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632A -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632A
KR20070032632A KR1020067020726A KR20067020726A KR20070032632A KR 20070032632 A KR20070032632 A KR 20070032632A KR 1020067020726 A KR1020067020726 A KR 1020067020726A KR 20067020726 A KR20067020726 A KR 20067020726A KR 20070032632 A KR20070032632 A KR 2007003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artridge
cartridge device
seal
displac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갈 샤론
요하난 매게니
Original Assignee
엠.엘.아이.에스. 프로젝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엘.아이.에스. 프로젝츠 엘티디. filed Critical 엠.엘.아이.에스. 프로젝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3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08Mixing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를 저장하는 격실을 가진 카트리지 용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격실은 사용전에 조립 장치의 제 2 컴포넌트와 혼합하도록 준비될 때까지 포뮬레이션의 하나의 컴포넌트를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을 준비할 때까지 재료를 저장하거나 또는 단일 복합 격실 용기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사용이 준비될 때까지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밀봉된 용기에서 포뮬레이션의 복합 컴포넌트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카트리지 장치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 및 그것의 하단부에서 개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단부는 조립 장치를 결합하고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룰 수 있다.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환형 숄더가 밀봉가능한 개구와 하단 개구사이에 제공되어,하우징의 종방향 축을 따라 유동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카트리지, 성분, 격실, 혼합, 컴포넌트, 병, 마개

Description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A CARTRIDGE UNIT FOR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용기 장치(cartridge container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을 위해 혼합이 준비되기까지 포뮬레이션(formulation)의 분리된 하나의 컴포넌트(component)를 저장하는 카트리지 용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 격실(multi-compartment) 용기 조립체는 사용을 위해 준비될 때까지, 사용자가 포뮬레이션의 복합 컴포넌트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밀봉되는 용기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것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단일 복합 격실 용기로 조립될 수 있는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용 카트리지 용기 장치 또는 "카트리지 장치"는 2002년 8월6일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3-0024830 A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원에서 "미국 특허 출원"으로서 언급하며, 본 출원의 양수인에 양도되었고, 이것의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결합되어 있다. 이 출원에 기술된 용기 조립체는 2개 이상의 조립 장치로 이루어지며, 이들 중 하 나 이상이 카트리지 장치이며, 다른 것은 제 2 카트리지 장치 또는 분배 장치(dispensing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 장치는 용기 몸체의 각 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를 가진,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용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분배 장치는 한 단부는 차폐되어 있고 용기 몸체의 제 2 단부에 밀봉가능한 개구를 가진 포뮬레이션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 장치의 상단부는 분배 장치, 예를 들어, 유아용 급식 분배 장치 또는 투약 장치용의 적절한 재료로 된 노즐 또는 젖꼭지(nipple)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 장치의 하단부는 복합 격실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는 분배 장치의 상단 및 하단부와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 장치의 양측 단부는 분배 장치의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동안 어떠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밀봉될 수 있다. 그러나, 복합 격실 조립체를 조립하고 내용물을 분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 시일이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이 시일은 용이하게 제거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예를 들어, 파손가능한 또는 벗겨낼 수 있는 시일이 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파손가능한 또는 벗겨낼 수 있는 시일은 막(membr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막은 호일(foil) 또는 비-금속 막,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중합체 막이 될 수 있고, 단일 층 또는 복합 층으로된 적층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막(membrane)형 시일은 분배 장치의 개방 단부의 림(rim)을 따라 열적으로 밀봉될 수 있어서 이들이 벗겨져서 카 트리지 장치와 결합하거나 또는 적절한 분배 장치 또는 장치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시일은 또한 스크류식(screw-on) 또는 압력 차단 카트리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는 각각의 이것의 상단 및 하단부에 개구를 가진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이다.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 개방 단부는 분배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부와 밀봉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2개의 격실 용기를 형성하도록 한다. 2개의 격실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카트리지의 상단부가 분배 장치의 플랜지 부분으로 삽입되어, 각각의 조립 장치는 결과된 용기의 분리 격실을 형성하도록 한다.
카트리지 장치 내에 밀봉 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밀봉 벽은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 개방 단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여,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부 개구를 밀봉한다. 이 밀봉 벽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장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시일이 형성된 밀봉된 위치와, 카트리지 장치의 내측이 상단 개방 단부를 통해 분배 장치와 유체 소통되는 밀봉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하다. 이 밀봉 벽은 밀봉 벽을 밀봉된 위치와 밀봉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변위가능한 부재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밀봉 벽은 카트리지 장치에 부착된 다른 조립 장치로 연장될 수 없어서 밀봉할 수 없다.
이들 조립 장치는 개별적으로 밀봉되어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가 각각의 조립 장치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조립 장치는 적절한 수의 조립 장치를 서로 결합함에 의해 단일 복합 격실 용기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 분 리 밀봉 가능한 용기는 각각의 조립 장치가 분리 격실을 형성하면서, 단일 복합 격실 용기를 형성하기에 용이하게 서로 조립될 수 있어서,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가 혼합되도록 준비될 때까지 분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 및 카트리지 장치는 2개의 격실 용기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트리지 장치를 제 1 카트리지 장치로 일렬로 피키백(piggy backing)방식으로 배치함에 의해, 추가의 격실이 부가될 수 있다. 각각의 부가 카트리지 장치는 소정의 예정된 양으로 포뮬레이션의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격실 용기는 소정의 분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 단지 복합 카트리지 장치를 연결함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절한 분배 장치는 필요에 따라, 제 1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 개구에 부착될 수 있다. 변위가능한 부재는 이것의 상단부에서 밀봉 벽을 가지며 이것의 하단 개방 단부 근처에서 충진 개구를 가지며, 막형 시일로 밀봉될 수 있다. 부가 카트리지 장치가 복합 격실 용기를 형성하도록 변위가능한 부재의 하단부에 직렬로 피기백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제 1 카트리지 장치의 변위가능한 부재의 하단부가 밀봉 막을 제거함에 의해 밀봉이 해제되면서 카트리지 장치가 뒤집어져서 유지되고, 제 2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부가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제 1 카트리지 장치의 변위가능한 부재의 개방 하단부를 결합하여, 각각의 카트리지 장치가 2개 격실 용기의 격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사용을 위한 준비가 될 때, 사용자는 제 2 카트리지 장치의 변위가능한 부재를 조정하여 밀봉 벽을 그것의 밀봉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서, 2개의 카트리지 장치들의 2개의 격실 사이에서 유동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가 서로 혼합되도록 한다.
분배 장치와 카트리지 장치의 많은 다른 조합이 다양한 포뮬레이션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수의 다른 복합 격실 조립체 용기를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포뮬레이션은 사용하기 전에 단시간에 액체 포뮬레이션을 형성하도록 액체와 혼합되는 건조 분말의 형태로 사람에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포뮬레이션으로는 다양한 영양 포뮬러(formulas) 및 다양한 약제, 예를 들어 항생 물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혼합된 건조 분말 및 액체 포뮬레이션의 유효 기간은 제한되며, 이것은 사용하기 전 단지 단기간에만 포뮬레이션을 제조할 필요성이 있게 한다. 분말 및 액체 포뮬레이션의 제한된 유효 기간은 용액 등의 상태에 있을 때 포뮬러의 가속화된 산화에서 활성 성분의 활동도의 손실의 결과이다.
종래 기술의 복합 격실 조립체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그리고 사용하기 전에, 용접 밀봉(hermetically sealed)되어 연장된 기간에 걸쳐서, 하나의 조립 장치에서 컴포넌트의 액체 또는 액체 증기와 제 2 조립체 장치의 컴포넌트와 때 이른 혼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에서 다른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사용자가 조립 장치에서의 소정의 컴포넌트를 사용하기 전에 바로 조립된 상태에서 살펴볼 수 있어서, 이것이 유용한 조건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에서의 또 다르게 고려되어야하는 것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조립 장치와 카트리지 장치를 제조하는데 상대적으로 비용이 비싸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조립된 상태에서 실제적으로 용접 시일을 제공하는 카트리지를 가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감지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카트리지 장치에서 컴포넌트를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제조하는데 비용이 적어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재료를 저장하는 격실을 가지는 카트리지 용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격실은 사용하기 전에 제 2 컴포넌트와 조립 장치에서 혼합이 준비되기까지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를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의 카트리지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준비할 때까지 재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단일 복합 격실 용기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게 사용을 위해 준비될 때까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밀봉된 용기에서 포뮬레이션의 복합 컴포넌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카트리지 장치는 상단부에서는 밀봉가능한 개구 및 하단부에서는 개구를 가지는 실제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단부는 조립 장치를 결합하여 밀봉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밀봉가능한 개구와 하단 개구 사이에는 먼저 안쪽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숄더(shoulder)가 구비되어, 하우징의 종방향 축을 따라 유동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카트리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삽입된 실제적으로 원통형의 변위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밀봉가능 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밀봉가능한 개구를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가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장치는 제 1 숄더의 내측 벽과 밀봉 결합되는 구조로된 밀봉 부재를 가지며 조립 장치의 상단 개구의 내측 벽과 함께, 카트리지 장치내에 격실을 형성한다. 이 밀봉 부재는 변위가능한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된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는 2개의 밀봉 릿지(ridges)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2개의 밀봉 릿지는 밀봉 부재와 제 1 환형 숄더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여, 카트리지 장치의 하단 개구 단부를 밀봉하고, 이와 동시에 밀봉 부재와 조립 장치의 내측벽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한다.
변위가능한 부재가 카트리지 장치를 통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2개의 위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며, 제 1 위치에서, 시일이 형성되며, 제 1 밀봉 릿지가 상기 밀봉 부재의 원주 둘레에서 제 1 숄더의 내측벽과 밀봉되게 결합되면서, 제 2 밀봉 릿지가 상기 밀봉 부재의 원주 둘레에서 조립 장치의 상단 개구의 내측 벽과 밀봉되게 결합되고; 제 2위치에서, 밀봉 부재와 숄더 및 조립 장치의 상단 개구의 내측벽의 결합이 해제되며, 카트리지 장치 내측 격실은 상기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 개구를 통해 조립 장치와 유동 소통된다. 이 유동 소통은 카트리지 장치에서 재료의 일부 또는 전체를 빈 조립 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며, 또는 그 반대로 전달이 이루어지며, 또는 분배가 준비된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조립 장치내의 재료와 카트리지 장치내의 재료를 혼합하도록 한다. 이 변위가능한 부재는 또한 맞춤 마개(closure) 부재의 충진 개구를 구비한다.
이 변위가능한 부재 및 원통형 하우징은 베이어닛 로크(bayonet lock) 연결부에 의해, 밀봉 부재를 밀봉된 위치에서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룸에 따라, 유동 통로의 부주의한 밀봉 해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 기구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카트리지 장치의 격실과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 사이에서 유동 통로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격실내에 내용물과 조립 장치의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해서, 또는 카트리지 장치의 격실과 조립 장치 사이에서 재료를 전달하기 위해서, 변위가능한 부재가 베이어닛 로크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회전시키고, 밀봉 부재를 카트리지 장치에서 숄더에 대해 변위되도록 축방향으로 당겨서, 카트리지 장치의 격실과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 사이에서 유동 소통을 개방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밀봉 부재가 변위가능한 부재의 일 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조정가능한 부속 스커트(skirt)가 다른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스커트는 변위가능한 부재를 움직이게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스커트 및 밀봉 부재를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카트리지 장치가 조립 장치로부터 액체 및 액체 증기가 시일을 통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트리지 장치의 컴포넌트에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강성 구조를 구비한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장치는 컴포넌트가 우수한 조건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혼합하기 전에 카트리지 내의 컴포넌트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치가 조립 장치에 설치될 때까지, 재료를 보유하 고 저장하는 카트리지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a)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을 가지며, 이것의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 카트리지 장치에서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환형 숄더, 및 이것의 하단부에서는 개구를 가지는 카트리지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하우징 내에 변위가능한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우징 또는 변위가능한 부재는 유동 통로를 밀봉하는 환형 숄더의 환형 내측 벽과 밀봉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 밀봉 부재를 가져서, 카트리지 장치에 격실을 형성하고,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운동가능하고, 제 1 위치에서 시일은 밀봉 부재와 환형 숄더의 내측 벽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위치에서, 밀봉 부재와 내측 벽의 결합이 해제되고, 카트리지 장치 내측의 격실이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와 유동 소통되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마개 부재로 밀봉가능한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를 가지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카트리지 장치 내에서 밀봉된 위치로 배치되는 배치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 재료를 상기 카트리지 장치로 변위가능한 부재의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를 통해 도입하는 도입 단계; 및 (d)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충진가능한 개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중공 마개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마개는 그 자체가 재료 또는 혼합물의 컴포넌트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장치 및 조립 장치가 준비될 때, 이들은 각각의 내용물이 혼 합물로 혼합하도록 서로 연결되도록 준비될 때까지는 연장된 유효 기간 동안 분리하여 보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조립 장치는 채워진 카트리지 장치에 의해 밀봉될 수 있으며, 내용물이 혼합될 때까지 캡형(capped) 조립 장치가 유지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장치 및 조립 장치는 분리 격실을 형성하여, 각각의 장치의 내용물이 미리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조립 장치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것은 분리되어 제조 유지될 수 있으며 비어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전달되기 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립 장치에 재료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이해되어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조작되는 카트리지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전개한 사시도,
도 2는 밀봉된 위치에서 조립되고 분배 장치에 캡이 형성된 도 1의 카트리지 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트리지 장치의 스커트의 내측 표면을 절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유동 통로 위치에서의 도 2의 카트리지 장치의 부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조작되는 카트리지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전개한 사시도,
도 6은 밀봉된 위치에서 조립되고 분배 장치에 캡이 형성된 도 5의 카트리지 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사시도,
도 7은 유동 소통 위치에서 도 6의 카트리지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조작되는 카트리지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전개한 사시도,
도 9는 밀봉된 위치에서 조립되고 분배 장치에 캡이 형성된 도 8의 카트리지 장치의 절개된 일부분의 사시도,
도 10은 유동 소통 위치에서 도 9의 카트리지 장치의 부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의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의 개략도.
이들 도면은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축척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격실을 가지는 카트리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카트리지 장치는 조립 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응용하려는 목적으로 하는 조립 장치는 분배 장치로서, 예를 들어 병 또는 카트리지 장치이다. 카트리지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립체 장치와 다양한 조합 방식으로 조합을 이루어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가 포뮬레이션의 복합 컴포넌트를 사용이 준비되기까지는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밀봉된 용기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는, 카트리지 장치는 비어있는 조립 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되고, 예를 들어 카트리지 장치와 조립 장치 사이에서 유동 소통이 있을 때, 카트리지 장치의 재료 일부 또는 전부를 전달 목적으로 또는 반대로 전달할 목적으로, 재료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일부 실시예의 카트리지 장치와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가 본 발명의 다양한 특정 배치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응용되는 카트리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미국 특허 출원의 카트리지 장치와 비교하여 뒤집혀진 것을 기술한 것이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의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은 본 발명에서 응용되는 카트리지 장치의 하단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거꾸로 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치가 분배 장치의 상단 및/또는 하단 측면을 밀봉되게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조작되는 카트리지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전개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장치(10)는 밀봉가능한 상단 개구(13)와 하단 개구(14)를 가지는 하우징(12)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치(10)가 조립 장치, 예를 들어 병, 또는 단지(jar) 또는 제 2 카트리지 장치의 상단상에 맞추어질 때, 하우징(12)의 하부 부분(16)은 조립 장치(미도시)의 목부분 둘레에 연결된다. 하우징(12)의 하부 부분(16)의 내측면에는 바람직하게, 나사산(screw threads)(18) 또는 비드형 립(beaded lip)이 구비되어, 카트리지 장치를 보완 나사산 또는 돌출 플랜지에 병 또는 단지의 각각의 목부분 둘레에 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을 목적으로 쓰레드형 목부분을 가진 통상적인 병을 참조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카트리지 장치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임의의 조립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12)은 하단 개구(14)와 밀봉가능한 상단 개구(13) 사이에 밀봉가능한 유동 통로(20)를 구비한다. 통로(20)는 밀봉 부재(30)로 밀봉될 수 있다. 밀봉가능한 유동 통로(20)는 환형 내측 벽(23)을 가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환형 숄더(2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환형 숄더(22)는 하단 벽으로서 사용하여, 밀봉 부재(30), 하우징(122)의 상부 부분의 벽, 및 마개 부재(44)와 함께, 카트리지 장치(10)내에서 밀봉가능한 격실(46)을 형성하여, 컴포넌트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숄더(20)의 상단 표면은 통로(20)를 향해 하향 경사 배향으로 배치되어, 혼합하는 동안 유동 통로를 통해 격실(46) 내에 컴포넌트의 슬라이딩을 개선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치는 하우징(12)의 밀봉가능한 상단 개구(13)를 통해 삽입되는 변위가능한 부재(4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부재(4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sleeve)로 이루어진다. 변위가능한 부재(40)는 상단 개구(13), 하우징(12)의 통로(20) 및 조립 장치의 상단 개구 단부(미도시)를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변위가능한 부재(40)는 그것의 상단부에 충진 개구(42), 및 맞춤 마개 부재(44)를 구비한다. 마개 부재(44)는 여기에서는 개구(42)의 보완 쓰레드와 밀봉되게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된 쓰레드형 디스크로서 예시되며, 그것의 상단은 변위가능한 부재의 상단과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차폐되게 배향될 때, 마개 부재(44)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환형 숄더(45)상에 안착되어 밀봉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링(o-ring)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홈(49)이 마개 부재(44)의 하단 표면에 구비되어 마개 부재(44)와 환형 숄더(45)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겠지만, 선택적으로 마개 부재(44)는 분배 장치 또는 중공형 마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분배 장치는 용기 내의 포뮬레이션 또는 카트리지 장치(10)의 컴포넌트를 분배하며, 중공 마개는 카트리지 장치(10)에 저장된 컴포넌트를 보유하여 사용자가 사용전에 컴포넌트의 조건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변위가능한 부재(40)의 상단은 조정가능한 부속 스커트(50)를 형성한다. 스커트(50)는 상단 개구(13) 안팎으로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다. 변위가능한 부재의 환형 숄더(45)는 또한 카트리지 장치(12)의 격실(46)의 상단 벽으로서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부재(30)는 변위가능한 부재(40)의 하나의 단부를 형성한다. 밀봉 부재(3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속 지지 부재(52)에 의해 환형 숄더(45)에 연결된다. 밀봉 부재(30)는 상단 표면(54) 및 스템(56)을 형성하며, 상단 표면(54)은 바람직하게 이것의 중앙으로부터 이것의 원주로 하향되어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스템(56)은 하향으로 돌출되어 밀봉 부재(34)를 수납하도록 그것의 원주 둘레에 홈(32)을 가진다. 밀봉 부재(34)는 제 1 밀봉 릿지(58) 및 상기 제 1 밀봉 릿지(58) 아래에 배치된 제 2 밀봉 릿지(58')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는, 밀봉 부재(30)는 각각 밀봉 오링을 수납하는 2개의 홈을 구비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10)의 충진 개구(42)는 전형적으로 채워진 후, 마개 부재(44)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격실(46)내의 컴포넌트가 저장하는 동안 흘리거나 또는 어떠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혼합한 후에 그리고 사용하기 전에, 마개 부재(44)가 제거되고 소정의 형상 또는 형태의 분배 장치(미도시)가 카트리지 장치(10)에 연결되어, 변위가능한 부재(40)가 밀봉이 해제되는 위치에 있을 때, 혼합물을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밀봉된 위치에서 카트리지 장치(1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서는 분배 장치(80)로서 예시된 조립 장치로서 밀봉되게 연결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 릿지(58)는 환형 숄더(22)의 내측벽(23)이 밀봉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며, 반면에 밀봉 릿지(58')가 분배 장치(80)의 상단 개구의 내측 벽(82)과 동시에 밀봉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변위가능한 부재(40)가 밀봉된 위치에 있을 때, 밀봉 부재(30)의 상단 표면(54)이 카트리지 장치(10)의 하우징(12)내의 격실(46)의 하단 벽을 형성한다. 격실(46)은 혼합물의 소정의 목적한 컴포넌트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이 혼합물은 조립 장치에 저장된 액체 또는 다른 제 2 컴포넌트와 혼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이 후에 빈 조립 장치로 전달되어질 수 있는 재료를 보유할 수 있다. 밀봉 릿지(58)는 밀봉 부재(30)와 숄더(22)의 환형 벽(23)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여, 유동 통로(20)를 밀봉시키는 한편, 밀봉 릿지(58')는 밀봉 부재(30)와 분배(80)의 상단 개구의 벽(82)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여, 분배 장치(80)를 밀봉시킨다.
변위가능한 부재(40)는 카트리지 장치(10)의 종방향 축을 따라, 밀봉 통로(20)가 밀봉되는 제 1 위치와 밀봉 통로(20)의 밀봉이 해제되는 제 2 위치의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10)가 분배 장치(80) 상에 설치될 때, 변위가능한 부재(40)가 밀봉이 해제되는 위치로 축방향으로 운동되어, 카트리지 장치(10)의 격실(46)과 개방 단부(14)를 통해, 분배 장치(80)의 상단 개구 사이에 유동 소통을 제공하도록 한다. 유동 소통은 카트리지 장치의 컴포넌트와 분배 장치에서의 컴포넌트와 혼합되도록 하여, 포뮬레이션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 표뮬레이션은 카트리지 장치로부터 분배 장치로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배하여 전달 또는 역으로 분배하여 전달하도록 준비된다.
카트리지 장치(10)와 분배 장치(80) 사이의 밀봉 결합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서, 밀봉 링(60)이 환형 숄더(22)의 하단 표면에 대해 카트리지 장치(10)(도 1) 내측에 배치되어 조립될 때 분배 장치(80)의 상단 개구의 상부 표면과 밀봉되게 결합되어, 액체 기밀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위가능한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부재(40)의 외측벽에서 원주 홈(41)내에 배치되는 밀봉 오링(43)이 구비되어, 하우징(12)의 내측 표면과 밀봉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오링(43)은 변위가능한 부재(40)의 외측 벽과 하우징(12)의 내측 벽 사이에 액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여, 카트리지 장치(10)와 분배 장치(80)를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내의 액체가 변위가능한 부재가 밀봉이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밀봉 부재(34) 및 오링(43)은 밀봉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공지된 바와 같은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변위가능한 부재의 일체식 부재로서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침투되어 진공 압력이 카트리지 장치(10)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밀봉 오링(43)은 카트리지 장치(10)에서 변위가능한 부재(40)의 운동을 안정화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별한 특징은 카트리지 장치와 조립 장치 사이에 시일을 개선시키도록 이중 시일이 구비되어 제 1 격실에서 제 1 컴포넌트의 액체 및/또는 액체 증기가 시일을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전에 제 2 격실에서 제 2 컴포넌트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2) 및 변위가능한 부재(40)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어 변위가능한 부재(40)가 부주위하게 변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 기구는 밀봉 부재(34)와 환형 숄더(22) 및 분배 장치(80) 사이에서 유체 기밀 시일에 의해 부주의하게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베이어닛 로크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변위가능한 부재(40)의 스커트(5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예시하였다. 스커트(50)를 회전시킴에 의해, 스커트(50)의 내측 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베이어닛 로크 후크(47)는 하우징(12)의 외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완 돌출부(48)(도 1에 가장 명료하게 예시)과 결합된다. 격실 내의 컴포넌트와 분배 장치(80)의 컴포넌트를 혼합하고자 할 때, 변위가능한 부재(40)가 베이어닛 로크의 잠금이 풀리도록 돌려지고, 스커트(50)의 내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로크 후크(47) 보다 아래에 배치된 복수 개의 돌출부(62)에 대해 돌출부(48)가 접하게 될 때까지, 축방향으로 당겨진다. 돌출부(62)는 변위가능한 부재(40)가 하우징(12)으로부터 부주의해서 완전하게 당겨지는 것을 정지시킨다. 돌출부(48)가 돌출부(62)상에 접할 때, 카트리지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돌출부(48)가 돌출부(62)에서 통로(64)에 인접해질 때까지 스커트(50)를 돌리고, 하우징(12)으로부터 변위가능한 부재(40)를 당겨서 필요에 따라 분해될 수 있다.
도 4는 카트리지 장치(10) 및 분배 장치(10) 및 분배 장치(1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2개의 격실 용기 조립체로서 조립되며, 변위가능한 부재(40)는 밀봉이 해제된 위치에 있다. 변위가능한 부재(40)의 축방향 상향 변위가 숄더(22)의 내측 벽(23)으로부터 밀봉 릿지(58)의 결합을 해제하여, 통로(20)를 개방하고, 동시에, 분배 장치(80)의 상단 개방 단부의 벽(82)으로부터 밀봉 릿지(58')의 결합이 해제되고, 카트리지 장치(10)와 분배 장치(80)사이에 유동 소통(화살표 A로 표시)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90)의 일부를 절개하여 전개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장치(90)는 밀봉 부재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치(10)에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을 이루어 조작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밀봉 통로(94)를 위한 밀봉 디스크(92)이다. 밀봉가능한 유동 통로(94)는 환형 내측 벽(97)을 가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환형 숄더(96)에 의해 형성된다. 환형 숄더(96)는 밀봉 디스크(92)와 하우징(98)의 상부 부분의 벽과 함께, 컴포넌트를 보유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치(90)의 밀봉가능한 격실(100)을 형성하는 하단 벽으로 사용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치(90)는 하우징(98)의 밀봉가능한 상단 개구(104)에 삽입되는 변위가능한 부재(10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부재(10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슬리브로 이루어진다. 변위가능한 부재(102)는 밀봉가능한 개구(104)와 하우징(98)의 통로(94) 양측을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하우징(98)의 상단은 부속 스커트(106)를 형성한다. 스커트(106)는 변위가능한 부재(102)를 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변위가능한 부재(102)는 카트리지 장치(90)의 격실의 상단 벽으로서 사용되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환형 숄더(108)를 구비한다. 환형 숄더(108)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속 지지 부재(110)에 의해 밀봉 디스크(92)에 연결된다.
변위가능한 부재(102)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충진 개구(112)와 맞춤 마개 부재(114)를 가진다. 마개 부재(114)는 여기서는 개구(112)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된 구조로된 쓰레드형 디스크로서 예시되어 있으며,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상단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거나 또는 이것으로부터 약간 삽입된다. 차단되게 배향될 때에는, 마개 부재(114)는 환형 숄더(108)상에 안착되고 밀봉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홈(116)이 마개 부재(114)의 하단 표면에 구비되어 오링(118)을 수납하여 마개 부재(114)와 환형 숄더(108)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게 된다.
밀봉 디스크(92)는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일 단부를 형성한다. 밀봉 디스크(92)는 오링(122)을 수납하도록 그것의 원주 둘레에서 부속 트랙(120)을 형성하며, 환형 숄더(96)의 내측벽과 밀봉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카트리지 장치(90)의 하우징(98)내에 격실(100)의 하단 벽을 형성하도록 한다. 격실(100)은 나중에 조립 장치에서 액체 또는 다른 제 2 컴포넌트와 혼합될 혼합물의 소정의 목적한 컴포넌트를 보유할 수 있다. 오링(122)은 밀봉 디스크(92)와 환형 숄더(96)의 내측 벽(97)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여, 유동 통로(94)를 밀봉하게 된다.
변위가능한 부재는 카트리지 장치를 통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2개의 위치, 즉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데, 제 1 위치에서는 밀봉 디스크(92)의 원주 둘레의 오링(122)이 환형 숄더(96)의 내측벽(97)과 밀봉되게 결합되어, 통로(94)를 밀봉하고, 제 2위치에서는, 밀봉 디스크(92)는 숄더(96)의 내측 벽(97)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유동 통로(94)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한다. 카트리지 장치(90)가 조립 장치에 장착될 때, 변위가능한 부재(102)가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카트리지 장치의 개방 단부(124)를 통해 카트리지 장치의 내측면에 격실(100)과 분배 장치 사이에 유동 소통을 제공한다. 이 유동 소통은 카트리지 장치의 컴포넌트와 분배장치의 컴포넌트를 혼합하도록 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데 상기 혼합물이 카트리지 장치로부터 조립 장치로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배하거나 전달하거나 또는 역으로 분배 전달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변위가능한 부재(102)에는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외측벽에서 원주 홈(123)내에 배치된 밀봉 오링(121)이 구비되며, 하우징(98)의 내측 표면과 밀봉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오링(121)은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외측벽과 하우징(98)의 내측벽 사이에 액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여, 카트리지 장치(90) 및 조립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 내의 액체가 변위가능한 부재(102)가 밀봉이 해제되는 위치에 있을 때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오링(121)은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일체식 부분으로서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오링(122)은 밀봉 디스크(92)의 일체식 부분으로서 밀봉을 개선시키도록 탄성 재료로, "이중 사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이들 오링은 공기가 투과되어 진공 압력이 카트리지 장치(90) 내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밀봉 오링(121)은 카트리지 장치(90)에서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운동을 안정화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게 된다.
도 6은 조립되어, 밀봉된 위치에서, 여기에서는 분배 장치(130)로 예시된 조립 장치에 밀봉되게 연결된 카트리지 장치(9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 디스크(92)는 환형 숄더(96)의 내측벽(97)과 밀봉 결합된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변위가능한 부재(102)가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밀봉 디스크(92)의 상단 표면(132)은 카트리지 장치(90)의 하우징 내에서 격실(106)의 하단벽을 형성한다. 격실(102)은 조립 장치에 저장된 액체 또는 제 2 컴포넌트와 나중에 혼합될 수 있는 혼합물의 소정의 목적한 컴포넌트를 보유할 수 있다. 밀봉 오링(122)은 밀봉 디스크(92)와 숄더(96)의 내측벽(97)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여, 유동 통로(94)(도 5에 예시됨)를 밀봉하고 카트리지 장치(90)와 분배 장치(130) 사이의 유동 소통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98) 및 변위가능한 부재(102)는 도 3에 예시되고 상술한 바와 실제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부주의한 변위를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도 7은 2개의 격실 용기 조립체로 조립되는 카트리지 장치(90)와 분배 장치(13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변위가능한 부재(102)는 밀봉이 해제된 위치에 있다. 변위가능한 부재(102)의 축방향 상향 변위가 숄더(96)의 내측벽(97)으로부터 밀봉 디스크(92)와 결합이 해제되어, 카트리지 장치(90)와 분배 장치(130) 사이에서 통로(94)를 개방하고 화살표 B로 표시된 유동 소통을 제공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15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카트리지 장치(150)은 밀봉가능한 상단 개구(154)와 하단 개구(156)를 가지는 하우징(152)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치(150)가 조립 장치의 상단에서 밀봉되게 맞추어질 때, 하우징(152)의 하부 부분(158)은 조립 장치(미도시)의 목부분 둘레에 연결된다. 하우징(152)의 하부 부분(158)의 내측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160) 또는 비드형 립이 구비되어, 병 또는 단지의 각각의 목 부분 둘레에서 보완 나사산 또는 돌출 플랜지로 카트리지 장치를 연결시켜서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카트리지 장치는 하우징(152)의 밀봉가능한 상단 개구(154)를 통해 삽입된 변위가능한 부재(162)를 구비한다. 변위가능한 부재(162)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로 이루어진다. 변위가능한 부재(162)는 하우징(152)의 상단 개구(154)를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위가능한 부재(162)는 이것의 상단부에서 충진 개구(164) 및 여기에서는 도옴(dome) 마개로서 예시된 맞춤 중공 마개 부재(166)를 구비하며, 부속 쓰레드형 목 부분(168)을 가진다. 쓰레드형 목 부분은 개구(164)의 보완 쓰레드(170)와 밀봉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당해업자는 중공 마개 부재가 소정의 형상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한편, 개방된 하부 부분을 가지며, 변위가능한 부재의 충진 개구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쓰레드형으로, 구조와 배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중공 마개 부재는 혼합물의 재료 또는 컴포넌트를 보유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마개 부재는 내측 재료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다.
차폐되어 배향될 때, 중공 마개(166)의 기저부(172)가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상단 표면상에 안착되고 그리고 개구(164)와 밀봉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링(178)을 수납할 수 있도록 목부분(168)의 상부 부분에 홈(176)이 구비되어 중공 마개(166)와 충진 개구(164)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한다. 변위가능한 부재(162)에 대한 도옴(166)의 연결은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쓰레드형 원통 부재(미도시)의 일단부를 충진 개구(164)의 보완 쓰레드(170)에 연결시키고, 그리고 쓰레드형 부재의 제 2 단부를 마개 도옴(166)의 하단부의 개구의 보완 쓰레드에 대한 연결을 이루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쓰레드형 부재는 충진 개구(164)의 일체식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변위가능한 부재(162)는 밀봉가능한 유동 통로(182)를 구비한다. 밀봉가능한 유동 통로(182)는 쓰레드(170) 아래에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벽으로 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환형 숄더(188)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환형 숄더(188)는 환형 내측 벽(189)를 구비한다. 통로(182)는 밀봉 부재(186)로 밀봉될 수 있으며,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상부 부분의 벽, 목부분(168) 및 중공 마개(166)사이에서 카트리지 장치(150)의 밀봉가능한 격실(180)을 형성하도록 하여, 컴포넌트를 저장할 수 있다. 중공 마개(166)는 사용하기 전에 카트리지 장치(150)의 컴포넌트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기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중공의 마개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 장치의 실시예에서 마개 부재를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선택적으로 디스크 마개 부재가 도 8의 실시예에서 중공의 마개 부재(16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마개 부재는 막, 예를 들어 공지된 바와 같은 호일 또는 플라스틱 막, 또는 다른 중합체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막 시일은 변위가능한 막의 상단 개방 단부의 림을 따라 열 밀봉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벗겨져서 적절한 분배 장치를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상단은 부속 스커트(190)를 형성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단 개구(154)를 안팎으로 변이가능한 부재(162)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스커트(190)가 조절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부재(18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지 부재(194)에 의해 하우징(152)의 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환형 숄더(192)에 연결된다. 밀봉 부재(186)는 스템(196)을 구비하며, 이 스템은 유동 통로(182)를 향해 상향되어 돌출되며 밀봉 부재(200)를 수납하도록 그 원주 둘레로 홈(198)을 가진다. 밀봉 부재(200)는 제 1 밀봉 릿지(202) 및 상기 밀봉 릿지(202) 위에 배치된 제 2 밀봉 릿지(202')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밀봉 부재(200)는 각각 오링을 수납하는 2개의 홈을 구비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 장치(220)로서 여기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카트리지 장치(200)와 조립 장치 사이에 밀봉 결합을 더 우수하게 하기 위해서는, 밀봉 링(157)은 카트리지 장치(200) 내측에서 환형 숄더(192)의 하단 표면에 대해 배치되어 조립될 때 분배 장치(220)의 상단 개구의 상부 표면과 밀봉되게 결합되어 액체 기밀 연결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부재(162)에는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외측 벽에서 원주 홈(165)내에 배치되는 밀봉 오링(163)이 구비되어, 하우징(152)의 내측 표면과 밀봉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오링(163)은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외측벽과 하우징(152)의 내측벽 사이에 액체 기일 시일을 형성하여, 카트리지 장치(200) 및 분배 장치(220)를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내의 액체가 변위가능한 부재(162)가 밀봉이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밀봉 부재(186) 및 오링(163)은 공지된 바와 같은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탄성 재료로 제조되어 밀봉을 개선시키며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투과되어 진공 압력이 카트리지 장치(200)의 내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밀봉 오링(163)은 카트리지 장치(200)에서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운동을 안정화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또한 하우징(152) 및 변위가능한 부재(162)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부주의한 변위를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밀봉 위치에서 분배 장치(220)에 밀봉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 장치(20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 릿지(202)는 환형 숄더(188)의 내측 벽(189)와 밀봉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며, 동시에 밀봉 릿지(202')는 중공 마개(166)의 개구에서 목부분(168)의 내측벽(204)과 동시에 밀봉 결합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변위가능한 부재(162)가 밀봉된 위치에 있으면서, 환형 숄더(188)와 함께 밀봉 부재(186)의 상단 표면은 카트리지 장치(150)의 중공 마개(166)와 변위가능한 부재(162) 내에 격실(180)의 하단 벽을 형성한다. 격실(180)은 혼합물의 소정의 목적한 컴포넌트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이 혼합물은 이후에 분배 장치(220) 내에 저장된 액체 또는 다른 제 2 컴포넌트와 혼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이후에 분배 장치(220)로 전달될 수 있는 또는 역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재료를 보유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150)가 그것의 상단부 개구에서 제거가능한 시일을 가지는 조립 장치에 밀봉되게 연결되는 경우에, 환형 숄더(188)의 하단 표면과 함께 밀봉 부재(186)의 하단 표면이 격실(180)과 조립 장치의 격실 사이에서 제 3 격실의 상단 벽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밀봉 릿지(202)는 밀봉 부재(186)와 숄더(188)의 내측 벽(189) 사이에서 액체 기밀 시일을 제공하여, 유동 통로(182)를 밀봉하고, 한편으로는 밀봉 릿지(202')는 중공 마개(166)의 개구에서 목 부분의 내측벽(204)과 밀봉 부재(186)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제공한다.
도 10은 2개 격실 용기 조립체로서 분배 장치에 밀봉되게 연결된 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변위가능한 부재(162)가 밀봉이 해제된 위치에 있다.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축방향 상향 변위는 숄더(188)의 내측 벽(189)으로부터 밀봉 릿지(202)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동시에 중공의 마개(166)의 상단 개구로부터 밀봉 릿지(202')의 결합을 해제하여, 통로(182)의 밀봉을 해제하도록 한다. 카트리지 장치(200)가 분배 장치(220)상에 장착될 때, 변위가능한 부재(162)가 밀봉이 해제되는 위치로 축방향으로 운동되는 것은 개구 단부(222)를 통해 카트리지 장치(200) 내측의 격실(180)과 분배 장치(220)의 상단 개구 사이에서 유동 소통되도록 한다. 화살표 "C"로 표시되는 이 유동 소통은 카트리지 장치의 컴포넌트와 분배 장치의 컴포넌트가 혼합되어, 분배하도록 준비된 포뮬레이션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은 밀봉 부재(186)가 지지 부재(194)에 의해 환형 숄더(192)에 단단하게 연결되며 상향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배치는 중공 마개(166)에서 격실(180)에서 컴포넌트의 실제적인 부분을 보유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용전에 컴포넌트를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특징은 중공 마개(166)가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로 채워지고, 벗겨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커버로 밀봉되고 그리고 분리되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반면에,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충진 개구(164)가 마개 부재,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 마개 부재(44)에 의해 밀봉되어, 격실(180)은 의도하지 않은 컴포넌트 또는 대상물의 유입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복합 격실 용기를 조립할 때 그리고 사용하기 전에, 변위가능한 부재(166)가 밀봉된 위치에 있는 동안, 마개 부재(44)는 중공 마개(166)에 의해 제거되고 대체될 수 있어서 그것의 커버를 제거한 후에도,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를 보유하도록 한다. 중공 마개(166)는 소정의 형상 또는 형태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목부분(168)이 변위가능한 부재(162)의 충진 개구(164)를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마개(166)는 제조하는 것이 비교적 저가인 분리가능한 마개 부재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카트리지 장치의 비용은 감소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합적인 용도로 단지 하나의 카트리지 장치만을 구입하면 되며, 상대적으로 저가인, 포뮬레이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1회용(disposable) 중공 마개를 공급하면 된다.
종래 기술의 복합 격실 용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마개를 가지는 카트리지 장치를 사용하는 장점은 사용자가 사용전에 카트리지 장치의 컴포넌트의 물리적 조건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격실 용기에는 중공의 마개가 하향되어 위치될 수 있어서, 컴포넌트가 중공 마개에 수집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이것을 충분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를 사용하는 또 다른 장점은 중공 마개의 크기가 종래 기술의 카트리지 장치보다 작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공의 마개가 종래 기술의 카트리지 장치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포장되어 운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로 하여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25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250)는 밀봉가능한 개방 상단부와 밀봉가능한 개방 하단부를 가지는 분배 장치(252)를 구비하여 각 단부에서 카트리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분배 장치(252)의 하단의 카트리지 장치(254)는 여기서 종래기술의 카트리지 장치로서 예시되었으며, 본 발명의 따른 카트리지 장치(256)가 분배 장치(252)의 개방 상단부에 밀봉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조립 장치는 포뮬레이션을 형성하는 다른 컴포넌트로 채워질수도 있으며, 조립하고 사용하기전에 분리하여 채워져서 밀봉되고 그리고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배 장치(252)는 상술한 미국 특허 출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은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시일 또는 커버에 의해 각 단부상에서 밀봉된다. 조립 방법은 분배 장치(252)의 하단 시일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뒤집혀진 위치에 있을 때, 컴포넌트가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하단 개구에서 카트리지 장치(254)에 대한 스크류 작업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분배 장치(252)의 상단 시일은 수직으로 거꾸로 한 위치에서 개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개방 장치(2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서 카트리지 장치(256)을 스크류 작업함에 의해 캡(capped)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254 및 256)는 소정의 의도한 순서로 조작될 수 있어서, 컴포넌트들의 소정의 의도한 조합을 제공하도록 하다. 카트리지 장치(256)는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정의 마개를 구비할 수 있어서, 도옴내에 추가의 격실을 제공함에 의해 4개의 컴포넌트를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하나 또는 두개의 장치가 비어있을 수 있으며 단지 하나의 재료 또는 두개의 컴포넌트가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250)의 격실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분배 장치 및 하나의 카트리지 장치는 각각 혼합을 위한 혼합물의 컴포넌트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혼합물 일부 또는 전부가 제 2 용기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후에, 제 2 카트리지 장치는 용기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거나 또는 혼합물은 제 2 카트리지 장치로부터 분배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한되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배 장치는 비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카트리지 장치는 혼합물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로는, 하나의 카트리지 장치에서 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빈 분배 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다. 분배 장치에서, 이 컴포넌트는 제 2 카트리지 장치에서 컴포넌트와 혼합될 수 없으며, 제 2 카트리지 장치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또는, 이 컴포넌트는 제 2 카트리지 장치에서 컴포넌트의 일부와 혼합될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한 많은 수의 또 다른 조합이 있을 수 있으며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12는 조립 전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격실 용기(2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용기(26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로서 여기서 도시한, 제 2 카트리지 장치(264)에 연결되도록 정렬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카트리지 장치(262)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의 조립 장치는 포뮬레이션을 형성하는 2개의 다른 컴포넌트로 채워질 수 있으며 그리고 조립하고 사용하기 전에 분리하여 채워지고 밀봉되어 그리고 저장될 수 있다. 도 11와 관련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치(262 및 264)는 여기서 기술된 소정의 카트리지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리고 카트리지 장치(262)에서 컴포넌트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및/또는 추가의 컴포넌트를 위한 제 3 격실을 제공하도록 하는 중공의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카트리지 장치들 중 하나는 비어 있을 수 있으며, 재료는 제 2 카트리지 장치내에 저장되어 2개 사이에 유동 소통이 있을 때 장치들 사이에서 전달이 일어 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카트리지 장치는 재료로 채워진 큰 카트리지 장치가 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제 2 카트리지 장치는 더 작다. 이 경우에, 일정 량의 재료가 큰 카트리지 장치로부터 작은 카트리지 장치를 채우도록 전달될 수 있으며, 이어서 밀봉되어 제거될 수 있다. 작은 카트리지 장치는 다른 작은 빈 카트리지 장치로 교체될 수 있으며, 큰 카트리지 장치내의 모든 재료가 소모될 때까지 이 공정이 반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선택된 양의 재료를 보유하도록 더 작은 카트리지 장치가 고안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치가 조립 장치에 장착될 때까지 재료를 보유하고 저장하는 카트리지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하우징을 가진 카트리지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그것의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안쪽으로 연장된 환형 숄더가 카트리지 장치에서 유동 통로와 그것의 하단부에서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카트리지 장치는 밀봉 부재를 가지며, 이것은 유동 통로를 밀봉하도록 환형 숄더의 환형 내측벽과 밀봉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어, 카트리지 장치에서 격실을 형성하도록 한다. 변위가능한 부재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운동될 수 있으며, 제 1 위치에서 밀봉 부재와 환형 숄더의 내측벽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며, 제 2 위치에서 밀봉 부재와 내측 벽이 결합이 해제되어, 카트리지 장치 내측의 격실이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와 유동 소통된다. 변위가능한 부재가 그것의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 그리고 보완 마개 부재를 가진다.
그 다음, 혼합물의 하나의 컴포넌트가 변위가능한 부재의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 장치로 도입되고, 이어서 변위가능한 부재는 마개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변위가능한 부재가 하우징에 안착되어 밀봉 부재가 유동 통로를 밀봉하도록 한다. 이것은 카트리지 장치 내측에 격실을 형성하며, 카트리지 장치 안으로 컴포넌트가 충진 개구를 통해 부어 넣어진다. 그리고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는 마개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선택적으로, 컴포넌트를 보유하는 중공 마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변위가능한 부재의 충진 개구에 밀봉되게 연결된다.
혼합물이 필요로 될까지 채워진 카트리지 장치가 조립 장치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카트리지 장치가 한편으로 비어있는 조립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필요할 때, 카트리지 장치 내의 격실을 채우도록 마개 부재가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개 부재는 제거되고, 바로 사용하기 전에, 컴포넌트를 보유하는 중공의 마개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채워진 카트리지 장치가 빈 조립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트리지 장치와 조립 장치를 복합 격실 용기로 조립하고, 조립 장치의 내용물을 혼합하고 분배한 다음, 카트리지 장치와 조립 장치가 재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 및 조립 장치가 분해되고 그리고 다시 채워질 수 있다. 다시 채우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장치가 단지 세척이 되지만, 다시 채워지지는 않으며, 카트리지 장치를 통해 부가되어지는 컴포넌트가 도옴 또는 다른 확장된 마개 부재 내측에 제공되어 저장된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실례로서 활용하려는 것이며, 많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기술되고 도면에 예시된 카트리지 장치는 단지 실시예이다. 여기에 기술된 다른 구조의 다른 변화를 구현하는 카트리지 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많은 다양한 변형, 변경 및 다른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단지 실시예로 기술되어 있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용 카트리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오염으로부터 컴포넌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립 장치에서의 소정의 컴포넌트를 사용하기 전에 바로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를 살펴볼 수 있어서, 이것이 유용한 조건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립 장치와 카트리지 장치를 제조하는데 상대적으로 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34)

  1.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용 카트리지 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 및 하단부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과,
    변위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서 상기 밀봉가능한 개구에 배치되고,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마개 부재로 밀봉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밀봉가능한 개구를 밀봉하도록 하는 변위가능한 부재와,
    환형 내측 벽을 가지며, 카트리지 장치의 종방향 축을 따라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환형 숄더와,
    상기 환형 숄더의 상기 내측 벽과 밀봉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 통로를 밀봉하도록 하며, 카트리지 장치의 격실의 하단 벽을 형성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상기 카트리지 장치를 통해 상기 종방향 축을 따른 2개의 위치, 즉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제 1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환형 숄더의 내측 벽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며, 제 2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내측 벽의 결합이 해제되어, 카트리지 장치 내측의 격실이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와 유동 소통되는
    카트리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동시에 제 2 시일을 제공하도록 조정되어 배치되는
    카트리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가 조립 장치와 결합되어 밀봉되도록 조정 및 배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내측 벽의 결합이 해제되어, 카트리지 장치 내측의 격실이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를 통해 조립 장치와 유동 소통되는
    카트리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장치는 컴포넌트를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유동 소통이 상기 카트리지 장치의 컴포넌트와 조립 장치의 컴포넌트를 혼합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유동 통로를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유동 통로를 향해 돌출되는
    카트리지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그 원주 둘레에 홈을 가진 스템(stem)을 구비하여 밀봉 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밀봉 릿지(sealing ridge)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2개의 밀봉 릿지를 구비하고, 첫 번째 릿지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환형 숄더의 상기 내측 벽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며, 두 번째 릿지로 동시에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조립 장치 사이에서 시일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2개의 홈을 구비하고 각각 밀봉 오링을 수납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홈은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환형 숄더의 상기 내측 벽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고, 두 번째 홈은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조립 장치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디스크이며, 밀봉 오링을 수납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가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의 충진 개구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고 있는 중공 마개 부재인
    카트리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마개 부재가 재료를 보유하도록 조정 및 구성되고 제거가능한 커 버에 의해 밀봉되는
    카트리지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2개의 밀봉 릿지를 포함하고, 첫 번째 릿지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환형 숄더의 상기 내측 벽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며, 두 번째 릿지로 동시에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중공 마개 부재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2개의 홈을 구비하며, 각각 밀봉 오링을 수납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홈으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환형 숄더의 상기 내측 벽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며, 두 번째 홈으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중공 마개 부재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가 디스크 마개 부재인
    카트리지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가 막인
    카트리지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가 반투명한
    카트리지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가 투명한
    카트리지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와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구조로 배치를 이루어 밀봉된 위치에서 밀봉 부재를 고정하여 보유하고 상기 유동 통로가 부주의하게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트리지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와 상기 원통형 하우징은 베어어닛 로크 연결(bayonet lock connection)에 의해 밀봉된 위치에서 밀봉 부재를 고정하여 보유하도록 조정 및 구성되는
    카트리지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조정가능한 부속 스커트를 구비하며, 상기 스커트가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를 운동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조정 및 구성되는
    카트리지 장치.
  23.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용 카트리지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을 가지며, 이것의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 카트리지 장치에서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환형 숄더, 및 이것의 하단부에서는 개구를 가지는 카트리지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하우징 내에 변위가능한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단계로서, 상기 카트리지 장치는 유동 통로를 밀봉하는 환형 숄더의 환형 내측 벽과 밀봉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 밀봉 부재를 가져서, 카트리지 장치에 격실을 형성하고,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운동가능하고, 제 1 위치에서 시일은 밀봉 부재와 환형 숄더의 내측 벽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위치에서, 밀봉 부재와 내측 벽의 결합이 해제되고, 카트리지 장치 내측의 격실이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방 단부와 유동 소통되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마개 부재로 밀봉가능한 상단부에서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를 가지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카트리지 장치내에 밀봉된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c) 재료를 카트리지 장치로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의 밀봉가능한 충진 개구를 통해 도입하는 단계와,
    (d) 밀봉 충진 개구를 밀봉시키는 밀봉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제조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단계와 밀봉 단계가 재료를 보유하는 중공 마개 부재로 충진 개구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제조 방법.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부주의하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변위 부재를 로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제조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베이어닛 로크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통로의 밀봉을 해제하도록 축방향으로 당겨서 격실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단 개구 사이에 유동 소통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장치 제조 방법.
  28. 복합 격실 용기 조립체에서 충진 개구를 구비한 변위가능한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장치에 사용되는 마개 부재에 있어서,
    변위가능한 부재의 충진 개구를 밀봉되게 결합하도록 조정 및 구성되는 중공 마개 부재를 포함하는
    마개 부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마개 부재는 도옴형 마개 부재인
    마개 부재.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는 반투명한
    마개 부재.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는 투명한
    마개 부재.
  32.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는 재료로 채워지고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커버에 의해 밀봉되는
    마개 부재.
  33. 제 2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는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의 충진 개구를 밀봉되게 결합하도록 조정 및 구성되는 목부분을 구비하는
    마개 부재.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분은 나사산를 구비하는
    마개 부재.
KR1020067020726A 2004-03-08 2005-03-07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 KR20070032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60784 2004-03-08
IL160784A IL160784A (en) 2004-03-08 2004-03-08 Cartridge unit for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PCT/IL2005/000265 WO2005084135A2 (en) 2004-03-08 2005-03-08 A cartridge unit for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632A true KR20070032632A (ko) 2007-03-22

Family

ID=3407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726A KR20070032632A (ko) 2004-03-08 2005-03-07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61854B2 (ko)
EP (1) EP1737754A4 (ko)
JP (1) JP2007527829A (ko)
KR (1) KR20070032632A (ko)
CN (1) CN1964895A (ko)
AU (1) AU2005220095A1 (ko)
CA (1) CA2558473C (ko)
IL (1) IL160784A (ko)
WO (1) WO20050841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7866B3 (de) * 2005-10-06 2007-03-29 Florian Enghard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Trinkbehälter
US9629782B2 (en) * 2006-06-08 2017-04-25 Lacy Enterprises, Inc. Quick mixing baby formula cylinder and system
CA2680080A1 (en) * 2007-03-07 2008-09-12 Florian Enghard Closure device with a supplement reservoir for a drinking container
IL185617A (en) * 2007-08-30 2013-09-30 Mlis Projects Ltd Multi-cell container system
US9016488B1 (en) * 2008-03-07 2015-04-28 Travis Peres Compartmentalized mixing bottle and associated use therefore
US8485359B2 (en) * 2008-07-07 2013-07-16 Blast Max Llc Seal absorbent pad-RFID-bar code device for a dosing cap
US20100044254A1 (en) * 2008-08-21 2010-02-25 Joseph Romeo Beverage mix dispensing closure
US8963720B2 (en) * 2010-05-11 2015-02-24 The Boeing Company RFID tag container
US8584840B2 (en) * 2011-01-03 2013-11-19 Ernest Kim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CN103832680A (zh) * 2014-03-25 2014-06-04 熊国富 饮料瓶调剂添加盖结构
DE102015107312A1 (de) * 2014-12-30 2016-06-30 Sfm Medical Devices Gmbh Misch- und oder Transfervorrichtung
US11242236B2 (en) 2015-03-19 2022-02-08 Phillip LaBarbera Perfect pour drink mixer
US9522771B2 (en) * 2015-04-30 2016-12-20 Fang Lin Yang Container for receiving two materials
SE541299C2 (en) * 2017-05-29 2019-06-18 Wallen Emma Mixing bottle with twist action valve
WO2019033142A1 (en) 2017-08-15 2019-02-21 Borody Thomas J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UTISM
US10414563B2 (en) * 2017-09-19 2019-09-17 Fang Lin Yang Sealing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ealing cap
EP3740729B1 (en) * 2018-01-16 2023-04-05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Dispensing ice bin with sliding sleeve metering device
US11155397B2 (en) * 2018-06-01 2021-10-26 In Spirit Group, Inc. Multi-compartment beverage bottle system and method
DE102019203858A1 (de) * 2019-03-21 2020-09-24 Henkel Ag & Co. Kgaa Verpackungssystem für zumindest eine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zur Handhabung der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DE102019203857A1 (de) * 2019-03-21 2020-09-24 Henkel Ag & Co. Kgaa Verpackungssystem für zumindest eine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zur Handhabung der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WO2020239834A2 (de) * 2019-05-27 2020-12-03 Rpc Bramlage G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US11279545B1 (en) * 2020-09-15 2022-03-22 Elc Management Llc Container-closu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384A (en) * 1956-03-12 1957-09-24 Lipari Michael Compartmental dispensing receptacle
JPH07223681A (ja) * 1994-02-09 1995-08-22 Kamaya Kagaku Kogyo Co Ltd 二剤混合容器
US5433328A (en) * 1994-05-17 1995-07-18 Baron; Moises S. Baby bottle extension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and release mechanism
DE19635833C2 (de) * 1996-09-04 1998-08-06 Henkel Kgaa Zwei-Komponenten-Behälter
DE19812153C2 (de) * 1998-03-20 2003-02-20 Wella Ag Behältnis
JP2000072185A (ja) * 1998-08-28 2000-03-07 Toto Ltd 二液混合容器
DE29818170U1 (de) * 1998-10-12 2000-02-17 Goldwell Gmbh Zweikammer-Verpackung
EP1414703B1 (en) 2001-08-06 2007-10-10 M.L.I.S. Projects Ltd.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JP2003164508A (ja) * 2001-12-03 2003-06-10 Taisei Kako Co Ltd 輸液容器
US6854595B2 (en) * 2002-07-15 2005-02-15 Danny Kiser Container closure containing a mix
US6959807B2 (en) 2002-11-12 2005-11-01 M.L.I.S. Projects Ltd.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US6945393B2 (en) * 2002-12-24 2005-09-20 Young Kook Cho Cap device for attachment to a container
US6935493B2 (en) * 2003-04-12 2005-08-30 Young Kook Cho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JP2007512194A (ja) * 2003-11-28 2007-05-17 ヤン−クーク チョ 容器
US20050205438A1 (en) * 2004-03-22 2005-09-22 Valentin Hierzer Container assembly for mixing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9839A1 (en) 2007-08-30
IL160784A0 (en) 2004-08-31
US7861854B2 (en) 2011-01-04
IL160784A (en) 2011-02-28
EP1737754A2 (en) 2007-01-03
AU2005220095A1 (en) 2005-09-15
CA2558473A1 (en) 2005-09-15
CA2558473C (en) 2009-08-11
CN1964895A (zh) 2007-05-16
WO2005084135A2 (en) 2005-09-15
JP2007527829A (ja) 2007-10-04
WO2005084135A3 (en) 2007-01-11
EP1737754A4 (en) 2009-07-15
WO2005084135A8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632A (ko)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
US7523822B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US8136660B2 (en) Multi compartment container system
US7484633B1 (en) Container system for the storage and mixing of stored ingredients
JP3561741B2 (ja) 二つ以上の画室を有する容器
US6113257A (en) Two-compartment container
JP6061921B2 (ja) 容器の内容物に添加物を導入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容器閉鎖具
AU2002324311A1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JP5810154B2 (ja) 粉末状サプリメントを分散させる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
ES2441614T3 (es) Tapón con cámara de almacenamiento para material secundario y producto con el mismo
US20080156763A1 (en) Baby formula travel bottle
CA2076773C (en) Drug container and dual container system for fluid therapy employing the same
BR0314493B1 (pt) Dispensador de fluido com câmara misturadora com movimento vaivém
JP2006290462A (ja) 少なくとも2種類の製品を即席接触させるための器具
US20120223100A1 (en) 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 in situ
US11141022B2 (en) Container unit comprising two containers
JP2003252362A (ja) 二剤混合滴下容器
GB2327408A (en) Dual compartment dispensing apparatus
KR100433076B1 (ko) 둘 이상의 격실을 가지는 용기
MXPA99005995A (en) Container having two or more compart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