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03A -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03A
KR20070033403A KR1020070022045A KR20070022045A KR20070033403A KR 20070033403 A KR20070033403 A KR 20070033403A KR 1020070022045 A KR1020070022045 A KR 1020070022045A KR 20070022045 A KR20070022045 A KR 20070022045A KR 20070033403 A KR20070033403 A KR 20070033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rod
pogo pin
lower slid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종철
Original Assignee
추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종철 filed Critical 추종철
Publication of KR2007003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폰의 통화부에 장착되며 양 측단부에 레일 샤프트가 각기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핸드폰의 수화부에 장착되며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단부 및 레일 샤프트에 양 측단부가 끼워져 결착되는 상부 슬라이더 및 제 1 봉, 제 1 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제 1 봉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봉을 구비하고,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에 제 1 봉 및 제 2 봉의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부가 결착되는 포고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폰; 슬라이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포고 핀

Description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Spring Device of Slider for Mobile Phone}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식 핸드폰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샤프트의 또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레일 샤프트가 적용된 핸드폰 슬라이더의 실시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의 사용 실시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가 적용된 핸드폰 슬라이더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가 적용된 핸드폰 슬라이더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은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슬라이딩식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에 각 단부가 연결되어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개폐하는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폰은 액정화면이 설치된 수화부와 키버튼이 설치된 통화부 사이에 경첩이 설치되어 개폐되는 폴더 구조를 사용하였다. 또한, 최근에 SK 텔레콤의 스카이 핸드폰과 같이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하여 액정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수화부를 밀어 올리는 방식의 핸드폰(슬라이딩식 핸드폰)이 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슬라이딩 핸드폰의 일례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식 핸드폰은 액정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수화부(1)와 핸드폰의 번호키가 설치되어 있는 통화부(5)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폰에서 수화부를 밀어 올리는 방식은, 내부에 돼지꼬리 모양의 텐션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핸드폰의 수화부(1)를 밀어 올리면 액정이 설치된 수화부(1)가 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갑자기 밀려 올라가게 되어, 핸드폰의 개폐시마다 액정화면에 일정한 부하의 충격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결국에는 핸드폰의 액정이 고장이 나거나 계속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핸드폰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의 수화부를 밀어 올리거나 내릴 때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수화부에 충격이 가해져 액정화면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슬라이더를 상하로 움직일 때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는,
액정화면이 설치되는 수화부와 번호키가 설치되는 통화부를 상호 슬라이딩시 킴으로써 개폐하는 슬라이딩 핸드폰에 설치되어 수화부와 통화부의 슬라이딩 개폐를 지지하는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로서, 통화부에 장착되는 하부 슬라이더, 수화부에 장착되고, 하부 슬라이더의 상면에 결착하여 하부 슬라이더를 따라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상부 슬라이더 및 소정의 바 형상을 이루고,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부 슬라이더의 종방향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하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면을 감싸는 레일 샤프트 및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 1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부 슬라이더가, 제 1 고정홈이 형성된 하부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 2 고정홈을 포함하고, 양 측면의 하부가,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면 및 레일 샤프트를 함께 감싸는 구조로 하부 슬라이더에 결착되며, 탄성 구조체가, 제 1 단부가 하부 슬라이더의 제 1 고정홈에 결착되고, 제 2 단부가 상부 슬라이더의 제 2 고정홈에 결착되며, 내부에 포함되는 스프링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 구조체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에 각기 형성되어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각기 결착되고 원형의 단면을 갖는 두개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제 1 고정홈이 수평방향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 2 고정홈 보다 종방향으로 적어도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레일 샤프트는,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거나,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면을 각기 독립적으로 감싸는 제 1 레일 샤프트 및 제 2 레일 샤프트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탄성 구조체의 제 1 실시례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 형성되며 제 2 단부가 차단된 제 1 봉, 제 1 봉의 개방된 제 1 단부에 제 1 단부가 삽입 결착되어 횡 방향의 운동을 하는 제 2 봉 및 제 1 봉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 2 봉의 제 1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 1 봉의 제 2 단부와 제 2 봉의 제 2 단부가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각기 결착된다. 이때, 탄성 구조체는, 제 1 봉과 제 2 봉의 결합 부위에 제 2 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 구조체의 제 2 실시례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 형성되며 제 2 단부가 차단된 하나 이상의 제 1 지지관, 제 1 지지관의 개방된 제 1 단부에 제 1 단부가 각기 삽입 결착되어 횡 방향의 운동을 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삽입봉,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 형성되며 제 2 단부가 차단된 하나 이상의 제 2 지지관, 제 2 지지관의 개방된 제 1 단부에 제 1 단부가 각기 삽입 결착되어 횡 방향의 운동을 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봉, 제 1 지지관 및 제 2 지지관의 내부에 각기 장착되어 제 1 삽입봉 및 제 2 삽입봉의 제 1 단부를 각기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 및 각 제 1 지지관 및 각 제 2 지지관의 외주를 감싸며, 각 제 1 지지관 및 각 제 2 지지관을 상호 고정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제 1 지지관 및 제 2 지지관이 교대로 배치되고, 제 1 지지관 및 제 2 지지관의 대응하는 각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탄성 구조체는, 각 제 1 삽입봉의 노출된 제 2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캡부 및 각 제 2 삽입봉의 노출된 제 2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2 캡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캡부 및 제 2 캡부가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각기 결착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 구조체는, 제 1 지지관과 제 1 삽입봉의 결합부위 및 제 2 지지관과 제 2 삽입봉의 결합부위에, 제 1 삽입봉 및 제 2 삽입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각기 더 포함하도록 한다.
탄성 구조체의 제 3 실시례는, 길쭉한 막대기 모양의 두개의 로드, 각 로드의 제 1 단부에 결착되는 두개의 스프링, 각 로드가 결착되고, 상면에 각 로드의 역상으로 함몰 형성된 두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상면에 장착되어 가이드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각 가이드부가, 서로 대향하며 배치되며, 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며 배치되고, 각 로드가 제 1 단부가 각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각 가이드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각 로드는 제 1 단부가 세개의 가지로 이루어진 삼지창 모양을 이루고, 각 스프링이 각 로드의 제 1 단부의 각 가지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결착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각 로드의 제 1 단부의 세개의 가지 중 가운데 가지가 좌우의 가지 보다 적어도 더 길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각 로드는,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각기 결착하며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고정축을 제 2 단부에 각기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탄성 구조체는, 각 로드와 바디부의 결합 부위에 각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30)를 밀어 올리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부 슬라이더(30)를 하부 슬라이더(20)를 따라 밀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하부 슬라이더(20)는 핸드폰의 키버튼이 설치된 보이스(Voice) 입력부가 위치한 핸드폰 통화부(5)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 슬라이더(30)는 액정화면이 설치된 보이스 출력부가 위치한 수화부(1)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30)가 핸드폰 통화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슬라이더(20)가 수화부(1)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하부 슬라이더(20)가 핸드폰의 키버튼이 설치된 통화부(5)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 슬라이더(30)는 액정화면이 설치된 수화부(1)에 고정 설치되는 핸드폰 모델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슬라이더(20)는 상부 슬라이더(30)가 결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양 측면에 레일 샤프트(22a, 22b)가 끼워진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30)는 양 측단이 레일 샤프트(22a, 22b)에 각기 끼워진 상태로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레일 샤프트(22a, 22b)는 상부 슬라이더가 움직이기 위한 레일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30)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포고(pogo) 핀(40)이 설치되는데, 포고 핀은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에 각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를 연결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화부(1)를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슬라이더(30)는 하부 슬라이더(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수화부를 올리게 되면 상부 슬라이더(30)의 양 측단부가 하부 슬라이더(20)의 레일 샤프트(22a, 22b)를 따라 올라가면서 통화부(5)가 노출되게 된다. 이때, 포고 핀(40)은 일단부가 하부 슬라이더(20)에 고정된 채 상부 슬라이더(30)를 따라 나머지 일단부가 움직이면서 상부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슬라이더(20)의 좌우 측면으로는 레일 역할을 하는 레일 샤프트(22a, 22b)가 고정 장착되며, 이를 위하여 레일 샤프트의 양 단부는 하부 슬라이더의 좌우 측면의 양 단부에 결착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2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는 포고 핀(40)의 일단부(46)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홈(24)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30)는 하부 슬라이더(20)에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구체적으로는 양 측단부가 좌우 레일 샤프트(22a, 22b)를 감싸며 장착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의 양 측단부의 하부로는 하부 슬라이더(20)의 양 측면과 레일 샤프트(22a, 22b)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3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는 포고 핀(40)의 나머지 일단부(48)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홈(32)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더(20)와 상부 슬라이더(30)의 각 고정홈(24, 32)은 서로 반대 측면의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의 각 고정홈(24, 32)는 서로 대향하며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24)이 좌측에 형성되면 상부 슬라이더의 고정홈(32)은 우측에 형성하도록 한다. 반대의 경우로 마찬가지이다. 또한, 각 고정홈(24, 32)은 수평방향으로 동일 연장선 상에 형성하지 않도록 하며,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24)이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32) 보다 종방향으로 적어도 윗쪽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 슬라이더(30)를 아래에서 위로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의 도 5 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슬라이더들(20, 30)은 모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란, 공업재료·구조재료(構造材料)로 사용되는 강도(强度) 높은 플라스틱으로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耐藥品性)이 강한 고분자(高分子) 구조의 고기능 수지(樹脂)이다. 이 플라스틱의 성능과 특징은 그 화학구조에 따라 다른데, 주로 폴리아미드·폴리아세틸·폴리카보네이트·PBT(폴리에스테르 樹脂)·변성(變性)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의 5종류로 분리된다. 이들 의 공통점은 분자량이 몇 십∼몇 백 정도의 저분자(低分子) 물질인 종래의 플라스틱과는 달리, 몇 십만∼몇 백만이나 되는 고분자물질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 플라스틱은 강도·탄성(彈性)뿐만 아니라, 내충격성(耐衝擊性)·내마모성(耐磨耗性)·내열성(耐熱性)·내한성(耐寒性)·내약품성·전기절연성(電氣絶緣性) 등이 뛰어나 그 용도도 가정용품·일반잡화는 물론, 카메라·시계부품·항공기 구조재·일렉트로닉스 등 각 분야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보다 한발 앞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켜,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하는 복합재료인 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의 개발도 이루어졌다.
만일, 상부 및 하부 슬라이더(30, 20)를 철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파의 수신 및 송신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철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파의 수신 및 송신에 전파방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사출금형으로 생산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실예로 금형 1벌으로 100만 내지 200만개 이상의 생산이 가능하다. 만일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을 사용한다면, 압출 또는 인발, 다이캐스팅 금형으로 작업을 하므로 재료의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예로 금형 1벌로 10만개 내지 20만개 정도의 생산만이 가능하므로 많은 투자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품의 특성면에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상태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외부의 충격, 특히 비틀림과 낙하시 충격에 의해 휨이나 변형이 쉬우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계열이므로 외부의 충 격이나 비틀림 또는 충격이 가해졌을때 철에 비해 탄성이 많아 복원력이 우수하여 제품의 변형으로 인한 작동불량을 줄일 수 있는 우수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슬라이더(30) 또는 하부슬라이더(20) 중 어느 하나만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나머지는 알루미늄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단면도로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이 압력을 받아 수축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이 압력이 해제되어 이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40)은 지름이 서로 다른 두개의 봉(42, 44)으로 이루어지고, 지름이 더 큰 제 1 봉(42)의 개방된 일단으로 지름이 작은 제 2 봉(44)의 일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제 1 봉(42)의 내부에는 스프링(43)이 장착되어 제 1 봉의 내부에 삽입된 제 2 봉(44)의 일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제 2 봉(44)이 제 1 봉(4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 1 봉과 제 2 봉의 결합부위에는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봉(42)의 내부로 제 2 봉(44)의 일부가 출몰하면서 포고 핀(40)의 전체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제 1 봉(42)과 제 2 봉(44) 중 서로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부(46, 48)는 각기 하부 슬라이더 및 상부 슬라이더의 각 고정홈(24, 32)에 각기 끼워진다. 이때, 포고 핀의 양 단부(46, 48)는 각 고정홈(24, 32)에 고정되지 않고 끼워짐으로써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고정홈(24, 32)과 포고 핀의 양 단부(46, 48)의 결착 부위를 원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포고 핀(40)은 상부 슬라이더(30)를 완전히 아래로 내린 상태(슬라이딩식 핸드폰을 닫은 상태) 또는 상부 슬라이더를 완전히 위로 올린 상태(슬라이딩식 핸드폰을 연 상태)에서 탄성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부 슬라이더를 완전히 위로 올리거나 완전히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포고 핀의 스프링에 외력(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슬라이더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포고 핀(40)의 길이가 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상부 슬라이더(30)를 밀어 올리게 되면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20)의 레일 샤프트(22a, 22b)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때, 포고 핀(40)의 일단부(46)는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24)에 끼워진채 회전하게 되고 나머지 일단부(48)는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32)을 따라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30)를 중간 지점까지 밀어 올리는 동안에는 양 고정홈(24, 32) 사이의 거리가 포고 핀(40)의 길이보다 점차 짧아지므로, 제 1 봉(42)의 내부로 제 2 봉(44)의 일부가 점차 들어 가게 되고 제 1 봉 내부의 스프링(43)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부 슬라이더(30)가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 양 고정홈(24, 32) 사이의 거리가 점차 길어지므로, 제 1 봉(42)에 삽입되었던 제 2 봉(44)은 스프링(43)에 의해 밀려서 점차 밖으로 나오게 되고 포고 핀(40)의 길이는 점차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를 중간 지점까지 밀어 올리면 이후에는 상부 슬라이더가 스프링(43)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고, 스프링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어 올려지므로 수화부(1)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봉(44)은 걸림턱에 의해 제 1 봉(4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므로 상부 슬라이더(30)는 일정 위치까지만 올라가서 하부 슬라이더(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30)를 내릴 때에도 중간 지점까지는 포고 핀(40)이 짧아지면서 스프링(43)을 압축하게 되고, 상부 슬라이더가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포고 핀(40)이 원래 길이까지 늘어나면서 상부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내려오거나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화부(1)에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샤프트의 또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샤프트의 또 다른 실시례(50)는 좌우 축의 상단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레일 샤프트가 적용된 핸드폰 슬라이더의 실시례를 도시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샤프트(22a, 22b)가 적용된 실시례이고, 도 7(b)는 레일 샤프트의 또 다른 실시례(50)가 적용된 실시례이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40)을 하나만 장착한 실시례를 도시하였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를 도시한 도로서, 도 4 에 도시한 포고 핀 복수개를 서로 엇갈리면서 겹쳐놓은 형태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는, 내부에 스프링(63)이 장착된 제 1 지지관(61), 제 1 지지관의 개방된 단부에 일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제 1 삽입봉(62), 내부에 스프링(66)이 장착된 제 2 지지관(64), 제 2 지지관의 개방된 단부에 일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제 2 삽입봉(65) 및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의 외주를 감싸서 고정 지지하는 커버부(67)를 포함한다.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은 내부가 관통 형성된 통 형상의 구성부로서, 제 1 단부는 개방 형성되고 나머지 제 2 단부는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제 1 지지관(61)과 제 2 지지관(64)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지지관(61)의 제 1 단부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제 2 지지관 (64)의 제 2 단부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 1 지지관(61)과 제 2 지지관(64)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관끼리 인접하여 번갈아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를 안정적이고 균형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의 내부에는 스프링(63, 66)이 각기 장착되며, 스프링의 일단은 지지관의 폐쇄된 제 2 단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제 1 삽입봉(62) 및 제 2 삽입봉(65)은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각기 삽입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각 삽입봉의 직경은 각 지지관의 직경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하도록 한다. 각 지지관(61, 6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삽입된 각 삽입봉(62, 65)의 단부는 스프링(63, 66)에 의해 각기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각 삽입봉이 지지관을 따라 횡방향으로 탄성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 삽입봉의 움직임에 따라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전체 길이가 횡방향으로 조절되게 된다. 한편, 각 삽입봉(62, 65)이 각 지지관(61, 6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지지관과 각 삽입봉의 결합부위에는 걸림턱(미도시)을 각기 형성하도록 한다.
커버부(67)는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각 지지관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외주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고정함으로써, 각 지지관(61, 64)이 삽입봉(62, 65)의 움직임으로 인해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 전체의 탄성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1 지지관(61), 제 1 삽입봉(62), 제 2 지지관(64) 및 제 2 삽입봉(65)는 각기 하나 이상 구비되는데, 각 제 1 삽입봉(62)의 노출된 일단부는 제 1 캡부(68)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각 제 2 삽입봉(65)의 노출된 일단부 역시 제 2 캡부(69)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되게 된다. 제 1 및 제 2 캡부(68, 69)는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에 외력이 가해지는 구성부로서, 인접한 삽입봉을 서로 고정시켜 동일 방향의 삽입봉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캡부(68)는 상호 인접한 각 제 1 삽입봉(62)의 단부를 함께 잡아주게 되므로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 각 제 1 삽입봉이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캡부(69)는 각 제 2 삽입봉(65)의 단부를 함께 잡아주어 외력에 의해 각 제 2 삽입봉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제 1 캡부(68)의 저면과 제 2 캡부(69)의 상면에는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24)과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32)에 각기 결착하는 고정돌기(68a, 69a)를 각기 구비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고정홈(24, 32)과 제 1 및 제 2 캡부의 고정돌기(68a, 69a)의 결착부위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따라 각 고정홈에 결착된 각 고정돌기가 각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각 구성부는 도 4 에 도시한 포고 핀(40)의 각 구성부와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관(61) 및 제 2 지지관(64)은 포고 핀(40)의 제 1 봉(42)과 대응하는 구성부이고, 제 1 삽입봉(62) 및 제 2 삽입봉(65)은 제 2 봉(44)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제 1 캡부(68) 및 제 2 캡부(69)의 고정돌기(68a, 69a)는 포고 핀(40)의 양 단부(46, 48)의 역할을 하 여,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의 각 고정홈(24, 32)에 각기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동작은 도 4 에 도시한 포고 핀(40)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8 에서는 제 1 지지관(61) 및 제 1 삽입봉(62)과 제 2 지지관(64) 및 제 2 삽입봉(65)을 각기 2개씩 구비한 실시례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각 지지관(61, 64) 및 각 삽입봉(62, 65)의 갯수와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관(61) 및 제 1 삽입봉(62)을 2개 구비하고, 제 2 지지관(64) 및 제 2 삽입봉(65)을 각기 3개씩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고 핀의 탄성력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높은 탄성력을 갖는 경우에도 포고 핀의 탄성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사용 용도 또는 필요한 탄성력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포고 핀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의 사용 실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를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에 적용한 예시도로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하부 슬라이더 및 상부 슬라이더의 각 고정홈(24, 32)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는 하부 슬라이더(20)와 상부 슬라이더(30)의 각 고정홈(24, 32)에 제 1 및 제 2 캡부(68, 69)의 고정돌기(68a, 69a)가 각기 결착됨으로써 상부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 다.
핸드폰 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사용자가 수화부가 내려진 상태, 즉 슬라이딩 핸드폰이 닫혀진 상태에서 수화부를 위로 올리게 되면 상부 슬라이더(30)가 수화부에 이끌려 레일 샤프트(22a, 22b)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24)에 결착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제 1 캡부(68)의 고정돌기(68a)는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32)에 결착된 제 2 캡부(69)의 고정돌기(69a) 역시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부 슬라이더에 의해 이끌려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30)를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는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상태, 즉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의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길이와 같은 거리를 갖게 된다. 반면, 상부 슬라이더를 위로 올릴수록 양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점차 줄어들게 되므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양 캡부(68, 69)를 미는 외력(압력)이 발생하여 각 제 1 및 제 2 삽입봉(62, 65)이 제 1 및 제 2 지지관(61, 64)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 스프링(63, 66)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프링의 탄성력만큼 수화기를 올리는데 저항력을 받게 되므로, 상부 슬라이더(30)가 갑자기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30)와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 사이의 거리는 중간 지점, 즉 양 고정홈(24, 32)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가장 짧으며, 이때 스프 링(63, 66)이 최대로 압축되게 된다.
그러나, 상부 슬라이더(30)가 상기 중간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양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므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양 캡부(68, 69)에 가해졌던 외력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지지관(61, 64) 내에 삽입되었던 제 1 및 제 2 삽입봉(62, 65)은 스프링(63, 66)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 나오게 되므로 포고 핀의 길이도 점차 길어지게 된다. 즉, 상부 슬라이더(30)를 중간 지점까지 밀어 올리면 스프링(63, 66)의 복원력에 의해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부 슬라이더를 자동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부 슬라이더를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수화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30)를 완전히 위로 올린 후에는,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걸림턱으로 인해 제 1 및 제 2 삽입봉(62, 65)이 제 1 및 제 2 지지관(61, 64)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더 이상 위로 올려지지 않게 되어 상부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 1 및 제 2 삽입봉(62, 65)의 노출된 상태가 각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화부를 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화부를 닫기 위해 사용자가 수화부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는, 상부 슬라이더(30)가 아래로 움직임으로 인해 제 2 캡부(69)의 고정돌기(69a)가 고정홈(32)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제 1 및 제 2 삽입봉(62, 65)이 제 1 및 제 2 지 지관(61, 64)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즉, 스프링(63, 66)이 압축되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30)가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 스프링(63, 66)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삽입봉(62, 65)이 밀려 나오게 되고,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이 점차 길어지면서 상부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의 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를 도시한 도로서,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는, 길쭉한 막대기 형상의 두개의 로드(71), 상면에 상기 각 로드의 횡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76)가 각기 함몰 형성된 바디부(75) 및 바디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부(78)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는 바디부(75)에 장착되는 두개의 로드(71)가 각기 바디부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나오는 동작을 통해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76)에 장착되는 각 로드(71)의 일단부(72)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74)이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개의 로드(71)를 각기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로 칭하도록 한다.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제 1 및 제 2 로드(71)는 길쭉한 막대기 모양을 이루며, 상호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하여 배치되는데, 각 로드는 상호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엇갈린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74)이 장착되는 각 로드(71)의 일단부(72)에는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요홈부(72a)가 형성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단부(72)는 삼지창 모양으로 형성하고 가운데 가지(72b)와 양측의 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부(72a)에 스프링(74)이 끼워지도록 하고, 가운데 가지(72b)를 양측의 가지보다 다소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로드(71)의 나머지 일단부에는 하부 슬라이더(20)와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24, 32)에 결착하는 고정축(73)을 구비하도록 한다. 고정축(73)은, 도 4 에 도시한 포고 핀(40)의 양단부(46, 48)와 도 8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60)의 제 1 및 제 2 캡부(68, 69)와 같이, 단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고정홈(24, 32)에 각기 결착한 상태에서 회전축 역할을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바디부(75)는 제 1 및 제 2 로드(71)가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상면에는 각 로드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두개의 가이드부(76)를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부(76)는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로드(71)의 일단부(72)의 역상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의 일단부 중 가운데 가지(72b)에 대응하는 가이드부의 영역(76a)에 스프링(74)이 각기 배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는 동일선상이 아닌 상호 엇갈리며 배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각 가이드부(76) 역시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하지 않고 엇갈리게 배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로드가 장착되는 가이드부가 죄측에 형성 되면 제 2 로드가 장착되는 가이드부는 우측에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두개의 가이드부(76)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형태에 비하여 바디부(75)의 전체 길이를 절반 가량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의 전체 길이가 핸드폰 슬라이더에 적용 가능한 적절한 길이가 되게 된다.
또한, 바디부(75)와 각 로드(71)의 결합 부위에는 스프링(74)의 탄성에 의해 각 로드가 바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하도록 한다.
한편, 바디부(75)의 상면으로는, 바디부와 커버부(78)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를 향해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77)를 구비하도록 한다.
커버부(78)는 바디부(75)의 상면을 덮는 구성부로서, 구체적으로 가이드부(76)에 의해 개방된 상면 영역을 커버하게 된다. 커버부(78)는, 바디부의 각 고정 돌기(77)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 고정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79)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76)와 대응하는 커버부(78)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를 통해 바디부(75) 내부로 압축된 제 1 및 제 2 로드(71)의 고정축(73)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78a)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에 외력(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에 외력이 가해져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부(78)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에 외력, 즉 각 로드(71)에 대한 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디부(75)에 삽입된 각 로드의 일단부(72)가 가이드부(76) 내의 스프링(7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일단부(72)를 제외한 각 로드(71)의 영역은 바디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76) 중 각 로드(71) 일단부의 가운데 가지(72b)에 대응하는 영역(76a)에 배치되는 스프링(74)이, 각 로드 일단부의 요홈부(72a)를 지지하게 되므로, 각 로드의 일정 영역이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 즉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가 이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도 11(a)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의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 슬라이더의 상부 슬라이더(30)가 하부 슬라이더(20)의 하부로 완전히 내려진 상태 또는 상부로 완전히 올려진 상태, 즉 슬라이딩식 핸드폰을 완전히 열거나 닫은 상태에 해당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의 각 로드(71)에 대한 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로드가 바디부(75)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어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는 수축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75)의 외부로 노출된 각 로드(71)는 횡방향의 압력에 의해 가이드부(76)를 따라 바디부 내부로 들어가면서 스프링(74)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의 전체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된다. 도 11(b)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의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 슬라이더의 상부 슬라이더(30)를 하부 슬라이더(20)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움직이는 도중의 상태, 즉 슬라이딩식 핸드폰을 열거나 닫는 중간의 상태에 해당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슬라이더(30)의 상하 가동 범위 중 중간 위치로서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가 최고로 압축된 상태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슬라이더(30)를 더 올리거나 내리게 되면 횡방향의 외력이 약해지는 효과가 발생되므로, 상기 압축된 각 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76)에 삽입된 각 로드(71)를 밖으로 밀게 되어 각 로드가 바디부(75)의 외부로 점차 나오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의 전체 길이가 점차 길어지게 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가 적용된 핸드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3 에 도시한 핸드폰 슬라이더에 포고 핀(40) 대신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70)를 적용하고, 레일 샤프트(22a, 22b) 대신 도 6 에 도시한 레일 샤프트의 또 다른 실시례(50)를 적용한 실시례를 도시하였다. 도 12 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는 도 3 을 통해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34 는 완충재로서, 상부 슬라이더(3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올렸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수화부(1)의 충격을 최대한 줄이게 된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가 적용된 핸드폰 슬라이더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13(a)는 상부 슬라이더(30)를 아래로 내 린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13(b)는 상부 슬라이더를 위로 올린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동작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는, 상부 슬라이더가 상하로 움직일 때 갑자기 움직임으로 인해 수화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 사이에 포고 핀을 장착하여 수화기를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자는 스프링의 탄성력만큼의 저항력을 받게 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슬라이더가 일정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올라가거나 내려오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포고 핀이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상하 이동시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부 및/또는 하부 슬라이더의 소재를 종래의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강도, 유연성, 생산성 및 경제성에서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폰의 전파의 송수신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출금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시 제품 의 변형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의 경우 복수의 포고 핀을 겹쳐 놓은 것과 같은 구성을 통해 포고 핀의 탄성력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높은 탄성력을 갖는 경우에도 포고 핀의 탄성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사용 용도 또는 필요한 탄성력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포고 핀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의 경우 형상화된 바디부 내에서 제 1 로드와 제 2 로드가 각기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와 힘 발생부 및 전달부 등의 역할 분담이 되는 각 구성부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 제작 시간과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액정화면이 설치되는 수화부와 번호키가 설치되는 통화부를 상호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폐하는 슬라이딩 핸드폰에 설치되어 상기 수화부와 상기 통화부의 슬라이딩 개폐를 지지하는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통화부에 장착되는 하부 슬라이더;
    상기 하부 슬라이더가,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면을 감싸는 레일 샤프트; 및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 1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화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상면에 결착하여 상기 하부 슬라이더를 따라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상부 슬라이더; 및
    상기 상부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고정홈이 형성된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 2 고정홈을 포함하고,
    양 측면의 하부가,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면 및 상기 레일 샤프트를 함께 감싸는 구조로 상기 하부 슬라이더에 결착되며,
    소정의 바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종방향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구조체가,
    제 1 단부가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상기 제 1 고정홈에 결착되고, 제 2 단부가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상기 제 2 고정홈에 결착되며,
    내부에 포함되는 스프링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
KR1020070022045A 2004-08-12 2007-03-06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 KR200700334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621 2004-08-12
KR1020040063621 2004-08-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685A Division KR100848400B1 (ko) 2004-02-03 2004-10-28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구조체 및 그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03A true KR20070033403A (ko) 2007-03-26

Family

ID=371240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14A KR100946369B1 (ko) 2004-02-03 2004-10-20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1020040086685A KR100848400B1 (ko) 2004-02-03 2004-10-28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구조체 및 그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20070022045A KR20070033403A (ko) 2004-08-12 2007-03-06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14A KR100946369B1 (ko) 2004-02-03 2004-10-20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1020040086685A KR100848400B1 (ko) 2004-02-03 2004-10-28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구조체 및 그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0946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65B1 (ko) * 2005-03-21 2007-02-26 (주)쉘-라인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슬라이드 구동용 포고 핀
KR100624551B1 (ko) * 2006-05-20 2006-09-15 리노공업주식회사 개폐용 슬라이딩기구
KR100802430B1 (ko) 2006-11-08 2008-02-12 주식회사 제이튠엔터테인먼트 탄성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부재
KR100867180B1 (ko) * 2007-05-10 2008-11-06 정영조 휴대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KR20100044698A (ko) * 2008-10-22 2010-04-30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949119B1 (ko) * 2008-11-24 2010-03-22 주식회사 오앤씨플라즈마 슬라이드 힌지
KR101922499B1 (ko) * 2016-09-23 2018-12-04 김근수 홈 자동화용 제어기 수납박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417Y1 (ko) 2003-06-09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100694258B1 (ko) *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71045B1 (ko) * 2004-04-21 2006-04-14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585751B1 (ko) * 2003-12-10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350760Y1 (ko) 2004-02-23 2004-06-01 (주)나노텍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70888Y1 (ko) * 2004-10-08 2004-12-17 주식회사 대아테크 슬라이드식 핸드폰단말기의 슬라이드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369B1 (ko) 2010-03-10
KR20060015227A (ko) 2006-02-16
KR100848400B1 (ko) 2008-07-25
KR20060015226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3403A (ko) 핸드폰의 슬라이더에 사용되는 탄성구조체
KR20060100155A (ko)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EP1929642A1 (en) Link assembly with spring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slider assembly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link assembly
WO2005076487A1 (en) Slider for connecting a calling part with a receiving part of a mobile phone in sliding way
KR200382508Y1 (ko)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100622373B1 (ko) 탄성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유닛
WO2009038371A2 (en) Spring device, sliding module therewith and mobile device therewith
KR1008847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CN100546210C (zh) 一种滑动打开和关闭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便携式终端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100921532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403709Y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101033478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100660782B1 (ko) 핸드폰용 슬라이딩 텐션장치
KR20070021008A (ko) 다단 슬라이딩 유닛
KR20070102259A (ko) 슬라이딩 유닛
WO2005125028A1 (en) Pogo pin
KR100711560B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 및 이를 장착한 휴대폰 슬라이더
KR10100623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100965212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KR20100083053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KR20090108571A (ko) 탄성 부재가 설치된 슬라이딩 모듈
KR101070868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20080023514A (ko) 탄성부재
KR20100095148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