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849A -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849A
KR20070034849A KR1020050089448A KR20050089448A KR20070034849A KR 20070034849 A KR20070034849 A KR 20070034849A KR 1020050089448 A KR1020050089448 A KR 1020050089448A KR 20050089448 A KR20050089448 A KR 20050089448A KR 20070034849 A KR20070034849 A KR 2007003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xis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규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8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849A/ko
Publication of KR2007003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축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을 구비한 키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가 분석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수평/수직 여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기능을 처리하는 부가장치 처리부; 상기 부가장치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연결되며 상기 다축의 센서를 포함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수치 정보로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축 센서부; 및 상기 다축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다축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읽어들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놓여 있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수평/수직 여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의 측정 정보를 상기 LCD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나 가전 제품의 수평 여부 및 3차원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의 수평계나 3차원 위치 측정계를 항상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언제나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수평/수직 및 3차원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 위치, 공간, 측정,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pace Position Measurement Function by Using Sensor}
도 1은 종래의 물방울 수평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하 이동 위치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앞, 뒤, 좌, 우 이동 위치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2: 프로그램 메모리 204: 키입력부
206: LCD 표시부 208: 데이터 저장부
210: 부가장치 처리부 212: 다축 센서부
220: 마이크로프로세서 230: 디지털 신호 처리부
240: 베이스 밴드 변환부 250: RF 신호 처리부
260: 스피커 270: 마이크로폰
280: RF 안테나
본 발명은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3축 이상의 다축의 센서를 이용한 수평/수직 측정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점을 기준으로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인터넷 접속이나 이메일 송수신, 화상 송수신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점차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가구나 전자 제품 등의 수평 조정에 이용되는 수평계는 주로 물방울 수평계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물방울 수평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물방울 수평계(100)는 물방울(110)을 이용하여, 물방울(11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판단하여 수평을 맞추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물방울 수평계(100)는 휴대하기가 쉽지 않아 사용하기가 불편 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평계의 기능을 구비하면 종래의 물방울 수평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3축 이상의 다축의 센서를 이용한 수평/수직 측정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점을 기준으로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축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을 구비한 키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가 분석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수평/수직 여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기능을 처리하는 부가장치 처리부; 상기 부가장치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연결되며 상기 다축의 센서를 포함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수치 정보로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축 센서부; 및 상기 다축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다축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읽어들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놓여 있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수평/수직 여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의 측정 정보를 상기 LCD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프로그램 메모리(202), 키입력부(204),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206), 데이터 저장부(208), 부가장치 처리부(210), 다축 센서부(212),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220),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230), 베이스밴드(Baseband) 변환부(240), RF 신호 처리부(250),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및 RF 안테나(28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다축 센서부(212)가 측정한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다축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위치 분석 프로그램은 다축 센서부(212)가 측정한 X축, Y축 및 Z축의 다축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을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CD 표시부(206)는 배터리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 시각 등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LCD 표시부(206)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LCD 표시부(206)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각 기능들을 메뉴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208)는 다축 센서부(212)가 측정한 다축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장치 처리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부가적으로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기능, 캠코더 기능 및 오디오 기능 등을 가지는 부가장치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 처리 기능을 수행한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가장치 처리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다축의 정보를 측정하는 다축 센서부(212)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다축 센서부(212)는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다축의 센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 내부에 장착되거나 연결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놓여 있는 위치를 x, y 및 z 형태의 수치 정보로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축 센서부(212)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놓여 있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X축, Y축 및 Z축의 다축의 정보를 측정하여 데이터 저장부(208)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다축 센서부(212)가 측정한 다축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메모리(202)가 분석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정보를 LCD 표시부(20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다축 센서부(212)가 측정한 다축의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08)에서 읽어들여 프로그램 메모리(202)에 있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놓여 있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정보를 LCD 표시부(2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다축 센서부(212) 내의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각 다축 센서의 동작이 모두 0(Zero)인 원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원점은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놓인 위치에 따라 재설정이 가능하다. 설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이동에 따른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다축의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3차원 공간 위치 측정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는 음성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코딩(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하고 다중 경로 잡음의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40)와 음성 신호(SPEECH)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수신한다(RX DATA).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는 RF 신호 처리부(25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 스피커(260) 및 마이크로폰(270) 사이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베이스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250)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250)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250)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250)는 RF 안테나(28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26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7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RF 안테나(280)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하 이동 위치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화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원점에 위치한 원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20)가 설정한 원점을 기준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가 원점에서 중력방향으로 가까워지면 도 3의 (b)와 같이 원점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멀어지면 도 3의 (c)와 같이 원점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상하 위치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척도는 사용자의 정의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앞, 뒤, 좌, 우 이동 위치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화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 서, 남, 북 또는 앞, 뒤, 좌, 우의 이동에 따른 위치는 이동 각도에 따라 원점에서의 이동한 위치를 표현한다. 도 4의 (a)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20)가 설정한 원점을 기준으로 앞, 뒤, 좌, 우로 움직이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동 위치를 X축, Y축, Z축에 의해 원점으로부터 이동한 거리 만큼 계산하여 도 4의 (b), (c), (d) 및 (e)와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척도는 사용자의 정의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3차원 공간 위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화면이다.
전술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하 이동에 따른 위치 및 앞, 뒤, 좌, 우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원점으로부터 이동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수치를 이용하여 3차원적인 이동 거리 및 3차원 공간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도 5의 (a) 및 (b)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물체 위에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놓고 원점을 설정하게 되면 물체의 이동 시, 물체의 이동 각도 및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나 가전 제품의 수평 여부 및 3차원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의 수평계나 3차원 위치 측정계를 항상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언제나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수평/수직 및 3차원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축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평/수직 여부 및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을 구비한 키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가 분석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수평/수직 여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기능을 처리하는 부가장치 처리부;
    상기 부가장치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연결되며 상기 다축의 센서를 포함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수치 정보로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축 센서부; 및
    상기 다축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다축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읽어들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놓여 있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수평/수직 여 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의 측정 정보를 상기 LCD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따른 부가장치 처리부는 상기 다축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다축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다축의 정보의 입출력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 센서부는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다축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 센서부는 측정한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을 포함하는 다축의 정보를 x, y 및 z 형태의 수치 정보로 계산하여 상기 부가장치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다축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다축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수평/수직 여부 및 상기 3차원 공간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분석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다축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x, 상기 y 및 상기 z 형태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다축 센서부의 상기 센서의 각 동작이 모두 0(Zero)인 원점을 설정하며,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간 위치 이동에 따른 상기 다축의 원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3차원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89448A 2005-09-26 2005-09-26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34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448A KR20070034849A (ko) 2005-09-26 2005-09-26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448A KR20070034849A (ko) 2005-09-26 2005-09-26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49A true KR20070034849A (ko) 2007-03-29

Family

ID=4929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448A KR20070034849A (ko) 2005-09-26 2005-09-26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22B1 (ko) * 2009-11-04 2014-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신호를 이용한 실내측위 장치 및 방법
US9999395B2 (en) 2010-08-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ser a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22B1 (ko) * 2009-11-04 2014-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신호를 이용한 실내측위 장치 및 방법
US9999395B2 (en) 2010-08-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ser a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301B1 (ko) 나침반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3차원 수신감도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95103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certaining a location of a personal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017880A1 (en) Electronic level applic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RU2605609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относительно головы пользователя
CN108199787B (zh) 发射功率调整方法、装置、终端测试系统及电子终端
CN108234035B (zh) 发射功率调整方法、装置、终端测试系统及电子终端
CN103076917A (zh) 一种显示界面流畅度的调整方法及终端
CN108391058A (zh) 图像拍摄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08055092A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CN107608855A (zh) 提醒方法及移动终端
CN108886548B (zh) 一种确定电子设备的器件功耗的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141355B (zh) 基于多传感器的相对高度测量方法及可穿戴设备
CN111142618A (zh) 检测折叠角度的方法及电子设备
KR20070034849A (ko) 공간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0456923A (zh) 一种姿态传感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882583A (zh) 电子装置、壳体组件、中框组件及与后盖的定位方法
CN108736950A (zh) 天线切换的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05701A (zh) 降噪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65170B (zh) 确定含砂量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234046B (zh) 接收信号强度调整方法、装置、终端测试系统及电子终端
CN108234045B (zh) 接收信号强度调整方法、装置、终端测试系统及电子终端
CN108123762B (zh) 发射功率测试方法、装置、系统以及电子设备
CN115714947A (zh) 一种音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移动设备以及音频系统
JP2004045274A (ja) 無線通信機能付移動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4265572A (zh) 一种电动车低速行人提示音设计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