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295A -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295A
KR20070031295A KR1020067022798A KR20067022798A KR20070031295A KR 20070031295 A KR20070031295 A KR 20070031295A KR 1020067022798 A KR1020067022798 A KR 1020067022798A KR 20067022798 A KR20067022798 A KR 20067022798A KR 20070031295 A KR20070031295 A KR 2007003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block
retaining wall
wall
wa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무엘 패트릭 코스틴
Original Assignee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6702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295A/en
Publication of KR2007003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들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층상으로 조적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강부재로써 블록 내 삽입되거나 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다수의 띠형 보강재들이 제공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는 각각의 블록층이 조적됨에 따라 또는 벽체가 조성된 후에 뒷채움재에 매설되어 다짐된다. 또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과는 이격되며 벽체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이 조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laminated in layers to form a wall. A plurality of strip reinforcements are provided as reinforcement members inserted into or extending from the block, and the strip reinforcements are embedded in the back fill material as the respective block layers are stacked or after the walls are form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stiffener section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nd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are formed.

보강토 옹벽, 띠형 보강재, 제1보강재 구간, 제2보강재 구간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band reinforcement, first reinforcement section,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블록 및 보강토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lock used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band-shaped reinforcement used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본 출원은 2004년 4월 1일 출원된 호주의 가(provisional) 특허출원번호 2004901725, 2004년 4월 5일 출원된 호주의 가 특허출원번호 2004901789, 2004년 12월 15일 출원된 호주의 가 특허출원번호 20004907121, 2005년 2월 23일 출원된 호주의 가 특허출원번호 2004900832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Australian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2004901725, Australian Patent Application No. 2004901789, filed April 5, 2004, and Australian Patent Application No. 2004901, filed December 15, 2004. Application No. 20004907121, filed February 23, 2005, claims priority from Australian patent application No. 2004900832.

옹벽은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된다. 주변의 경사, 도로, 건물, 계단식 벽들 모두는 옹벽에 대한 잠재적 하중을 나타낸다. 옹벽은 주로 3가지 타입, 즉 중력식, 캔틸레버식, 보강토 옹벽으로 구분된다. "중력식 옹벽"은 블록들 자체의 무게만으로 가두어진 흙의 하중을 견디는 보강토없는 옹벽의 형태이다. 중력식 옹벽의 경우 각 블록이 콘크리트 또는 석조 덩어리로 구성되므로 시공비가 더 많이 들어간다. 중력식 옹벽은 토압을 견디기 위해 구조체의 무게에 의존한다. 옹벽배면의 토양을 굴착하는 것은 옹벽의 구조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니한다. 캔틸레버식 옹벽은 전형적으로 토양속에 타설된 널말뚝의 구조를 가지며, 지지되는 토양아래의 널말뚝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으로부터 지지력을 얻는다. 캔틸레버 옹벽은 뒷채움에 아래 묻힌 수평기저부(horizontal base section)를 가지며, 뒷채움흙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저부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수직으로 뻗는 줄기부(stem section)갖는다. 캔틸레버식 옹벽은 벽체의 기울어짐을 막기 위해서 기저부위의 뒷채움의 중량에 의존한다.Retaining walls are defined as walls that suppress material on one side of the wall to maintain elevation differences. The surrounding slopes, roads, buildings, and stepped walls all represent potential loads on the retaining wall. Retaining walls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types: gravity type, cantilever type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gravity retaining wall" is a form of reinforcement-free retaining wall that withstands the load of soil confined by the weight of the blocks themselves. In the case of gravity retaining walls, each block consists of concrete or stone blocks, which adds to the construction cost. Gravity retaining walls rely on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o withstand earth pressure. Excavation of soil behind a retaining wall does not affect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Cantilevered retaining walls typically have a structure of board piles laid in the soil and derive their bearing capacity from the resistance to rotation of the board piles under the supported soil.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has a horizontal base section buried underneath the backfill, and the backfill soil has a stem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and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base to form a wall. Cantilevered retaining walls rely on the weight of the backfill at the base to prevent the wall from tipping.

"보강토 옹벽(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이란 용어는 실질적으로 벽체에 의해 지지될 토양아래 매설된 수평의 보강재를 갖는 옹벽을 말한다. 보강토 옹벽의 일종으로 지지토양 속에 강메쉬(steel mesh) 형태의 보강재를 갖는 것이 있다. 강메쉬는 옹벽의 벽체면으로서 작용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강말뚝 또는 락필철망(rock filled wire basket)을 정착하는데, 이 벽체면은 보통 수직 또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벽체면은 보강재의 층들 사이로부터 토양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경기술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토 보강재는 블록들의 층들 모두 또는 대부분에 추가되며, 토양이 보강재 주변에서 다짐되는 동안 벽체면이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어떤 형태의 지지대를 필요로 한다.The term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refers to a retaining wall having a horizontal reinforcement buried beneath the soil that will be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wall.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is a kind of retaining material in the form of steel mesh (steel mesh) in the supporting soil. Steel mesh sets up concrete slabs, steel piles or rock filled wire baskets that act as wall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s, which form a front surface of a wall, usually having a vertical or inclined shape. The wall surface prevents soil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layers of reinforcement. Using the methods of the background art, the soil reinforcement is added to all or most of the layers of blocks and requires some form of support to prevent the wall surface from moving while the soil is compacted around th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at least some of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여기에서 수많은 배경기술들 및/또는 출판물들이 언급되더라도, 이 참증은, 이들 방법들 또는 간행물들 중 어느 것이 호주 또는 다른 나라에서 이 기술에서 공통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용인을 구성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자명하다. 뒤따르는 발명의 요약,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에서, 언어 또는 필요한 암시를 표현하기 위하여 문맥상 다른 표현으로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포함하다(comprise) 또는 이의 어미변화(comprises, comprising)는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며, 즉 언급된 특징들을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지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나타나는 특징에 추가되는 점을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umerous backgrounds and / or publications are mentioned here, this reference does not constitute an acceptance that any of these methods or publications form part of the general knowledge common to this technology in Australia or in other countries. Self-explanatory In the following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word “comprise” or “comprises” including “comprises”, “comprises”, “comprising”,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comprises,” It will be used in the sense, that is to say that the stated features are clearly described, but not used to exclude the points added to the features appearing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기층으로부터 층층이 조적되어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는 지지측(retained side)과 준설측(dredge side)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들, 상기 다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벽체를 정착하기 위한 다수의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재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retained side and a dredge side, the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layered layer formed from a base layer to form a wall. Each block of the block is provided with a front surface facing the dredging side of the wall, and a rear surface, an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by a distance defining the depth of the block and facing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a height, opposite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a width of the block, and extending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lock, at the first opening of the top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A passageway ending with said passageway and said first opening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And a plurality of strip-shaped reinforcements for fixing the wall, wherein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received in the passageway of the block, and a secon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Or arranged in the same plane and aligned with the bottom surface, wherein a thir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arrang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lock and fix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trip shaped reinforcements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상기 통로는 대체로 띠형 보강재가 삽입된 후 이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당기는 힘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상부 또는 바닥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어있다.The passage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top or bottom direc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pulling force required to remove the strip reinforcement after it is inserted.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띠형 보강재는 탄력있게 유연성이 있다.Preferably each strip reinforcement is elastically flexible.

모르타르(mortar)없는 시공을 위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개구부 통로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에서 끝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띠형 보강재의 제3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작업 직전에 상부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의 배열을 이루거나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에 벽체에 대해 비스듬히 놓일 수 있다.For mortar-free construction, the block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opening passageway along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 the guide groove ending at the back of the block. And receive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may be placed at an angle to the wall during the backfilling and compacting or in a coplanar arrangement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immediately before the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상부면에 구비된 제2개구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상기 통로를 거쳐 삽입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4부분은 인장에 대한 저항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대체로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며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벽체로부터 이격된다.In one embodiment, the passage extends from the first opening provided on the bottom to the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and reinforcement is inserted through the passage from the first opening to the second opening. And a fourth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arranged outward from the back of the block and is fix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The fourth portion is generally arranged coplanar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 to maximize resistance to tens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wall just before backfilling and compaction.

유리하게는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에 이르는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같은 불투수성의 자재로 채워지는 공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통로는 다수의 통로 중 하나일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passage may consist of a cavity filled with drainage aggregate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or with an impermeable material such as concrete or cement. The passageway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passageway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인접한 층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쉬어 핀(shear pin) 및 수분을 지지측에서 준설측으로 유도되도록 설치된 배수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로는 지지측의 정수압의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점토질 토양의 경우에 있어 유리하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shear pins and a drainage channel installed to direct moisture from the support side to the dredging side to prevent slipping between adjacent layers. This drainag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case of clay soils in order to reduce the rise of the hydrostatic pressure on the supporting side.

다른 실시예에 있어,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threaded section)와 상기 삽입부와 상호 연결된 자유부(free section)로 나누어지며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블록의 배면으로 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벽체에 대체로 수직으로 고정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and stiffeners is divided into a threaded sect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block and a free section interconnected to the insert and from the back of the block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It extends to the outside and is generally vertically fixed to the wall.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혼합식벽(composite wall)의 하부를 형성한다.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에서 하부로의 전이대로 나누어진다. 상기 상부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배열하는 전이대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보강토방벽은 전이대의 물리적 징후를 제공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전이대의 시각적 징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얇은 판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forms the bottom of the composite wall. The mixed wall is divided into a transition from top to bottom. The upper portion may be a gravity or cantilever retaining wall. Using this embodiment, a 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 can be placed in a transition zone that is coplanar with the top block layer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mixed wall. The reinforcement soil barrier may be a concrete slab that provides the physical signs of the transition zone or a thin plate of plastic material that provides the visual signs of the transition zone.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라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층을 토대로 층층이 배열된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대해 효율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띠형 보강재 위에 흙의 뒷채움과 다짐작업에 의하여 정착되며,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is provided. Th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layers based on a substrate to form a wall, wherein the wall includes a backfill of soil over a plurality of strip-shaped reinforcements connected efficiently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layers. Settled by compaction,

a) 블록층을 배열하기 위한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 블록은 전면,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a) providing a level surface for arranging the block layers, each block defining a height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urface, the back surface, the top surface, and the top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the depth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urface; A passage extending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the width of the block,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lock and ending at a first opening of the bottom surface; The passageway and the first opening are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b)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층상으로 놓인 상기 블록으로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b)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stiffener is received in the passageway of the block, and a secon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stiffener is arranged coplanar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 Inserting a strip-shaped reinforcement into the layered block such that a thir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extends outwardly arrang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c)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토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블록과 상기 삽입된 띠형 보강재를 상기 수준면에 위치시키는 단계;c) placing the block and the inserted strip reinforcement on the level surface such that the back side of the block and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face the soil side supported by the wall;

d) 상기 옹벽의 요구된 높이가 달성될 때까지 상기 a)부터 c)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d) repeating steps a) to c) until the required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achieved; And

e)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 뒤에 상당한 양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said third portion of said strip reinforcement by backfilling and compacting a substantial amount of soil behind said back of said block.

e)단계는 블록의 각층이 완성된 후 또는 벽체가 단 한 번의 작업으로 완성된 후에는 c)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다.Step e) may be performed after step c) after each layer of the block is completed or after the walls have been completed in one operation.

모르타르 없는 시공을 위해서 각 블록은 상기 제1개구부 통로로부터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이드 홈(guide slot)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블록의 배면에서 끝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2부분을 수용한다. 띠형 보강재의 제3부분은 상기 e)단계 직전에 상부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바닥면에 있는 제1개구부로부터 상부면에 있는 제2개구부까지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제1개구부로부터 제2개구부까지의 통로에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를 위해 e)단계는 블록의 배면을 뒷채움 및 다짐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을 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대체로 블록의 상부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되거나 벽체와 각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For mortar-free construction, each block further comprises a guide slot extending from the first opening passage along the top or bottom surface, the guide groove ending at the back of the block and being made of the band reinforcement. Accepts two parts.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is arranged coplanar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just before step e). In one embodiment, the passageway penetrates from the first opening on the bottom to the second opening on the top. And the step b) includes inserting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nto the passage from the first opening to the second opening so that the fourth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extends out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Step e) for the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ixing the fourth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by back 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of the block. The fourth portion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 or at an angle with the wall, away from the wall just prior to backfilling and compaction.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이르는 공동이며, 각각의 블록 또는 블록층이 놓인 후 상당한 밸러스트(ballast)로 채워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성 물질이 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assageway is a cavity from the bottom to the top surfa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lling with a significant ballast after each block or block layer has been placed. The ballast may be an impermeable material such as drainage aggregate or concrete.

상기 시공방법은 어느 블록층이 인접한 다른 블록층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쉬어 핀(shear pin)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installing one or more shear pins to prevent one block layer from slipping from another adjacent block layer.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b)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threaded section)와 삽입부와 상호 연결되고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e)단계 동안벽체에 대체로 수직으로 고정된 자유부(free section)로 나누어진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and stiffeners is threaded section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block in step b)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back of the block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During the stage, it is divided into free sections that are generally fixed perpendicular to the wal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composite wall)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는 전이대를 가진다. 이를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혼합식벽의 상부를 이루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식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배열하는 전이대에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토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composite wall, and the mixed wall has a transition zone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nstructing a gravity or cantilever retaining wall that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mixed wall.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ixed wall using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installing a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 in a transition zon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most block layer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soil barrier may include placing concrete slabs.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측면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데 필요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측면의 시공방법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데 있어 필요한 띠형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necessary for constructing a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necessary for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라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이 제공되며 그 구성에 있어서, 준설측과 지지측을 갖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층이 조적된 다수의 블록들,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을 포함하고;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is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layered on a base layer to form a wall having a dredging side and a supporting side, each of the blocks being the dredging of the wall. A front side facing away from the front side and a bottom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the depth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ide, and a rear surface facing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a top surface, and a bottom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by a distance defining the height of the block. A face, opposing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a width of the block;

뒷채움에 상기 벽체를 정착하고, 상기 벽체의 인접층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까지 연장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 및A plurality of first reinforcement sections for anchoring the wall to a backfill and arranged between adjacent layers of the wall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ack of the blocks to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And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에 뒷채움 및 다짐된 소정량의 토양을 안정화시키며, 상기 제1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second stabilized backfilled and compacted soil on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s and arranged to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ement section.

제2 보강재 구간은 벽체의 배면과 떨어져서 있거나, 그것에 매우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있을 수 있다.The second stiffener section may be away from, or very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wall.

일 실시예에서 제1,2 보강재 구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원형으로 회복되기 쉬운 탄성재질이다. 제2 보강재 구간의 길이는 특정한 응용에 따라 다르며 적어도 옹벽높이의 60%,70% 또는 80%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보강재 구간은 적어도 뒷채움재 및 옹벽자체의 특성등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요인에 결정되는 뒷채움구간의 예상되는 파괴면을 지나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In one embodiment, any one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elastic materials that are easily recovered in a circular shape. The length of the second stiffener section depends 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may correspond to at least 60%, 70% or 80% of the retaining wall height.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is advantageously extended beyond the expected fracture surface of the backfill section, which is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at least the properties of the backfill material and the retaining wall itself.

제1,2 보강재 구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지오메쉬(geomesh)와 같은 판상의 형태나 띠형 보강재의 연장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Either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may take the form of a plate like geomesh or an extended form of a band reinforcement.

일 실시예에서 제1 과 제2의 보강재 구간은 상호간에 동일평면상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보강재 구간은 제1층으로 배열되고 제2 보강재 구간은 제1층과 떨어져서 제2층으로 배열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same plan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tiffener section is arrang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stiffener section is arranged in the second layer away from the first layer.

제1,2 보강재 구간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 및 다짐 작업 직전에 상기 다수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보강재 구간은 다른 높이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다.Either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may be arranged coplanar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s of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blocks just prior to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s.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way as above at different heigh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은 바닥면에서 상부면에 이르는 공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은 배수용 골재인 밸러스트 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와 같은 불투수성 재료로 채워진다. 배수성이 불량한 토양을 위해 상기 시스템은 벽체의 지지측으로부터 준설측으로 향해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vity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The cavity is filled with an impermeable material such as ballast or concrete or mortar, which is aggregate for drainage. For soil with poor drainage,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 drainage passage from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towards the dredging side.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와 하부로 나뉘는 전이대를 가진다. 상기 상부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널판과 같은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이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을 이루는 최상단의 블록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으로 상기 전이대에 설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forms a bottom of the mixed wall and the mixed wall has a transition zone that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The upper portion may be a gravity or cantilever retaining wall. Using this embodiment, a 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 such as concrete slabs or slabs of plastic material, can be installed in the transition zone generally coplanar with the topmost block layer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곳에서 제1보강재 구간은 양 인접 블록층의 사이에 모르타를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모르타르가 없는 시공에 있어서는 제1보강재 구간은 인접 블록층을 이루는 상기 블록의 하중에 의해 중력으로 블록층들 사이에 고정된다.Where mortar is used,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is fixed using mortar between the adjacent block layers. In the construction without mortar,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is fixed between the block layers by gravity by the load of the blocks forming the adjacent block layers.

본 발명의 제6측면에 따라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the system compris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layers on a substrate to form a wall,

a) 블록들의 층을 배열할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전면,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상기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너비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면들을 가지며;a) providing a level surface for arranging a layer of blocks, each of the blocks hav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spaced from the front surface by a distance defining a depth of the block, a top surface, and a height of the block from the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a, and opposing surf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a width of the block;

b) 상기 블록들의 각 층을 배열하는 동안 상기 벽체를 상기 벽체에 인접한 양 층들 간의 뒷채움에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지지측 위에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b) a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rranged outwardly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blocks to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to anchor the wall to backfill between both layers adjacent to the wall while arranging each layer of the blocks; Arranging them;

c) 필요한 옹벽높이에 이르기까지 각 후속 층을 쌓는 단계;c) stacking each subsequent layer up to the required retaining wall height;

d) 상기 다수의 제1 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e)단계를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d) arranging a plurality of second stiffener section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nd arranged to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the step e); And

e) 상기 다수의 제1 및 2 보강재 구간들을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 뒤에 소정량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 backfilling and compa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soil behind the back of the blocks to fix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e)단계는 벽이 완성된 후 수행되는 각 단을 위하여 b) 단계 후 및 c) 단계 전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재 구간은 e)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벽체의 배면에서 떨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Step e) may be performed after step b) and before step c) for each stage performed after the wall is completed.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may be arranged to fall off the back of the wall during the step e).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2 보강재 구간은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열된다. 이와 달리, 제1 보강재 구간은 제1층으로 제2보강재 구간은 제1층과 떨어져서 제2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horizontally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may be arranged as a first layer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may be arranged as a second layer away from the first layer.

상기 제1 또는 2의 보강재 구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과 다짐작업 직전에 다수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상부 또는 바닥면에 동일평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Any one or both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may be arranged in the same plane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blocks just before the backfill and compaction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공동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당한 양의 밸러스트를 수용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블록 또는 블록층이 배열된 후 상당한 양의 밸러스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과 같은 불투수성 재료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lock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caviti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cavities being shaped to receive a significant amount of ballast. To this e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filling a significant amount of ballast after each block or block layer is arranged. The ballast may be a drainage aggregate or an impervious material such as concrete or cement mortar.

상기 시스템은 제1층이 인접한 제2층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may further comprise installing one or more sheer pins to prevent the first layer from slipping from an adjacent second layer.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와 상기 하부로 나뉘어지는 전이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부를 구성하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이대에는 상기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으로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이 설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and the mixed wall has a transition zone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structing a gravity or cantilever retaining wall constituting the upper portion. The transition zone may be provided with a 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uppermost block layer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곳에서 제1 보강재 구간은 양 인접 블록층의 사이에 모르타를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모르타르가 없는 시공에 있어서는 제1 보강재 구간은 인접 블록층을 이루는 상기 블록의 하중에 의해 중력으로 블록층들 사이에 고정된다Where mortar is used,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is fixed using mortar between two adjacent block layers. In the case of mortar-free construction,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is fixed between the block layers by gravity by the load of the blocks forming the adjacent block layers.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더욱 상세한 이해가 용이하도록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여러 가지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블록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모르타르를 이용하고, 뒷채움토 및 다짐토 아래에 벽체를 정착시키는 띠형 보강재 및 블록들로 구성된 층들의 배열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보강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벽체를 통한 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1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eart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arrangement of layers consisting of a band reinforcement and blocks that use a mortar to fix the positions of the blocks and anchor the walls under the backfill and compaction soils. The side cross section through the wall constructed accordingly is shown.

도 2(a) 및 2(b)는 각각 도 1의 벽체를 시공하는데 이용되고, 모르타르 없는 벽체의 시공에 있어서 인접한 층들의 블록들이 상호 간에 같은 높이로 놓여 있도록 블록이 쌓이기 전에 띠형 보강재가 삽입되는 통로의 위치 및 띠형 보강재의 제2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가이드 홈의 위치를 도시하는 블록들 중 하나에 대한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2 (a) and 2 (b) are used to construct the wall of FIG. 1, respectively, in which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is inserted before the blocks are stacked so that the blocks of adjacent layers lie at the same height with each oth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mortar-free wall. An isometric view of one of the blocks showing the location of the passageway and the location of the guide groove for receiv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도 3은 도 2(a)의 블록의 섹션 A-A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3 shows a cross section along section A-A of the block of FIG. 2 (a);

도 4는 그 안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를 갖는 도 3의 블록을 도시한다. 4 shows the block of FIG. 3 with a strip shaped reinforcement inserted therein.

도 5는 블록들을 관통하여 꿰어진 띠형 보강재를 보여주는 벽체 일부의 등각 단면도를 나타낸다. 5 shows an isometr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wall showing a strip-shaped reinforcement threaded through the blocks.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한 뒷채움 및 다짐 전에 블록들 및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면서 2개의 층이 시공된 벽체의 부분적인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FIG. 6 shows a partial isometric view of a wall in which two layers are constructed,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locks and the band reinforcement before backfilling and compaction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한 뒷채움 및 다짐 후에 두 층의 블록들을 통해 블록들 및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는 완성된 벽체의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FIG. 7 shows an isometric view of a finished wall showing the arrangement of blocks and strip stiffeners through two layers of blocks after backfilling and compaction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블록의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8 is an isometric view of a block us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블록 안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블록의 섹션 B-B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FIG. 9 shows a cross section along section B-B of the block shown in FIG. 8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trip reinforcement inserted into the block. FIG.

도 10은 본 발명의 , 제2실시예에 있어서 뒷채움 및 다짐 전에 블록 및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면서 2개의 층이 시공된 벽체에 대한 부분적인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FIG. 10 shows a partial isometric view of a wall on which two layers are constructed,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lock and strip reinforcement prior to backfilling and compacting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상부 및 하부를 갖는 혼합식벽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Figure 11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mixed wall having a top and a bottom.

도 12는 점토질 토양을 지지하기 위한 불투수층 및 배수로를 보여주는 본 발 명의 제5실시예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12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impermeable layer and drainage channels for supporting clay soils.

도 13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블록들의 공동들(cavities)이 투수층을 형성하는 배수용 골재로 채워지고, 점토질 토양을 이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 13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for using clay soils in which the cavities of the blocks shown in FIGS. 8 and 9 are filled with drainage aggregates forming a permeable layer.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이용하여 시공된 완성된 벽체의 부분적인 등각투상도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띠형 보강재는 섹션들 내에 놓인다. Fig. 14 shows a partial isometric view of the finished wall constructed us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by the band reinforcement lies in the sections.

도 15는 층들 사이에 제1보강토 구간 및 제1 보강토 구간들과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고 뒷채움토에 매설된 제2 보강토 구간들을 이용하여 시공된 보강토 옹벽 시스템에 대한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FIG. 15 shows an isometric view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onstructed using second reinforced soil sections arranged in a backfill soil and arranged in a spaced apar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einforced soil section and the first reinforced soil sections between layers.

본 발명의 여러 측면에서의 특별한 실시예가 선형의 단층 옹벽을 시공하는 맥락에서 이하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은 쉽게 복층 또는 곡선형의 옹벽 시공에 적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에 한정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용어가 정의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하고 있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 몇몇 용어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Particular embodiments in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context of constructing a linear, monolayer retaining wall. It is clear th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double or curve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the term is not defined, the term is used in a sens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clarity, some definitions of terms are given below.

옹벽의 "준설측"은 지표면의 표고가 더 낮은 쪽을 말한다. "준설라인(dredge line)"은 벽체와 준설측의 표고가 교차되는 선을 의미한다. 옹벽의 "지지측(retained side)"은 뒷채움후 표고가 더 높은 쪽을 말한다. "뒷채움(backfill)" 은 옹벽의 지지측에 성토될 전형적으로는 토양과 같은 형태의 재료를 의미한다. 옹벽의 배후에 성토될 뒷채움은 "보강토(reinforced soil)"로도 언급된다. 다짐이 안된 뒷채움은 수분을 더 포함하여 옹벽에 하중을 더 줄 수 있으며 침하문제를 일으키고 보강재가 적절하게 정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뒷채움은 표준 시방서에서 요구되는 절차에 의해 적절하게 다져질 것이다."다짐(compaction)"은 뒷채움 재료의 압축률을 감소시키고 장래 옹벽의 거동으로 인한 위험을 완화시키기 위해 기계의 힘을 적용하는 것이다.The "dredge side" of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the lower elevation of the earth's surface. "Dredge line" means the line at which the elevation of the wall and the dredging side intersect. The "retained side" of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the side with the higher elevation after back filling. "Backfill" means a material, typically in the form of soil, to be deposited on the suppor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he backfill to be filled behind the retaining wall is also referred to as "reinforced soil." Unfilled backfill may add more moisture to the retaining wall, causing settlement problems and stiffeners may not settle properly. Therefore, all backfill will be adequately compacted by the procedures required by the standard specification. "Compaction" is the application of mechanical forces to reduce the compression rate of backfill material and to mitigate the risk of future retaining wall behavior. .

"배수용 골재(drainage aggregate)"는 수분의 배수를 신속히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체로 거칠고 크기가 고른 전형적으로 각진 밸러스트를 말한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히 크고 고른 크기의 석질입자를 포함하여야 하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미세입자를 포함하여서는 안된다."Drainage aggregate" refers to a generally rough, sized, typically angular ballast that is used to expedite the drainage of moisture. For best results, it should contain sufficiently large and evenly sized calcite particles to ensure a space that facilitates the flow of water and should not contain fine particles that impede the flow of water.

"층(course)"은 옹벽 블록의 수평층을 의미한다. "기층(base course)"은 평탄한 기초에 설치된 최초 블록층을 말한다. "캡핑(capping)"은 장식 목적의 마지막 또는 최상단의 블록층을 의미한다. 캡핑은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속이 꽉찬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된다. "결합(bond)"은 층간 블록의 배열 또는 그 패턴을 의미한다. 선행 층의 인접 블록에 의해 생긴 수직 접합부상에 중심을 둔 블록은 "신장 결합(stretcher bond)"을 한 것으로 설명된다."Course" means the horizontal laye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ase course" refers to the first block layer installed on a flat base. "Capping" means the last or top block layer for decorative purposes. Capping is done using solid blocks to prevent flooding. "Bond" means an arrangement of interlayer blocks or a pattern thereof. Blocks centered on the vertical junction created by adjacent blocks of the preceding layer are described as having "stretcher bonds".

"지오메쉬(geomesh)"란 용어는 이하 명세서에서 시트형태의 고분자 중합체 소재의 보강재를 의미한다. 상기 보강재는 격자 형태로 짜여진 것이 전형적이나 반 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The term "geomesh" refers to a reinforcement of a polymeric polymer material in sheet form hereinafter. The reinforcement is typically woven in a grid but not necessarily.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에 관한 제1실시예는 도 1에서 7까지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고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 (10)은 벽체(16)를 형성하는 층(14)의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12)을 포함한다. 보강재가 상기 블록(12)에 삽입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띠형 보강재(18)를 사용하는 상기 벽체(16)에 제공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각 층(14)이 놓이거나 상기 벽체(16)를 시공한 후 다짐된 뒷채움토(20) 아래에 매설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d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10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layer 14 forming a wall 16. It includes a number of blocks 12. A reinforcement is provided on the wall 16 using a plurality of strip-shaped reinforcements 18 that are inserted into and extend into the block 12.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embedded below the backfilled soil 20 after each layer 14 is laid o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16.

도 1,2(a) 및 2(b)를 참조하면,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에 관한 제1실시예에 따라 사용된 상기 블록(12)은 전면(22), 블록의 깊이로 정의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후면(24), 블록의 너비로 정의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각각의 대향면(26)과 대향면(28), 상부면(30)과 블록 높이로 정의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3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블록(12)은 상기 전면(22)이 벽체(16)의 준설측(34)으로 향하고 상기 배면(24)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으로 향하도록 놓인다. 상기 블록(12)은 상기 바닥면(32)의 제1개구부(42)로부터 상부면(36)으로 연장된 통로(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개구부(42)는 상기 상부면(30)에 놓여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로(40)는 상기 벽체(16)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18)의 제1부분(44)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2 (a) and 2 (b), the block 12 us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10 is a front face 22, the distance defined by the depth of the block. A rear surface 24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ed by the width of the block, each of the opposing surface 26 and the opposing surface 28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ed by the width of the block 32). Generally, the block 12 is placed such that the front face 22 faces the dredging side 34 of the wall 16 and the back face 24 faces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The block 12 further comprises a passage 40 extending from the first opening 42 of the bottom surface 32 to the top surface 36. The first opening 42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0. Referring to FIG. 4, the passage 40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a first portion 44 of the strip shaped reinforcement 18 used to stabilize the wall 16.

도 1은 각각의 블록(12)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모르타르층(47)을 사용하여 시공된 벽체(16)을 도시하고 있다. 모르타르없는 시공을 위하여 상기 블록(12)의 상기 바닥면(32)에는 상기 통로(40)의 제1개구부(42)로부터 상기 블록(12)의 배 면(24)에 이르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5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50)은, 후속층(14')에 제공된 바닥면(32)이 밑에 놓인 선행층(14") 블록(12)의 상기 상부면(30)에 대해 동일평면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블록(12)의 띠형 보강재(18)의 제2부분(46)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홈(50)은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두께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50)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돕는다.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은 상기 블록(12)에 수용되기보다는 상기 블록(12)의 배면(24)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로 연장된다.1 shows a wall 16 constructed using a number of mortar layers 47 for securing each block 12.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block 12 has at least one guide groove 50 extending from the first opening 42 of the passage 40 to the back surface 24 of the block 12 for mortar-free construction. ) Is provided. The guide groove 50 is in such a manner that it lies coplanar with the top surface 30 of the preceding layer 14 "block 12 underlying the bottom surface 32 provided in the subsequent layer 14 '. And a second portion 46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of the block 12. The guide groove 50 must have a depth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thickness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50 helps to align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ing side 36 of the wall 16. The third portion 48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not accommodated in the block 12. I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24 of the block 12 and extends outward.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의 시공에 있어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홈(50)은 선택사항에 해당하고 구비될 필요가 없다. 이는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2부분이 모르타르층(47)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1부분(44)은 상기 블록(12)의 통로(40)로 들어가고, 상기 제2부분(46)은 상기 모르타르층(17)을 통해 상기 각각의 블록(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3부분은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상기 벽체(16)에 대체로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블록(12)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배열된다.When mortar i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10, the guide groove 50 is optional and need not be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18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rtar layer 47. When mortar is used in this way, the first portion 44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18 enters the passage 40 of the block 12 and the second portion 46 passes through the mortar layer 17.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30 or the bottom surface 32 of each block 12, the third portion being fix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16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It is arrang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ck of the block 12.

상기 통로(40)는, 상기 띠형 보강재(12)가 뒷채움과 다짐작업 후에 적용되는, 보강재에 장력을 가하는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임의의 각,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의 각으로 구부러진다면, 블록(12)의 최대 높이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음은 분명하다. 상기 통로(40)는 각각의 블록(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까닭에,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원형복귀성질의 탄성이 있어 90도까지 휠 수 있다. 상기 통로(40)는 블록(12)의 전면(22)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ssage 40 is a block 12 i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2 is bent at any angle, preferably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in order to resist tension forces exerting tension on the reinforcement, which is applied after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s. Obviously, it does not need to extend to the maximum height of the). The passage 40 is preferably in a generally perpendicul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30 or bottom surface 32 of each block 12. For this reason,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8 has a circular return property of elasticity can be bent up to 90 degrees. The passage 4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front side 22 of the block 12.

또한,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블록(12)에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될 것은 아니다. 띠형 보강재의 위치는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제1부분(44)이 통로(40)에 수용되도록 제1개구부(42)를 통해 블록(12)에 삽입되고, 상기 제2부분이 모르타르없는 시공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홈(50)에 수용되거나,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 모르타르층(47)에 수용되도록 구부러진다. 만약, 상기 통로(40)가 상기 블록의 바닥면(32)으로부터 상부면(30)까지 상기 블록(12)의 최대높이까지 연장된다면, 상기 통로(40)는 상기 상부면(30)에 구비된 제2개구부(52)에서 끝날 것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제1개구부(42) 또는 제2개구부(52)을 거쳐 상기 통로(40)에 삽입될 수 있다.Further,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not directly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block 12. The position of the band reinforcement is effectively fixed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operations. In general,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inserted into the block 12 through the first opening 42 so that the first portion 44 is received in the passage 40, and the second portion is mortar-free in construction. The guide groove 50 is bent or bent to be accommodated in the mortar layer 47 when mortar is used. If the passage 40 extends from the bottom face 32 of the block to the top face 30 to the maximum height of the block 12, the passage 40 is provided on the top face 30. It will end at the second opening 52.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8 may be inserted into the passage 40 via the first opening 42 or the second opening 52.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보강토공법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다른 소재 예를 들어 아연도금강띠, 고강도 폴리에스테를 편직물, 폴리머 섬유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The strip reinforcement 18 may be made of other materials known to be suitable for reinforcement earthwork applications, for example galvanized steel strips, high strength polyester, knitted fabrics, polymer fibers or high density polyethylene.

편리하게는, 각 띠형 보강재(18)는 지오메쉬와 같은 시트형태의 메쉬보강재로부터 잘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단일의 종부(single longitudinal section) 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통로(40)에 여전히 삽입가능한 경우, 다수의 횡부(horizontal section)에 의해 결합된 다수의 종부을 포함한다. 상기 벽체(16)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길이 는 상기 벽체(16)의 높이에 직접 비례하며 적어도 벽체높이의 0.7배의 길이가 되어야 한다. 연약토 및 과잉하중에 대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더욱 길어지고 많은 양이 되어야 한다.Conveniently, each strip-shaped reinforcement 18 can be cut out of a sheet-like mesh reinforcement such as a geomesh, and thus does not include only a single longitudinal section. The band reinforcement 18 includes a plurality of ends joined by a number of horizontal sections when still insertable into the passage 40. Th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18 necessary to stabilize the wall 16 should b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 wall 16 and be at least 0.7 times the height of the wall. For soft soils and overload, the band reinforcement 18 should be longer and larger.

상기 블록의 시공을 위한 재료는 본 발명의 작용에 있어 크게 중요하지 않다. 전형적으로 각 블록(12)은 시멘트, 물과 하나의 타입 또는 그 이상의 골재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콘크리트로부터 시공된다. 상기 블록은 지오폴리머(geopolymers), 석회석 또는 금속등을 포함하는 옹벽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자재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의 색상과/또는 조직은 중요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또는 지오폴리머에 산화제를 첨가하거나 미학적 고려에서 사용되는 골재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해질 수 있다.The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 is not of great importance for the operation of the invention. Typically each block 12 is constructed from concrete made of a mixture of cement, water and one or more aggregates. The block may be constructed of other materials known to be applicable to retaining walls, including geopolymers, limestone or metals. In addition, the color and / or organization of the blocks is not critical and can be varied, for example, by adding oxidants to concrete or geopolymers or by changing the aggregates used in aesthetic consideration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블록(12)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대해 지금부터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시공방법의 맥락에서 기술될 것이다. 그럼에도,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듯 무모르타르시공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o better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block 12 will now b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mortar. Nevertheless,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10 can be applied to mortarless construction as described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단계는 부지마련과 기초(60)의 포설이다. 상기 벽체(16)의 준설측 방향의 높이에 비례하여 계획된 길이의 보강재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벽체(16)의 지지측 지역이 굴착된다. 상기 굴착된 토양이 뒷채움토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부지토양의 벌개제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벽체의 종축 길이에 걸쳐 도랑을 파고 상기 기초(60)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거나 또는 쇄석,도로기초용 골재,밸러스트 또 는 거친 모래등과 같은 적당한 다짐가능한 입자성 자재를 포설하여 준비된다. 상기 기초(60)는 최상의 결과를 위해 상기 벽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평탄하여야 한다.The first stage is site preparation and laying of foundation (60). The support side region of the wall 16 is excavated to accommodate the reinforcement of the planned length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wall 16 in the dredging direction. If the excavated soil is to be used as part of the backfill soil, belay rooting of the ground soil should be made. Ditch over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wall and the foundation 60 is prepared by pouring concrete slabs or by laying suitable particulate material, such as crushed stone, road-based aggregates, ballast or coarse sand. The foundation 60 should be fla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all for best results.

상기 기층(62)은 기초(60)상에 놓인다. 블록을 사용하는 벽체에 있어 흔하듯, 무모르타르 시공에 있어서 기층의 배열이 불규칙한 경우 벽체의 높이가 올라감에 따라 그 불규칙의 정도가 심해지므로 시공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모르타르시공에 있어서는 기층의 불규칙이 모르타르의 양에 의해 시정될 수 있으므로 기층시공의 중요성은 무모르타르시공에 비해 적다. 기층 블록의 정확한 안착을 돕기 위해, 레이저싸이트(laser sight)와 같은 스트링라인(string line) 또는 다른 적당한 안내장비가 블록의 위치를 안내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블록의 위치를 잡은 후에는 전후좌우 방향에서 블록의 수준을 측정할 스피릿레벨(spirit level)과 같은 수준측량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요구되는 라인과 수준으로 주어진 블록위치의 조정을 돕기 위해 고무망치 또는 다른 적당한 데드블로우해머(dead blow hammer)가 사용될 수 있다. 기층의 수준이 고르지 않은 경우 필요하다면 적당한 레벨수정도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쐐기를 사용하여 수정될 수 있다.The base layer 62 rests on the foundation 60. As is common with walls using blocks, if the arrangement of bases is irregular in the construction of mortar, the degree of irregularity increases as the height of the walls increases, so special care is required during construction. In mortar construction, since the irregularities of the substrate can be corrected by the amount of mortar, the importance of the substrate construction is less than that of the mortar construction. To aid in the accurate seating of the base block, a string line such as a laser sight or other suitable guide equipment should be used to guide the block's location. After positioning the block, a leveling device, such as a spirit level, to measure the level of the block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should be used. Rubber hammers or other suitable dead blow hammers can be used to help adjust the given block position to the required line and level. If the level of the substrate is uneven, it can be modified if necessary using a suitable leveling tool, for example one or more wedge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층(62)은 상기 블록들이 준설라인(38) 아래로 일부 매설된다. 상기 기층블록의 부분적 매설은 상기 기층(62)에 보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준설라인(38)에서 상기 벽체(16) 아래로의 침하의 위험을 감소시켜준다. 상기 기층의 지지를 위해 어떠한 보강재의 사용도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블록(12)이 기층의 시공에 있어서 사용될 필요는 없다. 편리하다면 속이 꽉 찬 블록을 포함하여, 적당한 크기의 임의의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속이 빈 블록이 상기 기층(62)의 시공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블록의 공동은 배수용 골재나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와 같은 불투수성 자재로 속이 채워질 수 있다. 골재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골재는 상기 블록의 위치를 교란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기 공동에 단단히 다져지며 채워져야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ase layer 62 is partially buried below the dredging line 38. Partial embedding of the base block provides reinforcement to the base layer 62 to reduce the risk of settling down the wall 16 in the dredging line 38. No use of reinforcement is required for the support of the substrate. Thus, the block 12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layer. If it is convenient, any block of suitable size may be used, including a full block. If a hollow block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layer 62, the cavity of the block may be filled with an impermeable material such as drainage aggregate or concrete or cement. If aggregate is used, the aggregate must be firmly compacted and filled in the cavity, taking care not to disturb the position of the block.

상기 기층(62)이 놓이면, 적당한 속채움토가 상기 기층(62)의 배후에 뒷채움토(20)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뒷채움토(20)는 핸드탬퍼와 같은 적당한 다짐장치 또는 평탄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져진다. 다짐은 나라마다 다른 토목공사에 관한 표준시방서에 따라 수행된다. 옹벽의 완성에 대한 토목인증을 달성하기에 필요한 다짐정도를 평가하는 일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Once the base layer 62 is laid, a suitable stuffed soil is used as the backfill soil 20 behind the base layer 62. The backfill soil 20 is then compacted using a suitable compaction apparatus or flat compaction machine, such as a hand tamper. The commitment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ivil engineering works that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valuate the degree of compaction required to achieve civil certification for the completion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마지막 층(64)과 달리 블록(12)의 제2층과 후속층은 본 발명의 상기 블록(12)을 이용하여 시공된다. 각각의 후속층(14)을 배열하기 전에, 먼저 조적된 층의 블록(12)의 상부면에서 잔해물질 또는 표면의 이물질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다음 블록층의 배열을 위해 평탄한 표면을 제공한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블록(12)의 정확한 정열을 돕고자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스트링라인(string line)을 리셋하고 스피릿 레벨(spirit level)을 사용할 것이 바람직하다. 각 후속층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최대힘을 받을 수 있도록 수직이음새(66)들이 단을 지어 떨어지도록 시공된다. 상기 블록은 물론 신축결합(stretcher bond)에 의한 배열을 할 필요는 없다.Unlike the last layer 64, the second and subsequent layers of block 12 are constructed using the block 12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rranging each subsequent layer 14, debris or surface debris must first be remov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lock 12 of the layer being layered. This operation provides a flat surface for the arrangement of the next block layer.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reset the string line and use the spirit level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o assist in the correct alignment of the block 12. The joining of each subsequent layer is generally constructed such that the vertical seams 66 are stepped apart in order to receive maximum force. The blocks, of course, do not have to be arranged by stretcher bonds.

도 5를 참조하면, 띠형 보강재(18)은 제1개구부(18)을 통하여 제1부분(44)이 상기 통로(40)안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통로(40)안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18)은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1개구부(42)로부터 상기 배면(24)방향으로 상기 바닥면(32)을 따라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구부러진다. 이후 모르타르(47)이 타설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18)가 삽입된 상기 블록(12)은 선행층을 형성하는 상기 블록(12) 위에 조적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은 상기 블록(12)으로부터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를 제자리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뒷채움과 다짐은 각각의 층(14)이 놓이거나 상기 벽체(16)가 완성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기층(62)의 포설에 대하여 상기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band reinforcement 18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40 such that the first portion 44 is received into the passage 40 through the first opening 18. At this time,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8 is bent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extends along the bottom surface 32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24 from the first opening 42. The block 12, in which the mortar 47 is poured and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inserted, is then assembled onto the block 12 forming the preceding layer. The third portion 48 of the strip reinforcement 18 extends from the block 12 toward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Backfilling and compaction may be performed after each layer 14 is laid or after the wall 16 is completed to secure the strip reinforcement 18 in place and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laying of the base layer 62. It may be carried out in a similar manner as the above.

상기 제2층과 그 이후 후속되는 층(14)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조적된 후 뒷채움 바로 직전에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중 어느 하나가 상기 벽체(16)에 대략 수직이 되고 상기 블록(12)의 각기 상부면(30)과 바닥면(32)에 관하여 대체로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방향을 잡는다. 그후 어느 하나의 제3부분(48)은 다음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채우기용 토양으로 덮여질 때 상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중에 작업조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블록깔기작업중에 띠형 보강재(18)를 상기 블록(12)로 삽입하는 블록쌓기조와 상기 벽체의 완성후에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상기 제3부분의 위치를 잡아주는 지반다짐조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ny one of the third portions 48 of the strip stiffener 18 is approximately at the wall 16 just before backfilling after any or all of the second and subsequent layers 14 have been deposited. Orient to be perpendicular and generally coplanar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30 and bottom surface 32 of each of the blocks 12. The third portion 48 is then held in position when covered with the filling soil during the next backfill and compaction operation. Advantageously, it is possible to use the work tank separately during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block stacking tank into which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18 is inserted into the block 12 during the block laying operation, and the ground compaction tank to hold the third portion during the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all. .

추가되는 층들(14)는 상기 벽체(16)가 요구되는 높이에 이르기전까지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적된다.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상기 벽체(16)뒤의 뒷채움(20)의 중량은 상기 벽체가 상기 준설측(34)쪽으로 기울게 할 수 있다. 이를 상 쇄하기 위해서, 각 층(14)은 뒷채움을 하기 이전에 완성된 상기 벽체(16)가 상기 지지측(36)방향으로 2%만큼 또는 그 이상 후방으로 기울도록 상기 선행층(14)로부터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 방향으로 약 4mm만큼 또는 그 이상 물러나게 조적될 수 있다. 뒷채움과 다짐 후에 상기 벽체는 대체로 수직을 이루게 된다.The additional layers 14 are assembled in this way until the wall 16 reaches the required height.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the weight of the backfill 20 behind the wall 16 may cause the wall to tilt toward the dredging side 34. In order to offset this, each layer 14 may be removed from the preceding layer 14 such that the finished wall 16 is inclined rearward by 2% or more towards the support side 36 prior to backfilling. It may be retracted by about 4 mm or mor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After backfilling and compaction, the wall is generally vertical.

만약 원한다면, 상기 벽체에 더 나은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지막 층(64)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캡핑(64)은 방수공사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16)를 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 상기 블록(12)에 구비된 상기 통로(40)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속이 꽉 찬 형태일 수 있다.If desired, the last layer 64 may take the form of capping as shown in FIG. 7 to create a better aesthetically pleasing appearance to the wall. The capping 64 may be fixed using a waterproof adhesive and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passage 40 provided in the block 12 used to construct the wall 16. It may be in the form full.

지지되는 토양이 점토와 같이 낮은 투수율을 가진 경우에는, 벽체의 측면에 대한 정수압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용골재(104)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과 바로 인접한 곳에 포설될 수 있다.If the soil to be supported has a low water permeability, such as clay, drainage aggregate 104 may be installed directly adjacent to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to prevent an increase in hydrostatic pressure on the side of the wall. have.

본 발명의 상기 블록에 관한 제2실시예가 도 8에서 10까지 도시되고 있으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이런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12)은 다수의 공동(72)이 구비된다.(이곳 예에서,2개의 공동이 구비된다) 각각의 공동(72)은 상기 블록(12)의 최대높이까지 연장되고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상기 블록(12)의 통로(4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블록(12)은 이하에서 속이 빈(hollow) 블록으로 언급될 것이다. 속이 빈 블록(12)을 이용하는 이점 중의 하나는 각 블록의 효율적인 중량이 동등한 크기의 속이 찬 블록보다 중량이 덜 나가가고 운반,쌓기,깔기가 더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공 동(72)은 제1실시예의 상기 통로(40)보다 더 큰 용적을 가지고 있어 상기 띠형 보강재의 삽입이 더 용이하다는 것이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block of the invention is shown from Figs. 8 to 10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In this embodiment, the block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vities 72 (in this example, two cavities are provided). Each cavity 72 extends to the maximum height of the block 12. And the same function as the passage 40 of the block 12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se blocks 12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hollow blocks. One advantage of using the hollow blocks 12 is that the efficient weight of each block is less weight and easier to transport, stack, and lay than equivalent sized hollow blocks.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cavity 72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passage 40 of the first embodiment, making inse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easier.

무모르타르 시공을 위하여, 각각의 속이 빈 블록(12)은 상기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홈(5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곳에서, 상기 가이드 홈(50)은 필요하지 않다. 가이드 홈(50)이 상기 각 공동(72)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For mortar construction, each hollow block 12 is characterized by having one or more guide grooves 50 which perform the functions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Where the mortar is used, the guide groove 50 is not necessary. Guide grooves 50 need not be provided in the respective cavities 7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여러 측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속이 빈 블록(12)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무모르타르 시공방법이 도 8부터 10을 참조하여 이하 기술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모르타르를 사용한 시공에도 동등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tar tar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hollow block 12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Point to.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10 is equally applicable to construction using mortar similarly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속이 빈 블록(12)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16)를 시공하는 동안 상기 기초(60)과 기층(62)는 제1실시예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포설될 것이다. 뒷채움과 다짐은 상기 기층(62)이 놓인 후에 수행된다.While constructing the wall 16 using the hollow block 12, the foundation 60 and base 62 will be lai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Backfilling and compaction are performed after the base layer 62 is placed.

상기 제2 및 각기의 후속 블록층(12)(최종 블록층(64)를 제외하고)은 상기 속이 빈 블록(12)을 사용하여 시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띠형 보강재(18)는 제1부분이 상기 공동(72)안으로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동(72)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이때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50)에 수용되도록 대체로 90도의 각까지 굴곡 된다. 상기 제1부분(44)이 상기 벽체(16)를 전복시키려는 힘에 대한 저항을 최대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블록(12)의 전면(22)쪽 의 상기 공동(72)안에 위치하게 된다.The second and each subsequent block layer 12 (except the final block layer 64) is constructed using the hollow block 12. Referring to FIG. 9, the band reinforcement 18 penetrates through any one of the cavities 72 in such a way that a first portion is received into the cavity 72.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then bent to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such that the second portion is received in the guide groove 50. The first portion 44 is positioned in the cavity 72 towards the front face 22 of the block 12 to provide maximum resistance to the force to overturn the wall 16.

상기 띠형 보강재(18)가 삽입된 채로 상기 속이 빈 블록(12)은 선행층(14)을 이루는 상기 블록의 위에 설치될 때, 상기 가이드 홈(50)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 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 각각의 새로운 층이 놓일 때 또는 그 후에, 상기 속이 빈 블록의 공동(72)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성 자재 또는 배수용 골재와 같은 투수성 자재의 형태로 상당한 밸러스트(76)로 속이 채워진다. 배수용 골재가 사용되는 곳에서, 상기 자재는 빈 공간이 없도록 다져져야 한다. 상기 밸러스트(76)은 벽체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기 공동(72)과의 관계에서 띠형 보강재(18)의 위치를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뒷채움과 다짐작업 중에 상기 블록의 거동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배수용 골재는 또한 띠형 보강재가 상기 공동(72)의 배후의 모서리에 접촉하게 된다면 생길지 모를 손실로부터 띠형 보강재를 보호하는 쿠션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콘크리트는 휨력에 약하기 때문에 상기 골재는 띠형 보강재(18)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더 큰 표면 즉 상기 공동(72)의 내부 배면(80)으로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When the hollow block 12 is installed on top of the block forming the preceding layer 14 with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18 inserted, the guide groove 50 is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Position in the direction. When or after each new layer is placed, the hollow block cavity 72 is filled with a significant ballast 76 in the form of an impermeable material such as concrete or drainage aggregate, for example. Where drainage aggregates are used, the material should be compacted so that there is no empty space. The ballast 76 provides stability to the wall and helps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in relation to the cavity 72 and to prevent the block from behaving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do. The drainage aggregate also acts as a cushion to protect the strip reinforcement from losses that would occur if the strip reinforcement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cavity 72. Moreover, because concrete is weak in flexural forces, the aggregates help to distribute the tensile forces acting on the band reinforcement 18 to a larger surface, ie the inner back 80 of the cavity 72.

상기 속이 빈 공동(72)이 상당한 밸러스트(76)로 속이 채워진 후, 상기 벽체(16)는 적당한 속채움 토양을 사용하여 뒷채움되며 상기 기층(62)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다져진다. 제2 또는 후속층(14)이 놓인 후 뒷채움을 하기 바로 전에,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이 상기 벽체(18)에 대략 수직이 되고, 대체로 상기 블록(12)의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방향을 잡는다. 이후 제3부분(48)은 각 층(14)이 깔린 후 속채움 흙이 덮일 때 또는 벽체(16)이 완성된 때 에 상기 위치에 고정된다.After the hollow cavity 72 is filled with a substantial ballast 76, the wall 16 is backfilled using a suitable stuffed soil and compac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62. Immediately after the second or subsequent layer 14 is laid and just before backfilling, the third portion 48 of the strip reinforcement 18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wall 18 and generally the bottom of the block 12. Orientation is coplanar with plane 32. The third portion 48 is then fixed at this position when each layer 14 is laid and when the stuffing soil is covered or when the wall 16 is completed.

도 9 및 10과 관련하여,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띠형 보강재(18)의 제4부분(74)이 상기 공동(72)안에 수용되는 제1부분(44)으로부터 연장되어 띠형 보강재(18)의 효과적인 길이가 대략 2배가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상기 제4부분(74)은 막 놓인 층(14)에 뒷채움 및 다짐하는 동안 벽체(16)의 준설측(34) 위에 걸쳐 덮이도록 한다.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제3부분(48) 및 제4부분(74)은 먼저 다짐된 토양 위에 놓이고 벽체(16)에 대략 수직이 되고 각각의 속이 빈 블록(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방향을 잡는다.9 and 10,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part 44 in which the fourth portion 74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received in the cavity 72,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t is different in that it extends so that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18 is approximately doubled. The fourth portion 74 is covered over the dredging side 34 of the wall 16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of the layer 14 overlying the membrane.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the third and fourth portions 48 and 74 are first placed on the compacted soil and are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wall 16 and the top surface 30 of each hollow block 12. Orient so as to lie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32).

추가되는 층(14)들은 벽체(16)가 필요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기 방법으로 놓인다. 원한다면, 마지막 층(64)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캡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뒷채움과 다짐은 각 층(14)이 놓인 후 또는 벽체(16)가 완성된 후에 수행된다.The additional layers 14 are laid in this way up to the height at which the wall 16 is required. If desired, the last layer 64 may take the form of capping as described above. Backfilling and compaction are performed after each layer 14 is laid or after the wall 16 is completed.

상기 벽체(16)의 인접층(14)간의 전단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자, 상기 시스템(10)은 도 9에서 도시된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다수의 직사각형 블록의 형태를 띠고 공동(72)에 밸러스트(76)이 채워지기 전에 공동(72) 내로 삽입되는 다수의 쉬어 핀(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친 골재가 공동 내에 밸러스트(76)로써 채워진 경우에는 그 자체의 입자들에 의해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쉬어 핀(82)의 사용은 전적으로 선택사항이라 점은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상기 공동(72)이 거친 골재로 채워진 경우, 인접한 층의 인접 블록과의 관계에서 하 나의 블록(12)의 거동은 상기 거친 골재의 입자들 서로 간의 변형을 필요로 한다. 배수용 골재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인접층간에 전단변형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력을 제공한다.In order to provide resistance to shear deformation between adjacent layers 14 of the wall 16, the system 10 takes the form of a plurality of rectangular blocks made of concrete shown in FIG.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heer pins 82 inserted into the cavity 72 before 76 is filled. It is noteworthy that when coarse aggregate is filled with ballast 76 in the cavity, resistance to shear forces can be obtained by its own particles, so the use of the shear pins 82 is entirely optional. When the cavity 72 is filled with coarse aggregate, the behavior of one block 12 in relation to adjacent blocks of adjacent layers requires deformation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coarse aggregate. Aggregate particles for drainage are generally the same size and are therefore not suitable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us providing additional resistance to shear deformation between adjacent layers.

비록 성가실지라도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층(14)에 다수의 블록(12)을 관통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과잉하중이 예상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모든 블록(12)에 하나의 길이의 띠형 보강재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벽체시공을 위해 필요한 띠형 보강재의 양, 벽체의 높이, 예상하중 및 뒷채움 타입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cumbersom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band reinforcement through the plurality of blocks 12 in the adjacent layer 14 as shown in FIG. It should be noted that unless overload is expected, not all blocks 12 need to be provided with one length of band reinforcemen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determine the amount of band reinforcement, wall height, expected load and backfill type required for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의 띠형 보강재 시스템(10)과 블록(12)의 제3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부분을 가리킨다. 건축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 옹벽은 대개 배관, 전기, 기초공사등과 같은 다른 공종에 앞서서 설치된다. 여기 제3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0)은 전이대(92)에서 상부(94)와 하부(96)로 나뉘는 혼합식벽(90)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식벽의 하부(96)는 상기 제1 및 2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공된 보강토 옹벽(16)이다. 하부(96)가 놓이고 혼합식벽(90)의 지지측(36)에 뒷채움과 다짐작업이 수행된다. 이후, 상기 혼합식벽의 상부(94)는 상기 전이대(92)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중력식 옹벽으로서 시공된다. 상기 중력식 옹벽(94)는 배경기술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system 10 and the block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1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In construction sites, retaining walls are usually installed ahead of other constructions such as plumbing, electricity, and foundation work. In this third embodiment, the system 10 comprises a mixed wall 90 which is divided into a top 94 and a bottom 96 at the transition zone 92. The lower portion 96 of the mixed wall is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16 constructed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lower part 96 is placed and backfilling and compacting are performed on the supporting side 36 of the mixed wall 90. The top 94 of the mixed wall is then constructed as a gravity retaining wall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ransition zone 92. The gravity retaining wall 94 i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background art.

상기 상부(94)는 혼합식벽(90)의 상부(94)의 시공에 사용되는 블록의 공동(72)을 관통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다수의 봉강(steel bar)을 위치시킴으 로써 강보강 캔틸레버 옹벽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공동(72)은 그 이후에 상기 봉강을 제자리에 고정시킬 콘크리트로 채워진다. 다수의 쉬어 핀(82)이 하부(96)에 대한 상부의 전단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자 전이대(92)에 있는 혼합식벽의 하부(96)의 최상단층에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94 penetrates the cavity 72 of the block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portion 94 of the mixed wall 90 by placing a plurality of steel bars (not shown in the figure) to strengthen the steel. It may have the form of a cantilever retaining wall. The cavity 72 is then filled with concrete that will hold the bar in place. A number of shear pins 82 may be installed on the top layer of the bottom 96 of the mixed wall in the transition zone 92 to provide resistance to shear deformation at the top relative to the bottom 96.

상기 제3실시예는 옹벽의 상단부 0.1~0.9m는 효과적으로 자가지지(self-supporting)가 가능하다는 인식에 기초를 두었다. 상기 전이대(92)의 두께는 부분적으로 옹벽의 지지측에 시공되는 시설 또는 구조의 예상되는 깊이에 의존하나, 전이대의 두께는 1m를 초과하지않을 것이며 혼합식벽(90)의 최종 예상높이 아래 약 0.4~0.6m에 있게 될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0.1-0.9m of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effectively self-support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ition zone 92 depends in part on the expected depth of the facility or structure being constructed on the support side of the retaining wall, but the thickness of the transition zone will not exceed 1 m and is about 0.4 below the final expected height of the mixed wall 90. It will be at ~ 0.6m.

보강토방벽(98)(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은 대체로 상기 하부(96)의 최상층(14)의 상부면(30)과 동일평면상에서 전이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벽(98)은 완성된 옹벽에 인접하여 나중에 시공될 건물의 작동중에 있을지 모를 손실로부터 상기 띠형 보강재(18)를 보호하기 위해 시각적 또는 물리적 방벽으로써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방벽(98)은 후속 굴착작업중에 전이대에 도달하였음을 보여주는 시각적 지시자 역할을 제공하는 얇은 판상의 플라스틱 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벽(98)은 후속굴착으로부터의 관통을 방지하여 그 아래의 띠형 보강재를 보호하는 물리적 저항력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A 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 98 may be installed in the transition zone on the same plane as the top surface 30 of the top layer 14 of the bottom 96. The barrier 98 acts as a visual or physical barrier to protect the strip stiffener 18 from losses that may be in operation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later adjacent to the completed retaining wall. Thus, the barrier 98 may take the form of a thin plate-shaped plastic strip that serves as a visual indicator that the transition zone has been reached during subsequent excavation work. Alternatively, the barrier 98 may take the form of a concrete slab that prevents penetration from subsequent excavation and provides physical resistance to protect the strip reinforcement below it.

본 발명의 시스템(10)과 블록(12)의 제4실시예는 도 12와 13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실시예는 수분에 대해 낮 은 투수율을 가진 점토질 토양과 같은 뒷채움재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특별히 다루기 위해 계획된 것이다. 토양의 낮은 투수율로 인해, 상기 뒷채움(20)은 강수와 같은 것에 의해 장시간 포화된 상태로 있게되어 벽체(16)의 지지측(32)에 저장된 수분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로 인해 상기 벽체(16)에 대한 정수압이 증가하게되어 벽체의 지지측(32)에 대한 압력을 효과적으로 가하게 된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system 10 and block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2 and 13.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This example is designed specifically to addres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use of backfills such as clay soils with low water permeability. Due to the low water permeability of the soil, the backfill 20 remains saturated for a long time, such as by precipit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oisture stored on the support side 32 of the wall 16. This increases the hydrostatic pressure on the wall 16 to effectively apply pressure on the support side 32 of the wall.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16)의 기층쪽에 위치하고 투수층(104)로부터 준설측(34)쪽으로 연장된 배수로(106)를 통해, 벽체 뒤에서 중력에 의해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벽체(16)의 지지측(32)에 인접하게 배수용 골재와 같은 투수성자재로 된 투수층(104)을 수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배수용 골재는 전형적으로 투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히 크고 고른 석질의 입자로 구성될 것이다. 상기 투수층(104)은 각 층(14)이 놓임에 따라 하여 분할해체식으로 포설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18)가 투수층을 거쳐 뒷 편의 뒷채움과 다짐된 토양에 정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벽체(16)는 상기 먼저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시공된다.As a means for overcoming this problem, the wall 16 is arranged to flow water by gravity behind the wall through a drainage channel 106 located at the base of the wall 16 and extending from the permeable layer 104 toward the dredging side 34. Adjacent to the support side 32 is a method of vertically positioning the permeable layer 104 made of a permeable material such as a drainage aggregate. The drainage aggregate will typically consist of particles of large enough and even stone to ensure permeability. The permeable layer 104 may be installed in a separate dismantling manner as each layer 14 is laid so that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8 may settle in the backfill and compacted soil through the permeable layer. On the other hand, the wall 16 is construct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배수용골재는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작업자에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블록쌓기조는 블록의 다음 층을 깔기 전에 느슨한 돌들을 제거해야만 한다. 더욱이, 상기 투수층(104)은 자가지지력(self-supporting)이 없어서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더 두꺼운 층을 가지게 되어 결국 자재비 및 설치비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Drainage aggregates can be easily removed by the operator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The block stack must remove loose stones before laying the next layer of blocks. Moreover, the permeable layer 104 lacks self-supporting, which may result in a thicker layer than would otherwise be necessary,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terial and installation costs.

이러한 잠재적 문제를 덜기 위해서, 상기 제2실시예의 속이 빈 블록이 점토 질 토양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만약 상기 공동(72)이 배수용 골재로 채워진다면, 벽체 자체가 상기 투수층(104)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속이 빈 블록(12)에 마련된 가이드 홈(50)이 지지측(36)의 물을 배수용 골재로 채워진 공동(72)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층(62)의 시공에 사용된 블록(12)은 가이드 홈이 벽체 자체로부터 배수가 되도록 투수층(104)로부터 나온 물을 준설측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반대로 놓이게 된다.To alleviate this potential problem, the hollow block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clay quality soils. If the cavity 72 is filled with drainage aggregates, the wall itself can serve as the permeable layer 104 and the guide groove 50 provided in the hollow block 12 receives water from the support side 36. It performs the function of guiding the cavity 72 filled with drainage aggregates. In this embodiment, the block 12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layer 62 is placed so as to be able to flow water from the water permeable layer 104 to the dredging side so that the guide groove is drained from the wall itself.

상기 가이드 홈(50)의 크기와 형태는 주어진 지리적 위치에서 뒷채움재(20)의 알려진 우수 처리용량보다 더 빠른 비율로 배수를 할 수 있도록 최대 예상 강우량에 대비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속이 빈 블록의 채워진 공동으로 정의되는 상기 투수층(104) 내부에 축적된 액체는, 상기 기층(62)을 형성하는 반대로 놓인 블록(12)의 가이드 홈(50)을 통해 액체의 흐름을 가속하는 압력헤드(a head of pressure)를 생성한다.The size and shape of the guide groove 50 may vary in relation to the maximum anticipated rainfall to allow drainage at a faster rate than the known stormwater treatment capacity of the backfill material 20 at a given geographical location. The liquid accumulated inside the permeable layer 104, defined as a hollow cavity of the hollow block, is a pressure that accelerates the flow of liquid through the guide groove 50 of the block 12 that is placed opposite to form the base layer 62. Create a head of pressure.

이러한 제4실시예의 상기 기층(62)은 반대로 놓인 속이 빈 블록(12)을 사용하여 시공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벽체(16)에 투수층(104)안의 액체의 흐름을 준설측(34)쪽으로 유도할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크기의 배수로가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면 제1실시예의 속이 찬 블록 또는 어느 다른 솔리드 블록타입을 사용하여 동등하게 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ase layer 62 of this fourth embodiment does not need to be constructed using the hollow blocks 12 plac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guides the flow of liquid in the permeable layer 104 to the dredging side 34 on the wall 16. Of course, if at least one drainage of a suitable size is provided, it can be equally constructed using the solid block or any other solid block type of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시스템(10)과 블록(12)의 제5실시예가 도 14에 도시되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제1 및 2실시예에서 간략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띠형 보강재(18)의 길이는 상기 벽체(16)의 예상 높이에 직접 비례한다. 이러 한 점에서 벽체가 높은 경우, 특히 약 1.6m 이상인 경우에는 띠형 보강재를 통로(40) 또는 공동(72)을 관통하여 꿰기가 어려워진다. 벽체(16)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72) 또는 통로(40)를 관통하여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블록층을 깔 때 쉽게 말리고 걸리기 쉬운 띠형 보강재(18)의 긴 길이를 일반적으로 다루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A fifth embodiment of the system 10 and block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4,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As briefly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length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expected height of the wall 16. In this regard, when the wall is high, particularly about 1.6 m or more, it is difficult to sew the band reinforcement through the passage 40 or the cavity 72. As the height of the wall 16 increases, it is not only difficult to insert the band reinforcement through the cavity 72 or the passage 40, but also the long length of the band reinforcement 18 which is easy to dry and catch when laying each block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generally difficult to deal with.

상기 문제는 띠형 보강재를 짧은 삽입부(100)와 이보다 긴 자유부(102)로 나눔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각각의 짧은 삽입부(100)는 제1~3실시예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긴 자유부(102)가 각 층(14)이 완성되거나 상기 벽체(16)가 완성된 후에 뒷채움과 다짐작업을 하는 동안 분리하여 놓이게 된다. 각 자유부(102)는 해당 삽입부(100)에 부착되어 고정되거나 뒷채움(20)내의 임의 깊이에 지지측(32) 벽체(16)로부터 이격되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놓일 수 있다.The problem can be overcome by dividing the strip reinforcement into shorter inserts 100 and longer free portions 102. Each short insert 100 can be inserted as described in any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long free portion 102 is then placed apart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ng after each layer 14 or the wall 16 is completed. Each free portion 102 may be attached to and secured to the corresponding insert 100 or may be positioned to extend generally vertically spaced from the support side 32 wall 16 at any depth within the backfill 20.

뒷채움과 다짐후에, 상기 삽입부(100)와 분리되거나 상호의존적으로 상기 자유부(102)를 설치하는 것의 결합효과는, 만약 자유부(102)가 벽체(16)의 지지측(32)로부터 적어도 뒷채움(20)의 예상 파괴면을 지나 연장된다면, 하나의 연결된 띠형 보강재(18)를 포설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파괴면(110)은 벽체의 준설라인(38)과 β각을 이루고 상기 β각은 지지되는 뒷채움(20) 타입과 상관관계가 있는 랭킨각(또는 내부마찰각)이 된다.After backfilling and compaction, the coupling effect of installing the free part 102 separately or interdependently with the insert 100 is that if the free part 102 is at least backfilled from the support side 32 of the wall 16. If it extends beyond the anticipated fracture surface of (20), it is equivalent to laying one connected strip reinforcement (18). The fracture surface 110 forms a β angle with the dredging line 38 of the wall, and the β angle becomes a Rankine angle (or internal friction angle) that is correlated with the supported backfill 20 type.

상기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 유리한 점은 짧은 벽체에도 마찬가지로 분리된 작업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블록쌓기조는 삽입부(100)을 블록(12)에 삽입하는 일을 담당하고 지반다짐조는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자유부(102)를 설치하는 일을 담당한다.A further advantage with this embodiment is that it is also possible to use separate working vessels for short walls as well. That is, the block stacking tank is responsible for inserting the insert 100 into the block 12, and the ground compaction tank is responsible for installing the free portion 102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상기 삽입부(100)와 자유부(102)는 띠형 보강재형태로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지오메쉬와 같은 격자 또는 시트형태의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더욱 인식되어진다. 이와 같이, 도 15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을 도시하면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실시예의 블록(112)은 보강토 옹벽의 시공에 상용되는 표준형태이거나 상기 제1 내지 5 실시예에서 기술된 블록(12)일 수 있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상기 벽체(16)을 뒷채움(20)에 정착하기 위한 제1보강재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재구간은 벽체(16)의 인접층인 14'와 14"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블록(112)의 배면(2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도 15에 도신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은 짧은 지오메쉬 형태이다. 도 14와 관련하여, 제1보강재 구간(114)은, 만약 도 14에서 도시된 삽입부(100)와 같은 연장된 띠가 인접층인 14'와 14"사이에 배열되고 벽체(16)의 지지측(36)상의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도 14에서 도시된 삽입부(100)와 같은 연장된 띠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연장된 띠는 블록을 관통할 필요가 없다는 점은 물론이다.It is further recognized that the insertion portion 100 and the free portion 102 need not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reinforcement, but may use a grid or sheet reinforcement such as a geomesh. As such, FIG. 15 shows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10,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The block 112 of this embodiment may be a standard form commonly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r may be the block 12 described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110 includes a first reinforcement section for fixing the wall 16 to the backfill 20.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is arranged between the 14 'and 14 "adjacent layers of the wall 16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back 24 of the block 112.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is in the form of a short geomesh.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if the extended strip, such as the insert 100 shown in Fig. 14 is an adjacent layer 14 '. And between 14 "and extend outward from the back of the block on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the same may be provided using an elongated strip such as the insert 100 shown in FIG. Of course, the elongated straps do not need to penetrate the block.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에 뒷채움되고 다짐된 토양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제2보강재 구간(1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보강재 구간은 제1보강재 구간(114)과 이격되어 있으며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벽체(16)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보강재 구간(116)은 더 큰 판상의 지오메쉬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지오메쉬는 제1보강재 구간(114)과 이격되어 있다. 지오메쉬가 선호되는 반면에, 특정한 토양환경에서 풍화에 견딜 수 있으며 통상의 예상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진 적당한 자재로써 다른 종류의 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110 further includes a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to stabilize the soil backfilled and compacted to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and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16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Referring to FIG. 15,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arger plate geometry, and the geomes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While geomesh is preferred, other types of stiffeners can be used as suitable materials that can withstand weathering in certain soil environments and have sufficient tensile strength to withstand normal expected loads.

도 15에서, 상기 제2보강재 구간(116)은 벽체(16)의 지지측(36)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2보강재 구간(116)이 벽체의 지지측상의 블록의 배면과 이격되어있음은 물론이다.In FIG. 15,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is located directly adjacent to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16. Of course,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of the block on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도 1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 및 제2보강재 구간(116)은 각각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열되며 제1보강재 구간(114)는 제1층(118)을 이루고 상기 제2보강재 구간(116)은 제1층(118)과 이격되어 제2층(120)으로 배열된다. 제1층과 제2층간의 간격은 여러 요인에 의해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1m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are each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same plane and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is formed on the first layer ( 118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yer 118 and is arranged as the second layer 120.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varies depending on a number of factors but is generally not expected to exceed 1 meter.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는 뒷채움과 다짐하기 직전에 각기 하나 이상의 블록(1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에 동일평면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보강재 구간(116)은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될 필요는 없으나 상부면(30)과 바닥면(32) 사이의 높이에서 상기 블록(112)와 교차하는 평면(122)과 일직선이 되게 배열된다.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is arranged in the same plane on the top surface 30 or bottom surface 32 of each of the one or more blocks 112 just before the backfill and compaction.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need not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top surface 30 or the bottom surface 32, but the block 112 at the height between the top surface 30 and the bottom surface 32. It is arranged to be in line with the plane 122 intersecting with.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은 모르타르를 사용하거나 상부층을 이루는 블록의 자연적인 중량아래에서 중력에 의해 인접한 층 14'와 14"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may be maintained between adjacent layers 14 'and 14 "by gravity using the mortar or under the natural weight of the block forming the top layer.

뒷채움(20)에 사용된 토양의 종류 및 질을 포함하는 여러 요인에 의하여 상 기 제2보강재 구간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벽체(16)의 높이의 60%, 70% 또는 80%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뒷채움(20)의 파괴면을 지나서 연장되어야 한다. 옹벽의 높이, 과잉하중과 상부경사각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경사의 안정도,토양의 내부마찰각 β,토양의 점착력, 토양의 수분단위중량등의 요인에 의존하여 특별한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제2보강재 구간(116)의 양과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낮은 질의 토양에서는, 옹벽에 충분한 안정성을 주기 위하여 더 큰 제2보강재 구간(116)이 요구될 수 있다. 더 많은 양의 보강재가 사용되는 곳에서, 각기 독립된 부분에 미치는 하중이 작은 만큼, 각 부분의 인장강도는 더 클 필요는 없다.The length of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may be at least 60%, 70% or 80% of the height of the wall 16, depending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quality of the soil used in the backfill 20. It must extend past the fracture surface of the backfill 20.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required for special application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height of retaining wall, excessive load and upper inclination angle, as well as factors such as slope stability, soil internal friction angle β, soil adhesion and soil moisture unit weight (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determine the amount and length of 116). For example, in low quality soils, a large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may be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stability to the retaining wall. Where higher amounts of stiffeners are used, the smaller the load on each independent part, the greater the tensile strength of each part need be.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6)는 가이드 홈(50)이 요구되지 않는 예외를 보여주는 상기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술된 속이 빈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될 수 있다. 상기 속이 빈 블록(112)의 공동(72)은 상기에서 기술된 밸러스트(76)을 수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러스트(76)은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성 자재로 이루어지며 블록(112)의 공동에 채워진다.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쉬어 핀(82)이 제1층(14')이 인접한 제2층(14")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에 저항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벽체(16)의 지지측(36)으로부터 준설측(34)로 유도하는 것으로 설정된 배수로(106)가 필요한 경우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뒷채움이 점토질 토양인 경우 벽체에 가해지는 정수압을 제거하기위해 특히 유리한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서 혼합식벽(90)의 시공에도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wall 16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hollow block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exception that the guide groove 50 is not required. The cavity 72 of the hollow block 112 consists in receiving the ballast 76 described above. The ballast 76 is made of an impervious material such as drainage aggregate or concrete and is filled in the cavity of the block 112. If desired, one or more shear pins 82 may be provided to resist the first layer 14 'from slipping from the adjacent second layer 14 ". A drainage passage 106 set up to lead from the dredging side 34 from 36 may be provided, which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to remove the hydrostatic pressure applied to the wall if the backfill is clay soil. 110 may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mixed wall 90 by a similar method as described above.

보강토 옹벽(110)의 시공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가 도 15를 참조하여 무모르타르시공의 맥락에서 이제부터 기술될 것이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모르타르은 제1보강재 구간(114)의 위치를 인접한 층(14)사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110 will now b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mortarless construction with reference to FIG. 15.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110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of using mortar, of course. The mortar serv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between the adjacent layers 14.

기초(60)와 기층(62)은 상기 기술된 바와 비슷한 방법으로 놓인다. 일단 상기 기층(62)가 놓이면, 나라마다 다를지 모를 토목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해 적당한 채움재가 기층(62)의 뒷채움재로 사용되고 다져진다. 후속층이 놓이기 전에 제1보강재 구간(114)이 상기 벽체(16)를 뒷채움(20)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기층(62)을 형성하는 블록(112)의 상부면(30)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는 블록(112)의 지지측(36)상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제1보강재 구간(114)는 벽체(16)의 전 구간을 따라 연장될 필요는 없으며 벽체를 형성하는 인접한 층(14)간에 마련될 필요는 없다. 무모르타르 시공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토 구간(114)은 그 위에 놓이는 다음 층의 블록의 하중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시공에 있어서는, 상기 모르타르층(47)은 뒷채움 이전에 제1보강토 구간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Base 60 and base 62 are laid in a similar manner as described above. Once the base 62 is placed, a suitable fill material is used and compacted as the back fill material of the base layer 62 by civil engineering standard specifications that may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is arranged along the top surface 30 of the block 112 forming the base layer 62 to anchor the wall 16 to the backfill 20 before the subsequent layer is laid.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extends outward from the back surface on the support side 36 of the block 112.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need not extend along the entire section of the wall 16 and need not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layers 14 forming the wall. In the mortar construction, the first reinforced soil section 114 is held in place by the load of the block of the next layer overlying it. In the construction using mortar, the mortar layer 47 helps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ed soil section before backfilling.

상기 제2보강토 구간(116)은 각 층(14)이 놓이거나 벽체(16)이 완성된 후에 수행될 수 있는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포설되며 기층(62)의 포설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시공된다. 제2보강토 구간(116)은 제1보강토 구간(114)은 이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2보강토 구간의 위치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블록(112)의 배면에 뒷채움 및 다짐을 하는 동안 벽체(16)에 대체로 수 직으로 연장된다. 추가되는 층(14)은 상기 벽체(16)가 필요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기 방식에 의해 포설된다.The second reinforced soil section 116 is installed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operations that can be performed after each layer 14 is laid or the wall 16 is completed and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laying of the base layer 62. It is constructed similarly to The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116 is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114 is spaced apart, and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ng the back of the block 112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It is generally extended vertically in (16). The additional layer 14 is laid in this way up to the height at which the wall 16 is required.

원한다면, 마지막 층(64)은 옹벽에 좀더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 7에서 도시된 바대로 캡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지지되는 토양이 점토와 같이 낮은 투수율을 갖는 경우에는, 배수용 골재층(104)을 벽체의 배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증가를 막고자 벽체의 지지측(36)에 바로 인접한 곳에 포설할 수 있다.If desired, the last layer 64 may take the form of capping as shown in FIG. 7 to give the retaining wall a more aesthetically pleasing appearance. If the soil to be supported has a low water permeability, such as clay, the drainage aggregate layer 104 may be installed directly adjacent to the support side 36 of the wall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hydrostatic pressure acting on the back of the wall.

만약 속이 빈 블록이 상기 벽체(16)의 시공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시공방법은 각 블록 또는 블록층이 상기 제2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놓인 후에, 상기 공동(72)에 상당한 밸러스트(76)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쉬어 핀(82)이 제1층(14')이 인접한 층(14")위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곳에서, 그것들의 위치가 제1보강토 구간의 위치를 방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쉬어 핀(82)은 모든 블록(112)의 제2층(14)사이에 제공되며 제1보강토 구간(114)은 잔여 층 사이에 제공된다.If a hollow block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16, the construction method requires a significant ballast in the cavity 72 after each block or layer of blocks is laid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7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here the shear pins 82 are used to prevent the first layer 14 'from slipping on adjacent layers 14 ", their position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ed soil section. Fins 82 ar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ayer 14 of all blocks 112 and the first reinforced soil section 114 is provided between the remaining layers.

본 발명의 선별된 실시예가 자세하게 기술된 이상,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여러 가지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While the selec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has several advantageous effects over the prior art, including the following.

a) 속이 빈 블록들은 가벼워서 빠른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블록쌓기에 관련된 작업조에게 작업에서 오는 상해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a) Hollow blocks are light, enabling fast construction and reducing the risk of injury from work to the team involved in stacking.

b) 띠형 보강재는 기계적으로 블록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어서 블록의 구성요소비용을 절감하고 블록설치와 관련된 노동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블록에 보강 재가 잘못 연결되는 경우가 줄어들며;b) The strip stiffeners are not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block, thus reducing the component cost of the block and reducing the labor time associated with the block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case in which the reinforcement is incorrectly connected to the block is reduced;

c) 블록은 표준규격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옹벽의 미학과 강도를 증가시키는 표준규격의 맞물리는 벽돌의 패턴으로 설치된다. 또한 블록은 기계적 금속구가 블록 속에 포함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하고 용이하게 대량 생산될 수 있으며;c) Blocks may be manufactured in a standard rectangular shape and installed in a standard interlocking brick pattern that increases the aesthetics and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In addition, the blocks can be mass produced inexpensively and easily since no mechanical metal spheres need to be included in the blocks;

d) 상기 시스템은 띠형 보강재에 직접적인 기계적 부착물을 필요로 하지않으므로 플라스틱이 도금철강에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종래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띠형 보강재에는 홀(hole)이 필요했으나 대부분의 플라스틱 재질은 찢어지는 것에 약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사용을 불허하였다.d) The system does not require a direct mechanical attachment to the band reinforcement, so that plastic can be used in place of the plated steel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When using the prior art,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required holes, but most plastic materials were vulnerable to tearing, which prevented the use of plastic.

기본적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의 전면이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형상과 표면조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옹벽 시스템은 시공후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준설측에 보호 또는 장식적인 판넬을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하나의 띠형 보강재가 블록마다 삽입되는 반면, 복수의 띠형 보강재가 하나의 블록의 통로 또는 공동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벽체를 뒤로 물리면서 축조하는 계단식 옹벽의 축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계단식 벽은 일자형 벽에 대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긴 지역에 식재를 할 수도 있다. 상부벽체가 하부벽체에 하중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부 벽체는 하부벽체 높이의 적어도 2배이상의 거리를 두고 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고려된 것이며, 이것의 성질은 앞서 기술된 내용과 뒤에 올 청구항으로부터 결정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inventive concept. For example, the front face of the block need not be flat and may have other shapes and surface textures. Similarly, the retaining wal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a protective or decorative panel to the dredging side to enhance the appearance after construction. In all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ne band reinforcement is inserted per block, while a plurality of band reinforcements may be inserted into a passage or cavity of one block.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construction of a stepped retaining wall that is constructed while biting the wall back. Terraced walls can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straight walls and can plant the resulting areas. In order to prevent the upper wall from loading on the lower wall, the upper wall should be constructed at least two times the height of the lower wall.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the nature of which will be determine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81)

기층으로부터 층층이 조적되어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는 지지측(retained side)과 준설측(dredge side)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들, 상기 다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A layer is formed from the base layer to form a wall, the wall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retained side and a dredge side, each block of the plurality of blocks facing the dredging side of the wall. And a rear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the depth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urface and facing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a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a height of the block from the upper surface. And opposite passag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a width, and extending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lock and ending at a first opening of the top or bottom surface, the passage and the first opening being band-shaped. Is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iffener; And 상기 벽체를 정착하기 위한 다수의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재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 plurality of strip reinforcements for anchoring the wall, wherein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is received in the passageway of the block, and a secon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is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or The thir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arrang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back of the block so as to be fixed in a posi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로는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하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passageway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띠형 보강재는 탄력있게 유연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reinforcement is elastic and flexib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개구부 통로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에서 끝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block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opening passage along the top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the guide groove ending at the back side of the block and defin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ban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바로 전에 상기 블록들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s just prior to backfilling and compac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통로는 상기 블록의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블록 의 상기 상부면에 구비된 제2개구부까지 상기 블록의 최대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passageway extends to the maximum height of the block from the first open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to the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띠형 보강재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상기 통로를 거쳐 삽입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inserted through the passage from the first opening to the second opening, and a fourth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is arranged outward from the back of the block to substantially fill and compact against the wall.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ixed verticall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4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상기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대체로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said fourth portion i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coplanar alignment with said top or bottom surface of said block away from said wall just prior to backfilling and compaction.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공동이고, 상기 공동은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passageway is a cavit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wherein the cavity is configured to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ballas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ballast i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ggregate for drainag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ast is impermeable.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통로는 다수의 통로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passageway is one of a plurality of passageways.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제1층이 인접한 제2층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shear pins to prevent the first layer from slipping on adjacent second layers.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으로 수분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a drainage channel configured to direct water from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to the dredging side of the wall.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호작용을 하도록 연결된 자유부로 나누어지고,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벽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plurality of band reinforcements are divided into inserts inserted into at least one block, and free portions connected to interact with the inserts, arranged to be fixed in a posi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on.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상기 하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system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wherein the mixed wall is divided into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t the transition depth.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상부는 중력식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ixed wall is a gravity retaining wall.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상기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는 블록들의 최상단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에서 전이 깊이에서 정렬되는 보강토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earth barrier that is aligned at a transition depth on the same plane as a top layer of blocks forming the bottom of the mixed wall. 제1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보강토 방벽은 콘크리트 슬라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d soil barrier is a concrete slab.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층을 토대로 층층이 배열된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대해 효율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띠형 보강재 위에 흙의 뒷채움과 다짐작업에 의하여 정착되며,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layers based on a substrate to form a wall, wherein the walls are efficiently connec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layers. It is settled by backfilling and compacting the soil on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of a) 블록층을 배열하기 위한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 블록은 전면,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a) providing a level surface for arranging the block layers, each block defining a height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urface, the back surface, the top surface, and the top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the depth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urface; A passage extending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the width of the block,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lock and ending at a first opening of the bottom surface; The passageway and the first opening are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reinforcement; b)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층상으로 놓인 상기 블록으로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b) a first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stiffener is received in the passageway of the block, and a secon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 stiffener is arranged coplanar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lock, Inserting a strip-shaped reinforcement into the layered block such that a thir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extends outwardly arrang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c)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토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블록과 상기 삽입된 띠형 보강재를 상기 수준면에 위치시키는 단계;c) placing the block and the inserted strip reinforcement on the level surface such that the back side of the block and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face the soil side supported by the wall; d) 상기 옹벽의 요구된 높이가 달성될 때까지 상기 a)부터 c)단계를 반복하 는 단계; 및d) repeating steps a) to c) until the required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achieved; And e)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 뒤에 상당한 양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e) fixing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by backfilling and compacting a substantial amount of soil behind the back of the block.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e)단계는 각 층이 완성된 후 c)단계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The step e) 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after step c) after each layer is completed.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모르타르 없는 시공으로서 각 블록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블록의 배면에서 끝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As a mortar-free construction, each block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opening along the upp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and ending at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the guide groove being the second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the portion.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2,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은 상기 e)단계 직전에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And the third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top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just before step e).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3, wherein 상기 통로는 상기 블록의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에 구비된 제2개구부까지 상기 블록의 최대 높이까지 연장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의 통로를 통하여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The passage extends from the first opening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to the second opening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to the maximum height of the block, and step b) includes the fourth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And inserting a strip-shaped reinforcement through a passage from the first opening to the second opening so as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e)단계는 상기 블록의 배면 뒤에 소정량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4부분의 위치를 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The step 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fourth portion of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by backfilling and compa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soil behind the back of the block.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4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상기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대체로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And said fourth portion is arranged in alignment with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said top or bottom surface of said block away from said wall just prior to backfilling and compaction.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6,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공동이며, 상기 방법은 각 블록 또는 각 블록층이 놓인 후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상기 공동에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The passageway is a cavit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filling the cavity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ballast after each block or layer of blocks has been placed. Construction method.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The ballast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ggregate for drainage.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And the ballast is impermeable to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9, wherein 인접한 제2층 위에서 제1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And installing one or more shear pins to prevent the first layer from slipping over the adjacent second layer.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30,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b)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e) 단계 동안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 되도록 배치된 자유부(free section)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A plurality of strip stiffeners may be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block in step b),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all during step e) while interconnecting with the insert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ack of the block and backfill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free sections arranged to be fixed in a vertical position. 제20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31,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상부를 이루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Wherein th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forms a bottom of the mixed wall, the mixed wall is divided into a top and a bottom at a transition depth,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constructing a gravity or cantilevered retaining wall that forms the top of the mixed wall.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는 상기 전이 깊이에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And installing a reinforcing soil barrier at the transition depth aligned with the top block layer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The step of installing the reinforced earth barrier is a method of construc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lacing a concrete slab.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20. A block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y of claims 1-1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A strip-shaped reinforcement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준설측과 지지측을 갖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층이 조적된 다수의 블록들,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을 포함하고; A plurality of blocks layered on a substrate to form a wall having a dredging side and a supporting side, each of the blocks having a front surface facing the dredging side of the wall and a distance defining a depth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urface A back surface spaced apart and facing toward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by a distance defining a height of the block, and opposite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a width of the block ; 뒷채움에 상기 벽체를 정착하고, 상기 벽체의 인접층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까지 연장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 및A plurality of first reinforcement sections for anchoring the wall to a backfill and arranged between adjacent layers of the wall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ack of the blocks to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And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에 뒷채움 및 다짐된 소정량의 토양을 안정화시키며, 상기 제1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 plurality of second stabilized backfilled and compacted soil on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s and arranged to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s A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omprising reinforcement sections.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의 상기 배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back of the wall.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or 38,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탄력있게 유연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is elastically flexible. 제37항 내지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38, 상기 벽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 높이의 적어도 6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wall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t least 60% of the wall height.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벽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 높이의 적어도 7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wall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t least 70% of the wall height.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상기 벽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 높이의 적어도 8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wall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t least 80% of the wall height.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or 38,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적어도 뒷채움의 파괴 예상면을 통하여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have a length extending at least through the anticipated surface of the backfill fracture.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43,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planar.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43,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지오메쉬(geo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both of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geomesh (geomesh).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43,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긴 띠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is in the form of a long strip.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46,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horizontally to each other.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46,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제1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제1층과 이격되어 제2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re arranged in a first lay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tiffener sections are arranged in a second lay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yer. 제37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9. The compound of any one of claims 37-48,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과 다짐하기 직전에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y one or both of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is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top surface or bottom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just before the back filling and compactio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제3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49, 상기 블록들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동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당한 밸러스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blocks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cavitie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wherein the cavities ar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ificant ballast. 제50항에 있어서,51. The method of claim 50,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ballast i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ggregate for drainage. 제5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ast is impermeable. 제37항 내지 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7-52, 제1층이 인접한 제2층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sheer pins to prevent the first layer from sliding over an adjacent second layer. 제37항 내지 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7-53, wherein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의 수분을 상기 준설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age channel configured to guide the moisture of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to the dredging side. 제37항 내지 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7-54,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the mixed wall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t the transition depth.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상부는 중력식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upper portion is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vity retaining wall.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or 56, wherein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를 형성하는 블록들의 최상단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에서 정렬되어 상기 전이 깊이에 위치하는 보강토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ement soil barrier aligned generally coplanar with the top layer of blocks forming the bottom of the mixed wall and located at the transition depth. 제5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보강토 방벽은 콘크리트 슬라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d soil barrier is a concrete slab. 제37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58, 상기 제1보강재 구간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인접 블록층들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inforcement section is fixed between adjacent block layers using a mortar. 제37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7 to 58,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인접한 층들을 구성하는 블록들의 하중 하의 중력에 의하여 상기 블록들의 인접한 층들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And the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re fixed between adjacent layers of the blocks by gravity under the load of the blocks constituting the adjacent layers.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layers on a substrate to form a wall, a) 블록들의 층을 배열할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전면,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상기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 면, 상기 블록의 너비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면들을 가지며;a) providing a level surface for arranging a layer of blocks, each of the blocks hav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spaced from the front surface by a distance defining a depth of the block, a top surface, and a height of the block from the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efining a, and opposing surf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efining a width of the block; b) 상기 블록들의 각 층을 배열하는 동안 상기 벽체를 상기 벽체에 인접한 양 층들 간의 뒷채움에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지지측 위에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b) a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rranged outwardly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blocks to the support side of the wall to anchor the wall to backfill between both layers adjacent to the wall while arranging each layer of the blocks; Arranging them; c) 필요한 옹벽높이에 이르기까지 각 후속 층을 쌓는 단계;c) stacking each subsequent layer up to the required retaining wall height; d) 상기 다수의 제1 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e)단계를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d) arranging a plurality of second stiffener section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nd arranged to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wall during the step e); And e) 상기 다수의 제1 및 2 보강재 구간들을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 뒤에 소정량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 방법.e) backfilling and compa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soil behind the back of the blocks to settle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제61항에 있어서,62. The method of claim 61, e)단계는 b)단계후 c)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and e) step is performed after step b) and before step c).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63. The method of claim 61 or 62,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의 상기 배면과 이격되도록 e)단계 동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arranged during step 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4. The method of any of claims 61-63, 상기 다수의 제1 및 2보강재 구간들은 서로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And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sections are arranged horizontally aligned on the same plane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4. The method of any of claims 61-63,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제1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제1층과 이격되어 제2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The plurality of first stiffener sections are arranged in a first lay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tiffener sections are arranged in a second lay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yer. 제6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1-65, 상기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과 다짐작업 직전에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both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section is arranged in the same plane and aligned wit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just before the backfilling and compacting operation How to build the system.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7. The method of any of claims 61-66, 상기 블록들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각 블록 또는 블록들의 각 층이 조적된 후 상기 공동에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 방법.The blocks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cavitie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the cavities configured to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ballast, the method comprising the cavity after each block or layer of blocks is assembl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l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ballast. 제6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7,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The ballast i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ggregate for drainage. 제6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7,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system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ast is impermeable. 제6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70. The method of any of claims 61-69, 제1층이 인접한 제2층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And installing one or more sheer pins to prevent the first layer from slipping in the adjacent second layer. 제61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1-70,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혼합식벽의 상부를 이루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 방법.Th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the mixed wall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t a transition depth, 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constructing a gravity or cantilevered retaining wall that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mixed wall.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ystem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7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1, wherein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대체로 정렬되어 상기 전이 깊이에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And arranging a reinforcement soil barrier at the transition depth generally align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most block layer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d wall. 제7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2, 상기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The step of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soil barrier is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system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lacing a concrete slab. 제61항 내지 7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1, wherein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인접한 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ement sections are fixed between adjacent layers using a mortar. 제61항 내지 7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1, wherein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인접한 층들을 형성하는 상기 블록들의 하중 하에서 중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And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ement sections are fixed by gravity under load of the blocks forming adjacent layers.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20. Block used for build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A strip-shaped reinforc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A substantial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ystem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A method of constructing a substantial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ystem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Block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substantial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ystem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A strip shaped reinforcement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a substantial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ystem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KR1020067022798A 2004-04-01 2005-03-31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700312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798A KR20070031295A (en) 2004-04-01 2005-03-31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4901725 2004-04-01
AU2004901789 2004-04-05
AU2004907121 2004-12-15
AU2005900832 2005-02-23
KR1020067022798A KR20070031295A (en) 2004-04-01 2005-03-31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95A true KR20070031295A (en) 2007-03-19

Family

ID=4365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798A KR20070031295A (en) 2004-04-01 2005-03-31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29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813A (en) * 2018-08-28 2020-09-21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140930A (en) 2021-04-09 2022-10-19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73473B1 (en) * 2024-01-25 2024-06-10 (주)성지콘크리트 Concret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mixed blocks of self-supporting fill blocks and hollow bloc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813A (en) * 2018-08-28 2020-09-21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140930A (en) 2021-04-09 2022-10-19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73473B1 (en) * 2024-01-25 2024-06-10 (주)성지콘크리트 Concret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mixed blocks of self-supporting fill blocks and hollow blo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6130C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CN102966119B (en) Geogrid reinforce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5999903U (en) Environment-friendly type grass planting Concrete Highway protective slope structure
US20080267718A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10397050A (en) A kind of light-duty draining barricade of novel beam anchor formula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4182745B (en) Ecological slope protection roadbed of high-liquid limit soil ecologica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CN114575355A (en) Soil protection and descent construction method
CN110805049B (en) Construction method of mountain slope ultra-thickness spray anchor permanent supporting structure
CN105821902B (en) The light-duty armored concrete Ecologic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f vertical lattice
CN108018865A (en) The grooving technology of wall is led by the use of existing underpass as construction of diaphragm wall
CN108316237B (en) Revetment retaining wall
KR20070031295A (en)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10965577B (en) Construction method of chain lock type ecological block retaining wall
CN113863334A (en) Highway slope protection structure
KR200448481Y1 (en) Structure of retaining wall having a possible planting for cutting slope
KR200223114Y1 (en) A structure reinforcing for retaining wall for inclined plane which to cut off a rock wall
CN106400643A (en) High polymer grouting reinforcement and water prevention three-dimensional protective structure for cutting
AU2005228914A1 (en)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ZA200608640B (en)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214005732U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for local backfilling of foundation pit
CN113430989B (en) Lifting construction method for sea pond
CN219011296U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O2008070913A1 (en) Stabilised embankment
CN210421337U (en) Prefabricated assembled temporary drainage ditch
JP2004232232A (en) Reinforced earth method with impervious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