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018A -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 Google Patents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018A
KR20070032018A KR1020077001211A KR20077001211A KR20070032018A KR 20070032018 A KR20070032018 A KR 20070032018A KR 1020077001211 A KR1020077001211 A KR 1020077001211A KR 20077001211 A KR20077001211 A KR 20077001211A KR 20070032018 A KR20070032018 A KR 20070032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etwork
primary
secondary content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엔 하. 요트. 브릴링크
게라르드 홀만스
바르텔 엠. 반 데 슬루이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to KR102007700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018A/ko
Publication of KR2007003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10)는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서빙 디바이스(30)와 적어도 하나의 렌더링 디바이스(50, 70)를 포함한다. 서빙 디바이스(30)는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이 이러한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2차 컨텐츠를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위해 네트워크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요구에 응답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다른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예컨대, 제어 포인트(CP)(20))는 주요한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에서 서빙 디바이스(30)와 렌더링 디바이스(50)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는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2차 컨텐츠가 이용가능하게될 때를 통보받는데 대한 관심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2차 컨텐츠를 수용하기 원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고, 어떤 디바이스(50, 70)가 2차 컨텐츠를 렌더링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ACCESS TO ASSOCIATED CONTEN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내에서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방송 컨텐츠는 종종 주요한 컨텐츠와 함께 주요한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추가 자료를 포함한다. 예로서, 스포츠 프로그램의 텔레비전 방송은 선수에 관한 한 페이지 분량의 흥미로운 통계 자료 형태로 추가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2차 또는 관련 컨텐츠로도 불리는 추가 컨텐츠는 방송 스트림이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같은 링크의 일부로서 전달될 수 있고, 관련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를 지칭하는 방송 스트림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관련된 컨텐츠가 URL을 사용하여 서버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컨텐츠는, 방송 스트림이 텔레비전 세트와 같은 수신 단말에 직접 전송될 때와, 수신 단말이 관련 자료의 프리젠테이션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가정 또는 국부 환경 내에서 고객 디바이스를 네트워크화하려는 요구가 더욱더 증가하고 있다. 방송 스트림이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가정에 입력될 때, 방송 스트림은 렌더링 디바이스(예컨대, TV 세트)에 직접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방송 스트림은 다른 컨텐츠가 또한 저장 디바이스 상에 내주해 있을 수 있는 서버에 종종 전송된다. 서버는 방송 스트림을 가정내 디지털 네트 워크를 통해 렌더링 디바이스에 보내기 전에 이러한 스트림의 일부 처리를 종종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화된 상황에서, 렌더링 디바이스에 전달된 스트림은 일부 컨텐츠 상호운용 표준과 부합해야 하며, 이러한 표준은 관련 컨텐츠나, 이러한 관련 컨텐츠에 대한 링크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어서, 이러한 컨텐츠를 제거하게 할 수 있다. 렌더링 디바이스로의 가정내 네트워크 스트림이 관련 컨텐츠를 보유하더라도, 렌더링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관련 컨텐츠를 전달하기 원하는 디바이스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화된 환경 내에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대안적인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디바이스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법은:
미디어 컨텐츠의 주요한 스트림을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미디어 컨텐츠의 주요한 스트림과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이 이들과 관련된 2차 컨텐츠를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대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2차 컨텐츠가 네트워크 내의 렌더링 디바이스에 전달/처리하는 동안 주요한 컨텐츠로부터 제거되더라도, 제어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디바이스가 이러한 2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할 때를 결정하게 한다. 이로 인해, 또한 주요한 컨텐츠의 정상 전달 체인(chain)의 일부분이 아닐 수 있는 또 다른 디바이스가 2차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고, 2차 컨텐츠의 렌더링 디바이스로의 전달을 위한 연결을 구축하게 한다. 이러한 전달 체인은 가정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주요한 컨텐츠가 갖는 경로이다.
용어, 2차 컨텐츠는 실제 컨텐츠나, 2차 컨텐츠가 저장되는 위치를 지칭하는 URL/URI와 같은 링크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 네트워크로서,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서빙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렌더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법은:
서빙 디바이스로부터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2차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서빙 디바이스와 렌더링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주요한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서빙 디바이스와 렌더링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거나, 주요한 컨텐츠의 전달 체인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2차 컨텐츠를 수용하기 원하는지를 선택하고 및 2차 컨텐츠가 제공되길 원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명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스팅하거나 이에 연결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주요한 컨텐츠를 위해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는 프로세스 동안 2차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거나, 2차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통지받는데 대한 관심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구별된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및 적절히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프로세서가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가 장비의 수명 동안에 임의의 시점에 호스트 컴퓨터 상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전자 메모리 디바이스,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기계-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기계-판독 가능한 캐리어 상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전달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호스트 장치에 직접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은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는 제어 디바이스 및 미디어 서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그러한 네트워크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미디어 서버를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하나의 하드웨어 구현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가정 내에서 예컨대 존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네트워크(1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는 공유 매체(15)를 통해 함께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간의 이러한 연결은 유선 근거리 네트워크(LAN) 프로토콜을 사용한 유선 연결이거나, IEEE802.11, HiperLAN/2 또는 BluetoothTM과 같은 무선 근거리 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기술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 및 아키텍쳐로 제한되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UPnP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UPnP는 다른 제조자들에 의해 생산된 전자 디바이스가 서로 동작하게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UPnP는 새로운 디바이스의 자동 발견을 갖는 제로-구성, "인비저블(invisible)" 네트워킹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동적으로 연합하고, IP 주소를 얻으며, 그 성능을 전달하며 다른 디바이스의 존재와 성능을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UPnP의 추가적인 개발은 오디오-비주얼 디바이스와 관련된 UPnP 아키텍쳐의 확장을 기술하는 UPnP 오디오-비주얼(AV) 아키텍쳐이다. UPnP AV 아키텍쳐는 미디어 서버, 미디어 렌더러 및 제어 포인트를 한정한다. UPnP 아키텍쳐에 대한 정보는 http://www.upnp.org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채널과 같은 방송 컨텐츠를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MS)(30)를 포함한다. 방송 컨텐츠는 소스(135)로부터 유래하고, 디지털 비디오 방송-위성(DVB-S) 또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지상파(DVB-T) 송신 네트워크와 같은 송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송신된다. 미디어 서버(30)는 컨텐츠를 수신하고(31), 컨텐츠를 처리하며, 컨텐츠가 가정 네트워크(10)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하게 한다. 방송 컨텐츠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의 주요한 스트림과, 2차 즉 '관련' 컨텐츠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에, 관련 컨텐츠( 또는 컨텐츠로의 링크)는 수직귀선소거구간(VBI)에서 전달될 수 있는 반면, 디지털 방송에 대해, 관련 컨텐츠( 또는 이러한 컨텐츠로의 링크)는 전송 스트림의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된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 컨텐츠는 MPEG-2 전송 스트림 내에서 네트워크(130)에 걸쳐 전달될 수 있는 반면, MS(30)로부터 미디어 렌더러(MR)(50)로 MPEG-2 기본 스트림으로서 전송되거나 심지어 AVI-파일의 HTTP-전송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텐츠는 MS(30)에서 MPEG-2로부터 MPEG-4로 트랜스코드될 수 있다. 이것은 주요한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관련 컨텐츠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관련된 컨텐츠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예컨대, 스포츠 프로그램 동안의 관심있는 통계치, 광고 제품에 대한 정 보, 라디오 방송 동안의 가사 및 앨범과 같은 TV 프로그램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와;
- 예컨대 방송국이나 프로그램 제공자의 웹 사이트에 대한 URL이나, 광고 동안의 광고중인 제품을 비축하고 있는 소매상의 온라인 샵과 같이, 사용자가 좀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거나 온라인 구매를 할 수 있는 URL과;
- 추가적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예컨대, 스포츠 프로그램이나 콘서트 동안의 대안적인 카메라 각).
네트워크(10)는 오디오 트랙, 비디오 클립, 영화 및 디지털 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국부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M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MR)(50, 70)는 사용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해 방송 컨텐츠나, 국부적으로 저장된 컨텐츠 항목을 렌더링한다. 웹 브라우저(90)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100)에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모뎀과 같은 게이트웨어 디바이스(95)를 통해 연결된다. 브라우저(90)는 데이터를 원격 저장부(105)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원격 제어부)(21)는 제어 포인트(20)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사용자가 네트워크(10) 내에 국부적으로 저장된 컨텐츠나 MS(30)에서 수신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시청하게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제어 포인트(20)는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항목을 선택하게 하고, 어떠한 디바이스(50, 70)가 네트워크(10) 내에서 그러한 컨텐츠 항목(스트림)을 렌더링하는지를 선택하게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간단한 키패드일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와 결합될 수 있는 접촉-감응성 스크린과 같은 좀더 복잡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어 포인트(20)는 네트워크(10) 내에서 새로운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한 종래의 UPnP 메커니즘을 지원하고 또한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50, 70)의 성능을 찾고 미디어 서버(30)와 미디어 렌더러(50, 70)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UPnP AV 아키텍쳐는 광범위한 AV 디바이스 및 컨텐츠에 대한 다른 타입의 포맷을 지원한다.
비록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30, 40), 미디어 렌더러 디바이스(50, 70) 및 제어 포인트 디바이스(20)가 별도의 개체로서 도시될지라도, 이들 중 둘 이상은 잘 이해될 방식으로 하나의 물리적인 디바이스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가 주요한 컨텐츠 및 관련 컨텐츠에 액세스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을 도시한다. 도 2는 또한 미디어 서버(30)와 미디어 렌더러(50)의 메인 기능 유닛을 도시한다. 미디어 서버(MS)(30)는 저장부(34)에 저장된 컨텐츠의 디렉토리를 보관하고 있는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36)를 지원한다. 방송 스트림은, 다른 저장된 컨텐츠처럼, CDS 내의 컨텐츠 항목 개체로서 나타난다.
미디어 서버(30)의 추가적인 기능은 미디어 서버(30)와 미디어 렌더러(50, 70)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관리자 서비스(32)이다. 선택적인 AV 전송 서비스(33)는 정지, 일시정지, 찾기(seek) 등과 같은 특성을 통해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게 한다. 이들은 UPnP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의 모든 알려진 기능이며, 추가로 기술될 필요가 없다.
제 1 미디어 렌더러(MR)(50)는 미디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 를 렌더링(재생)한다. 재생 장비(52)는, 비록 출력이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을지라도, 디스플레이(53)와 스피커(54)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재생 장비(52)는 증폭기와 같이 출력단과 함께 (MP3 오디오 디코더 및 MPEG2 비디오 디코더와 같이) 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코더와,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54)와, 비주얼 출력을 표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3)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증폭기를 포함한다. 미디어 렌더러(MR)(50)는 또한 미디어 서버와 새로운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연결 관리자 서비스(55)와, 컨텐츠가 렌더링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렌더 제어(51)와, 선택적 AV 전송 서비스(56)를 또한 지원한다. 오디오 재생을 위해, 이것은 볼륨 제어와 같은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미디어 렌더러(MR)(70)는, 비록 이것이 미디어 렌더러(50)와 동일할 필요가 없을지라도, 예컨대 단지 비주얼 출력만을 제공할 수 있을지라도, 미디어 렌더러(50)와 동일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도록 또한 도시된다.
도 2에서, 제어 포인트(20)는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에 대한 연결을 설정한다. 이것은 CP(20)와 MS(30) 사이의 신호 흐름(201)과, CP(20)와 MR(50) 사이의 신호 흐름(202)에 의해 달성되며, 결국 주요한 컨텐츠 데이터 스트림이 MS(30)로부터 MR(50)로 전달된다. 주요한 컨텐츠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해 MR(50)에 의해 정상 방식으로 렌더링된다.
미디어 서버(MR)(30)는 관련 컨텐츠 서비스(ACS)(35)로 불리는 추가적인(UPnP) 서비스를 호스팅하며, 이러한 서비스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관련 컨텐츠나 관련 컨텐츠로의 링크에 액세스하게 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 는 하나의 방식은 주요한 컨텐츠의 미디어 렌더러(MR)의 식별자와, 스트림/연결 ID와, 관련 컨텐츠의 존재를 지시하는 플래그와, 관련 컨텐츠에 대한 링크 및 기타 다른 유익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를 저장하는 것이다.
MS(30)와 MR(50)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는 동안, 제어 포인트(CP)(20)는 정상 UPnP 발견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MS(30)에 의해 지원되는 관련 컨텐츠 서비스(ACS)를 찾게 할 것이다. 디바이스(예컨대, MS(30))는 UDP 메시지를 방송하고, 네트워크 상에서의 그 존재를 발표한다.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CP(20))는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내부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MS(30))에 접촉하고 표준화된 UPnP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서비스를 요구한다. 제어 포인트(CP)(20)는 관련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이를 위해, ACS(35)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할 것이다:
getAssociatedContent(ConnectionID)
이예에서, ConnectionID는 관련 컨텐츠가 요구되는 주요한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렌더러의 식별자는 (주요한 렌더러로 불릴) 주요한 스트림이 제어 포인트(2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기능은, 만약 어떠한 관련된 컨텐츠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어떤 것도 반환하지 않거나, 관련 컨텐츠를 지칭하는 하나 이상의 URL이나 URI를 반환할 수 있다.
관련된 자료가 주요한 컨텐츠로서 동일한 방송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면, 관련된 자료는 미디어 서버(30) 상의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36) 내에서 추가적인 컨텐츠 항목으로서 노출될 것이며, 관련 컨텐츠 서비스(35)로부터 검색되는 링크가 이 컨텐츠를 지칭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관련된 컨텐츠가 외부 소스로부터 검색되어야 한다면, 관련 컨텐츠 서비스(35)로부터 검색된 링크가 관련 컨텐츠를 지칭하는 URL일 것이며, 표준 인터넷 메커니즘이 컨텐츠를 검색(및 렌더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P(20)는 관련된 컨텐츠가 존재함을 결정할 때, 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관련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원하는지를 명시하게 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관련된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원하는 곳을 묻게 한다. 이 후, CP는 미디어 서버(30)와 제 2(예컨대 선택된 사용자) 미디어 렌더러(70) 사이에 관련 컨텐츠 스트림(212)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수 있어서, ACS 및 기존의 UPnP-AV 메커니즘으로부터 신호(203)와 같은 정보(링크)를 사용하여 관련 컨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미디어 서버(MS)(30)에 의해 지원된 관련 컨텐츠 서비스(ACS)(35)를 도시한다. 데이터베이스(45)는 연결 ID와, 주요한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미디어 렌더링(MR) 디바이스의 식별자와, 주요한 컨텐츠와 현재 관련된 컨텐츠가 있는지에 대한 지시와, 관련 컨텐츠에 대한 URL/URI(만약 있다면)를 포함하는, 전술된 바와 같은 표(43)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45)는 미디어 서버(30)로 새로 입력된 데이터스트림과 관련 컨텐츠의 존재에 대한 정보와 같이 업데이트(47)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46)를 통해 액세스된다(44). URL은, 다른 광고가 텔레비전 채널을 표시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주요한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고 있을 때와 같이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 도중에 다수회 업데이트될 수 있다. 요구(48)는 네트워크(10)내의 디 바이스로부터 수신되고, 데이터베이스(45)로부터 얻은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49)이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게다가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후술될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45)는 또한 이를 등록한 디바이스 목록(41)과, 디바이스가 통지받기 원하는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또한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통보받기 원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구를 전달하며; 이것은 디바이스가 관련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원하는 렌더링 디바이스(50, 70)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된 이벤트 정보와 매칭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등록된 디바이스가 통보받는다(49).
상술된 설명은, 관련 컨텐츠의 존재가 주요한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연결을 구축할 시기에 알려져야 한다고 가정한다. 관련 컨텐츠는, 주요한 컨텐츠에 대한 연결이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렌더러 사이에 이미 구축된 이후 때때로만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환경 하에서 관련 컨텐츠를 다루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관련 컨텐츠의 전달에 대한 연결이 주요한 컨텐츠의 전달에 대한 연결 직후 셋업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련 컨텐츠가 미리 한정된 연결에 따라 이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전달된다. 둘째,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는 관련 컨텐츠 서비스(ACS)의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고, 2차 컨텐츠의 도착을 알리는 이벤트에 가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예컨대 CP(20))가 관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할 때 이러한 컨텐츠에 대한 연결을 셋업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관련 컨텐츠가 웹 브라우저(90)에 의해 검색되어야 하는 컨텐츠를 지칭하는 URL인 경우에 응 용 가능하다. 제어 포인트(20)와, 미디어 서버(MS)(30)와, 미디어 렌더러(50)와, 웹 브라우저(90)가 도시된다. 도 2에서처럼, 제어 포인트(20)는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을 위한 연결을 셋업한다. 이것은 CP(20)와 MS(30) 사이의 신호 흐름(301)과, CP(20)와 MR(50) 사이의 신호 흐름(302)에 의해 달성되며, 결국 주요한 컨텐츠 데이트스트림이 MS(30)에서 MR(50)로 전달되게 된다(311). 주요한 컨텐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해 렌더링된다. 전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포인트(20)는 관련 컨텐츠가 주요한 컨텐츠를 위한 연결(311)을 구축할 시(301)에 이용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관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하다면, 이것은 메시지(303)를 CP(20)로부터 관련 컨텐츠를 지칭하는 URL을 갖는 웹 브라우저(90)로 전달함으로써, 또는 MS(30)가 메시지(304)를 URL을 갖는 웹 브라우저(90)에 전달하게 함으로써, 웹 브라우저(90)에 알려질 수 있다. URL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웹 브라우저(90)는 외부 저장부(105)로부터 네트워크(100)를 통해 컨텐츠를 검색한다(315). URL은 방송국이나 프로그램 제공자, 온라인 가계의 홈페이지나,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311)에 의해 전달되고 있는 것에 관련된 정보의 특정한 페이지를 지칭할 수 있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제어 포인트(20)는 관련 컨텐츠( 또는 이를 지칭하는 URL)의 배포를 제어하지 않는다. 대신, 웹 브라우저(90)는 미디어 서버(MS)(30)에 의해 지원된 ACS(35)를 '모니터'하며, 무엇이든 간에 관련 컨텐츠가 네트워크(10) 내의 특정한 미디어 렌더러 사의 주요한 컨텐츠를 지원하는데 이용 가능함을 렌더링하도록 사전행동적으로(pro-actively) 제공한다. 예컨대, 웹 브라우저(90)는 MR(50)을 위한 임의의 관련 컨텐츠를 렌더링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브라우저 디바이스(90)는 표준 UPnP 발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미디어 렌더러(MR)(50)와 미디어 서버(MS)(30)를 발견할 수 있고, MS(30) 상의 관련 컨텐츠 서비스(ACS)를 사용하여 관련 컨텐츠의 URL을 검색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MS(30)의 ACS를 호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getAssociatedContent(DeviceID)
여기서, 'DeviceID'는 렌더링 디바이스(MR(50))의 ID이다. 대안적으로, 웹 브라우저(90)는 관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하게 되고 있는 이벤트에 가입할 수 있다. MS(30)에서의 ACS는 관심있는 디바이스 목록과, 통보받는데 관심있는 이벤트(들)의 상세사항을 보유하고, 그 이벤트가 발생할 때 모든 가입된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발급한다. 웹 브라우저(90)의 ID는 목록(41) 내에 저장되며(도 3), 이때 가입된 이벤트가 렌더링 디바이스(50)에 대한 관련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이다. 전술된 예에서, ACS는 MR(50)에 전달된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 메시지를 웹 브라우저(90)에 발급할 것이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제어 포인트(CP)로 또한 동작할 수 있고,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연결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는 미디어 렌더링(또는 웹 브라우징 기능)으로의 스트림을 셋업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각각 제어 포인트(CP) 기능을 구현하는 두 개의 디바이스가 있을 것이며, 이때 예컨대 제 1 CP(20)는 MS(30)와 MR(50) 사이에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을 위한 연결을 셋업하며, 제 2 CP(20)는 MS(30)와 추가적인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MR(70))나 웹 브라우저(90) 사이에 연 결을 셋업한다.
관련 컨텐츠가 별도의 물리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주요한 렌더러에 렌더링되고,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 컨텐츠 모두가 공통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 내의 화상에 의해서와 같이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다는 점이 필수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예에서, 주요한 렌더러(50)는 관련 컨텐츠의 존재에 대해 인지할 필요가 없으며, 그리하여 MS(30)에서 관련 컨텐츠의 제거는 관련 컨텐츠의 렌더링을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을 구축하는 네트워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방송 컨텐츠는 지상파나 위성 송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로 제한되지 않으며,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를 거쳐 방송되거나 멀티캐스트되는 컨텐츠가 또한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추후 재생을 위해 (예컨대 네트워크 내의 미디어 서버 디바이스(30, 40)에 의해) 저장된 방송 컨텐츠와,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를 통해 배포된 컨텐츠와 같은 방송 소스로부터 유래하지 않은 컨텐츠에 응용될 수 있다.
제어 포인트(20)와, 미디어 서버(30)와,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50, 70)는 범용 PC나 전용 처리 유닛과 같은 다양한 처리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호스팅하기 위한 플랫폼(400)의 하드웨어 구현을 도시한다. 중앙 처리 유닛(40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술된 기능 및 방법을 지원한다. 비휘발성 메모리(402)와 휘발성 메모리(403)는 중앙 처리 유닛(401)에 의해 사용되는 운영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미디어 서버(30)를 위 해, 수신기 프런트-엔드(406)는 네트워크(130)에 연결된다. 제어 메시지와 주요한/관련 컨텐츠가 국부 네트워크 연결(415)에 의해 디바이스 사이에 전달되며, 연결(415)은 유선 기술(412) 및/또는 무선 기술(411)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하드웨어는 근거리 네트워크 카드와 무선 모뎀과 같은 특정한 근거리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나 타블렛(tablet)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410)에 의해 플랫폼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입력은 플랫폼 내에서 국부적으로 네트워크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출력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와 오디오 카드와 같은 재생 장비(52)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고, 디스플레이(53)와 라우드스피커(54)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버스(405)와, 다른 타입의 버스의 조합이 상기 유닛을 연결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하며,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에서, 괄호 내의 임의의 참조번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단어 "포함하는"은 청구항에 개재된 요소나 단계이외의 다른 요소나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시스템/디바이스/장치 청구항이 여러 수단을 열거하는 경우, 이들 수단 중 여러 개가 하드웨어의 동일한 항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서빙 디바이스(30)와 적어도 하나의 렌더링 디바이스(50, 70)를 포함하는 미디어 네트워크(10)가 기술되어 있다. 서빙 디바이스(30)는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이 관련된 2차 컨텐츠를 갖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저장된 정보를 위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요구에 응답한다. 디바이스(예컨대, 제어 포인트(CP(20))는 주요한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서빙 디바이스(30)와 렌더링 디바이스(50)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는 프로세서의 일부로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2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를 통보받는데 대한 관심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2차 컨텐츠를 수용하기 원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어떤 디바이스(50, 70)가 2차 컨텐츠를 렌더링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 내에서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에 이용된다.

Claims (26)

  1. 디바이스 네트워크(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미디어 컨텐츠의 주요한 스트림을 컨텐츠 소스(135)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요한 스트림과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이 이들과 관련된 2차 컨텐츠를 갖는지에 대한 정보(43)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43)에 대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48)에 응답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20)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2차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통보받기 원하는,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등록된 디바이스의 목록(41)을 유지하는 단계와;
    2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를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구는 주요한 컨텐츠가 전달되고 있는,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디바이스는 상기 등록 요구에서 식별된 디바이스에 전달되고 있는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만 통보받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에서 서빙 디바이스와 렌더링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디바이스(20)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음을 제어 디바이스(20)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로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연결을 구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2차 컨텐츠가 전달될 디바이스의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컨텐츠는 상기 주요한 컨텐츠가 전 달될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9.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 네트워크로서,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서빙 디바이스(30)와 적어도 하나의 렌더링 디바이스(50, 7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빙 디바이스(30)로부터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서빙 디바이스(30)와 렌더링 디바이스(70) 사이에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컨텐츠가 전달될 상기 렌더링 디바이스의 ID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디바이스의 I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기 위해 가능한 렌더링 디바이스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1)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컨텐츠에 대한 관심을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서빙 디바이스(30)에 등록 요구를 전달하는 단계와, 2차 컨텐츠가 이용 가능하게될 때에 대한 통지를 상기 서빙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구는 주요한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렌더링 디바이스(50)를 식별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빙 디바이스(30)와 렌더링 디바이스(50)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의 일부로서 실시되는, 제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2차 컨텐츠를 수용하기 원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결을 구축하는 상기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2차 컨텐츠를 수용하기 원하는 경우에만 실시되는, 방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10)는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PnP: 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인,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컨텐츠는 렌더링 디바이스가 상기 2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저장 위치(105)를 식별케 하는 주소인,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한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인, 방법.
  20. 프로세서가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게 하는 명령어.
  21. 제 20항에 기재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22. 디바이스 네트워크(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30)로서,
    미디어 컨텐츠의 주요한 스트림을 컨텐츠 소스(135)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요한 스트림과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주요한 컨텐츠 스트림이 이들과 관련된 2차 컨텐츠를 갖는지에 대한 정보(43)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43)에 대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48)에 응답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 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
  23. 제 22항에 있어서,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도록 더 동작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빙 디바이스.
  24.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 네트워크(10)로서, 주요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서빙 디바이스(30)와 적어도 하나의 렌더링 디바이스(50, 7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20)로서,
    상기 서빙 디바이스(30)로부터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주요한 컨텐츠와 관련된 2차 컨텐츠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컨텐츠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서빙 디바이스(30)와 렌더링 디바이스(70) 사이에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25. 제 24항에 있어서,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도록 더 동작하는, 제어 디바이스.
  26.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기재된 미디어 서빙 디바이스나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기재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 네트워크.
KR1020077001211A 2004-07-22 2007-01-17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KR20070032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211A KR20070032018A (ko) 2004-07-22 2007-01-17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16342.4 2004-07-22
KR1020077001211A KR20070032018A (ko) 2004-07-22 2007-01-17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18A true KR20070032018A (ko) 2007-03-20

Family

ID=4365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211A KR20070032018A (ko) 2004-07-22 2007-01-17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511A2 (en) * 2007-08-21 200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content in mobile broadcast service
KR101304059B1 (ko) * 2008-11-11 2013-09-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인터랙티브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812937B2 (en) 2008-12-11 2020-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contextually relevant cont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511A2 (en) * 2007-08-21 200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content in mobile broadcast service
WO2009025511A3 (en) * 2007-08-21 200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content in mobile broadcast service
US8661150B2 (en) 2007-08-21 2014-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multi-content in mobile broadcast service
KR101304059B1 (ko) * 2008-11-11 2013-09-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인터랙티브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898693B2 (en) 2008-11-11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ements
US10812937B2 (en) 2008-12-11 2020-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contextually relevant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1743A1 (en) Access to Associated Content
US202003962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
US7574723B2 (en) Home media network
US820077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network of distributed stations, and network station
US20080209487A1 (en) Remote control for video media servers
CA2949460C (en) Companion device
JP2006509417A (ja) コンテンツを処理するときにコンテンツの等価性を検討する方法
US92260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related A/V content
WO2018034172A1 (ja) 情報処理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CA2960118A1 (en) System with a companion device and a primary device
JPWO2018079295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498476B2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50132366A1 (en) Creating virtual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KR20070032018A (ko)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CN102656893B (zh) 直播媒体流的时移
US201102387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using multiple devices
US20120167155A1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multimedia service
US200801042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a message over a home network
KR100747296B1 (ko) 홈 네트워크에서 텍스트 스트림 재생 방법
US20060212896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00085605A (ko)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 시스템, 원격 주문/결제 시스템 및원격 장애 복구 방법
KR20100007671U (ko)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