한다.
USB I/F(75)는 USB 커넥터(60)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USB I/F(75)에 공급되는 데이터는, USB 커넥터(60)을 통하여,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20)에 송신된다. 그리고, CPU(120)는 EEPROM(77)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을 I2C I/F(122)를 통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 동작을 제어한다.
이 구성에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USB I/F를 1개 구비하며, USB 디바이스로서 하나의 디바이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도 17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어하려는 경우, 마우스 기능과 오디오 기능을 별개로 제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 장치(20) 측에, 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마우스 디바이스와 오디오 디바이스를 결합하는 복합형 디바이스로 인식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준비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범용 USB 드라이버(104)는 이 복합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는 드라이버로 치환된다. 이때, USB I/F(75)의 빈 엔드 포인트 버퍼(end-point buffer)에 마우스 데이터를 넣은 다음, 컴퓨터 장치(20)에 송신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의 USB 허브 유닛(50)이 생략되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IP 전화에 적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인터넷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전화에 사용하는 핸드셋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과 컴퓨터 장치(20)가 USB를 인터페이스로서 사용하여 유선으로 접속되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USB에 한정되지 않고, 마우스 데이터의 전송과 디지털 음성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면,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과 컴퓨터 장치(20)의 접속은 유선 접속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전송 가능한 대역을 확보할 수 있으면, 무선 접속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키부(8)를 구비하여 키부(8)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에서 키부(8)를 생략하고,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 측에서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발신 처리를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은 수화 전용으로 하고,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이 발신 조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신 처리는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 측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신 시에, 예를 들면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손에 들고 케이싱을 열어, 통화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전화번호의 입력과 발신 조작은, IP 전화 애플리케이션(100)에서 수행된다. 마우스 일체형 핸드셋(1)을 수화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부(8)는 생략된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설계 요건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서브 컴비네이션,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기능 겸용 마우스 장치는 컴퓨터 장치로부터 IP 전화를 더욱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7)

  1. 외부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유닛;
    음향(sound)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향 입력을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한 음성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의 인에이블(enable)과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음성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음성 신호 통신이 개시될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음성 신호 통신이 개시될 때, 상기 입력 유닛에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음성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음성 신호 통신이 종료될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배치되는 제1 구조부(structure part);
    상기 마이크로폰이 배치되는 제2 구조부; 및
    상기 제1 구조부와 상기 제2 구조부를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경첩부(hinge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는 상기 경첩부를 축으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음성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가 단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움직여질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가 상기 열린 위치에 서 상기 단힌 위치로 움직여질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부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구조부의 면 중 상기 제2 구조부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부와 상기 제2 구조부가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단힌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의 중간 위치의 소정의 각도에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상기 음성 신호가 상기 제2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하는, 음성 통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부의 외부면에 배치된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구조부의 면 중 상기 제2 구조부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부와 상기 제2 구조부가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단힌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의 중간 위치의 소정의 각도에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상기 음성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2 스피커로부터의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음성 통신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유닛과, 조작 신호를 가압 입력하는 버튼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부와 상기 제2 구조부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입력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부와 상기 제2 구조부 중 다른 한 쪽에 배치되는, 음성 통신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입력 유닛의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통지를 받은 때,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착신음(ring tone)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통지를 받은 때,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착신음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음성 통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에 의한 데어 입력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수신자를 설정하는, 음성 통신 장치.
  15.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고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음성 통신 장치의 음성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음성 신호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신호 통신이 수행될 때,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신호의 입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신 장치는,
    스피커가 배치되는 제1 구조부;
    마이크로폰이 배치되는 제2 구조부; 및
    상기 제1 구조부와 상기 제2 구조부를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경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는 상기 경첩부를 축으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음성 신호 통신은,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가 단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움직여질 때 개시되는, 음성 통신 방법.
  17.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
    상기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 수단;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상기 수집수단으로부터의 음향 입력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 수단의 기능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음성 통신 장치.
KR1020060079941A 2005-09-29 2006-08-23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 KR200700366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3335 2005-09-29
JP2005283335A JP2007096742A (ja) 2005-09-29 2005-09-29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音声通信装置および音声通信方法
JPJP-P-2005-00342005 2005-11-28
JP2005342005A JP2007148759A (ja) 2005-11-28 2005-11-28 電話機能を兼用したマウス装置
JPJP-P-2005-00342007 2005-11-28
JP2005342007A JP2007150695A (ja) 2005-11-28 2005-11-28 電話機能を兼用したマウス装置
JPJP-P-2005-00342006 2005-11-28
JP2005342006A JP2007150694A (ja) 2005-11-28 2005-11-28 電話機能を兼用したマウス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656A true KR20070036656A (ko) 2007-04-03

Family

ID=3815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941A KR20070036656A (ko) 2005-09-29 2006-08-23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66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6001A (zh) * 2010-10-09 2012-05-0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变形相机鼠标
CN108062171A (zh) * 2016-11-08 2018-05-22 苏州乐聚堂电子科技有限公司 可折叠鼠标及其控制方法
US10150029B2 (en) 2014-06-04 2018-12-11 Sony Corporation Vibrating apparatus and vibrating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6001A (zh) * 2010-10-09 2012-05-0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变形相机鼠标
US10150029B2 (en) 2014-06-04 2018-12-11 Sony Corporation Vibrating apparatus and vibrating method
US10828562B2 (en) 2014-06-04 2020-11-10 Sony Corporation Vibrating apparatus and vibrating method
CN108062171A (zh) * 2016-11-08 2018-05-22 苏州乐聚堂电子科技有限公司 可折叠鼠标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5533B2 (en)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communication method
US9143590B2 (en) Headset base with display and communications base
US8208854B2 (en) Bluetooth control for VoIP telephony using headset profile
US20040240650A1 (en) Real-ti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use with a personal computer system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JPH1056500A (ja) 無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とそ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
US20070123251A1 (en) Remote internet telephony device
JPH08214050A (ja) 無線電話ヘッドセット
WO2008138222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intégré
WO2020078332A1 (zh) 一种基于语音通话翻译能力的协商方法及电子设备
JP3696192B2 (ja) 電子機器および同電子機器の接続先切替え方法
WO2003105450A1 (ja) 折畳式携帯電話機
CN101115081A (zh) 无线通信装置及可扩充支持无线网络电话的蓝芽无线耳机
TW200810379A (en) Bluetooth internet phone and wireless device thereof
CN100536489C (zh) 音频通信装置和音频通信方法
EP2284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US20060068774A1 (en) Telephony apparatus for PBX system
JP2004165705A (ja) 無線通信端末及び撮影方法
KR20070036656A (ko) 음성 통신 장치 및 음성 통신 방법
WO2015087548A1 (ja) 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連携方法
US20060025176A1 (en) Detachable acoustic interface for a handheld terminal
JP2007150695A (ja) 電話機能を兼用したマウス装置
KR20160119722A (ko) 전자장치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JP2007148759A (ja) 電話機能を兼用したマウ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