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228A - 게임기 - Google Patents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228A
KR20070031228A KR1020060087720A KR20060087720A KR20070031228A KR 20070031228 A KR20070031228 A KR 20070031228A KR 1020060087720 A KR1020060087720 A KR 1020060087720A KR 20060087720 A KR20060087720 A KR 20060087720A KR 20070031228 A KR20070031228 A KR 2007003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player
game
sub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오까다
Original Assignee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8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228A/ko
Publication of KR2007003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게임기는 플레이어가 착석하는 시트 내에 자유롭게 보관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 상기 입력 수용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도록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수단, 단말 장치, 시트부, 저장부, 연결 장치, 이동 금지 수단, 가압력 감소 수단, 유지 장치

Description

게임기{GAM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게임기의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게임기의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게임기의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게임기의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단말 장치의 이동부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도7은 시트 모드에 있는 단말 장치의 시트의 사시도.
도8은 베드 모드에 있는 단말 장치의 시트의 사시도.
도9는 단말 장치의 서브-모니터가 서브-모니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단말 장치의 서브-모니터가 서브-모니터 저장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단말 장치의 서브-모니터가 플레이어쪽을 향해서 터닝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단말 장치의 서브-모니터가 그 화상 표시부가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터닝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서브-모니터가 인출되었을 때의 서브-디스플레이부의 사시도.
도14는 서브-모니터가 턴 바이어싱부를 통해서 터닝될 수 있도록 연결 막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연결 막대가 단말 장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6은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서브-모니터가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서브-모니터가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지지 부품을 구동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19는 게임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20은 메인 게임기 본체의 메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21은 단말 장치의 서브-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22는 게임기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메인 흐름도.
도23은 단말 장치 내의 서브-모니터의 작동 흐름도.
도24는 게임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의 게임 처리의 흐름도.
도25는 게임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에서의 각 플레이어의 흐름도.
도26은 플레이어가 게임 프로그램의 게임 필드에서 다른 플레이어를 조우할 때의 흐름도.
도27은 게임 프로그램의 게임 필드에서 매크로퀘스트가 발생될 때의 흐름도.
도28은 게임기의 게임 프로그램의 게임 필드에서 매크로퀘스트가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9는 게임기의 게임 프로그램의 게임 필드에서 발생된 매크로퀘스트에 동료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메인 게임기 본체
30: 단말 장치
52: 착석부
62: 서브-모니터 저장부
66: 저장부 커버
72: 입력 조작부
400: 유지 장치
411: 유지 막대
415: 신축 장치
416: 터닝 장치
525: 착석 검출기
600: 연결 장치
604: 위치 센서
611, 612: 지지 아암
613: 서브-모니터
613B: 터치-패널부
660: 터닝축
661: 턴 바이어싱부
665: 연결 막대 슬라이딩 기구
734: 메달 삽입부
735: 메달 삽입 검출기
본 발명은 아케이드 등에 설치되는 아케이드 게임과 같은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상 멀티-플레이어 게임기로 지칭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상업용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가 공지되어 있다. 근년에는, 이와 같은 멀티-플레이어 게임기로서 경마 게임기가 있어왔다. 이와 같은 멀티-플레이어 게임기는 예를 들어, 대형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는 메인 게임기 본체, 및 상기 메인 게임기 본체에 부착되는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는 다수의 단말 장치를 구비한다(특허 참고문헌 1).
이들 다수의 단말 장치에는 각각, 플레이어가 착석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는 시트가 제공된다. 이 단말 장치에서, 각각의 플레이어는 시트에 앉아서, 시트에 장착된 서브-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다양한 조작을 수행한다.
이 멀티-플레이어 게임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에는 경주마와 그 배당이 표시된다. 각각의 플레이어는 표시되는 경주마들중 임의의 한 마리를 선택하고, 메달을 베팅한다. 이어서, 이들 경주마에 의한 경마가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루어지며, 그 결과에 따라서 각각의 플레이어에게는 미리 정해진 배당에 기초하여 메달이 지불된다.
이와 같은 멀티-플레이어 게임기에서, 각각의 단말 장치는 통신 케이블에 의해 각각 메인 게임기 본체에 연결된다. 이들 통신 케이블을 통해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게임에 필요한 정보가 교환된다(특허 참고문헌1 참조).
또한, 이와 같은 멀티-플레이어 게임기의 형태인 통신 게임기에서는, 플레이어가 장시간 플레이할 때에도 피곤하지 않도록 종래의 시트보다 우수한 품질의 시트가 사용된다. 또한, 게임의 주요 내용이 메인 스크린에 표시되는 경마 게임에 메달을 베팅하고 게임 장치에 의해 설정된 배당에 기초하여 메달을 지불하는 것인 통신 게임에서는, 시트에 고급스런 외관을 부여함으로써 하이-클래스 카지노와 같은 분위기가 제공된다.
특허 참고문헌1: 일본 특허 공개공보 H8-206355호
그러나, 전술한 멀티-플레이어 게임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멀티-플레이어 게임에 사용되는 단말 장치에서 기능성과 럭셔리한 느낌의 추가적인 향상을 추구할 때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예를 들어, 플레이어의 자세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서, 서브-디스플레이부는 게임이 시작될 때 플레이어가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매끄럽게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것에서는, 럭셔리한 느낌이 더 향상되도록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앉아있는 플레이어와 같은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것에서는, 유용성이 더 개선되도록,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된 서브-디스플레이부를 유지하고 서브-디스플레이부의 진동 및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플레이어가 착석하는 시트 내에 디스플레이부가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신규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 조건이 충족될 때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저장된 상태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된 디스플레이부를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요동을 억제하기 위한 유지(holding) 기구를 구비하는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것과 같은 게임기를 제 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에 의해 시트부에 대해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연결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될 때,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 내에 저장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치-패널부(613B) 및 입력 조작부(72)), 상기 입력 수용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게임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에 의해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연결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 내에 저장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서의 게임 화상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게임 화상이 표시되지 않으며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게임 화상의 프리젠테이션이 허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에 게임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에 게 임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치-패널부(613B) 및 입력 조작부(72)), 상기 입력 수용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0)),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외측 이동을 금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에 놓아두는 이동 금지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저장부 커버(66))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금지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에 의해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연결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에 저장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금지 수단은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도록 제어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부로부터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동 금지된 상태에 두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의 이동 금지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이 플레이되지 않을 때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상태에 놓여져 그 외측 이동이 금지됨으로써 장난스러운 아이 등으로 인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 태양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용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입력 조작부(72))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에 터치 패널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치-패널부(613B))로서 제공되며, 상기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는 상기 터치 패널부에 소정의 가압력보다 큰 가압력이 인가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압력 방향으로 클리어하기 위 한 가압력 감소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이어싱부(663) 및 연결 막대 슬라이딩 기구(66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압 방향으로 클리어하기 위한 가압력 감소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터치-패널부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소정 강도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가압 방향으로 클리어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 연결 막대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감소 수단은 상기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를 플레이어에서 먼 쪽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막대 슬라이딩 기구(665)), 및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싱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이어싱부(66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에서 먼 쪽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싱부가 시트부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터치-패널을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에서 먼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가압력을 클리어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 연결 막대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감소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 터(613))을 터닝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터닝 축(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닝 축(66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가압력에 의해 초래되는 터닝의 터닝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터닝되도록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회전 바이어싱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턴 바이어싱부(66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터닝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터닝 축,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가압력에 의해 초래되는 터닝의 터닝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터닝되도록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회전 바이어싱부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터치-패널을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터닝되어 가압력을 클리어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 연결 막대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연결 막대를 통해서 이동 제어하기 위한 연결 막대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막대 구동 수단은 상기 연결 막대를 소정 조건의 충족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에 의해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시트부에 연결되며, 소정 조건의 충족에 따라 연결 막대를 구동하는 연결 막대 구동 수단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후술하는 게임 시작 스위치 등과 같은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게임 시작 지령이 수신될 때 또는 후술하는 착석 검출기가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할 때 저장부 내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수단이 소정 조건의 충족에 따라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및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입력 조작부(72))이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2))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장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이 제공되며,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이 상기 입력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지령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순조롭게(smoothly)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의지와 소정 이동에 따라서 자동으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예를 들면, 후술하는 착석부(52))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장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시트에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착석 검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착석 검출기(525)) 및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이 제공되며, 상기 착석 검출부가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그 안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의 착석이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은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의지와 소정 이동에 따라서 자동으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서, 게임기는 메인 게임기 본체(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인 게임기 본체(20)) 및 단말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및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입력 조작부(72))이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장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이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이 제공되고,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이 상기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르면,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같은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에서는, 그 일 단부가 단말 장치의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단말 장치에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지령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 해 수용될 때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의지 및 소정 이동에 따라서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진입하도록 자동으로 이동 제어되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서, 게임기는 메인 게임기 본체(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인 게임기 본체(20)) 및 단말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예를 들면, 후술하는 착석부(52))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1))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장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하기 위한 착석 검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착석 검출기(525)) 및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CPU(91))이 제공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석 검출부가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따르면,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같은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에서는, 그 일 단부가 단말 장치의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단말 장치에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지령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는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의지 및 소정 이동에 따라서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진입하도록 자동으로 이동 제어되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8 또는 제10 태양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수용되면, 상기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을 상기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는 것과 같이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플레이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게임 종료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플레이어의 전방으로부터 클리어되어 저장부 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는 게임 종료 이후 순조롭게 시트에서 이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저장을 잊어버리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1 태양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는 소정의 게임 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게임 매체 삽입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달 삽입부(734)) 및 상기 게임 매체가 게임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삽 입 검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달 삽입 검출기(73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은 정상 상태 중에는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을 제어할 수 없으며, 상기 삽입 검출부가 게임 매체의 삽입을 검출할 때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게임 매체 삽입부에 대한 메달과 같은 게임 매체의 삽입이 검출될 때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메달과 같은 게임 매체의 삽입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1 태양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은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화상 표시부(613A))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터닝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축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축부(617)), 그 일 단부가 상기 제1 축부에 연결되는 제1 아암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상기 제1 아암부를 터닝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축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2 축부(616)), 및 그 일 단부가 상기 제2 축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제2 아암부(예를 들면, 제2 지지 아암(611))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 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은 상기 제2 아암을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한 신축 구동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제1 아암부를 상기 제2 아암부에 대해 소정 각도가 되도록 터닝시키기 위한 터닝 구동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닝 구동부(616A)),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화상 표시부가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회전 구동부(617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따르면, 예를 들어, 신축 구동부를 신장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부의 외부로 이동시키고, 터닝 구동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어쪽으로 이동시키며, 회전 구동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화상 표시부가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수단은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순조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어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1 태양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은, 공기압을 기계적 운동으로 전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조작부(617d), 제2 조작부(616d), 및 제3 조작부(615d)), 상기 조작부에 공기압을 운송하기 위한 통기관(ventilation pipe)(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통기관(617e), 제2 통기관(616e), 및 제3 통기관(615e)), 상기 통기관에 배치되고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 밸브(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안전 밸브(617c), 제2 안전 밸브(616c), 및 제3 안전 밸브(615c)), 및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에 인가되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하중 검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하중 검출부(617B), 제2 하중 검출부(616B), 및 제3 하중 검출부(615B))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예를 들어, 후술하는 CPU(91))은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이 소정 하중보다 클 때 상기 안전 밸브를 개방-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에 운송되는 공기압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따르면, 게임기는 하중 검출부가 소정 하중보다 큰 하중이 연결 장치 구동 수단에 인가되는 것을 검출할 때 안전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조작부에 운송되는 공기압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플레이어의 신체 일부가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단말 장치 사이에 걸릴 때, 하중 검출부는 연결 장치 구동 수단에 인가되는 하중의 증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에 대한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의 제동과 같은 고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1 태양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플레이어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센서(604))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은 상기 위치 검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할 때 구동 기구(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 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6 태양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디스플레이 수단에 위치 검출부가 배치되어 플레이어에 대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위치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실패 없이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자신의 착석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것이 검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예를 들면 서브-모니터 저장부(62)),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막대(예를 들면, 유지 막대(41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막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측부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두고, 상기 유지 막대는 상기 측부와 반대되는 다른 측부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17 태양에 따르면, 연결 막대에 의해 관찰 가능한 위치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서 유지 막대와 결합하여 유지 막대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유지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면, 이 유지 막대 구동 기구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때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수단을 누르는 플레이어 또는 시트의 움직임에 의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서, 게임기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예를 들면, 후술하는 착석부(52))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1))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장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상기 연결 막대의 연결 섹션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피결합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피결합부(414))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지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유지 막 대(411))를 포함하는 유지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유지 장치(400))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키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유지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 따르면, 게임기는,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동으로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유지 막대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수단과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수단과 접촉되는 플레이어의 신체에 의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은 플레이 중에 억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을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장치는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동으로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플레이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수단은 착석한 플레이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 및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9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의 앞면 쪽에는 플레이어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터치-패널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치-패널부(613B))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9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면 쪽에 터치-패널부가 제공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가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누름에 의한 진동 및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는 터치-패널을 확실히 눌러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조작에 의해 초래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을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있어서, 게임기는 메인 게임기 본체(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인 게임기 본체(20)) 및 단말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단말 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예를 들면, 후술하는 착석부(52))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1))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 장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 지 아암(611))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상기 연결 막대의 연결 섹션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피결합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피결합부(414))가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지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유지 막대(411))를 포함하는 유지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유지 장치(400))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키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유지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따르면,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같은 여러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에서, 단말 장치는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동으로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때 유지 막대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 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의 신체가 디스플레이 수단과 접촉할 때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이 플레이 중에 억제되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이 알아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지 장치는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하고 플레이되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 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착석하고 있는 플레이어와 간섭하지 않도록 이동 및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의 앞면 쪽에는 플레이어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터치-패널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치-패널부(613B))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1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면 쪽에 터치 패널부가 제공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가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누름에 의한 진동 및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터치-패널을 확실히 눌러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조작에 의해 초래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을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 태양에서는, 제18 내지 제21 태양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플레이어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브-모니터(61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센서(604))가 제공되며, 상기 피결합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피결합부(414))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상기 연결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의 연결 섹션의 반대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유지 막대(예를 들면, 후술하는 유지 막대(411))는 상기 착석한 플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 막대가 고정되는 측과 반대되는 상기 본체부의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CPU(91))은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될 때 상기 유지 막대가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유지 장치 구동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2 태양에 따르면, 유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배치된 위치 검출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지 장치는, 플레이어의 전방에서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특히 흔들리고 불안정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의 전방에서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특히 흔들리고 불안정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유지 장치에 의해 적절히 유지된다.
또한, 연결 막대의 연결 위치와 반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표면에 피결합부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수단은 양 측면으로부터 샌드위치되도록 유지되며, 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측면은 연결 막대에 의해 지지되고 반대 측면은 유지 막대에 의해 유지된다. 즉,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 및 유지 막대에 의해 양팔 -지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대한 플레이어의 신체 접촉이나 단말 장치의 이동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진동이 적절히 억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이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 및 터치-패널의 가압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착석하는 시트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신규 게임기는 저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그 속성, 및 각종 장점은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게임기에 대해 후술한다.
게임기의 전체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게임기(1)는 편평한 장방형 플레이 영역(21)과 이 플레이 영역(21)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말 장치(30)를 구비하는 메인 게임기 본체(20)를 구비하는 멀티-플레이어 게임기이다.
플레이 영역(21)과 별도로, 메인 게임기 본체(20)는 플레이 영역(21)의 일 측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 상기 플레이 영역(21)의 네 코너에 배치되는 스피커 장치(23), 및 이들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와 스피커 장치(23)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 장치(80)를 구비한다.
플레이 영역(21)은 다수의 서브-영역(212)으로 구분된다. 이들 서브-영 역(212)으로서, 도시 영역(212A), 바다 영역(212B), 및 숲 영역(212C)이 존재한다. 또한, 플레이 영역(21)에는, IC 태그(211)가 그리드(grid)-형태로 매립된다. 이 IC 태그(211)에는 플레이 영역(21) 내부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대형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형 모니터일 수도 있다.
메인 제어 장치(80)는 무선 LAN을 통해서 각각의 단말 장치(30)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으며, 소정의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각각의 단말 장치(30)와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각각의 플레이어에게 공통적인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각각의 단말 장치(30)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를 향하여 대면 배치된다. 이 단말 장치(30)는 무선 LAN을 통해서 메인 제어 장치(80)에 연결되며,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또는 플레이어 조작에 의해서 플레이 영역(21)에 걸쳐서 이동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구성
도2 내지 도5는 각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에 따른 단말 장치(30)는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31), 이 시트(31)를 플레이 영역(21)에 걸쳐서 이동시키기 위해 시트(31)의 하부에 제공되는 이동부(32), 및 상기 시트(31)로부터 분리 제공되는 서브-모니터(613)를 구비한다. 플레이어가 착석했을 때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서 서브-모니터(613)는 제1 지지 아암(612) 및 제2 지지 아암(611)으로 구성되는 연결 막대를 갖는 연결 장치(600)에 의해 지지된다. 이 연결 장치(600)에는, 제1 지지 아암(612)을 터닝시키기 위한 터닝 구동부(616A) 및 제2 지지 아암(611)을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한 신축 구동부(615A)가 연결된다. 이들 부분은 서브-모니터(613)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하는 메인 제어 장치(80) 및 서브-제어 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서브-모니터(613)는 게임이 플레이되지 않을 때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된다. 이를 통해서, 서브-모니터(613)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서브-모니터(613)가 시트(31)와 따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브-모니터가 파괴되는 경우에도 메달 및 코인과 같은 게임 매체가 도난될 수 없으며, 따라서 서브-모니터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3에 따른 단말 장치(30)는 서브-모니터(613)의 측면과 결합하여 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40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유지 장치(400)는, 착석한 상태에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외팔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 장치(600)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모니터(613)의, 이 서브-모니터(613)에서 상기 연결 장치(600)가 연결되는 표면과 반대쪽의 표면과 결합하여 이를 유지한다. 이 유지 장치(400)는 유지 장치 저장부(40), 상기 유지 장치 저장부(40)로부터 출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유지 막대(411), 및 상기 유지 막대(411)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결합부(413)를 구비한다. 이 유지 막대(411)는 수축 및 만곡될 수 있는 아코디언-형상 부품이다. 또한, 이 유지 막대(411)는 결합부(413)가 서브-모니터(613)의 측면에 형성된 피결합부(414)와 결합되도록 신축 구동된다.
이와 같이, 서브-모니터(613)는 유지 장치(400)에 의해 유지되며, 유지 장 치(400)는 서브-모니터(613)에 부딪히는 플레이어, 이동하는 단말 장치(3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서브-모니터(613)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4에 따른 단말 장치는 도3에 따른 단말 장치(30)와 같이, 서브-모니터(613)의 측면과 결합하여 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40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유지 장치(400)는, 착석한 상태에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외팔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 장치(600)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모니터(613)의, 이 서브-모니터(613)에서 상기 연결 장치(600)가 연결되는 표면과 반대쪽의 표면과 결합하여 이를 유지한다.
이 유지 장치(400)는 유지 장치 저장부(40), 상기 유지 장치 저장부(40)로부터 출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유지 막대(411), 및 상기 유지 막대(411)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U형 결합부(413)를 구비한다. 이 유지 막대(411)는 수축 및 만곡될 수 있는 아코디언-형상 부품이다. 또한, 이 유지 막대(411)는 결합부(413)가 서브-모니터(613)의 측면에 형성된 피결합부(414)와 결합되도록 신축 구동된다.
이와 같이, 서브-모니터(613)는 유지 장치(400)에 의해 유지되며, 유지 장치(400)는 서브-모니터(613)에 부딪히는 플레이어, 이동하는 단말 장치(3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서브-모니터(613)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5에 따른 단말 장치는 서브-모니터(613)의 뒷면과 결합하여 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40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유지 장치(400)는, 착석한 상태에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외팔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 장치(600)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모니터(613)의, 이 서브-모니터(613)에서 화상 표시부(613A)가 제공되는 표면과 반대쪽의 표면과 결합하여, 서브-모니터(613)를 유지한다. 이 유지 장치(400)는 유지 장치 저장부(40), 상기 유지 장치 저장부(40)로부터 출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유지 막대(411), 및 상기 유지 막대(411)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U형 결합부(413)를 구비한다. 이 유지 막대(411)는 수축 및 만곡될 수 있는 아코디언-형상 부품이다. 또한, 이 유지 막대(411)는 화상 표시부(613A)와 대면하는 서브-모니터(613)의 뒷면에 형성된 피결합부(도14 및 도15 참조)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서브-모니터(613)는 유지 장치(400)에 의해 유지되며, 유지 장치(400)는 화상 표시부(613A)에서 터치-패널(613B)의 누름에 의해 발생되는 서브-모니터(613)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6은 이동부(32)의 한 섹션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동부(32)는 네 개의 이동 타이어(321), 이들 이동 타이어(321)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 이동 타이어(321)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어 방향 제어 장치(323), 및 상기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와 타이어 방향 제어 장치(32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동부(32)는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 및 타이어 방향 제어 장치(323)에 의해 시트(31)를 플레이 영역(21) 상의 임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재충전가능 배터리는 외부 전원에 대한 접속을 통해서 재충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레이 영역(21)에 자기장 발생 장치를 매립하고 이 자기장 발생 장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자기장으로 인한 자기-유 도(self-induced) 전자기력에 의해 재충전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영역(21)에 매립되는 IC 태그(211)를 검출하기 위한 IC 태그 검출부(324)는 이동부(32)의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 아래에 제공된다.
시트의 구성
도7은 시트 모드에 있는 시트(31)의 사시도이다.
도8은 베드 모드에 있는 시트931)의 사시도이다.
시트(31)는 메인 시트 보디(50), 상기 메인 시트 보디(50)의 일 측면을 따라서 제공되는 측방 유닛(60), 및 상기 메인 시트 보디(50)를 다른 측면 쪽을 제외하고 세 측면에서 둘러싸는 시트 셸(70)을 구비한다.
이 시트(31)의 모드는 도7에 도시된 시트 모드와 도8에 도시된 베드 모드 사이에서 여러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메인 시트 보디(50)는 편평 베이스부(51), 이 베이스부(51)에 제공되는 착석부(52), 상기 착석부(52)에 대해 그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부착되는 등받이(53), 상기 등받이(53)의 상부에 제공되는 머리받이(54), 상기 착석부(52)의 시트면과 등받이의 양 측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아암(55), 및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하기 위해 착석부(52)의 시트면 아래에 제공되는 착석 검출기(525)를 구비한다.
착석부(52)는 플레이어가 입력 조작부(72)를 조작하면 베이스부(51) 상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이 착석부(5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메인 시트 보디(50)는 도7에 도시된 시트 모드로부터 도8에 도시된 베드 모드로 변화되어 베드를 형성한 다.
착석부(52)는 앞면 쪽에 제공되는 다리받이(521) 및 이 다리받이(521)의 선단에 저장되는 발받이(522)를 구비한다. 다리받이(521)는 착석부(5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딩 모션에 따라 상향 터닝되며, 착석부(52)의 시트면으로부터 연속하는 시트면이 된다. 동시에, 발받이(522)는 다리받이(521)로부터 돌출하여, 다리받이(521)로부터 연속하는 시트면이 된다.
베이스부(51) 상에서 시트부(52)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등받이(53)는 뒤쪽으로 내려간다.
메인 시트 보디(51)가 베드 모드에 있을 때 사이드 아암(55)의 앞면쪽은 약간 위로 돌아간다.
착석부(52)의 시트면, 등받이(53)의 하부(플레이어의 아래 등과 접촉) , 및 머리받이(54)에는 각각,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백 부품(bag component)이 매립된다. 이들 백 부품에 공기 펌프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면, 표면이 팽창하여 사용자의 신체 윤곽을 수용하면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착석부(52)의 시트면 아래에는 착석 검출기(525)가 설치되어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한다. 착석 검출기(525)가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하면,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서브-제어 장치(90)로 소정의 제어 신호가 송신되며, 서브-제어 장치(90)는 연결 장치 및 유지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제어한다.
측방 유닛(60)에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가 형성되고, 이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는 서브-디스플레이부(61)가 저장된다. 또한, 서브-모니터 저장 부(62)의 상부에는 저장부 커버(66)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 저장부(62)는, 메달 삽입 검출기(735)가 게임 매체인 메달의 삽입을 검출할 때 저장부 커버(66)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서브-모니터(613)는 소정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의 외측 이동을 금지하는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여기에서, 서브-모니터(613)는 저장부 커버(66)에 의해 이동 금지된 상태에 놓이는 것 외에, 예를 들어 연결 장치(600)의 로크에 의해 이동 금지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들 이동 금지 수단은 후술하듯이,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어, 이동 금지 수단은 게임 상태가 플레이 가능한 상태일 때 이동 금지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된다.
도13은 서브-모니터(613)가 인출될 때의 서브-디스플레이부(61)의 사시도이다.
도13에 도시하듯이, 서브-디스플레이부(61)는 편평 장방형 서브-모니터(613), 및 상기 서브-모니터(613)를 시트(31)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600)를 구비한다.
이 연결 장치(600)는 측방 유닛(6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지지 아암(611), 및 상기 제2 지지 아암(611)의 선단에 부착되는 제1 지지 아암(612)을 구비한다. 서브-모니터(613)는 제1 지지 아암(612)의 선단에 부착된다.
제2 지지 아암(611)은 측방 유닛(60)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다. 제1 지지 아암은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으며, 제2 지지 아암(611)의 축방향 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서브-모니터(613)는 제1 지지 아암(612)의 축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장치(600)는 서브-모니터(6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축부(617), 그 일 단부가 상기 제1 축부(617)에 연결되는 제1 지지 아암(612), 상기 제1 지지 아암(612)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제1 지지 아암(612)을 터닝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축부(616), 및 그 일 단부가 제2 축부(616)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단말 장치(30)의 측방 유닛(60)에 연결되는 제2 지지 아암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 장치(600)는 서브-모니터(613)에 연결되어 이 서브-모니터(613)를 화상 표시부(613A)가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617A), 제1 지지 아암(612)에 연결되어 제1 지지 아암(612)을 터닝시키는 터닝 구동부(616A), 및 상기 제2 지지 아암(611)에 배치되어 제2 지지 아암(611)을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 구동부(615A)를 구비한다.
또한, 서브-디스플레이부(61)는 회전 구동부(617A)에 인가되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해 회전 구동부(617A) 근처에 배치되는 제1 하중 검출부(617B), 터닝 구동부(616A)에 인가되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해 회전 구동부(616A) 근처에 배치되는 제2 하중 검출부(616B), 및 신축 구동부(615A)에 인가되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해 신축 구동부(615A)의 근처에 배치되는 제3 하중 검출부(615B)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부에 소정 하중보다 큰 하중이 인가되면, 각각의 검출기는 소정 하중보다 큰 하중이 인가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서브-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이 신호를 수신한 서브-제어부는 하중의 크기 및 하중이 인가되는 상황에 따라 각각의 구성 부분을 제어한다.
서브-모니터(613)는 그 하나의 넓은 표면에 배치되는 화상 표시부(613A), 소형 CCD 카메라(614), 및 위치 센서(604)를 구비한다. 이 화상 표시부(613A)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Luminescent)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화상 표시부(613A)는 터치-패널부(613B)를 구비한다. 터치-패널부(613B)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플레이어는 게임 중에 단말 장치를 조작하거나 소정의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이 터치-패널부(613B)는 화상 표시부(613A)의 앞면에 투명한 터치-패널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어서, 터치-패널부(613B)가 이렇게 형성되면, 화상 표시부(613A)에서 뒷면쪽에 표시되는 게임 화상 등은 터치-패널부(613B)를 통해서 볼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화상 표시부(613A)에 표시되는 게임 화상을 보면서 터치-패널부(613B)에 의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613)에 배치된 터치-패널부(613B)에 대한 가압력이 크고 제1 하중 검출부(617B) 또는 제2 하중 검출부(616B)에 의해 소정 하중(예를 들면, 제1 하중)보다 큰 하중이 검출되면, 방출되는 공기의 사운드와 같은 소정의 사운드가 발생되고 플레이어에게는 서브-모니터(613)를 너무 세게 누르고 있다는 경고가 이루어진다. 이는 플레이어가 서브-모니터(613)를 과도하게 누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방출되는 공기의 사운드와 같은 소정의 사운드는 후술되는 제1 안전 밸브(617c) 또는 제2 안전 밸브(616c)를 개방할 때 물리적으로 발생되는 사운 드일 수 있거나, 또는 시뮬레이트된 의사(疑似) 사운드일 수 있다. 또한, 스피커(75)로부터 소위 경고음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소정 사운드의 발생에 의한 서브-모니터(613)의 과도한 누름에 관한 이러한 경고는, 후술하는 터치-패널부(613B)에 과도한 압축력이 인가될 때 서브-모니터(613)가 클리어되기 전의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서브-모니터(613)의 안전장치에 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게임의 진행과 간섭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러한 경고는 플레이어에게 이것이 그 사전 단계임을 통지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한, 서브-모니터(613)가 계속 세게 눌리면, 이러한 소정 사운드의 발생에 의한 경고가 방출된 후에도, 서브-모니터(613)와 연결 장치(600)는 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안전장치로 이동된다.
또한,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613)에 배치된 터치-패널부(613B)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크고 제1 하중 검출부(617B) 또는 제2 하중 검출부(616B)가 소정 하중(예를 들면, 제2 하중)보다 큰 하중을 검출하면, 위와 같이, 서브-모니터(613) 등은 가압력 감소 수단에 의해 플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클리어되도록 제어된다. 이하에서 상세한 예가 주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613)가 연결 장치(600)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 제1 하중 검출부(617B) 등이 소정 하중(예를 들면, 제3 하중)보다 큰 하중을 검출하면, 제1 안전 밸브(617c) 등이 개방된다. 이런 식으로, 서브-모니터(613) 및 연결 장치(600)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되기 위해 이동될 때 플레이어의 손이 서브-모니터(613)와 서브 -모니터 저장부(62) 사이에 끼이거나 하면, 연결 장치에 배치되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 댐퍼(air damper)와 같은 댐퍼가 협력하여 플레이어에 대한 부상을 방지한다. 이하에서 상세한 예가 주어진다.
여기에서, 플레이어가 터치-패널(613B)을 눌러서 입력 조작을 수행하더라도, 가압력이 너무 세면 서브-모니터가 연결 장치(600)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서브-모니터(613)와 연결 장치(600)가 손상된다. 이러한 가압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압력 감소 수단이 제공되는 바, 이하에서 그 상세한 예가 주어진다.
도14는 서브-디스플레이부(61)의 사시도이다.
도14에 따른 연결 장치(600)는 서브-모니터 터닝축(660) 및 턴 바이어싱부(661)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서브-모니터(613)는 제1 지지 아암(612)의 단부에 제공되는 서브-모니터 터닝축(660)에 의해 턴 바이어싱부(661)를 통해서 터닝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턴 바이어싱부(661)는 플레이어에 의한 가압 조작에 의해, 서브-모니터(613)가 터닝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가압력(F4)에 의해 회전 여기된다. 정상 상태 중에, 턴 바이어싱부(661)에 의한 서브-모니터(613)의 플레이어쪽으로의 터닝은 도시되지 않은 로킹부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플레이어에 의해 서브-모니터에 인가되는 가압력(F)에 의해 서브-모니터 터닝축(660)에 발생되는 터닝 방향의 하중(F3)이 턴 바이어싱부(661)에 의해 제공되는 터닝 방향으로의 바이어싱력(F4)보다 크면, 서브-모니터(613)는 터닝되고 플레이어에서 멀어지는 방향(F3 방향)으로 클리어되며, 가압력(F)으로 인한 서브-모니터(613) 및 연결 장치(600)에 대한 손상 등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턴 바이어싱부(661)는 소정 하중보다 큰 하중이 인가될 때 해제되는 로크 또는 터닝축 주위에 감기도록 형성된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중 검출부(617B) 및 제2 하중 검출부(616B)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에 따라서, 연결 장치 구동 장치인 터닝 구동부(616A), 회전 구동부(617A) 등이 제어될 수 있고 서브-모니터가 터닝 및 클리어될 수 있다.
도15는 서브-디스플레이부(61)의 사시도이다.
도15에 도시하듯이, 서브-모니터(613)에 연결된 연결 장치는 연결 막대 슬라이딩 기구(665)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서브-모니터 저장부(62)의 바닥부에 연결된다. 연결 장치(600)에서 연결 막대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슬라이딩부(667)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666) 상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서브-모니터 저장부(62)의 측면으로부터 그 일 표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바이어싱부(663)는 연결 막대와 접촉하는 접촉부(664)를 구비하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측 로킹부(668)에 대한 가압력(F2)에 의해 상기 접촉부(664)를 통해서 바이어스시킨다.
바이어싱부(663)로 인한 플레이어쪽으로의 연결 막대의 이동은 플레이어측에 제공되는 로킹부(668)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플레이어에 의해 서브-모니터(613)에 인가되는 가압력(F)에 의해 연결 막대에 발생되는 하중(F1)이 바이어싱부(663)에 의해 제공되는 바이어싱력(F2)보다 크면, 연결 막대는 플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하중 F1방향)으로 슬라이딩 클리어되며, 가압력(F)으로 인한 서브-모니터(613), 연결 막대(600)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이어싱부는 소정 형상의 스프링 또는 소정 하중보다 큰 하중이 인가될 때 해제되는 로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 방향으로 클리어된 서브-모니터(613)가 그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가압력 감소 수단이 구성되면,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613)가 안전장치로 이동함으로 인해 게임 등을 중단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압력 감소 수단이 바이어싱부(663) 또는 턴 바이어싱부(661)일 때, 플레이어는 게임을 계속 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서브-모니터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화상 표시부(613A)가 배치되는 표면과 동일한 서브-모니터(613)의 표면에 CCD 카메라(614)가 배치된다. 이 CCD 카메라(614)는 게임 필드에 아바타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된다. 또한, CCD 카메라(614)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항상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가 게임 중에 자신의 고유한 의사표현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즐거움이 증가된다. 이 경우, 촬영된 화상은 서브-모니터(613)의 전체 화면 표시부(613A)에 또는 그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들 화상 디스플레이는 입력 조작부(72)(후술됨)를 조작함으로써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서브-제어 장치(90)는 CCD 카메라(614)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분석하여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배 치되어 있는지를 입증한다.
화상 표시부(613A)가 배치되는 표면과 동일한 서브-모니터(613)의 표면에 위치 센서(604)가 배치된다. 위치 센서(604)는 플레이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플레이어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즉, 위치 센서(604)는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또한,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있으면,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있음을 도시되지 않은 서브-제어 장치(90)에 통지하는 관찰 가능 신호가 출력된다. 이 관찰 가능 신호를 수신한 서브-제어 장치(90)는 이 관찰 가능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메인 제어 장치(80)에 통지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 장치(80)는, 서브-모니터(613)를 관찰 가능한 상태에 놓아두는 제어를 지시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서브-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이 조절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제어 장치(90)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서브-모니터(613)를 관찰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플레이어가 착석되어 있지 않을 때, 서브-모니터(613)는 측방 유닛(60)에 형성되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에 저장된다.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된 상태에 있을 때는, 상측 부분에 있는 개방부가 저장부 커버(66)에 의해 커버되어 서브-모니터가 외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어, 메달 삽입 검출기(735)가 소정 개수의 메달 삽입을 검출할 때, 입력 조작부(72)로부터 게임 시작 입력이 수신될 때, 또는 착석 검출기(525)가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할 때에 관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저장부 커버(66)는 후술하는 CPU(91)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고 서브-모니터(613)는 외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서브-모니터(613)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인출된다. 서브-모니터(613)가 예를 들어 자동으로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인출되면, 이는 트리거로서의 전술한 소정 조건 등에 의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제어된다. 이 조작의 예를 후술한다.
입력 조작부(72)에 의한 서브-모니터(613)의 이동 및 착석 검출기(525)에 의한 플레이어의 착석 검출을 지시하는 입력의 수신은,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613)의 이동 금지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제공되는 것처럼, 서브-모니터(613)를 관찰 가능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로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모니터(613)가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이동될 수 있게 된 후에, 메인 제어 장치(80)는 서브-모니터(613)를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이동 신호를 서브-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이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제어 장치(90)는, 연결 장치 구동 장치인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를 제어하고, 서브-모니터(613)를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소정 위치로 이동-제어함으로써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둔다. 상세한 조작이 도9 내지 도12에 나타나 있다.
도9는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쪽을 향하여 터닝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서브-모니터(613)가 그 화상 표시부(613A)가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터닝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저장 커버(66)가 폐쇄되고 서브-모니터(613)는 외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서브-모니터(613)에 연결되는 연결 장치(600)가 수축되고, 서브-모니터는 연결 장치(600)가 연결되는 표면이 바닥면이고 화상 표시부(613A)가 시트에 착석한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어쪽을 향하는 상태에서 저장된다.
저장부 커버(66)가 소정의 트리거에 의해 개방된 후, 이 도9의 저장된 상태에 있는 서브-디스플레이부(61)는 도10에 도시하듯이 제2 지지 아암(611)을 신축 구동부(615A)에 의해 신장시킴으로써 서브-모니터(613)를 서브-모니터 저장부로부터 인출한다.
다음으로, 그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는 서브-디스플레이부(61)는, 제1 지지 아암(612)이 터닝 구동부(616A)에 의해 터닝되고 서브-모니터(613)가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어의 근처로 이동되어 화상 표시부(613A)가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도11에 도시된 상태에 놓인다.
이후,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어의 근처로 이동되어 화상 표시부(613A)가 아래 를 향하도록 배치된 서브-디스플레이부(61)는, 서브-모니터(613)가 회전 구동부(617A)에 의해 회전되고 화상 표시부(613A)가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도12에 도시된 상태에 놓인다.
도12의 위치 센서(604)는 플레이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는지를 검출한다. 이후,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지 않으면, 메인 제어 장치(80)는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제어되도록 지시하는 조절 신호를 서브-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이 조절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제어 장치(90)는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인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를 구동 제어하며, 서브-모니터(613)를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둔다.
여기에서, 서브-디스플레이부(61)의 구동을 스타트시키는 트리거용 선행조건으로서, 메달 삽입 검출기(735)에 의한 게임 매체인 메달의 삽입 검출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브-모니터(613)는 서브-모니터(613)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또는 플레이어의 착석에 의해서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인출될 수 없으며, 오히려 서브-제어 장치는 게임 매체인 메달이 메달 삽입부(734)에 삽입되고 이것이 메달 삽입 검출기(735)에 의해 검출될 때에만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의 이동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수신 가능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메달 삽입 검출기(735)가 게임 매체인 메달의 삽입을 검출하면, 저장부 커버(66)가 개방될 수 있고 서브-모니터는 이동 가능한 상태에 진입한다. 이후, 착석 검출기(525)가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하면, 서브-모니터(613)는 자동으로 플 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인출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서브-모니터(613)는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인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되지만,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이 서브-모니터(613)가 자동으로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되는 구성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입력 조작부(72)에 의해 수신되거나 착석 검출부(52)가 플레이어가 착석부(52)를 이석한 것을 검출할 때, 메인 제어 장치(80)는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 내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지시를 내리는 저장 신호를 서브-제어부(90)에 송신한다. 이 저장 신호를 수신한 후, 서브-제어 장치(90)는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인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를 제어하며, 서브-모니터(613)는 자동으로 서브-모니터 저장부(6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인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의 소정 제어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서브-모니터(613)가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예를 전술하였으나, 동일한 조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는 메인 시트 보디(50)에 착석한 상태에서, 서브-모니터(613)를 도9에 도시된 서브-디스플레이부(61)로부터 도10에 도시하듯이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제2 지지 아암(611)을 신장시킨다. 이후, 도11에 도시하듯이, 서브-모니터(613)는 플레이어쪽으로 당김으로써 플레이어의 근처에 배치된다. 다 음으로, 도12에 도시하듯이, 서브-모니터(61)가 터닝되고, 제1 지지 아암(612)과 서브-모니터(613)의 상대 각도가 조정되며, 화상 표시부(613A)는 플레이어의 시선에서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모니터(613)가 수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될 때에도, 서브-모니터(613)는 예를 들어 게임 매체인 메달의 소정 개수의 삽입을 검출하는 메달 삽입 검출기(735)와 같은 소정 트리거로 인해 게임 상태가 변화할 때 이동가능하게 되며, 이 게임 상태에 따라서 저장부 커버가 개방된다.
도16 및 도17은 관찰 가능한 위치에 놓여있는 서브-모니터(613)가 유지 장치(400)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에서의 유지 장치(400)는 유지 막대(411), 상기 유지 막대(411)를 저장하기 위한 유지 막대 저장부(40), 및 상기 유지 막대(411)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부(413)를 구비한다.
유지 막대(411)는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아코디언-형상 부품이다. 일 단부는 연결 장치(600)가 고정되는 측과 반대되는 단말 장치(30) 측에 터닝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부(413)는 연결 장치(600)가 연결되는 표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피결합부(414)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서, 유지 장치(400)는 연결 장치(600)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지지되는 서브-모니터(613)를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유지한다.
유지 장치는 추가로, 유지 막대(411)를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해 유지 막대(411)에 배치되는 신축 장치(415), 및 이 유지 막대(411)를 터닝시키기 위해 유 지 막대(411)에 연결되는 터닝 장치(416)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 장치(415)는 유지 장치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유지 막대(411)를 신장시키고, 상기 터닝 장치(416)는 결합부(413)가 피결합부(414)와 결합하도록 유지 막대(411)를 터닝시킨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유지 장치(400)는, 정상 상태 중에 플레이어가 서브-모니터(613)와 분리되어 착석될 수 있도록 유지 장치 저장부(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 장치(600)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할 수 있으며, 유지 장치(400)를 구동하기 위한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인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에 의해 서브-모니터(613)를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시킨다.
또한, 유지 장치(400)는 자동적으로 서브-모니터(613)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유지 장치 저장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인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지 장치(400)를 구동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의 구동은, 예를 들어 위치 센서(604) 등에 의해 서브 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음이 검출될 때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604)에 의해 서브-모니터가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메인 제어 장치(80)는 유지 장치(400)가 서브-모니터(613)를 결합 제어하여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결합 신호를 서브-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이 결합 신 호를 수신하면, 서브-제어 장치(90)는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인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를 제어하고, 결합부(413)는 서브-모니터(613)에 제공되는 피결합부(41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입력 조작부(72)에 의해 수신되면, 메인 제어 장치(80)는 결합부(413)가 피결합부(414)로부터 분리-제어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분리 신호를 서브-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이 분리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제어 장치(90)는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인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를 제어하며, 결합부(413)는 자동으로 피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신축 장치(415) 및 터닝 장치(416)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직접 제어될 수 있다.
도17에서의 유지 장치(400)는 유지 막대(411), 상기 유지 막대(411)를 저장하기 위한 유지 막대 저장부(40), 및 상기 유지 막대(411)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부(413)를 구비한다.
유지 막대(411)는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아코디언-형상 부품이다. 일 단부는 후술되는 테이블(71)에 터닝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부(413)는 화상 표시부(613A)가 배치되는 표면과 반대되는 서브-모니터(613) 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결합부(414)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유지 막대(411)는 서브-모니터(613)를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며 서브-모니터(613)를 화상 표시부(613A)에 배치되는 터치-패널부(613B)에 대한 가압력을 이겨내도록 유지할 수 있다.
연결 장치(6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도18에 도시된 블록선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회전 구동부(617A)는 공기압을 사용하는 구동 장치이다. 이 회전 구동부(617A)는 공기압 발생부(617a), 제1 제어부(617b), 제1 안전 밸브(617c), 제1 조작부(617d), 및 제1 통기관(617e)을 구비한다. 공기압 발생부(617a)는 공기압을 발생시킨다. 제1 제어부(617b)는 발생되는 공기압을 소정의 압력으로 제어한다. 또한, 이 공기압 발생부(617a)는 공기압 발생부(616a, 615a)로서도 작용한다. 이 제어된 공기압은 제1 통기관(617e)을 통해서 제1 조작부(617d)에 운송된다. 제1 조작부(617d)는 제1 통기관(617e)에 의해 운송된 공기압을 회전-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서브-모니터(613)를 회전-구동한다. 제1 하중 검출부(617B)는 회전 구동부(617A)에 인가되는 하중을 검출하며, 이 하중이 소정 하중보다 크면, 소정 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이 회전 구동부(617A)에 인가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서브-제어 장치(90)에 출력된다. 이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제어 장치(90)는 제1 통기관(617e)에 배치된 제1 안전 밸브(617c)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제1 안전 밸브(617c)에 송신한다.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안전 밸브(617c)가 개방되어, 제1 조작부(617d)에 운송되는 공기압을 감소시킨다.
터닝 구동부(616A)는 공기압 발생부(616a), 제2 제어부(616b), 제2 안전 밸브(616c), 제2 조작부(616d), 및 제2 통기관(616e)을 구비한다. 제2 조작부(616d)는 공기압을 회전-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 지지 아암(612)을 터닝-구동한다.
신축 구동부(615A)는 공기압 발생부(615a), 제3 제어부(615b), 제3 안전 밸 브(615c), 제3 조작부(615d), 및 제3 통기관(615e)을 구비한다. 제3 조작부(615d)는 공기압을 회전-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 지지 아암(612)을 터닝-구동한다. 터닝 구동부(616A) 및 신축 구동부(615A)는 전술한 회전 구동부(617A)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연결 장치(600)를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구동부(615A, 616A, 617A)에서의 공기압은 예를 들어 플레이어의 신체가 서브-모니터(613)와 단말 장치(30) 사이에 끼거나 할 때에도 자동으로 감소된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의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 구동부(615A)의 근처에는 에어-댐퍼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모니터 저장부(62)에 대한 서브-모니터(613)의 저장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저장 중에 플레이어의 손이 서브-모니터(613)에 끼는 것과 같은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613) 저장 시에 방출되는 공기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면, 플레이어는 서브-모니터(613)가 저장되고 있음을 알게될 것이며, 이는 플레이어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것이다.
또한,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에 과도한 하중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신축 구동부(615A), 터닝 구동부(616A), 및 회전 구동부(617A)의 고장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했듯이, 각각의 구동부를 하중의 크기 및 하중이 인가되는 환경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소정의 사운드에 의해 서브-모니터(613)의 과도한 가압의 경고 및 가압력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널이 가압-조작되고 상기 구동부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하중이 소정 하중을 초과하면, 서브-모니터(613)는 안전 밸브중 어느 하나를 개방함으로써 안전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밸브중 어느 하나가 개방될 때 방출되는 공기의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면, 사운드를 통한 전술한 경고, 및 가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모니터(613)가 안전장치로 이동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측방 유닛(60)에는, 무선 LAN에 의해 메인 제어 장치(80)에 연결되는 서브-제어 장치(90), 및 이 서브-제어 장치(90)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판 저장 슬롯(97)이 제공된다.
상기 서브-제어 장치(90)는 게임 화상을 서브-디스플레이부(61)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64), 및 이동부(32)를 후술하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제어하며, 입력 조작부(72)(후술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메인 제어 장치(80)에 송신한다. 송신부(64)로부터 서브-모니터(613)로의 게임 화상 송신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기판 저장 슬롯(97)의 상부에는 커버부(971)가 자유롭게 개폐하도록 제공된다. 커버부(971)를 개방하고 단말 제어 기판(972)을 위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도2에 도시하듯이, 단말 제어 기판(972)은 기판 저장 슬롯(97)에 부착될 수 있다.
시트 셸(70)의 뒤쪽은 상향 연장되며, 등받이(53) 및 머리받이(54)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셸(70)의 머리받이(54)의 양쪽에는 스피커(75)가 제공된다.
시트 셸(70)의 측면의 뒤쪽은, 메인 시트 보디(50)에 착석한 플레이어를 다른 플레이어가 볼 수 없도록 상향 연장된다.
시트 셸(70)의 상측 에지에는 테이블(71)이 메인 시트 보디(50)의 일 측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부착된다. 이 테이블(71) 아래의 공간은 메인 시트 보디(50)가 베드 모드로 배치될 때 다리받이(521) 및 발받이(52)를 수용한다.
테이블(71) 상의 사이드 아암(55) 근처, 즉 플레이어가 메인 시트 보디(50)에 앉아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는 입력 조작부(72)가 제공되며, 이는 키보드, 조그 다이얼 등을 포함한다. 이 입력 조작부(72)에는 신용 카드 및 멤버십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슬롯(721)이 제공되며,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조작부(72)가 테이블(71) 상에 제공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브-모니터(613)에 배치되는 화상 표시부(613A)에 터치-패널부(613B)로서 제공될 수 있다.
메달 삽입부(734), 상기 메달 삽입부(734)의 근처에 배치되어 메달의 삽입을 검출하는 메달 삽입 검출기(735), 측방 유닛 내에 제공된 메달 수집부(73)로부터 메달을 지불하는 메달 지불구(731), 및 지불되는 메달을 수용하기 위한 메달 수용부(732)가 상기 테이블(71) 아래에 그리고 사이드 아암(55)의 전방에 제공된다. 상기 메달 수용부(732)에는 메달 저장 용기(733)를 부착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홀더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베팅 중개인(book-maker)과 같은, 특정 사건(경마, 전투 등의 승/패)의 참가자에게는 소정의 배당이 약정되며, 플레이어는 원하는 대 상에 베팅을 한다. 이후, 승/패 결과에 기초하여 배당에 따라서 메달이 지불된다. 이 베팅 중개인으로부터의 상금은 메달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임 환경에서의 아이템일 수 있다.
도19는 게임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이 게임기(1)에서, 메인 게임기 본체(20)의 메인 제어 장치(80)는 무선 통신부(83)를 가지며, 단말 장치(30)의 서브-제어 장치(90)는 무선 통신부(93)를 갖는다. 이들 무선 통신부(83, 93)는 무선 LAN에 의해 상호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메인 제어 장치(80)와 서브-제어 장치(90)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 및 캐릭터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제어 장치의 구성
도20은 메인 제어 장치(8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메인 제어 장치(80)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81), 메모리(82), 무선 통신부(83), 및 메모리 수단으로서의 데이터베이스(84)를 가지며, 이들은 데이터 버스(BUS)에 연결된다.
무선 통신부(83)는 서브-제어 장치(9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부(RF)(85), 및 상기 송수신 회로부(85)에 의해 수신된 RF(무선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송신될 베이스 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86)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84)는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또는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또는 ROM 카세트)를 구비하는 회로 기판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 장치(80)에는 이들 회로 기판 및 저장 매체가 착탈될 수 있는 슬롯이 제공된다. 이들 회로 기판 및 저장 매체를 슬롯으로부터 착탈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84)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이 교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게임 프로그램의 교체는 하드웨어를 통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 회로를 통한 다운로드에 의해서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다.
CPU(81)는 하기의 절차에 의해 무선 통신부(83)를 통해서 각 단말 장치(30)의 서브-제어 장치(9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CPU(81)는 단말 장치(30)의 서브-제어 장치(90)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전환한다. 이때, 목적지인 식별된 단말 장치(30)의 IP 어드레스가 패키지 데이터에 추가된다.
또한, CPU(81)는 패킹된 데이터에 추가되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의 서브-제어 장치(9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데이터의 송신 소스인 단말 장치를 식별한다.
전술한 CPU(81)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즉, CPU(81)는 데이터베이스(84)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메모리(82)에 읽어들이고, 이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 게임을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 CPU(81)는 다수의 단말 장치(30)로부터 각각 후술하는 게임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들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서 단일 게임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후, CPU(81)는 발생된 단일 게임 데 이터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 전체와 공유되는 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 데이터를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단일 게임 데이터는, 다수의 단말 장치(30)의 각각의 게임 입력 데이터 및 이 다수의 조작 캐릭터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 발생된 단일 게임 필드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다수의 조작 캐릭터 데이터를 구비한다.
다수의 단말 장치(30)로부터 다수의 게임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면, CPU(81)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게임 입력 데이터를 송신한 단말 장치(30)를 식별하고, 이 게임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식별된 단말 장치(30)의 조작 캐릭터를 이동시킨다.
또한, 다수의 단말 장치(30) 중에서 식별된 단말 장치(30)의 조작 캐릭터의 위치 데이터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면, CPU(81)는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지정하는 이동 신호 데이터를 식별된 단말 장치(30)에 송신한다.
또한, 게임 도중에, CPU(81)는 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게임 프로그램, 그 때 게임 필드에서의 시각표(time-line)에 대응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즉, 게임 필드에서 발생되는 사건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요구 소스인 단말 장치(30)에 무선 LAN을 통해서 송신한다. 또한, CPU(81)는 플레이어의 조작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 단말 장치(3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메모리(82)에 저장한다.
CPU(81)는 메모리(82)에 저장된 플레이어의 조작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 초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 결과를 데이터베이스(84)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플레이어의 조작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30)를 통해서 플레이어에게 보여진 선택으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에 기초한 플레이어의 선택 결과이거나, 또는 게임에 나타나는 캐릭터의 플레이어에 의해 이루어진 조작의 결과이며, 플레이어가 그 각각의 단말 장치(30)를 조작한 결과로서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이다. 다른 플레이어들은 이 데이터베이스(84)에 저장된 현재 게임의 진행 상태(예를 들면, 고득점 정보 등)를 체크할 수 있다.
서브-제어 장치의 구성
도21은 서브-제어 장치(9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서브-제어 장치(90)는 CPU(91), 메모리(92), 무선 통신부(93), 스피커(75)와의 인터페이스인 입출력부(94), 및 서브-모니터(613)와의 인터페이스인 송신부(64)를 구비하며, 이들은 데이터 버스(BUS)에 연결된다.
무선 통신부(93)는 메인 제어 장치(8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부(RF)(95), 및 상기 송수신 회로부(95)에 의해 수신된 RF(무선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송신될 베이스 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96)를 구비한다.
CPU(91)는 하기의 절차에 의해 무선 통신부(93)를 통해서 메인 제어 장치(8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CPU(91)는 메인 제어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분할한다. 이때, 송신 소스인 단말 장치(30)의 IP 어드레스가 각각의 단말 장치(3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패킷 데이터에 추가된다.
또한, CPU(91)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패킷 데이터에 추가된 IP 어드레스가 단말 장치의 IP 어드레스와 매치되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것이 매치되지 않으면 패킷 데이터를 파괴한다.
CPU(91)는 무선 통신부(93)를 통해서 메인 제어 장치(80)와 신호를 송수신할 뿐 아니라, 입력 조작부(72), CCD 카메라(614), 및 IC 태그 검출부(324)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서브-디스플레이부(61),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 및 타이어 방향 제어 장치(32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IC 태그 검출부(324)는 IC 태그(211)로부터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고, 이를 현재-위치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CPU(91)는 입력 조작부(72)에의 입력, CCD 카메라(614)에 의해 촬영되는 얼굴 화상 데이터, 및 IC 태그 검출부(324)로부터의 현재-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게임 입력 데이터(캐릭터 정보, 식별된 선택 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메인 제어 장치(80)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지정하는 이동 신호 데이터를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수신하면, CPU(91)는 IC 태그 검출부(324)로부터의 현재-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레이 영역(21)에서의 단말 장치(30)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부(32)의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 및 타이어 방향 제어 장치(323)를 제어하고, 단말 장치(30)를 이동 신호 데이터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CPU(91)는 입력 조작부(72)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게임 입력 데이터에 따라서, 이동부(32)의 타이어 구동 제어 장치(322) 및 타이어 방향 제어 장치(323)를 구동할 수 있다.
CPU(91)는 CPU(8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입력 수신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메모리(92)에 저장된 조작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다양한 조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입력 조작부(72), 터치-패널부(613B), 및 도시되지 않은 각종 스위치가 입력 수용 수단의 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CPU(91)는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서브-모니터(613) 등을 제어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그 때 게임 필드에서의 시각표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게임 프로그램을 수용할 때, CPU(91)는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송신되는 게임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82)에 저장한 후, 이때 게임 필드에서 발생하는 사건과 같은 다양한 사건발생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표시하고, 스피커(75)로부터 사운드 효과를 출력한다.
또한,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표시되는 게임 내용(화상, 문자 정보 등)을 바라보면서 입력 조작부(72)를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단말 장치(30)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에 도시되는 캐릭터를 조작하고, 문자를 선택하여 선택하는 것과 같은 조작에 의해 게임의 진행에 참가하며, 단말 장치(30)를 플레이 영역(21)상의 식별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메인 제어 장치(80)에 발생된 화상 데이터는 하기 절차에 의해 서브-모니 터(613)로부터 출력된다.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 송수신 회로부(95)는 이 R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처리부(96)에 인가하고 R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96)는 이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부(64)를 통해서 서브-모니터(613)에 출력한다. 이후, 이 베이스 밴드 신호는 출력되어 화상 표시부(613A)에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은 조작에 의해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스피커(75)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즉,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면 송수신 회로부(95)는 R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처리부(96)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96)는 이 베이스 밴드 신호를 입출력부(84)를 통해서 스피커(75)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신호를 스피커(75)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CPU(91)는 입력 조작부(72)로부터의 입력 및 메달 삽입 검출기(735)에 의해 검출되는 소정 개수의 메달 삽입과 같은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조작 프로그램 등을 실행한다. 이후, CPU(91)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서브-모니터(613)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달이 아직 삽입되지 않았으면, 게임 상태는 비플레이(non-playing) 상태로 설정되고, 이동 금지 수단은 서브-모니터(613)를 제어하여, 이를 서브-모니터(613)가 서브-모니터 저장부(62)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이 금지되는 이동 금지된 상태로 둔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커버(66)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 및 연결 장치(600)를 구동될 수 없도록 물리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로 크시키기 위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후, 메달 삽입 검출기(735)가 게임 매체인 메달의 소정 개수의 삽입을 검출하면, 게임 상태가 플레이 상태로 되며, 이동 금지 수단은 서브-모니터(613)를 그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하고 서브-모니터(613)를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커버를 개방하고 서브-모니터(613)를 서브-모니터 저장부(62)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 및 연결 장치(600)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고 서브-모니터(613)를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했듯이, 서브-모니터(613)는 플레이 상태에 진입했을 때 게임 화상이 비플레이 상태로 표시될 수 없도록 제어되고 게임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여기에서, 외부 입력이란 특히 입력 조작부(72)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를 지칭하며, 예를 들면, 메달 삽입 검출기(715)에 의한 게임 매체인 메달의 소정 개수 삽입의 검출 신호, 각종 스위치의 입력 신호, 및 플레이어의 착석이 검출되었을 때 착석 검출기(525)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주어진다.
또한, 전술했듯이, 메인 제어 장치(8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서브-제어 장치(90)는 연결 장치 구동 수단 및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연결 장치(600) 및 유지 장치(400)를 구동한다.
게임 프로그램의 구성
다음으로, 게임기(1)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이 게임 프로그램은 그 고유 시각표에 의해 계속해서 실행되는 가상 게임 필드에서 설정되는 롤-플레잉 게임이다. 이 가상 게임 필드에는 다수의 타운이 존재하며, 각각의 타운에는 길드가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플레이어는 모험가가 되어, 각 타운을 방문하며, 각 길드에서 대기하는 수많은 사건(퀘스트)을 아바타를 조작하여 클리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이 게임 프로그램은 게임 필드에 다수의 큰 사건(매크로퀘스트)을 발생시키고, 스토리에 많은 플롯을 형성한다. 각각의 플레이어는 큰 사건(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되며, 다른 플레이어들과 함께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싸우며, 때로는 경쟁하면서 매크로퀘스트를 해결한다.
이 게임 프로그램은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30) 조작(게임-플레이)에 의해 게임 필드의 플롯을 변경시킨다. 즉, 각각의 개별 플레이어의 게임-플레이(어드벤처)의 축적은 이 게임 필드의 히스토리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이 게임 프로그램은, 다수의 플레이어가 가상 세계에서 히스토리의 흐름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롤-플레잉 게임이다. 또한, 이 게임 필드에서, 히스토리는 멈출 수 없는 고유 시각표에 의해 생성되며, 따라서 이 게임 필드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불사체가 아니고 현실 세계에서와 같이 나이들어 갈 것이다.
게임 프로그램은, 매크로퀘스트에서 사건을 해결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에 대한 경쟁에서 승리와 같은 성과를 달성한 플레이어의 이름을 데이터베이스(84)에 저장된 연표(年表)에 기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매크로퀘스트에서 승리한 플레이어는 자신의 이름을 게임 필드의 히스토리에 남길 수 있다.
도22에 도시된 메인 흐름도를 참조하여 게임기(1)의 작동을 설명한다.
ST1에서, 각각의 플레이어는 플레이 영역(21)에 배치된 단말 장치(30)들로부 터 자신의 단말 장치(30)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 장치(30)의 시트(31)에 착석한다. 다음으로, ST2에서, 각각의 플레이어는 게임 매체중 하나인 메달을 메달 삽입부(734)에 삽입하고 시작 스위치를 누른다. 이후, ST3에서는, 저장 커버(66)가 개방되고 서브-모니터(613)는 외부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 진입한다. 이후, ST4에서는 게임기(1)의 시트(31) 및 서브-모니터(613)의 로크가 해제되고, ST5에서는 플레이어가 시트(31)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모니터(613)가 자동으로 측방 유닛(60)의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인 플레이어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여기에서, 게임 매체의 예로는, 신용 카드 및 선불 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 전자 화폐, 및 각종 포인트가 제공된다. 또한, 다른 물리적 삽입에는, 전기적으로 승인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한 전자 화폐 또는 포인트의 지급과 동등한 소정의 행위가 포함된다.
ST6에서, 게임기(1)는 후술하는 게임 처리를 수행한다. 게임이 완료되면, ST7에서, 게임기(1)는 플레이어 전방의 인출된 서브-모니터(613)를 서브-모니터 저장부(62)에 저장하고 또한 시트(31)의 모드를 시트 모드로 복귀시킨다.
도23은 서브-디스플레이부(61)의 인출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했듯이, ST110에서, 각각의 플레이어는 플레이 영역(21)에 배치된 단말 장치(30)들로부터 자신의 단말 장치(30)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 장치(30)의 시트(31)에 착석한다. 착석 검출기(525)는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ST120에서, 각각의 플레이어는 메달 삽입부(734)에 메달을 삽입하고 시작 스위치를 누른다. 이후, ST125에서는 저장 커버(66)가 개방되고 서브-모니터(613)는 외부로 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 진입한다. 이후, ST130에서는 게임기(1)의 서브-모니터(613)가 자동으로 서브-모니터 저장부(62)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인 플레이어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화상 표시부(613A)가 플레이어측을 향하도록 회전 구동된다. ST140에서는, 서브-모니터(613)에 배치된 위치 센서(604)가 플레이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는지를 검출한다.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지 않으면, 서브-모니터(613)는 다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된다.
ST150에서 서브-모니터(613)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유지 장치(400)는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하도록 구동된다. 유지 장치(400)가 서브-모니터(613)와 결합되면, ST170에서 게임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서브-모니터, 유지 장치(400)가 배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유지 장치(400)가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하도록 구동되지 않으면, 서브-모니터(613)에는 유지 장치(40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 방법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유지 장치(400)가 서브-모니터(613)와 결합되어 있지 않음이 플레이어에게 통지되고, 유지 장치(400)를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이 촉구될 수 있다.
유지 장치(400)가 자동적으로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하여 이를 유지하지만, 유지 장치(400)가 어떤 종류의 고장으로 인해 자동으로 서브-모니터(613)와 결합되지 않으면, 유지 장치(400)의 위치 및 유지 막대(411)를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이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표시된다. 이후, 플레이어에게는 유지 장치(400)를 서브-모니터(613)와 결합하도록 촉구될 수 있다. 유지 장치(400)의 결합을 촉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지 장치의 근처에 배치되는 도시되지 않은 조명부가 점멸될 수 있다.
도24는 게임 처리의 흐름도이다. ST11에서 게임이 시작되면, 게임 프로그램은 ST12에서 플레이어의 아바타를 생성한다.
즉, 게임 프로그램은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아바타 생성 화면을 표시한다. 이 아바타 생성 화면에서, 플레이어는 게임 프로그램에 참가할 때 자신의 분신인 아바타를 생성한다. 플레이어의 얼굴 화상이 CCD 카메라(614)에 의해 찍히고 플레이어가 게임 필드에서 사용될 이름과 개인 정보를 입력 조작부(72)에 입력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이를 메인 제어 장치(80)의 데이터베이스(84)에 등록한다.
ST13에서, 게임 프로그램은 플레이어가 착석한 단말 장치(30)를 플레이 영역(21) 상의 디폴트 위치에 배치한다.
즉, 게임 필드 내의 타운은 바다 또는 숲으로 둘러싸이거나, 대도시이다. 플레이 영역(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 영역(212A), 바다 영역(212B), 및 숲 영역(212C)과 같은 다수의 서브-영역(212)을 갖는다. 이들 서브-영역(212)은 게임 필드에서 타운 환경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이다.
따라서, 게임 프로그램은 게임 필드에서 각 플레이어가 존재하는 타운을 설정하고, 게임이 시작될 때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를 각 플레이어가 존재하는 타운에 대응하는 서브-영역(212)으로 이동시킨다. 대안적으로,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30)는 입력 조작부(72)의 각 플레이어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며, 게임 필드에서 플레이어가 존재하는 타운은 이 이동에 따라 설정된다.
후술하듯이, ST14에서, 게임 프로그램은 고유 시각표에 따라 게임을 실행하고,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매크로퀘스트 및 한 명의 플레이어만이 참가하는 퀘스트를 생성하며, ST15에서 게임을 종료한다.
도25는 게임 프로그램에서의 각 플레이어의 흐름도이다.
각각의 플레이어는 사건 연표(event chronology) 처리, 길드(guild) 처리, 소지품 처리, 상점(shop) 처리, 상태(status) 처리, 및 단체(part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사건 연표 처리"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메인 제어 장치(80)에서 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사건 연표를 읽어들이고 사건 연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사건 연표를 표시한다.
이 사건 연표에는, 게임 필드에서 해결된 각 퀘스트의 날짜 및 퀘스트 명칭이 나타나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퀘스트 명칭(사건 명칭)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된 사건의 상세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건의 상세는, 예를 들어 퀘스트를 가장 빨리 해결한 플레이어가 승자인 경우 퀘스트를 가장 빨리 해결한 플레이어를 나타내며, 사건(퀘스트)을 해결한 협동한 다수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단체가 승자인 경우 단체를 나타낸다.
플레이어가 "길드"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길드 처리를 수행하며, 서 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길드 화면을 표시한다. 이 길드 화면에서, 플레이어는 그가 길드에서 시도할 수 있는 퀘스트일 수 있으며, 게임 필드 내에서 다른 타운으로의 이동을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길드 화면에서 "퀘스트"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할 수 있는 퀘스트의 리스트를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이 리스트에서 소망하는 "퀘스트"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된 퀘스트를 실행한다.
플레이어가 길드 화면에서 "다른 타운으로 이동"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이동 목적지로서 선택될 수 있는 타운의 리스트를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A)에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소망하는 타운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플레이어를 선택된 타운으로 이동시킨다. 게임 프로그램이 플레이어를 다른 타운으로 이동시킬 때, 각각의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는 대응하는 이동 목적지 타운의 서브-영역(212)으로 이동된다.
플레이어는 이동 목적지 타운에서도 "길드", "소지품", "상점"과 같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소지품"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소지품 처리를 수행하며,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무기, 도구, 구두 등과 같은 소지품(콘텐츠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이 소지품(콘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소지품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된 소지품에 포함되는 다수의 아이템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표시한다. 플레이어는 이들 아이템으 로부터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템을 "착용"하거나 "처분"한다.
플레이어가 "상점"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상점 처리를 수행하며,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상점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점 화면은 소지하고 있는 아이템을 물물교환하거나 상점 주인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화면이며, 플레이어는 "청취" 또는 "교환"을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상점 화면에서 "교환"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제품 리스트를 표시한다. 플레이어는 이 제품 리스트에서 소망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소망 아이템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된 소망 아이템과 교환하기 위해 플레이어가 소지하고 있는 아이템을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교환용 소지 아이템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플레이어의 소지 아이템과 그 가격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표시된 소지한 아이템들 중에서 교환을 위한 소정 아이템을 선택하고, 교환될 소지한 소정 아이템이 수집되며, 플레이어가 "실행"을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소망 아이템과, 교환될 소정의 소지 아이템의 교환을 실행한다.
한편, 플레이어가 상점 화면에서 "청취"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소문"을 표시한다. 플레이어는 이 화면에 표시된 "소문"에 의해 게임 필드에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플레이어가 "상태"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상태 처리를 수행하고 상태 화면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표시한다. 이 상태 화면은 게임 필드에서의 플레이어의 성취 결과, 그 소지품 등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화면은 처치한 몬스터의 이름, 타이틀, 명성, 파워, 지능, 숫자, 클리어된 퀘스트의 수, 구출한 사람의 수, 등을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상기 아이템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이 아이템에 관한 랭킹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표시한다.
플레이어가 "단체"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단체 처리를 수행하고, 동료 플레이어가 있을 경우 그들의 이름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표시하며, 추가로 "메일 읽기", "메일 송신", "아이템 교환", "상태 관찰" 등을 표시한다.
상기 아이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플레이어는 동료 플레이어와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고, 동료 플레이어와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으며, 동료 플레이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도26은 플레이어가 게임 필드에서 다른 플레이어를 조우(encounter)할 때의 조우 처리의 흐름도이다.
ST14에서의 게임의 진행 중에, 게임 프로그램은 플레이어가 게임 필드에서 다른 플레이어를 조우할 때 조우 처리를 실행한다.
즉, ST21에서는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조우 화면이 표시되고, 플레이어는 접촉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촉구된다.
플레이어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처리는 ST24로 진행하고, 조우 처리는 단체 결성 없이 종료된다. 한편, 플레이어가 "예"를 선택하면, 처리는 ST22로 진행 되고, 게임 프로그램은 다른 플레이어에게 메일을 송신하며,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플레이어가 동료 플레이어가 되도록 초대받았음을 표시한다. 이후, 게임 프로그램은 다른 플레이어에게 초대를 허락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촉구한다.
초대받은 플레이어가 "예"를 선택하면, 처리는 ST23으로 진행되고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된 결과를 초대한 플레이어에게 송신하며, 초대한 플레이어의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초대받은 플레이어가 동료가 되었음을 표시하고, 단체가 결성되어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초대받은 플레이어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이 플레이어가 초대한 플레이어의 동료가 될 수 없음을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표시하고, 처리는 ST24로 진행되며, 단체 결성 없이 조우 처리를 종료한다.
도27은 게임 필드에서 매크로퀘스트가 발생될 때 매크로퀘스트 처리의 흐름도이다.
ST31에서 다수의 플레이어가 연루되는 매크로퀘스트가 발생되면, 게임 프로그램은 매크로퀘스트 처리를 실행한다.
즉, ST31에서 매크로퀘스트가 발생되면, 처리는 ST32로 이동하고, 이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된 플레이어들을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에 표시하며, 또한 이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된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30)를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전방에 있는 도시 영역(212A)으로 이동시키고, 이들 단말 장치를 상대하는 플레이어 들의 단말 장치(30)가 서로 근접하여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도28에 도시하듯이, 플레이 영역(21)에는 여섯 개의 단말 장치(30A 내지 30F)가 배치된다. 이들 중에서, 단말 장치(30A, 30B, 30E)의 플레이어가 하나의 단체를 결성하고, 단말 장치(30C, 30D, 30F)의 플레이어가 다른 단체를 결성한다. 이후, 단말 장치(30A 내지 30D)의 플레이어 각각은 도시 영역(212A)에서의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되어 있으며, 상대 단체의 플레이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단말 장치(30E, 30F)의 플레이어는 각각 바다 영역(212B) 및 숲 영역(212C)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되지 않으며, 따라서 단말 장치(30A 내지 30D) 사이의 전투를 지켜본다.
매크로퀘스트를 클리어하기 위해,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된 플레이어는 ST33에서 동료의 도움을 요청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플레이어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처리는 ST36으로 진행된다.
한편, 플레이어가 "예"를 선택하면, 처리는 ST34로 이동하고, 게임 프로그램은 동료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메일을 보내며, 동료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30)에 있는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도움이 요청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후, 게임 프로그램은 동료 플레이어에게 도와줄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촉구한다.
도움을 요청받은 동료 플레이어가 "예"를 선택하면, 처리는 ST34로 진행되고, 게임 프로그램은 도움을 요청한 플레이어에게 선택 결과를 송신하며, 플레이어의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는 동료 플레이어가 참가할 것임이 표 시된다. 또한, 게임 프로그램은 새로 참가하는 동료 플레이어들이 모이고 있는 상태를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에 표시하며, 새로 참가하는 동료 플레이어들의 단말 장치(30)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전방에 있는 도시 영역(212A)으로 이동되고, 상대하는 플레이어의 단말 장치가 서로 근접하여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도움을 요청받은 플레이어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은 도움을 요청한 플레이어의 서브-모니터(613)의 화상 표시부(613B)에 도움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표시하며, 처리는 ST36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도29에 도시하듯이, 단말 장치(30E)의 플레이어는 단말 장치(30A, 30B)의 플레이어와 동료이기 때문에, 이 플레이어의 도움은 단말 장치(30A, 30B)에 의해 요청된다. 도움에 동의한 단말 장치(30E)의 플레이어는 도시 영역(212A)으로 이동되고, 단말 장치(30A, 30B)와 정렬하여 배치된다.
한편, 단말 장치(30F)의 플레이어는 단말 장치(30C, 30D)의 플레이어와 동료이고 이 플레이어의 도움이 단말 장치(30C, 30D)에 의해 요청되더라도, 도움을 거절하였으며, 따라서 숲 영역(212C)에 머물러있다.
ST36에서, 각각의 플레이어는 상대 플레이어 또는 상대 단체와 전투를 벌인다. 구체적으로, 도29에 도시하듯이, 단말 장치(30A, 30B, 30E)의 플레이어와 단말 장치(30C, 30D)의 플레이어는 도시 영역(212A)에서 전투를 벌인다.
이와 같이, 각각의 플레이어는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되어 있거나, 매크로퀘스트에 연루된 동료에 의해 도움을 요청받으며, 다른 플레이어들 사이의 전투를 지켜볼 것인지 아니면 스스로 참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에 의해 시트부에 대해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연결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될 때,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 내에 저장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에 의해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연결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 내에 저장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서의 게임 화상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게임 화상이 표시되지 않으며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게임 화상의 프리젠테이션이 허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에 게임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에 게임 화상이 표 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에 의해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연결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에 저장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금지 수단은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도록 제어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부로부터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동 금지된 상태에 두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의 이동 금지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이 플레이되지 않을 때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상태에 놓여져 그 외측 이동이 금지됨으로써 장난스러운 아이 등으로 인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압 방향으로 클리어하기 위한 가압력 감소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터치-패널부에 인가 되는 가압력이 소정 강도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가압 방향으로 클리어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 연결 막대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에서 먼 쪽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싱부가 시트부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터치-패널을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에서 먼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가압력을 클리어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 연결 막대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터닝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터닝 축,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가압력에 의해 초래되는 터닝의 터닝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터닝되도록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회전 바이어싱부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은 터닝되어 가압력을 클리어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 연결 막대 등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에 의해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시트부에 연결되며, 소정 조건의 충족에 따라 연결 막대를 구동하는 연결 막대 구동 수단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후술하는 게임 시작 스위치 등과 같은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게임 시작 지령이 수신될 때 또는 후술하는 착석 검출기가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할 때, 저장부 내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수단이 소정 조건의 충족에 따라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지령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의지와 소정 이동에 따라서 자동으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그 일 단부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그 안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의 착석이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은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는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의지와 소정 이동에 따라서 자동으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르면,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같은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에서는, 그 일 단부가 단말 장치의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단말 장치에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지령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플레이어는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의지 및 소정 이동에 따라서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진입하도록 자동으로 이동 제어되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따르면,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같은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에서는, 그 일 단부가 단말 장치의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장치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단말 장치에는 연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중에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럭셔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지령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저장된 상태로부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어의 의지 및 소정 이동에 따라서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진입하도록 자동으로 이동 제어되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럭셔리한 느낌뿐 아니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될 때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플레이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게임 종료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플레이어의 전방으로부터 클리어되어 저장부 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게임 종료 이후 순조롭게 시트에서 이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저장을 잊어버리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게임 매체 삽입부에 대한 메달과 같은 게임 매체의 삽입이 검출될 때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게임기는 메달과 같은 게임 매체의 삽입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따르면, 예를 들어, 신축 구동부를 신장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부의 외부로 이동시키고, 터닝 구동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어쪽으로 이동시키며, 회전 구동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화상 표시부가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수단은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순조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어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따르면, 게임기는 하중 검출부가 소정 하중보다 큰 하중이 연결 장치 구동 수단에 인가되는 것을 검출할 때 안전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조작부에 운송되는 공기압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플레이어의 신체 일부가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단말 장치 사이에 걸릴 때, 하중 검출부는 연결 장치 구동 수단에 인가되는 하중의 증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에 대한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의 제동과 같은 고장에 의한 손상이 방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태양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디스플레이 수단에 위치 검출부가 배치되어 플레이어에 대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위치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실패 없이 플레이어의 관찰 및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자신의 착석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것이 검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은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태양에 따르면, 연결 막대에 의해 관찰 가능한 위치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서 유지 막대와 결합하여 유지 막대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유지 막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면, 이 유지 막대 구동 기구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때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누르는 플레이어 또는 시트의 움직임에 의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 따르면, 게임기는,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동으로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유지 막대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수단과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과 접촉되는 플레이어의 신체에 의해 발생되는 디스플 레이 수단의 요동은 플레이 중에 억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을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장치는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동으로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플레이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착석한 플레이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 및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9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면 쪽에 터치-패널부가 제공된다. 이 경우, 플레이어가 입력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누르더라도 디스플레이가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누름에 의한 진동 및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터치-패널을 확실히 눌러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조작에 의해 초래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을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따르면, 게임기는,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같은 여러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멀티-플레이어-형태 게임기의 단말 장치에서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동으로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될 때 유지 막대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의 신체가 디스플레이 수단과 접촉할 때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이 플레이 중에 억제되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 상이 알아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지 장치는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결합하고 플레이되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저장부 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착석하고 있는 플레이어와 간섭하지 않도록 이동 및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레이어는 순조롭게 착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면 쪽에 터치 패널부가 제공된다. 이 경우, 플레이어가 입력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누르더라도 디스플레이가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누름에 의한 진동 및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터치-패널을 확실히 눌러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조작에 의해 초래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을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 태양에 따르면, 유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배치된 위치 검출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이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지 장치는, 플레이어의 전방에서 연결 장치에 의해 외팔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특히 흔들리고 불안정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막대의 연결 위치와 반대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표면에 피결합부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수단은 양 측면으로부터 샌드위치되도록 유지되며, 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측면은 연결 막대에 의해 지지되고 반대 측면은 유지 막 대에 의해 유지된다. 즉,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막대 및 유지 막대에 의해 동심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대한 플레이어의 신체 접촉이나 단말 장치의 이동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진동이 적절히 억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의 요동으로 인해 화상이 알아보기 어려워지는 문제 및 터치-패널의 가압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변형예, 개선예 등을 구비한다.

Claims (22)

  1. 게임기이며,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막대를 포함하는 게임기.
  2. 게임기이며,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과,
    상기 입력 수용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 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게임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게임기.
  3. 게임기이며,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과,
    상기 입력 수용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외측 이동을 금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에 놓아두는 이동 금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금지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 금지된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게 하는 게임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용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터치 패널부로서 제공되며,
    상기 연결 막대는 상기 터치 패널부에 소정의 가압력보다 큰 가압력이 인가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압력 방향으로 클리어하기 위한 가압력 감소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감소 수단은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에서 먼 쪽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연결 막대를 플레이어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싱부를 포함하는 게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감소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터닝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터닝 축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가압력에 의해 초래되는 터닝의 터닝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터닝되도록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회전 바이어싱부를 포함하는 게임기.
  7. 게임기이며,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막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연결 막대를 통해서 이동 제어하기 위한 연결 막대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막대 구동 수단은 상기 연결 막대를 소정 조건의 충족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게임기.
  8.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이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이 상기 입력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게임기.
  9.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 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시트에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착석 검출부 및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착석 검출부가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게임기.
  10. 메인 게임기 본체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 수용 수단이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령이 상기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수용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게임기.
  11. 메인 게임기 본체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플레이어의 착석을 검출하기 위한 착석 검출부 및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석 검출부가 플레이어가 착석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게임기.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용 수단에 의해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수용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게임기.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소정의 게임 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게임 매체 삽입부 및 상기 게임 매체가 게임 매체 삽입부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삽입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정상 상태 중에는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없으며, 상기 삽입 검출부가 게임 매체의 삽입을 검출할 때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게임기.
  14.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막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터닝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축부, 그 일 단부가 상기 제1 축부에 연결되는 제1 아암부, 상기 제1 아암부를 터닝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축부 및 그 일 단부가 상기 제2 축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제2 아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은 상기 제2 아암을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한 신축 구동부, 제1 아암부를 상기 제2 아암부에 대해 소정 각도가 되도록 터닝시키기 위한 터닝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화상 표시부가 플레이어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게임기.
  15.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은, 공기압을 기계적 운동으로 전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공기압을 운송하기 위한 통기관, 상기 통기관에 배치되고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 밸브 및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에 인가되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하중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이 소정 하중보다 클 때 상기 안전 밸브를 개방-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에 운송되는 공기압을 감소시키는 게임기.
  16.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플레이어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가 제공되 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검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할 때 상기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제어하는 게임기.
  17. 게임기이며,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막대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막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측부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플레이어의 관찰이 가능한 상태에 두고,
    상기 유지 막대는 상기 측부와 반대되는 다른 측부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관찰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게임기.
  18.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 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상기 연결 막대의 연결 섹션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피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지 막대를 포함하는 유지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키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는 게임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면 쪽에는 플레이어 입력을 수 용하기 위한 터치-패널부가 제공되는 게임기.
  20. 메인 게임기 본체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 및 플레이어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플레이어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제공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연결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 내에 자유롭게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외팔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상기 연결 막대의 연결 섹션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피결합부가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지 막대를 포함하는 유지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연결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 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키고 게임이 플레이될 때는 상기 유지 막대를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시켜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이 연결되는 게임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면 쪽에는 플레이어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터치-패널부가 제공되는 게임기.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플레이어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상기 연결 막대의 연결 섹션의 반대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유지 막대는 상기 착석한 플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 막대가 고정되는 측과 반대되는 상기 본체부의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플레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될 때 상기 유지 막대가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유지 장치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게임기.
KR1020060087720A 2005-09-14 2006-09-12 게임기 KR20070031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20A KR20070031228A (ko) 2005-09-14 2006-09-12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7716 2005-09-14
JPJP-P-2005-00267715 2005-09-14
JPJP-P-2005-00281970 2005-09-28
KR1020060087720A KR20070031228A (ko) 2005-09-14 2006-09-12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28A true KR20070031228A (ko) 2007-03-19

Family

ID=4365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720A KR20070031228A (ko) 2005-09-14 2006-09-12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2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9708A1 (en) Gaming machine with retractable monitor
EP1754524B1 (en) Gaming machine
US20070167239A1 (en) Arcade Casino Game
JP7177409B2 (ja) 遊技機
JP2003062345A (ja) 対戦型ゲームのプログラム
JP2023001318A (ja) 遊技機
JP2023011915A (ja) 遊技機
JP6992384B2 (ja) 遊技機
JP2002119765A (ja) ゲーム装置、アーケードゲーム機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920803A2 (en) Gaming machine
JP2007075578A (ja) 遊技機
KR20070031228A (ko) 게임기
TW536412B (en) Game execution method where player replaces the role of a conventional game device computer and a device thereof
JP3929791B2 (ja) Rpgメダルゲーム機用カード発行機及びプログラム
JP2007089761A (ja) 遊技機
KR100610707B1 (ko) 게임 장치, 아케이드 게임기 및 게임 실행 방법과 기록 매체
JP2007075380A (ja) 遊技機
JP2007075381A (ja) 遊技機
KR20070021953A (ko) 게임기 및 게임기에 구비되는 단말 장치
JP2007075579A (ja) 遊技機
JP2007075580A (ja) 遊技機
JP6874704B2 (ja) 遊技機
JP7014999B2 (ja) 遊技機
JP3929796B2 (ja) Rpgメダルゲーム機及びプログラム
JP3830829B2 (ja) Rpgメダルゲーム機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