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14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145A
KR20070033145A KR1020050087521A KR20050087521A KR20070033145A KR 20070033145 A KR20070033145 A KR 20070033145A KR 1020050087521 A KR1020050087521 A KR 1020050087521A KR 20050087521 A KR20050087521 A KR 20050087521A KR 20070033145 A KR20070033145 A KR 2007003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efrigerator
sensor unit
brightnes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석준
이대중
제상기
임봉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3145A/ko
Publication of KR2007003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 및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증감시키도록 램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 밝기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간략 회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간략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서부 20 : 도어 스위치
30 : 제어부 40 : 램프구동부
50 : 램프
본 발명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하고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냉장고 외부의 광량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내부를 밝히는 램프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램프는 냉장고 도어 스위치(door switch)의 동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냉장고 문을 열면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스 위치가 닫힌 상태가 되고, 이 때 제어부는 하이(High) 신호를 인식하여 램프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냉장고 문을 닫으면 도어 스위치가 열린 상태가 되고, 제어부는 로우(Low) 신호를 인식하여 램프를 구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는 도어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획일적으로 램프를 온/오프(ON/OFF) 시키기 때문에, 냉장고 외부가 어두울 때 냉장고를 열면 냉장고 내부의 램프의 빛이 너무 강해서 눈이 부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 외부가 밝을 때는 냉장고를 열면 냉장고 내부의 램프의 빛이 약해서 어둡게 보일 수 있다.
즉, 외부 환경(외부 광량)에 따라 냉장고 내부에 설치된 램프의 광량 또는 숫자를 제어할 수 없어서, 냉장고 사용시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불쾌감을 유발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밝기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장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 및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증감시키도록 램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감지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기준 레벨보다 높으면 전원공급 량을 증가시키도록 램프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는 감지신호가 소정의 기준 레벨보다 높으면 턴온되는 램프의 수가 증가되도록 램프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황화카두뮴 셀(Cd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구동부는 램프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및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정전압 조건에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외부의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부(10)와 냉장고 내부에 마련된 도어 스위치(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50)와, 램프(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40) 및 센서부(10)에서 측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센서부(10)는 빛의 강약으로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자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자로 황화카드뮴 셀(CdS)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황화카드뮴 셀은 빛이 강할 때는 저항값이 작아지고 빛이 약할 때는 저항값이 커지는 특성이 있다. 암흑 상태에서는 거의 절연상태에 가깝게 되며, 일종의 가변저항기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0)는 냉장고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장고 외부 환경의 광량 또는 밝 기를 측정한다. 더 자세하게 선세부(10)는 냉장고의 도어가 열리는 순간의 외부밝기를 측정하고, 외부 밝기를 저항값으로 환산한다. 이 저항값을 감지신호로 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한다.
도어 스위치(door switch, 20)는 냉장고 내부에 설치된 스위칭 소자로, 냉장고 문을 열면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스위치(20)가 닫힌 상태가 되어 냉장고 내부의 램프(50)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냉장고 문을 닫으면 도어 스위치(20)가 열린 상태가 되어 램프(5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냉장고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50)가 마련되어 있다. 램프(50)는 냉장고 내부를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 발광다이오드(LED) 및 형광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램프(50)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각 램프(5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되는 램프(50)의 숫자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램프구동부(40)는 램프(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구동부(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램프(50)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41)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41)는 각 램프(50)를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자로서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각 램프(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부(30)는 센서부(10)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감지신호가 소정의 기준 레벨보다 높으면 턴온되는 램프(50)의 수가 증감되도록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하고, 소정의 기 준 레벨보다 낮으면 턴온되는 램프(50)의 수가 감소되도록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한다. 즉, 측정된 외부 밝기를 기초로 황화가드뮴 셀(CdS)의 저항값이 센서부(10)에서 계산되면, 저항값을 감지신호로 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고, 제어부(30)는 제어부(30) 내에 마련된 AD converter를 통해 소정의 감지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키고, 이 변환된 값을 기초로 외부 밝기에 대응하여 턴온 되어야할 적당한 램프(50)의 숫자를 계산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30)는 턴온 될 램프(50)의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레벨은 소정의 범위를 가지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범위에 해당하는 램프(50)의 숫자가 대응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0) 내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밝기에 대응하여 턴온 되어야할 램프(50)의 숫자가 계산된 환산표 또는 프로그램이 기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감지신호가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턴온되는 램프(50)의 숫자는 2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산표 또는 프로그램은 냉장고 내의 램프(50)의 휘도, 광속(빛의 량) 또는/및 광도, 냉장고 내의 조도 등을 기초로 하여 외부환경(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불쾌감 없이 편하게 느낄 수 있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램프(50)의 숫자를 계산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산표 또는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저장실(냉동실과 냉장실) 중 어느 도어(door)가 열리는지를 감지하여 냉동실과 냉장실 중 어느 곳의 램프(50)를 턴온/턴오프 시킬 것인지도 계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의 하나 이상의 램프(50) 중 어느 위치의 램프(50)를 턴온/턴오프 시킬 것인지 계산할 수 있다.
외부 밝기에 대응하여 턴온되어야할 램프(50)의 숫자와 위치가 정해지면, 제어부(30)는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하여 각 램프(50)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ON/OFF) 시킨다.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도어(door) 중 어느 하나를 열면 각 도어에 연결된 도어 스위치(door switch, 20)가 닫히면서, 즉시 냉장고의 외부에 설치된 센서부(10)가 외부 밝기(광량)를 측정한다. 센서부(10)에서 측정된 외부 밝기는 저항값으로 계산되고, 계산된 저항값을 감지신호로 제어부(30)의 입력단(P1)으로 입력된다. 입력단(P1)으로 입력된 값은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값을 기초로 환산표 또는 환산프로그램에 의하여,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밝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빛을 내기 위한 램프(50)의 숫자와 위치를 계산한다. 램프(50)의 숫자와 위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단(P2, P3, P4)을 통하여 램프구동부(40)로 인가한다. 출력단(P2, P3, P4)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 램프(40)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41)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밝기가 제어된다. 즉, 출력단(P2, P3, P4)에서 출력된 신호는 스위칭 소자(41)를 인에이블 시키는 신호일수도 있으며, 인에이블 된 스위칭 소자(41)만 동작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빛의 밝기가 제어된다. 이에 의하여, 냉장고의 도어를 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한한 정도의 냉장고 내부의 밝기가 조절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냉장고 내부의 광량 또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장고 내부에 설치된 램프(50)의 숫자를 제어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램프(50)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센서부(1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램프(50)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증감시키도록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0)는 감지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기준레벨보다 높으면 전원공급량을 증가시키도록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하고, 소정의 기준레벨보다 낮으면 전원공급량을 감소시키도록 램프구동부(40)를 제어한다. 램프구동부(40)는 각 램프(50)에 대응하는 집적회로(IC, 43)가 마련되어 있다.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집적회로(43)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집적회로(43)는 정전압 조건에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소자로,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류 직접회로일 수 있다.
먼저, 각 램프(50)에 대응하는 집적회로(43)가 마련된 경우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어부(30)의 입력단(P1)으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외부 밝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느낄 수 있는 냉장고 내부의 밝기를 계산한다. 즉, 제어부(30) 내에는 외부 밝기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편하게 느낄 수 있는 냉장고 내부의 밝기값이 계산된 환산표 또는 프로그램이 기 설정되어 있다. 냉장고 내부의 밝기가 계산되면, 제어부(30)가 계산된 밝기에 해당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류값 또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단(P2, P3, P4)을 통하여 램프구동부(40)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각 램프(50)에 대응하는 집적회로(43)를 인에이블 시키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감압 또는 승압하여 적절한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램프구동부(40) 내부의 집적회로(43)가 각 램프(50)에 해당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램프(50)에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냉장고 외부의 광량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냉장고 내부 램프제어 시스템을 갖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집적회로(43)가 사용될 수 있고, 하나의 집적회로(43)에서 생성된 램프구동신호는 분지되어 각각의 램프(5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광량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저장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증감시키도록 상기 램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기준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전원공급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램프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신호가 소정의 기준 레벨보다 높으면 턴온되는 상기 램프의 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램프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황화카두뮴 셀(Cd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구동부는 상기 램프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정전압 조건에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87521A 2005-09-21 2005-09-21 냉장고 KR20070033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521A KR20070033145A (ko) 2005-09-21 2005-09-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521A KR20070033145A (ko) 2005-09-21 2005-09-2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145A true KR20070033145A (ko) 2007-03-26

Family

ID=4156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521A KR20070033145A (ko) 2005-09-21 2005-09-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31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7839A (zh) * 2021-11-15 2022-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照明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777403A (zh) * 2022-05-12 2022-07-22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照明远程控制系统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7839A (zh) * 2021-11-15 2022-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照明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777403A (zh) * 2022-05-12 2022-07-22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照明远程控制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6407B2 (en) Loa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r for a lighting load
US7436132B1 (en) Multi-way sensor switch
CN106058846B (zh) 照明系统、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TW200614129A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nd display system
US695140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interior lighting system
MX2007014287A (es) Circuito indicador de estado para un interruptor atenuador.
JP2008070000A (ja) 貯蔵庫
CN101252798A (zh) Led驱动器触摸开关电路
CN103328912A (zh) 冷藏库
US8466625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20070033145A (ko) 냉장고
US8624526B2 (en) Sensing device for LED lighting equipment
US20070268318A1 (en) Light circuit
CN203368872U (zh) 三光度感应灯
GB2403096A (en) Automatic lighting control for communication devices with a camera
CN104663000A (zh) 联动灯的报时钟及其灯运行控制方法
KR100850448B1 (ko) 주변밝기에 따라서 자동 점멸 및 휘도가 자동 조절되는led 경관조명등
CN103781239B (zh) 照明控制开关
CN207399585U (zh) 冰箱照明灯控制装置及冰箱
KR101901597B1 (ko) 대기전력저감 및 잔광차단 기능이 구비된 조명등기구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KR20050119842A (ko) 센서등을 갖는 전원콘센트
JP4654924B2 (ja) 人体検出型自動スイッチ
CN103781237B (zh) 照明控制开关
KR101664729B1 (ko) 다조도 엘이디 조명 장치
KR100695481B1 (ko) 가구용 자동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