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010A -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 Google Patents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010A
KR20070032010A KR1020077000802A KR20077000802A KR20070032010A KR 20070032010 A KR20070032010 A KR 20070032010A KR 1020077000802 A KR1020077000802 A KR 1020077000802A KR 20077000802 A KR20077000802 A KR 20077000802A KR 20070032010 A KR20070032010 A KR 20070032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using section
housing
corrugated pip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른스트 슈바르츠
Original Assignee
페엠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엠아 아게 filed Critical 페엠아 아게
Priority to KR102007700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010A/ko
Publication of KR2007003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2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콤포넌트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 2개의 하우징 섹션들로 만들어진 접속 피스(1)에 관한 것이다. 제 1 하우징 섹션(32)은 경질(hard)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제 2 하우징 섹션(34)은 연성의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제 2 하우징 섹션(34)은 접속 피스(1)에서의 입구 개구부(5)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입구 개구부를 통해 파형관의 일 단부가 접속 피스(1) 내로 삽입된다. 제 2 하우징 섹션(34)은 그 안쪽에 밀봉 요소(38)들을 구비하며, 이 밀봉 요소들은 파형관을 밀봉한다. 제 1 하우징 섹션(32)에는 리테이너 요소(22)들과 함께 탄력 있는 케이싱 세그먼트(20)들이 배치되며, 상기 리테이너 요소(22)들은 파형관의 케이싱과 맞물린다.

Description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CONNECTOR AND ADAPTER PIECE FOR CORRUGATED PIPES}
본 발명은, 코어 중공 공간 및 파형관의 수용 및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입구 개구부를 구비하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 하우징, 연결 플랜지 및 연결부를 갖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건축 산업에서 전기 전도체 및 광전도체를 부설하고 보호하려고 할 때 또는 기계나 다른 기기들을 이을 때 사용되는 파형관, 또는 파형 호스는 유연한(flexible) 요소들이다. 특히 흔한 적용 분야는 차량 산업에서 유연한 보호 및 가이드 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파형관은 대부분의 경우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나 금속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파형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그리고 기기, 기계 또는 장치에 상기 파형관을 잇기 위해, 연결 및 접속 피스가 필요하다. 이 연결 및 접속 피스는 예를 들어 피팅(fitting) 또는 스크류 인 노즐로도 명칭된다.
이 방식의 연결 및 접속 피스 또는 연결 피팅은 여러 가지 실시형태들로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CH 645 448 에는 예를 들어 유연한 파형 호스를 위한 연결 피팅이 기재되어 있다. 이 연결 피팅은 코어 중공 공간을 가진 하우징을 구비하며, 파형 호스 또는 파형관의 단부는 상기 코어 중공 공간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코어 중공 공간에 대향한 하우징의 단부에는 연결부가 스크류 소켓의 형태로 배치되고, 이 스크류 소켓의 후방 단부에서 하우징은 연결 플랜지를 구비한다. 이 스크류 소켓은 하우징의 벽에서 나사산 보어 안으로 돌려 끼움에 의해 피팅을 하우징과 연결하는데 쓰이거나 또는 상기 스크류 소켓은 보어를 통과하여 꽂히고 안쪽에서 너트와 함께 단단히 조이는데 쓰인다. 피팅의 하우징은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파형관의 단부와 하우징에서 코어 중공 공간의 케이싱 사이에는 밀봉 슬리브가 삽입된다. 이 밀봉 슬리브는 연결 장소를 통한 액체 및 다른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한다. 이 밀봉 요소는 조립 전에 피팅 하우징의 코어 중공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파형관의 단부를 통해 밀어 넣어지고, 그런 후 파형관와 피팅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밀봉 요소가 잃어버려지거나 또는 피팅으로 파이프 단부를 부적절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밀봉 요소가 변형되는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그 작용이 침해된다. 피팅 하우징에서 파형관의 확정과 안정은 차단 요소에 의해 행해지며, 이 차단 요소는 종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에 삽입된다. 이 차단 요소도 잃어버려지거나 또는 부족한 조립시 다시 빠질 수 있다. 게다가, 차단 요소는 파이프 단부가 피팅으로 정지부까지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도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밀봉 요소는 맞물려 있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맞물려 있고, 연결은 부적절하게 밀봉된다. 조립시 다수의 개별 부품들의 결합은 정확히 행해져야 하며, 이로 인해 일종의 조립 비용이 발생한다. 이 예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는 큰 뽑힘력(pull-out force)에 노출되는 파형관과의 연결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GB 2 107 814 로부터는 파형관용 연결 피팅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공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연결 피팅과 파형관은 탄력성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그러므로 둘 다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연결 피팅 안에는 코어 중공 공간이 마련되고, 이 코어 중공 공간의 케이싱면에는 둘러싸는 리브(rib)들이 배치되며, 이 리브들은 파형관의 표면에서의 리브들과 일치한다. 파형관 단부와 연결 피팅의 연결에 의해 케이싱면들에서의 상기 리브들은 서로 맞물리고, 파형관의 단부는 재료의 탄력성으로 인해 연결 피팅의 코어 중공 공간에 유지되며 동시에 밀봉된다. 이 연결은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종방향으로 적은 뽑힘력만을 수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은 적게 부하를 받는 연결을 위해서만 적합하다. 게다가, 파형관이 방향 전환할 때 또는 꺾어질 때 연결의 영역에서 연결 피팅이 변형되며, 이로 인해 파형관 표면과 코어 중공 공간의 사이에 개구들이 생기는 위험이 있다. 상기 개구들은 밀봉 효과를 없앤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을 밀봉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한 추가 요소들이 필요하지 않고, 큰 뽑힘력에서도 파이프 단부를 종방향으로 안전하게 꽉 잡으며, 연결의 영역들에서 파형관이 방향 전환을 하거나 꺾어질 때도 파이프 단부와 하우징 사이의 밀봉이 사라지지 않고,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파이프 단부에서도 밀봉 효과가 보장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 밖의 형태는 종속항들의 특징에 의해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는 2개의 하우징 섹션들을 구비한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하우징 섹션들은 투콤포넌트(two-component)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일체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형태는, 여러 가지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고, 하우징 또는 양 하우징 섹션들의 개별 영역들이 여러 가지 기술적인 요구에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 1 하우징 섹션은 연결 플랜지와 함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단단한 하우징 섹션을 형성한다. 본질적으로 파형관을 위한 입구 개구부를 향하고 있는 제 2 하우징 섹션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탄력성 있는 하우징 섹션을 형성한다. 제 2 하우징 섹션은 탄력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한편으론 하우징의 부분 영역들의 탄력성 있는 또는 탄력 있는 빗나감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론 제 2 하우징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밀봉 요소들과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요소들은 코어 중공 공간을 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는 제 1 하우징 섹션과 함께 큰 힘들을 수용할 수 있고, 접속 피스에 원하는 강도를 부여한다. 제 2 하우징 섹션과 함께, 동시에 제 2 하우징 섹션 또는 제 1 하우징 섹션의 부분 영역들의 탄력성 있는 또는 탄력 있는 빗나감이 가능해지고, 하우징과 파형관의 단부 사이의 원하는 밀봉이 달성된다. 제 2 하우징 섹션과 맞물리는 제 1 하우징 섹션에서의 추가 요소들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을 위한 보강 리브들을 형성한다. 이 추가 부품들의 여러 가지 형태에 의해 제 2 하우징 섹션의 유연성 또는 강성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팅과 함께 높은 강도뿐만 아니라 높은 밀봉 효과에 도달하기 위해 느슨한(loose) 추가 요소들이 필요하지 않다. 밀봉 요소들은 코어 중공 공간 안으로 입구 개구부 바로 다음에 배치되기 때문에, 파이프 단부와 피팅 사이의 연결은 파이프 단부가 코어 중공 공간 안으로 아직 완전히 밀어 넣어지지 않아도 이미 밀봉된다.
본 발명의 대상의 바람직한 형성에 따르면, 제 1 하우징 섹션에는 종축선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2개의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들이 배치된다. 이 케이싱 세그먼트들은 그 자유단에 리테이너 요소를 구비하며, 이 리테이너 요소는 종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향하며, 상기 리테이너 요소의 내부 영역은 코어 중공 공간 내로 돌출한다. 리테이너 요소와 함께 상기 케이싱 세그먼트들은 코어 중공 공간으로 밀어 넣어진 파이프 단부를 위한 고정 요소로서 쓰인다. 코어 중공 공간 안으로 돌출하는 단부 영역들은 파형관의 케이싱에서의 파형골들과 맞물리고, 이로 인해 파형관과 접속 피스 사이의 연결의 뽑힘 저항력이 높아진다.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하우징 섹션의 탄력성 있는 플라스틱에 의해 에워싸이며, 그러므로 케이싱 세그먼트들의 단부 영역들은 하우징 종축선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즉 방사상 탄력 있게 움직여질 수 있다. 움직일 수 있는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들은 제 2 하우징 섹션의 탄력성 있는 재료와 완전히, 그리고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는 개구부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케이싱 세그먼트들의 영역들에서 하우징은 완전히 밀봉된다. 파형관에 작용하는 뽑힘력에 대항하는 특히 높은 강도는,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들의 자유단들이 종축선의 방향으로 제 1 하우징 섹션의 연결 플랜지를 향하여 정렬되면 달성된다. 이 배치에서 파형관의 단부는 쉽게 하우징의 코어 중공 공간 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하지만 뽑아내기는 큰 힘의 작용하에서만 가능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형성에 따르면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들의 자유단들에는 그립핑 요소들이 배치되며, 이 그립핑 요소들은 바깥으로 향한다. 상기 그립핑 요소들은, 도움 공구들과 붙잡고 상기 공구들을 도움으로 케이싱 세그먼트들이 방사상 바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리테이너 요소들은 파형관으로부터 밀어내질 수 있다. 이는 감소한 뽑힘력을 갖고 파형관과 접속 피스를 분리하도록 하며, 요구에 따라 연결의 쉬워진 분해를 가능케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를 향한 연결 플랜지의 방사상 면에서 제 2 하우징 섹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밀봉링을 사출한다. 이 밀봉링은 나사연결에서 필요한 것과 같이 추가로 삽입되어야 하는 밀봉 요소를 대체한다. 이 형태에서 밀봉링은 마찬가지로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된다. 연결 플랜지는 제 1 하우징 섹션에서 축선방향 브리치(breach)들을 구비하고, 이 브리치들은 투콤포넌트 방법에서 하우징의 사출시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채워질 때 특별한 장점들이 생긴다. 이로 인해 밀봉링과 제 2 하우징 섹션은 서로 연결되며, 모든 요소들은 일체의(one-piece) 하우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대상의 목적에 부합한 형태에 따르면, 제 1 하우징 섹션을 위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아미드(PA) 그룹으로부터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거나 폴리프로필렌(PP) 그룹으로부터의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이 재료들은 높은 강도와 질김을 구비하며 연결 및 접속 피스의 사용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제 2 하우징 섹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을 위해서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E-U) 또는 올레핀 엘라스토머(TPE-O) 또는 아미드 엘라스토머(TPE-A) 그룹으로부터의 플라스틱이나 또는 교차 결합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X)가 특히 목적에 부합한 것으로 밝혀 졌다. 이 재료들은 투콤포넌트 사출 성형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하우징 섹션의 재료들과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 방법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요소들을 가진 영역을 제 2 하우징 섹션에서 코어 중공 공간의 입구 개구부와 제 1 하우징 섹션의 케이싱 세그먼트들에서의 방사상 리테이너 요소들 사이에 배치한다. 상기 밀봉 요소들은 코어 중공 공간의 전체 둘레 주위에 배치되고, 폐쇄된 방사상 밀봉 요소들을 형성한다. 이 밀봉 요소들은 원하던 밀봉 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하우징의 코어 중공 공간에서 파형관의 단단한 조임과 꽉 잡힘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배치는 밀봉 기능의 개선된 품질을 야기한다. 파형관 단부와 피팅 사이의 연결은 파형관 단부가 피팅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때에도 밀봉된다. 밀봉 효과는 파형관의 하나의 리브만이 리테이너 요소와 맞물릴 때에도 존재한다. 상기 밀봉 요소들의 치수의 적절한 형태와 선택에 의해, 그 밖의 영역에서 연결의 원하는 밀봉력과 홀딩력은 여러 가지 사용 조건들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형성에 따르면, 코어 중공 공간의 입구 개구부 둘레에 강성(rigid) 케이싱 링을 배치한다. 이 케이싱 링은 종방향 리브들을 통해 제 1 하우징 섹션과 연결되며 동일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연결의 영역들에서 파형관이 방향 전환할 때나 꺾어질 때 탄력성 있는 제 2 하우징 섹션이 변형될 수 없는 장점이 달성된다. 이로 인해 파형관과 하우징 사이의 밀봉 효과가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안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와 함께 간단한 방식으로 상당한 장점들이 달성된다. 연결의 조립시 잃어버려지거나 또는 실수로 조립되지 않는 느슨한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필요한 유지 요소 및 밀봉 요소들은 일체의 하우징의 제 2 하우징 섹션들에 배치되고, 이것과 단단히 연결된다. 파이프 단부와 연결 및 접속 피스 사이의 연결은 축선방향으로 큰 뽑힘력을 수용할 수 있고, 파형관의 꺾어 굽힘에 대해서도 저항력이 있다. 파형관의 단부와 연결 및 접속 피스에서의 코어 중공 공간 사이의 밀봉 효과는 높은 하중 및 어려운 사용 조건하에서도, 또한 파이프 단부가 피팅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때에도 유지된다. 조립이 현저히 쉬워진다. 왜냐하면 연결은 단지 함께 끼우기만 하면 되고 추가 부품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의 부분 단면을 구비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의 투시도,
도 3은 파형관과 함께 도 1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
도 4는 리테이너 요소들의 제 2 실시형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
도 5는 동적으로 부하를 받지 않는 연결들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연결 및 접속 피스(1)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부분 종방향 단면을 구비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부분 종방향 단면을 구비한 투시도이고, 도 3은 파형관(2)과 함께 연결 및 접속 피스(1)를 나타낸다. 연결 및 접속 피스(1)는 사출 성형 하우징(32)으로 구성되며, 이 사출 성형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섹션(33) 및 제 2 하우징 섹션(34)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 섹션(33)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본 예에서 폴리아미드(PA)로 구성된다. 제 2 하우징 섹션(34)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본 예에서 아미드 엘라스토머(TPE-A)로 구성된다. 양 하우징 섹션들(33, 34)은 투콤포넌트 사출 성형 방법을 수단으로 제조되며, 사출 성형 후 일체의 사출 성형 하우징(32)을 형성한다.
제 1 하우징 섹션(33)은 연결부(8), 상기 연결부에 이어진 연결 플랜지(7) 및 케이싱 피스(casing piece)(17)를 포함한다. 연결부(8)는 본 예에서 스크류 소켓으로 구성되나, 도관 엘보, 분기 요소 또는 공지의 다른 연결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싱 피스(17)는 코어 중공 공간(core hollow space)(4)의 일부를 에워싸며, 상기 코어 중공 공간은 파형관(2)의 단부(6)를 수용하기 위한 것 이다. 케이싱 피스(17)는 파형관(2)을 향한 단부에 케이싱 링(24)의 형태로 추가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 링은 종방향 리브(25)들을 통해 케이싱 피스(17)의 나머지 영역과 연결된다. 연결 플랜지(7)를 향한 단부에서 케이싱 피스(17)는 그 자체의 공지된 방식으로 조립 공구들이 맞물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 플랜지(7)와 케이싱 링(24) 사이에서 케이싱 피스(17)는 격자식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의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들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상기 유형의 케이싱 세그먼트(20)의 다수의 한쌍식 그룹들이 제공된다.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는 자유단(21)을 구비하며, 이 자유단은 종축선(11)의 방향으로 연결 플랜지(7)를 향한다. 자유단(21)에는 리테이너 요소(retainer element)(22)가 형성되고, 이 리테이너 요소는 종축선(11)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향하며, 상기 리테이너 요소의 내부 단부 영역(23)은 코어 중공 공간(4) 내로 돌출한다. 파형관(2)의 단부(6)가 코어 중공 공간(4)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리테이너 요소(22)들은 파형관(2)의 케이싱에서의 파형골(26)과 맞물린다. 파형관(2)을 입구 개구부(5)를 통해 코어 중공 공간(4) 안으로 밀어넣을 때, 리테이너 요소(22)들은 방사상 바깥으로 빗나갈 수 있다. 왜냐하면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들이 스프링 요소들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제 1 하우징 섹션(33)의 격자 모양 영역 내로 제 2 하우징 섹션(34)이 사출되고, 이 영역에서 마찬가지로 격자 모양의 하우징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제 2 하우징 섹션(34)에는 코어 중공 공간(4)을 향하는 밀봉 요소(38)들을 구비하는 영역(12)이 형성된다. 이 영역(12) 및 밀봉 요소(38)들은 본질적으로 코어 중 공 공간(4)의 입구 개구부(5)로부터 방사상 리테이너 요소(22)들로 연장된다. 밀봉 요소(38)들은 리브들로서 형성되고, 이 리브들은 파형관(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종축선(11)의 방향으로 다수의 상기 유형의 리브들이 잇달아 배치되며, 이때 리브들의 각각은 폐쇄되어 코어 중공 공간(4)의 전체 둘레 주위로 뻗어 있다. 본 예에서 적어도 10개의 상기 유형의 서로 간격을 둔 리브들이 마련되며, 이 리드들은 파형관(2)의 케이싱과 공동으로 래버린스 실링(labyrinth sealing)을 형성한다. 제 2 하우징 섹션(34)이 엘라스토머로 구성되기 때문에 밀봉 요소(38)들도 탄성적이며 밀봉 효과를 강화한다. 동시에 파형관(2)의 단부(6)는 밀봉 요소(38)의 다수에 의해 코어 중공 공간(4)에 유지되며, 파이프 단부(6)와 접속 피스(1)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종축선(11)의 방향으로 이미 비교적 큰 뽑힘력을 필요로 한다. 밀봉 요소(38)들은 파형관(2)의 단부(6)가 코어 중공 공간(4)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도 효과적이다. 리테이너 요소(22)들이 파형관(2)에서의 가장 앞쪽 파형골(26)하고만 맞물릴지라도 완전한 밀봉 효과가 존재한다.
연결부(8)를 향한 연결 플랜지(7)의 방사상 면(14)에서 밀봉링(15)이 사출된다. 이 밀봉링(15)은 제 2 하우징 섹션(34)과 동일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된다. 연결 플랜지(7)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치(breach)(16)가 배치되며, 상기 브리치를 통해 웨브(18)가 연장된다. 이 웨브(18)는 밀봉링(15)을 제 2 하우징 섹션(34)과 연결한다. 이러한 배치를 도움으로 밀봉링(15)은 제 2 하우징 섹션(34)과 함께 동시에 사출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 섹션(33)과 제 2 하우징 섹션(34)은 공동으로 일체의 사출 성형 하우징(32)을 형성하기 때문에,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하우징 섹션(34)의 탄력성 있는 플라스틱에 의해 에워싸인다. 이로 인해, 코어 중공 공간(4)은 바깥으로 완전히 밀봉되고, 동시에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들은 스프링 요소들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리브(25)들의 기하학적인 형태의 변화 및 제 1 하우징 섹션(33) 또는 제 2 하우징 섹션(34)의 격자 구조로 인해, 사출 성형 하우징(32)의 강성(stiffness)은 코어 중공 공간(4)의 영역에서 바뀔 수 있다. 본 예에서 보강 리브(25)들과 케이싱 링(24)은 파형관(2)이 꺾어 굽혀질 때 접속 피스(1)에 대한 연결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의 밀봉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접속 피스(1)의 허용되지 않은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높은 뽑힘력과 동적인 부하에 노출되며 동시에 이물질의 침입에 대해 높은 밀봉력을 가져야만 하는 연결 피팅(1)을 파형관(2)과 연결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도 4는 사출 성형 하우징(35)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1)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사출 성형 하우징(35)도 마찬가지로 투컴포넌트(two-component) 사출 성형에 의해 제 1 하우징 섹션(36) 및 제 2 하우징 섹션(37)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50)들은 마찬가지로 종축선(11)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싱 세그먼트(50)들의 자유단(51)은 연결 플랜지(7)으로부터 멀리 향한다.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50)들의 자유단(51)에는 내부 단부 영역(53)을 가진 리테이너 요소(52)가 배 치된다. 상기 내부 단부 영역(53)들은 코어 중공 공간(4) 내로 돌출하며, 파형관(2)의 단부(6)를 밀어 넣을 때 파형관(2)의 케이싱에서의 파형골(26)들의 하나와 맞물린다.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50)들은 스프링 요소들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리테이너 요소(52)들은 방사상 방향에서 빗나갈 수 있다. 코어 중공 공간(4)의 입구 개구부(5)를 향한 제 1 하우징 섹션(36)의 단부에는 보강 리브(27)들이 배치되고, 이 보강 리브들은 제 2 하우징 섹션(37)의 탄력성 있는 영역을 강화한다. 이 형태에서는 파형관(2)의 단부(6)를 완전히 코어 중공 공간(4) 안으로 밀어 넣기 위해 보다 적은 크기의 밀어넣기 힘이 필요하다. 이는, 입구 개구부(5)를 향한 하우징(35)의 부품이 탄력성 있게 파형관(2)의 외경에 맞을 수 있다는 상황의 결과이다. 이 실시형태는 보통의 경우 동적으로 높은 부하를 받는 연결들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그럼에도 불구에도 보통의 사용 영역에서 충분한 강성을 보장하며, 이 강성은 또한 밀봉 요소(38)들과 파형관(2)의 케이싱 사이의 밀봉 효과를 유지하고 보장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파이프 단부(6)가 코어 중공 공간(4) 내로 정지부까지 밀어 넣어지지 않아도 밀봉 효과가 보장된다. 접속 피스(1)의 이 실시형태는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파형관(2)의 뽑아짐에 대항하는 높은 안정성 및 동시에 좋은 밀봉 효과를 보장한다. 사출 성형 하우징(35)의 나머지 부품들은 본질적으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는 특히 연결부(8), 연결 플랜지(7) 및 사출된 밀봉링(15)이다. 또한, 동일한 재료들이 사용된다.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케이싱 세그먼트(50)들은 바깥으로 향한 그립핑 요소(gripping element)(28)들을 구비한다. 이 그립핑 요소(28)들은 도움 공구가 맞물려 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립핑 요소들은 예를 들어 보어(bore)들을 구비하며, 이 보어들과 벌림공구의 첨단이 맞물린다. 상기 공구와 함께 케이싱 세그먼트(50)들은 요구에 따라 방사상 바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테이너 요소(52)들은 파형관(2)의 케이싱으로부터 밀려내지며, 그 차단 작용은 없어진다. 이는 필요한 경우에 있어 접속 피스(1)로부터 파형관(2)의 분리를 간단하게 한다. 동질의 그립핑 요소(28)들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싱 세그먼트(20)들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1)의 더욱 간단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사출 성형 하우징(3)은 제 1 하우징 섹션(9) 및 제 2 하우징 섹션(10)으로 구성된다. 단단한 제 1 하우징 섹션(9)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PA)로 구성되며, 제 2 하우징 섹션은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엘라스토머(TPE-A)로 구성된다. 양 하우징 섹션들(9와 10)은 투콤포넌트 사출 성형 방법을 수단으로 서로 연결되며 일체의 사출 성형 하우징(3)을 형성한다. 제 2 하우징 섹션(10)은 밀봉 요소(13)들을 가진 영역(12)을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밀봉 요소(13)들은 한편으론 파형관(2)의 케이싱에 대해 밀봉 기능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론 파형관(2)의 케이싱에서의 파형골들과 탄력성 있게 강하게 맞물려 접속 피스(1)로부터 파형관(2)의 뽑아짐에 대해 충분히 큰 유지력(retention force)이 생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섹션(10)의 벽 두께 및 선택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도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밀봉 효과 및 유지력은 여러 가지 작동 조건들에 적응이 가능하다. 제 1 하우징 섹션(9)은 여기에서도 연결 플랜지(7) 및 연결부(8)를 구비한다. 연결부(8)를 향한 연결 플랜지(7)의 방사상 면(14)에는 마찬가지로 밀봉링(15)이 사출되고, 축선방향 브리치(16)를 통해 제 2 하우징 섹션(10)과 연결된다. 제 2 하우징 섹션(10)의 허용되지 않은 또는 원하지 않는 변형은 제 1 하우징 섹션(9)의 추가 부품들에 의해 저지되고, 이 추가 부품들은 제 2 하우징 섹션과 맞물린다. 상기 추가 부품들은 본 예에서 축선방향으로 향한 다수의 보강 리브(27)들과 케이싱 링(24)이다. 상기 추가 부품들은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 섹션(10)의 강성 또는 탄력성은 그 밖의 영역에서 변화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보강 리브(27)들은 방사상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며 밀봉 요소(13)들과 상호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접속 피스(1)의 이 실시예는 특히 비용을 저렴하게 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종축선(11)의 방향으로 큰 뽑힘력이 나타나지 않는 파형관(2)들과의 연결에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3, 도 4 및 도 5에 따른 모든 3가지 실시예에서 추가의 조립 부품들이 필요하지 않다. 모든 필요한 부품들은 일체로 사출 성형 하우징(3 또는 32 또는 35)에 배치되며, 이로 인해 접속 피스(1)와 파형관(2)의 연결이 간단하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의 범위에서 변화된 형태에 의해, 상기 유형의 연결 및 접속 피스(1)를 위해 적용의 그 밖의 영역이 커버될 수 있다. 개별 실시형태들은 발생하는 뽑힘력 및 동적인 힘 작용에 적응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형태는 파이프의 뽑아짐에 대항한 높은 저항 및 매우 좋은 밀봉 효과를 갖는다. 파형관(2)과 접속 피스(1)의 밀봉 효과는 파형관(2)의 단부(6)가 접속 피스(1) 내로 완전히 밀어 넣어지지 않아도, 또는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도 어떠한 경우에든 도달된다.

Claims (11)

  1. 코어 중공 공간(4) 및 파형관 단부(6)의 수용 및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입구 개구부(5)를 구비하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 하우징(3;32;35), 연결 플랜지(7) 및 연결부(8)를 갖는, 파형관(2)용 연결 및 접속 피스(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32;35)은 종축선(11)의 방향으로 2개의 하우징 섹션(9,10;33,34;36,37)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섹션들은 투콤포넌트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일체로 서로 연결되고, 단단한 제 1 하우징 섹션(9;33;36)은 연결 플랜지(7)와 함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본질적으로 파형관 단부(6)를 위한 입구 개구부(5)를 향하는 탄력성 있는 제 2 하우징 섹션(10;34;37)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제 1 하우징 섹션(9;33;36)의 추가 부품들은 제 2 하우징 섹션(10;34;37)과 맞물리고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10;34;37)을 위한 보강 리브(24,25,27)를 형성하며, 제 2 하우징 섹션(10;34;37)은 상기 코어 중공 공간을 향하는 밀봉 요소(13)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영역(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종축선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2개의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5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 세그먼트(20;50)는 그 자유단(21;51)에 리테이너 요소(22;52)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 요소는 종축선(11)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향하며, 그 내부 단부 영역(23:53)은 코 어 중공 공간(4)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를 향하고 있는 연결 플랜지(7)의 방사상 면(14)에, 제 2 하우징 섹션(10;34;37)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밀봉링(15)이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PA) 또는 폴리프로필렌(PP) 그룹으로부터의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E-U) 또는 올레핀 엘라스토머(TPE-O) 또는 아미드 엘라스토머(TPE-A) 그룹으로부터의 플라스틱이거나 또는 교차 결합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10;34;37)에서의 밀봉 요소(13;38)는 코어 중공 공간(4)의 입구 개구부(5)와 케이싱 세그먼트(20,50)에서의 방사상 리테이너 요소(22,52)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밀봉 요소(13;38)는 폐쇄되어 코어 중공 공간(4)의 전체 둘레 주위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부(6) 둘레에 강성(rigid) 케이싱 링(24)이 배치되며, 이 케이싱 링(24)은 종방향 리브(25)를 통해 제 1 하우징 섹션(33)과 연결되고, 동일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하우징 섹션(34;37)의 탄력성 있는 플라스틱에 의해 에워싸이며, 자유단(21;51)은 방사상 방향에서 탄력 있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7)는 제 1 하우징 섹션(9;33;36)에서 축선방향 브리치(16)를 구비하며, 이 브리치(16)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채워지고, 밀봉링(15)과 제 2 하우징 섹션(10;34;37)은 일체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의 자유단(21)은 종축선(11)의 방향으로 제 1 하우징 섹션(33)의 연결 플랜지(7)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모양 케이싱 세그먼트(20;50)의 자유단(21;51)에는 바깥으로 향한 그립핑 요소(2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KR1020077000802A 2004-07-16 2005-07-04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KR20070032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802A KR20070032010A (ko) 2004-07-16 2005-07-04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205/04 2004-07-16
KR1020077000802A KR20070032010A (ko) 2004-07-16 2005-07-04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10A true KR20070032010A (ko) 2007-03-20

Family

ID=4365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802A KR20070032010A (ko) 2004-07-16 2005-07-04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0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680B1 (ko)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US8367944B2 (en) Cable and flexible conduit gland
US7579556B2 (en) Cable entry device comprising means for adjustment
US20070296212A1 (en) Connector and Adapter Piece for Corrugated Pipes
US7874596B2 (en) Connecting arrangement with end sections of two fluid conduits to be connected
KR101409306B1 (ko) 2개의 경질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US7455330B2 (en) Quick coupling
US10389102B2 (en) Cable gland assembly
CN108087648B (zh) 用于联接柔性软管的系统
RU25105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конца защитной трубки кабеля
EP1748242B1 (en) Clamping ring for a high tensile strength coupling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GB2278176A (en) Flexible hose
KR20070032010A (ko) 파형관용 연결 및 접속 피스
KR102632634B1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EP3526867A1 (en) Cable gland comprising a slip on grommet
GB2350656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nduit with a corrugated outer surface to another element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CN113446448B (zh) 波纹管连接装置
JP2018198513A (ja) 管路口防水装置及びシール部材
KR102408466B1 (ko) 배수관용 파이프 구조체
KR102474581B1 (ko)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구조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RU2782523C1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CN116324253A (zh) 用于波纹管螺钉紧固系统的密封插件、波纹管螺钉紧固系统、密封插件的使用、波纹管螺钉紧固系统的使用、以及波纹管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