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574A -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574A
KR20070031574A KR1020050086156A KR20050086156A KR20070031574A KR 20070031574 A KR20070031574 A KR 20070031574A KR 1020050086156 A KR1020050086156 A KR 1020050086156A KR 20050086156 A KR20050086156 A KR 20050086156A KR 20070031574 A KR20070031574 A KR 20070031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screen
image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705B1 (ko
Inventor
천지영
이승준
이상혁
박연우
조선태
원동준
전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705B1/ko
Priority to EP06018867A priority patent/EP1763243A3/en
Priority to US11/530,421 priority patent/US8049678B2/en
Priority to JP2006246172A priority patent/JP4820246B2/ja
Publication of KR2007003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촬영한 두 개의 영상을 화상 통신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에 필요한 영상을 편리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 단말기, 화상 통신, 듀얼 카메라, 듀얼 표시부

Description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Mobile Terminal With Visual Communication And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폴더형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폴더형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본 발명은 화상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촬영한 두 개의 영상을 화상 통신에 이용하고, 두 개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에 필요한 영상을 편리하게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래의 음성통화 목적에서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
특히, 시각적(visual) 요소에 민감한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여,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까지 하고 있고, 일부 고급 사양의 단말기는 500만, 700만 화소급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불리기에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하나의 카메라 모듈만을 장착하는 경우, 단말기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양한 조영각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회전형 카메라를 장착한 단말기에서도 어느 정도는 해결되나, 동시에 둘 이상의 조영각도를 확보하기에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 모듈만을 장착하는 경우, 특정 시각에 동일한 피사체만 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특정 시각에 둘 이상의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원거리에서 서로 얼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는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만을 장착한 경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상대방에게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한편,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종래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메인(main)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형 화면을 구비하고, 서브(sub)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화면을 구비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서브(sub)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제공되는 화면은 날짜, 시간, 짧은 길이의 텍스트(text) 등 매우 단순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특히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할 수 없거나,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저급 사양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는 수준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최근의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촬영한 두 개의 영상을 화상 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표시부를 이용함으로써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화상 통신 영상을 편리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은,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은,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전송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 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은,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화면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은,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 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화면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하나 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로서,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간에 상기 화상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을 제1, 제2 및 제3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의 적용을 위해,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및 제2 표시부와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상정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은, 두 개 이상의 표시부 및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상정된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 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0]. 화상 통신에 여러 명이 참여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상대방 모두를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a)는 한 명의 상대방과 화상 통신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2(b)는 세 명의 상대방과 화상 통신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제1 표시부에 복수의 상대방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부를 화면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2].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수신한 것이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보다 다양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카메라가 사용자를 향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사용자의 반대편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수신한 제1 전송용 영상은 사용자의 얼굴,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수신한 제2 전송용 영상은 사용자의 주변 풍경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구비 형태에 따라 이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도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에 따라 나머지 전송용 영상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부에 제1 전송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던 중, 사용자가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영상 전환 명령이 할당된 특정 키를 누르면, 제2 전송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제2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하는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PIP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는, 주화면을 부화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을 가로(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P 방식에 의해 제1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제2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던 중, 사용자가 영상 전환 명령이 할당된 특정 키를 누르면, 주/부화면이 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14].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모두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영상이 미리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방에 두 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선택된 하나의 전송용 영상이 모든 상대방에게 동일하게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전송되는 영상이 각각의 상대방마다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상대방에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모두를 전송하고, 나머지 상대방에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라 A, B와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선택 혹은 디폴트 설정에 따라, A, B 모두에게 제1 전송용 영상(혹은 제2 전송용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고, A에게는 제1 전송용 영상을, B에게는 제2 전송용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지영상을 캡처하여,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경우, 멀티미디어메시 지시스템(Multimedia Message System: MMS)을 이용하거나 유무선통합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여,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특정 상대방을 선택하여 정지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0].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가 로 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5(a)에 제1 표시부에서 주화면 및 부화면을 PIP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하였고, 도 5(b)에 제1 표시부에서 주화면 및 부화면을 가로(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의 예를 도시하였다.
상술한 주화면과 부화면은 외부 명령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나머지 전송용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2].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은, 외부 명령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44].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의 전송 과정,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 캡처 및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 캡처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60].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은,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에 상대방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제1 전송용 영상을 제1 부화면으로, 제2 전송용 영상을 제2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외부 명령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화면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62].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표시부를 통하여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혹은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를 위한 메시지 작성을 할 수 있다. 단,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SMS 등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들에 대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제2 표시부에 제공되는 문자판을 터치함으로써 메시지 작성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상대방 영상, 제1 전송용 영상 혹은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 캡처한 정지영상의 편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기능의 수행 등을 위한 화면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은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특정 기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64].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의 전송 과정,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 캡처 및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 캡처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80]. 도 9의 (a) 내지 (c)는,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한 명의 상대방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 및 (b)는 상대방 영상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가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를 합친 화면의 가로세로비와 거의 일치하는 경우로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전체에 상대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도 9의 (c)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일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또한, 도 9의 (a)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의 단부를 고려한 경우로서, 상대방 영상은 상기 단부만큼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도 9의 (b)는 상기 단부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합치면 완전한 상대방 영상이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하나 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82]. 상기 전송용 영상의 디스플레이 과정[S82]은, 디폴트로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상 기 제1 및/또는 제2 전송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영상은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전송용 영상은 부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전송용 영상의 디스플레이 과정[S82]에 따른 화면 예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즉, 도 10(a)는 제2 표시부에 제1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도 10(b)는 제1 표시부에는 제1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2 표시부에는 제2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c)는 제2 표시부에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각각 제1 및 제2 부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84].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의 전송 과정,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 캡처 및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 캡처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카메라부(80), 제2 카메라부(81), 제1 표시부(82), 제2 표시부(83), 수신부(84a) 및 송신부(84b)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84), 제어부(85), 키 입력부(86) 및 메모리(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는, 렌즈 및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로서, 구비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즉,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면, 상/하 몸체(body)에 분리되어 장착되거나 어느 하나의 몸체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몸체에 고정되어 항상 일정한 조영각도를 갖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은 임의의 조영각도를 가질 수 있는 회전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가 모두 회전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 회전 방향이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메라부(80)는 상/하로 회전하는데 반해, 상기 제2 카메라부(81)는 좌/우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의 구조 등 장치적 특징 역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카메라부(80)는 줌(zoom)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81)는 줌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 카메라부(80)는 100만 화소를 지원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81)는 200만 화소를 지원하는 등 지원하는 화소 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82, 83)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 및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상기 무선통신모듈(84)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84a) 및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84b)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5)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86)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82) 및 제2 표시부(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키 입력부(86)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제1 터치 스크린: 88, 제2 터치 스크린: 89). 단,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및 상기 제2 터치 스크린(89)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고, 반드시 이들 모두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모리(87)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구동 프로그램, 정지영상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기 제어부(85)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 조작에 의해 화상 통신 기능에 진입한 상태를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85)는,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84a)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8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대방 모두를 상기 제1 표시부(8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82)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5)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표시부(83)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2 표시부(83)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옵션이 설정된 경우,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간에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2 표시부(83)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옵션이 설정된 경우,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에 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83)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5)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송신부(84b)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 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선택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에서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상대방이 두 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상대방에게 동일하게 전송할 수도 있고, 각각의 상대방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5)는,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정지영상 캡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은 상기 메모리(87)에 저장하거나 상기 송신부(84b)를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5)는,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에 관한 정지영상 캡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은 상기 메모리(87)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카메라부(80), 제2 카메라부(81), 제1 표시부(82), 제2 표시부(83), 수신부(84a) 및 송신부(84b)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84), 제어부(90), 키 입력부(86) 및 메모리(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0)를 제외한 상기 각 장치의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표시부(82) 및 제2 표시부(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키 입력부(86)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제1 터치 스크린: 88, 제2 터치 스크린: 89).
화상 통신 기능 진입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84a)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표시부(8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부(82)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 다.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PIP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가로 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82)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상기 제1 표시부(82)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송용 영상 외의 나머지 전송용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83)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표시부(83)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82, 83)에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은,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송신부(84b)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의 정지영상 캡처 동작 및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의 정지영상 캡처 동작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카메라부(80), 제2 카메라부(81), 제1 표시부(82), 제2 표시부(83), 수신부(84a) 및 송신부(84b)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84), 제어부(100), 키 입력부(86) 및 메모리(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를 제외한 상기 각 장치의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표시부(82) 및 제2 표시부(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키 입력부(86)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제1 터치 스크린: 88, 제2 터치 스크린: 89).
화상 통신 기능 진입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84a)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8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화면을 상기 제2 표시부(83)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송신부(84b)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의 정지영상 캡처 동작 및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의 정지영상 캡처 동작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카메라부(80), 제2 카메라부(81), 제1 표시부(82), 제2 표시부(83), 수신부(84a) 및 송신부(84b)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84), 제어부(110), 키 입력부(86) 및 메모리(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0)를 제외한 상기 각 장치의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표시부(82) 및 제2 표시부(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키 입력부(86)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제1 터치 스크린: 88, 제2 터치 스크린: 89).
화상 통신 기능 진입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84a)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82, 83)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연속적 디스플레이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82, 83) 중 하나 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키 입력부(86),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8) 혹은 제2 터치 스크린(89)으로부터 수신한 선택 명령 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전송용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전송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송신부(84b)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으로부터의 정지영상 캡처 동작 및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의 정지영상 캡처 동작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하나만을 구현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제5 내지 제8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를 미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80, 81)가 구비되는 대표 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폴더형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단말기는 폴더형으로써, 상부 몸체(10)에 상기 제1 카메라부(8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11)를 연결하는 힌지부에 상기 제2 카메라부(81)를 구비하는 형태의 일 예이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부(80)는 고정형으로서 폴더 오픈시 카메라 렌즈가 항상 상기 상부 몸체(10)의 배면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카메라부(81)는 상기 힌지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형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폴더형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단말기 또한 폴더형으로써,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11)를 연결하는 힌지부에 두 개의 회전형 카메라를 장착한 형태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은,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40, 41), 개인용 컴퓨터(42), 휴대인터넷망(43), 이동통신망(44), WAP 게이트웨이(45) 및 인터넷망(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40) 및/또는 제2 이동 단말기(4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이다.
상기 이동통신망(44)은, 이동통신 기지국 및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말기 간에 화상 통신을 중계한다.
도 18에는 두 개의 이동 단말기만을 도시하였으나, 두 명 이상의 단말기가 화상 통화에 참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간의 화상 통화는 상기 이동통신망(44)이 중계하게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또는 제2 이동 단말기(40, 41)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42)간의 화상 통신이 상기 휴대인터넷망(43) 및/또는 상기 WAP 게이트웨이(45) 및 상기 인터넷망(46)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촬영한 두 개의 영상을 화상 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상대방에게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표시부를 이용함으로써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화상 통신 영상을 편리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화상 통신에서 필요한 복수의 영상 정보를 보기 쉽고 편리하게 제 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3)

  1.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간에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가로 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외부 명령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7.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전송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은 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 영상과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가로 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외부 명령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3.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화면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 영상과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외부 명령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19. 화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b)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a-1)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하나 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a-1)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4.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방이 두 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선택된 영상이 모든 상대방에게 동일하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방이 두 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전송되는 영상이 각각의 상대방마다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7.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외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d)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e)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30.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 외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g)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32.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간에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PIP)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가로 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7.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8.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상대방 영상과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가로 혹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4.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화면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상대방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제1 부화면 및 제2 부화면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8.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0. 입력부;
    제1 및 제2 표시부;
    제1 및 제2 카메라부;
    수신부;
    송신부; 및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수신한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하나 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선택 명령 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상대방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을 부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4. 제 32 항, 제 38 항, 제 44 항 또는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선택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상기 선택된 영상을 모든 상대방에게 동일하게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 신호를 각각의 상대방마다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선택 명령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대방에게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7. 제 32 항, 제 38 항, 제 44 항 또는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정지영상 캡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용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9. 제 32 항, 제 38 항, 제 44 항 또는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정지영상 캡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캡처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60. 제 59 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한 정지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61. 제 32 항, 제 38 항, 제 44 항 또는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키 입력장치와 터치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63. 제 32 항, 제 38 항, 제 44 항 또는 제 50 항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단말기로서, 화상 통신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간에 상기 화상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KR1020050086156A 2005-09-09 2005-09-15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KR10073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156A KR100735705B1 (ko) 2005-09-15 2005-09-15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EP06018867A EP1763243A3 (en) 2005-09-09 2006-09-08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US11/530,421 US8049678B2 (en) 2005-09-09 2006-09-08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JP2006246172A JP4820246B2 (ja) 2005-09-09 2006-09-11 携帯端末機及びこれを利用した表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156A KR100735705B1 (ko) 2005-09-15 2005-09-15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574A true KR20070031574A (ko) 2007-03-20
KR100735705B1 KR100735705B1 (ko) 2007-07-06

Family

ID=4163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156A KR100735705B1 (ko) 2005-09-09 2005-09-15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7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94B1 (ko) * 2007-06-14 2008-04-1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듀얼 슬립 영상통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66327B1 (ko) * 2007-03-26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태스킹 방법
KR101414600B1 (ko) * 2007-03-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연결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435821B1 (ko) * 2007-12-1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영상 통화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370A (ja) 1997-11-07 1999-05-28 Kyocera Corp 携帯形テレビ電話装置
KR100358166B1 (ko) * 2000-12-19 2002-10-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화상 휴대폰 장치
JP4203246B2 (ja) 2002-03-14 2008-12-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KR20030083318A (ko) * 2002-04-20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600B1 (ko) * 2007-03-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연결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366327B1 (ko) * 2007-03-26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태스킹 방법
KR100822994B1 (ko) * 2007-06-14 2008-04-1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듀얼 슬립 영상통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35821B1 (ko) * 2007-12-1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영상 통화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705B1 (ko) 200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8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of a video image in mobile terminal
KR100672338B1 (ko) 듀얼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촬영 방법
KR101328950B1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KR10140383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제어방법
KR100640808B1 (ko)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6311224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7082223A (ja) 携帯端末機及びこれを利用した表示方法
JP2007124025A (ja) 携帯電話機
KR200800843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 처리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094629A (ja) 情報通信端末装置
JP529488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5184267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0873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EP1376995A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KR101137348B1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JP4685708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4233527A (ja) 携帯端末
JP2008098828A (ja) 携帯端末装置
KR101422290B1 (ko) 영상 통화 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려진 이미지 전송방법 및 영상 통화 장치
KR100747581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KR100815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선택영역을확대하기 위한 방법
JP3935812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210013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