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910A -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910A
KR20070030910A KR1020077001478A KR20077001478A KR20070030910A KR 20070030910 A KR20070030910 A KR 20070030910A KR 1020077001478 A KR1020077001478 A KR 1020077001478A KR 20077001478 A KR20077001478 A KR 20077001478A KR 20070030910 A KR20070030910 A KR 20070030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lecommunication
probability
broadcast channel
direc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562B1 (ko
Inventor
아룰모즈히 카시 아난타나라야난
할린 케이 질
에릭 씨 로젠
아쉬 라즈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그룹 사이에서, 푸쉬-투-토크 (PTT) 콜과 같은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아웃고잉 통신에 대한 오픈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요청후 수신하며, 그 아웃고잉 통신은, 지정된 그룹의 모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그룹 통신을 수신하고 생성하는 통신 서버로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것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한다.
PTT, 레이턴시 최소화, 그룹 통신

Description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 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A PERSISTENCE VALUE FOR GROUP COMMUNICATION REQUESTS TO REDUCE LATENCY}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04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581,734호 및 2005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686,141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이들 출원들의 콘텐츠는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그룹 통신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이 오픈 (open) 전용 트래픽 채널을 초기에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킴으로써,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 (Push-to-Talk) 그룹 통신과 같은 그룹 통신에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공중-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컴퓨터와 통신한다. 이것은 오피스 (office) 환경에서의 무선 LAN의 경우에서와 같이 직접 행해질 수도 있거나, 무선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서와 같이 셀룰러 인프라구조 장비를 통해 행해질 수도 있다. 개인 통신 시스템의 일 타입은 이동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푸쉬-투-토크 (PTT) 시스템이다. 통상적으로, PTT 통신 접속은 그룹의 각각의 멤버 디바이스와 스피커와 사이의 하프-듀플렉스 (half-duplex) 링크를 활성화하는 무선 디바이스상의 단일 버튼-푸쉬 (button-push) 에 의해 개시되고, 일단 버튼이 릴리즈 (release) 되면, 디바이스는 인커밍 PTT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배열에서, PTT 스피커는, 그 스피커가 스피킹하는 동안 어느 그룹 멤버도 스피킹할 수 없는 "플로어 (floor)" 를 가질 것이다. 일단 스피커가 PTT 버튼을 릴리즈하면, 그룹의 임의의 다른 개별 멤버는 그들의 PTT 버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들은 플로어를 가질 것이다. 통신 중인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의 특정 PTT 그룹은 캐리어에 의해 일반적으로 셋업 (set up) 되고, 무선 디바이스 자신은 그룹의 변형, 즉, 그룹으로부터 개인을 포함 또는 드롭 (drop) 하거나 전체 그룹보다 소수의 임의의 멤버에 의해 통신이 수신되는 것을 고의로 지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통상적인 PTT 콜 (call) 은, 통신물의 통신 및 복제가 기존의 정보통신 인프라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전파되기 위한 동일한 정보통신 섹터내에 거의 위치되지 않는 2명의 사용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푸쉬-투-토크 콜의 작지만 중요한 부분은 더 많은 수의 콜 참가자를 포함하며, 또한, 다수의 그 참가자는 동일한 섹터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즉, 공공-안전 (public-safety) 재난 시나리오가 일 예이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동일한 정보통신 리소스상에 위치된 모든 그룹내에서의 PTT 통신의 유지는 어렵고 비효율적이다. 이들 시스템은, 전화 네트워크 의 "트렁크 (trunk)" 및 각각의 콜 참가자에 대한 개별의 회로를 전용하는 표준 채널 할당을 사용할 것이며, 그에 따라, 시스템 스케일러빌리티 (scalability) 를 제한한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요청대로 전용 통신 채널을 점유할 소정의 확률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딜레이는 기지국에서 요청 충돌의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PTT 시스템에서, 많은 수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동일한 섹터에 있다면, 그룹 디바이스로부터의 즉시의 응답 요청이 있을 확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충돌의 가능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일부 내부의 딜레이 메커니즘은 충돌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럼에도 우선순위 PTT 통신을 딜레이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이 주로 다루는 것은, PTT 또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의 셋업에 대한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그러한 시스템 및 방법이다.
발명의 요약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푸쉬-투-토크 (PTT) 와 같은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제어 또는 시그널링 채널을 통한 아웃고잉 (outgoing) 통신을 위해 오픈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요청한 후 수신하며, 그 아웃고잉 통신은, 지정된 그룹의 모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의 그룹 통신을 수신 및 생성하는 통신 서버로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디 바이스에서 설정된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직접적인 그룹 통신용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그룹중에서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은,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포함하기 위해, 각각이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고 각각이 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오픈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요청한 후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통신중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단일 통신 스트림을 수신하고 지정된 그룹의 모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의 그룹 통신을 생성하는 통신 서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세트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용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소정의 그룹으로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 이스의 지정된 그룹으로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용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오프닝 (opening) 을 요청하는 단계, 그 후,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1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2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그 제 2 확률은 그 제 1 확률보다 더 크다.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용이 아니면, 그 방법은 그 제 1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렇지 않고,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용이면, 그 방법은 그 제 2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스템 및 방법은,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정의 확률이 사용자의 요청대로 전용 통신 채널을 점유할 수 있게 할 수 있지만, 여전히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우선순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수의 수신중인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PTT 시스템이, 그룹 디바이스로부터의 즉시의 응답 요청이 충돌을 야기할 가능도를 줄이도록 채널 허여 확률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섹터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여전히 응답하는 그룹 통신에 우선순위를 제공한다. 따라서,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오픈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최종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바대로 기존의 인프라구조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성은, 이하 설명되는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의 검토후에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그룹 통신 서버 및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PTT 그룹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의 구상도이다.
도 2는, 공통적인 셀룰러 정보통신 구성에서, PTT 그룹 멤버들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일련의 그룹 통신 서버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의 구상도이다.
도 3은 PTT 능력을 갖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컴퓨터 플랫폼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PTT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레이어 시그널링에 대한 콜-진행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경고 (alert) 를 확립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레이어 시그널링에 대한 콜-진행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트래픽 채널 셋업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시작 및 종료 포인트를 도시한 콜 진행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전용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AT) -발신 데이터-오버-시그널링 (data-over-signaling; DOS) 메세지에 대한 시그널링의 콜 진행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기지국으로의 아웃고잉 전용 채널에 대한 요청에 확률을 할당하기 위 해 무선 디바이스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엘리먼트를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은 무선 네트워크 (20) 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타겟 세트 (12)) 의 그룹 사이의 무선 정보통신 시스템 (1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무선 전화기 (14), 스마트 페이저 (16),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18) 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한 다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PTT 그룹에 존재한다. 시스템 (10) 에서, 각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20) 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타겟 세트 (12) 와 복수로 선택적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14) 에 대한 타겟 세트는 타겟 세트 (12), 또는 타겟 (12) 의 서브세트의 페이저 (16) 및 PDA (18) 와 같은 모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10) 은, 애드-혹 (ad-hoc) 방식에서 정의된 매우 큰 푸쉬-투-토크 (또는 다른 유사한 서비스) 콜에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매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들 PTT 콜들은, 오퍼레이터의 무선 네트워크 (20)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 있거나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 리소스상의 작은 수의 섹터에 위치될 수도 있는 매우 많은 수의 (수백의) 콜 참가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그룹 통신 서버 (32) 는 통신중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들 (14, 16, 18) 사이의 직접 통신을 브리지하기 위한 요청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타겟 세트 (12) 의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통신중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지정된다. 그 후, 통신 서버 (32) 는 PTT 음성 통신과 같은 요청된 직접 통신을 선택적으로 브리지한다. 타겟 세트 (12) 의 아이덴티티 (identity) 는, 그룹 통신 서버 (32) 또는 접속된 데이터베이스 (34), 또는 (통상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에 공통인) 아마 또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에 상주되는 바와 같이 패킷 흐름-제어 서버 (36) 와 같은 그룹 통신 서버 (32) 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시스템 (10) 은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세트 (12)) 의 그룹 사이에서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한다. 각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는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들의 (세트 (12) 의 모든 디바이스와 같은)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고, 여기서 후술될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는,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오픈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요청한 후 수신한다. 통신 서버 (32) 는 통신중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단일 통신 스트림을 수신하고, 지정된 그룹의 모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에 대해 그룹 통신을 생성한다. 하나 이상의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세트는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직접적인 그룹 통신용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한다.
통상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서버 (32) 와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2) 의 그룹 사이에 통신 스트림을 브리지 (bridge) 하는 하나 이상의 간헐적인 (intermittent) 통신 디바이스가 존재하며, 또한, 통신 서버 (32) 는, 멤버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 (14, 16, 18) 와의 최적 모드의 통신을 결정할 수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그 후, 통신 서버 (32) 는 하나 이상의 간헐적인 통신 디바이스가 이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세트 (12) 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안내할 것이다.
도 2는, 공통적인 셀룰러 정보통신 구성에서, PTT 시스템의 세트 그룹 멤버 (디바이스 (70, 72, 74, 76)) 의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그룹 통신 서버 (32) 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의 구상도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원격 모듈들은, 공중-경유를 통해 상호간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 및/또는 서버를 제한없이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20) 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통신한다. 일련의 그룹 통신 서버 (32) 는 그룹 통신 서버 LAN (50) 에 접속된다. 무선 전화기는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그룹 통신 서버(들) (32) 로부터 (CDMA와 같은) 패킷 데이터 세션을 요청할 수 있다.
그룹 통신 서버(들) (32) 는, 여기에서 캐리어 네트워크 (54) 상에 상주하는 것으로 도시된 PSDN (52) 와 같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 의 무선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된다. 각각의 PDSN (52) 는 패킷 제어 기능 (PCF; 62) 을 통해 기지국 (60) 의 기지국 제어기 (64) 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PCF (62) 는 기지국 (60) 에 위치된다. 캐리어 네트워크 (54) 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기 ("MSC"; 58) 에 (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전송된 메세지를 제어한다. 캐리어 네트워크 (30) 는, 네트워크, 인터넷 및/또는 POTS ("plain ordinary telephone system") 에 의해 MSC (32) 와 통신한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네트워크 (54) 와 MSC (58) 사이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POTS는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 (58) 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60) 에 접속될 수 있다. 캐리어 네트워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MSC (58) 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과 음성 정보를 위한 POTS 양자에 의해 브랜치-투-소스 (branch-to-source; BTS; 66) 에 통상적으로 접속된다. 최종적으로, BTS (66) 는, 짧은 메세징 서비스 ("SMS")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공중-경유 방법에 의해, 셀룰러 전화기 (70, 72, 74, 76) 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메세지를 무선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메세지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세트 (12) 의 그룹 멤버로 지정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그 무선 디바이스는 세트의 다른 멤버와 직접 접속할 수 있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모든 직접적인 통신은 그룹 통신 서버 (32) 를 통해, 또는 그룹 통신 서버 (32) 의 제어에서 발생할 것이다. 디바이스의 모든 데이터 패킷은 그룹 통신 서버 (32) 그 자체를 통해 전달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그 서버 (32) 가 통상적으로 세트 (12) 의 멤버의 아이덴티티를 인식 및/또는 검색할 수 있거나, 세 트 (12) 의 멤버의 아이덴티티를 또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에 안내하는 유일한 서버-측 LAN (50) 컴포넌트이기 때문에, 그 서버 (32) 는 통신을 최종적으로 제어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PTT 실시형태에서, 무선 시스템 (10) 은, 상업적인 표준 무선 인프라구조 (CDMA, FDMA, GSM 등) 를 통해 동작하는 발송 (dispatch) 음성 서비스를 허용한다. 발송 모델에서, 말단들 (무선 디바이스 (14, 16, 18)) 사이의 통신은 가상 그룹내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하나의 "화자 (talker)" 의 음성이 하나 이상의 "청취자 (listeners)" 에 브로드캐스팅된다. 이러한 타입의 통신의 단일 인스턴트 (instance) 는 통상 "발송 콜" 로 지칭된다. 콜은 콜의 특징을 정의하는 "그룹"의 인스턴트화 (instantiation) 이다. 사실, 그룹은 그룹 명칭 또는 그룹 ID와 같은 관련 정보 및 멤버 리스트에 의해 정의된다.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의 부재시에, 각각의 그룹은, 콜을 관리하기 위해 할당된 그룹 통신 서버(들) (32) 와 각각의 말단 사이의 별개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PTT 인프라구조의 각각의 영역은 캐리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의 특정 부분에 걸쳐 배치된다. 영역내의 그룹 통신 서버(들) (32) 는 캐리어 네트워크 (54) 의 하나 이상의 PDSN (52) 사이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 있을 수도 있다. "직접적인 콜" 은, 여전히 PTT 시스템을 사용하는 2개의 멤버, 즉, 콜 발신자 및 콜 타겟만이 존재하는 콜이다. 이러한 콜 타입에 있어서, 성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가장 챌린지한 (challenging) 시나리오는, 직접적인 콜이 휴면중인 패킷-데이터 접속을 갖는 발신자 및 타겟 핸드셋 양자로 배치되는 때의 경우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발신자의 및/또는 타겟의 패킷-데이터 접속은 액티브 상태일 수 있고, 전용 트래픽 채널은 직접적인 콜이 배치되는 때에 이용가능하다. 휴면중-투-휴면중 시나리오는, 여기에 완전히 설명된 바와 같이, 성능 요건을 충족하고 콜 셋업에서 현저한 레이턴시를 방지할 시에 가장 큰 챌린지를 제공하는 시나리오이다.
도 3은 디바이스의 타겟 세트 (12) 에 직접적인 통신을 오프닝하는 PTT 버튼 (78) 을 갖는 셀룰러 전화기 (14) 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 (14) 는 무선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에 대해 그래픽 디스플레이 (80) 를 갖는 바와 같이 도시된다. 무선 디바이스 (14) 는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고,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해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 (82) 을 포함한다. 컴퓨터 플랫폼 (80) 은, 다른 컴포넌트들 중,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84), 또는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ASIC (84) 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인스톨되고,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가능하지 않다. ASIC (84)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상주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레이어 (86) 를 실행하고, ASIC (84) 에 로딩된 운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주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은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88) 에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한다. 상주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일 예는, 무선 디바이스 플랫폼을 위해 퀄컴
Figure 112007005913414-PCT00001
에 의해 개발된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갖는 셀룰러 전화기 (14) 일 수 있지만, 또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갖는 페이저, 또는 무선 통신 포털 (portal) 을 갖는 심지어 별개의 컴퓨터 플랫폼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플랫폼을 갖는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 대한 유선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88) 는 판독-전용 또는 랜덤-액세스 메모리 (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 또는 컴퓨터 플랫폼에 공통적인 임의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 (82) 은 메모리 (88) 에서 액티브하게 사용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저장을 위해 로컬 데이터베이스 (90)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 (90) 는 하나 이상의 플래시 메모리 셀로 구성되지만, 자성 매체, EPROM, EEPROM, 광학 매체, 테이프, 또는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제 2차 또는 제 3차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정보통신에 대해 풀 듀플렉스 (full duplex) 채널을 오프닝할 것이고, 일부 예에서는, 음성 스트림을 토크 또는 수신만을 할 수 있는 하프-듀플렉스를 통해 통신할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 (14) 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컴퓨터 플랫폼 (82) 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적인 통신 채널을 오프닝할 수 있는 직접적인 통신 인터페이스 (94) 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92) 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통신 인터페이스 (94) 는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및 무선 디바이 스로부터 송신된 음성 및 데이터를 운송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표준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직접적인 통신 인터페이스 (92) 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도 4는 PTT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레이어 시그널링에 대한 콜-진행 다이어그램이다. 제어 채널과 같은 단지 일반적인 공유 순방향 링크 채널과는 대조적으로, 콜 셋업 시그널링이 형식적인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현존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은 제어 채널 (CC) 및 별개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BCH) 을 사용한다. 직접적인 콜에 대한 중요한 성능 메트릭 (metric) 은, 사용자가 스피킹하는 허가를 허여받는다는 것을 (오디오 수단 또는 비주얼 (visual) 수단 중 하나를 통해) 그 사용자가 통지받는 시간과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는 시간 사이에서 딜레이가 인식되는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PTT 레이턴시를 포함한다. 또한, 콜이 먼저 확립된 이후에 타겟이 발신자의 스피치를 듣는 시간 이전까지의 플로어 승인에 후속하여 발신자가 스피킹을 시작하는 시간 사이에서 인식되는 딜레이로 구성된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매체 레이턴시가 존재한다.
직접적인 콜을 확립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레이어 시그널링은, 직접적인 PTT 콜을 확립하도록 교환되는 애플리케이션-레이어 메세징을 도시한다. 도 4의 다이어그램은, 이러한 시스템이 다양하고 상이한 물리 시스템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물리-레이어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식별하지 않는다.
도 5는 경고를 확립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레이어 시그널링에 대한 콜-진행 다이어그램이다. "경고" 는, 사용자가 직접적인 PTT 콜로 통신하기를 원하는 또 다른 사용자를 통지함으로써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콜 타입이다. 경고 콜은, 소수의 짧은 애플리케이션-레이어 메세지가 발신자, 그룹 통신 서버 (32) 및 타겟 무선 디바이스 (12, 14, 16, 18) 에서 교환된 후 종료된다. 직접적인 콜 타입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경고에 대한 성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가장 챌린지한 시나리오는, 또한, 경고가 전송되고 발신자 및 타겟 핸드셋 양자가 휴면중인 패킷-데이터 접속을 가질 때, 즉, 액티브한 전용 채널이 없을 때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경고 레이턴시는, 사용자가 PTT 버튼 (78) 을 누르는 시간으로부터 사용자가 (오디오 또는 비주얼 수단 중 하나를 통해) 통지받는 때까지의 딜레이며, 경고 전달의 상태를 나타낸다. 경고는 물리-레이어에서 확립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임의의 물리-레이어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식별하지 않는다.
도 6은 트래픽 채널 (TCH) 셋업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시작 및 종료 포인트를 도시하는 콜 진행 다이어그램이다. 액세스 프로브 (probe) 의 프레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트래픽 채널 셋업 시간은 증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AT에 의해 전송된 액세스 프로브는 전용 채널에 대한 요청, 즉, 여기서는 "접속요청" 및 루트업데이트 (RouteUpdate) 메세지를 항상 공급하지만, 또한, 애플리케이션-레이어 데이터를 운송하기 위해 제어 또는 시그널링 채널, 즉, 여기서는 "데이터오버시그널링 (DataOverSignaling)" 메세지를 통해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액세 스 프로브의 사이즈는, 루트업데이트 메세지에서 보고된 홉의 수, 접속요청의 사이즈, 및 데이터오버시그널링 메세지에서 전송된 바이트의 수로 인해 변할 수 있다. 도 6의 목적에 있어서, AT가 제어 채널상에서 데이터를 초기에 디코딩할 수 있다고 가정되지만, 극단적인 경우는 AT가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데이터 흐름의 모든 할당된 시간을 요구하는 때이다. 일반적으로, 평균 트래픽 채널 셋업 성능 수는 이들 2개의 수내에 충분히 들어가야 한다. 평균하여, 초기의 제어 채널은 순방향 링크상의 153kbps의 유효 레이트에서 38.4kbps로 디코딩할 수 있고, 기대된 트래픽 채널 셋업 성능은 76.8kbps의 더 높은 레이트에서 동작하는 제어 채널과 동일하다. 그러나, 더 적은 이상적인 채널 조건이 존재한다면, 성능은 더 신속한 제어 채널로 개선한다.
지속 값 (persistence value) 은, AT가 초기 액세스 프로브 송신이 성공적이도록 제 1 시도를 통해 송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가 액세스 채널을 통해 프로브를 송신하기 위해 로컬 액세스 절차들을 시작하는 경우, 트래픽 채널 셋업의 시작이 측정된다. 이들 절차들은, 액세스 채널 사이클의 시작을 대기하는 단계, 지속 테스트 (전용 채널이 오프닝될 확률) 를 수행 및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T가 확인응답 (RTCAck) 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트래픽 채널 셋업 절차의 종료가 측정된다.
도 7은 전용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해 디바이스 (AT)-발신 시그널링-통한-데이터 (DOS) 메세지에 대한 시그널링의 콜 진행 다이어그램이다. 여기에서, 지속 값은, AT가 초기 액세스 프로브 송신이 성공적이도록 제 1 시도를 통해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AT는 섹터로부터의 오버헤드 파라미터 및 시그니처 (signature) 를 이전에 모니터링하고, 로컬적으로 캐싱된 (cach) 데이터를 갖는다. 초기 액세스 프로브가 성공하지 않으면, 시그니처 딜레이가 액세스 시도 절차에서 초래된다. 이러한 딜레이의 많은 부분은, AT가 그의 액세스 프로브를 재시도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백-오프 (back-off) 주기로 인한 것이다. PTT 액세스 프로브에 대해 접속의 확률을 더 높게 또는 절대적으로 설정할 시에, 레이턴시의 현저한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AT는 일정한 접속 확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전달이 수신 무선 디바이스 (AN) 에 임의의 요건을 배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AT-발신 데이터 접근법은 AN이 지원을 제공해야 하는 것에 대해 도시된다. 데이터오버시그널링 (DOS) 메시지로서 시간-민감 데이터는 AT에 의해 액세스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초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AT는 트래픽 채널 (TCH) 을 확립하도록 동시에 요청할 수도 있다. 트래픽 채널이 요구되면, AT는 접속요청 및 루트업데이트 메세지에 따라 DOS 메세지를 공급하는 액세스 프로브를 제공한다. 일단 AN이 TCH 통신에 대해 적절한 데이터 (DRC 및 파일럿) 를 획득하면, 완전한 TCH가 셋업된다.
도 8은, 기지국 (60) 으로의 아웃고잉 전용 채널에 대한 요청에 확률을 할당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14, 16, 18)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14, 16, 18) 는 PTT 또는 그룹 직접적인 콜에 대한 것이 아닌 (TCH 와 같은) 전용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확률을 할당하고, 그 후, 단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T 또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전용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확률을 할당한다. 이들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무선 디바이스 제조시에, 또는 디바이스-상주 소프트웨어의 더 이후의 구성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 후, 판정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채널에 대한 인커밍 요청이 PTT 또는 다른 그룹 통신 콜에 대한 것이 아닌지의 여부에 관해 판정이 행해진다. 인커밍 요청이 판정 104에서 PTT 콜에 대한 것이면, 단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채널을 제 1 확률과 브리지하는 시도가 수행되고, 판정 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통신을 브리지하는 것을 시도하도록 포워딩 (forward) 하고 채널이 오프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렇지 않고, 판정 104에서, 요청이 PTT 또는 그룹 통신 콜을 위한 전용 채널에 대해 행해지면, 단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채널은 t 채널 허여의 제 2 확률에 브리지되도록 시도된다. 그 후, 판정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채널이 접속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 오픈 채널이 행해지면, 전용 채널은 통신 인터페이스 (92) 에 브리지 및 핸드 오프 (hand off) 되며, 프로세스는 또 다른 콜 요청을 대기하기 위해 판정 104에 복귀한다. 그렇지 않고, 판정 112에서 오픈 채널이 허여되지 않았다면, 판정 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채널을 브리지하기 위한 일정한 수의 디폴트 (default) 시도가 PTT 콜에 대해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 PTT 콜에 대한 채널의 오프닝에 확률 적인 제한이 존재하면, 접속에 대한 이러한 디폴트 조건이 적용되고, 콜의 더 높은 우선순위로 인한 비-PTT (non-PTT) 시도에 대한 것보다는 더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즉, 5번의 시도에 대해 2번의 시도후 접속한다. 물론, 일부 실시형태에서, PTT 콜에 대해 채널을 오프닝하는 딜레이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므로, 따라서, 제 2 확률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이들 단계들은 불필요하다. 디폴트 수가 판정 114에서 도달되지 않으면, 단계 108에서 프로세스는 제 2 확률과 접속을 브리지하도록 시도하는 것을 반복한다. 판정 114에서 시도의 디폴트 수가 도달되면, 단계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채널은 브리지 및 핸드 오프되며, 프로세스는 전용/오픈 채널에 대한 요청에 대한 상태를 대기하기 위해 재반복된다.
전용 접속이 비-PTT 콜에 대해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지는 판정 116을 다시 참조하면, 전용/오픈 채널이 행해지지 않으면, 판정 1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도의 디폴트 수가 접속의 제 1 확률에 대해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 판정 118에서 오픈 채널이 행해지면, 단계 120에서 프로세스는 전용 채널을 브리지 및 핸드 오프하며, 또 다른 전용/오픈 채널 요청에 대한 상태를 대기하는 것을 반복한다. 그렇지 않고, 판정 118에서 시도의 디폴트 수가 행해지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제 1 확률과 접속을 브리지하는 것을 시도하기 위해 단계 106에 복귀한다.
따라서, 시스템 (10) 이, (무선 디바이스 (14) 와 같은) 제 1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세트 (12) 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소정의 그룹에 제공한 다. 방법은,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 (20) 상의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세트 (12)) 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는 (무선 전화기 (14) 와 같은)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서, 트래픽 채널 (TCH) 와 같은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 (20) 에 대한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오프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방법은, 단계 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1 확률을 할당하고, 단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2 확률을 할당한다. 제 2 확률은 제 1 확률보다 더 크고, 다른 방법으로, 제 2 확률은 100%로 설정될 수 있고, 즉, 채널은 항상 오프닝될 것이다.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 아니면, 단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고,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면, 단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한다.
또한, 방법은, 전용 통신 채널을 오프닝하는 요청과 그 전용 통신 채널의 오프닝 사이의 최대 딜레이에 대한 제 1 디폴트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판정 118에 의해 도시된다. 그 후, 방법은, 또한, 판정 114 및 1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해 전용 통신 채널을 오프닝하는 요청과 그 전용 통신 채널의 오프닝 사이의 최대 딜레이에 대한 제 2 디폴트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제 2 디폴트 지속기간은 그 제 1 디폴트 지속기간보다 더 짧다. 제 2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자동적으로 오프닝하도록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는 50%의 확률을 할당하고, 제 2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는 50%보다 더 높은 확률을 할당한다.
또한, 시스템 (10) 은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화기 (14) 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세트 (12) 와 같은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고, 임의의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에 대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용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한다.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4, 16, 18) 는 통신을 위해 전용 채널을 오프닝하도록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 매체에서, 그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플랫폼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를 안내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전화기 (14)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컴퓨터 플랫폼 (82) 의 메모리 (88) 일 수 있고, 무선 전화기 (14) 의 로컬 데이터베이스 (90) 와 같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성 디스크 또는 테이프, 광학 디스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다른 저장 매체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 컴퓨터 플랫폼상에 로딩가능한 제 2차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8의 콘텍스트 (context) 에서, 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플랫폼 (82) 및 통신 서버 (32) 와 같이, 머신-판독가능 명령의 시퀀스를 실행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20) 의 동작 부분(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은 다양한 타입의 단일-베어링 (bearing) 또는 제 1차, 제 2차, 또는 제 3차 데이터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매체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20) 의 컴포넌트에 의해 액세스가능하거나, 그 컴포넌트내에 상주하는 RAM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할 수도 있다. RAM, 디스켓, 또는 다른 제 2차 저장 매체에 포함되지만, 명령은, (예를 들어, 종래의 "하드 드라이브" 또는 RAID 어레이와 같은) DASD 저장부, 자성 테이프, (예를 들어, ROM, EPROM, 또는 EEPROM과 같은) 전자적인 판독-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카드, (예를 들어, CD-ROM, WORM, DVD, 디지털 광학 테이프와 같은) 광학 저장 디바이스, 페이퍼 "펀치 (punch)" 카드, 또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송신 매체를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다양한 머신-판독가능 데이터 저장 매체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술된 개시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먼트가 단수로 설명되고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라는 제한이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는다면, 복수로 고려된다.

Claims (22)

  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그룹 사이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 (latency) 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서, 각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고, 각각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포함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한 오픈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요청한 후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중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단일 통신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지정된 그룹의 모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그룹 통신을 생성하는 통신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세트는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세트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용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스트림은 음성 데이터 패킷인, 레이턴시 최소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스트림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트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자동적으로 오프닝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세트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에 대해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50%이상이도록 할당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시스템.
  6.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임의의 직 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포함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상기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고,
    또한,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고,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용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하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스트림은 음성 데이터 패킷인,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스트림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자동적으로 오프닝하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오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는 확률을 50%이상 이도록 할당하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1.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하는 수단;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임의의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포함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상기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수단;
    소정의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수단; 및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용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것보다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오프닝하는 확률을 더 높게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
  1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소정의 그룹에 제 1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상기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오프닝을 요청하는 단계;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1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해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상기 제 1 확률보다 더 큰 제 2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상기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 아니면, 상기 제 1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 및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상기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면, 상기 제 2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용 통신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상기 요청과 상기 전용 통신 채널의 상기 오프닝 사이의 최대 딜레이에 대한 제 1 디폴트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전용 통신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상기 요청과 상기 전용 통신 채널의 상기 오프닝 사이의 최대 딜레이에 대한 제 2 디폴 트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폴트 지속기간은 상기 제 1 디폴트 지속기간보다 더 짧은, 레이턴시 최소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률의 할당 단계는,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자동적으로 오프닝하도록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를 할당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률의 할당 단계는 50%의 확률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확률의 할당 단계는 50%보다 큰 확률을 할당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방법.
  17.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소정의 그룹에 제 1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안내할 수 있는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상기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 크에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오프닝을 요청하는 단계;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1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해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상기 제 1 확률보다 더 큰 제 2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상기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 아니면, 상기 제 1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 및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상기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면, 상기 제 2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턴시 최소화 방법.
  18.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컴퓨터 플랫폼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의 소정의 그룹에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적인 그룹 통신에 대한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아웃고잉 통신에 대해 상기 무선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오프닝을 요청하는 단계;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제 1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해 직접적인 통신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상기 제 1 확률보다 더 큰 제 2 확률을 할당하는 단계;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상기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 아니면, 상기 제 1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 및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상기 요청이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것이면, 상기 제 2 확률에 기초하여 전용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선택적으로 오프닝하는 단계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전용 통신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요청과 상기 전용 통신 채널의 상기 오프닝 사이의 최대 딜레이에 대한 제 1 디폴트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또한,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가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에 대한 전용 통신 채널을 오프닝하기 위한 상기 요청과 상기 전용 통신 채널의 상기 오프닝 사이의 최대 딜레이에 대한 제 2 디폴트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또한, 상기 디바이스가 수행하게 하며,
    상기 제 2 디폴트 지속기간은 상기 제 1 디폴트 지속기간보다 더 짧은, 컴퓨터 프로그램.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률 할당 단계가, 직접적인 그룹 통신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자동적으로 오프닝하도록 상기 무선 정보통신 디바이스를 할당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제 18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 1 확률 할당 단계가 50%의 확률을 할당하게 하고;
    상기 제 2 확률 할당 단계가 50%보다 더 큰 확률을 할당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77001478A 2004-06-21 2005-06-21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876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173404P 2004-06-21 2004-06-21
US60/581,734 2004-06-21
US68614105P 2005-05-31 2005-05-31
US60/686,141 2005-05-31
US11/155,256 US7664517B2 (en) 2004-06-21 2005-06-16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a persistence value for group communication requests to reduce latency
US11/155,256 2005-06-16
PCT/US2005/022026 WO2006002218A1 (en) 2004-06-21 2005-06-2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a persistence value for group communication requests to reduce lat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910A true KR20070030910A (ko) 2007-03-16
KR100876562B1 KR100876562B1 (ko) 2008-12-31

Family

ID=3550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478A KR100876562B1 (ko) 2004-06-21 2005-06-21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664517B2 (ko)
EP (1) EP1767028B1 (ko)
JP (1) JP4699456B2 (ko)
KR (1) KR100876562B1 (ko)
CN (1) CN1994006B (ko)
AT (1) ATE423438T1 (ko)
BR (1) BRPI0512305A (ko)
CA (1) CA2571311A1 (ko)
DE (1) DE602005012827D1 (ko)
IL (1) IL180157A0 (ko)
MX (1) MXPA06015226A (ko)
WO (1) WO2006002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863B2 (en) 2004-11-23 2019-07-30 Kodiak Networks Inc.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quality of service for push-to-talk service
WO2016073461A1 (en) * 2014-11-03 2016-05-12 Kodiak Networks, Inc.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quality of service for push-to-talk service
DE102005014519A1 (de) * 2005-03-30 2006-10-05 Siemens Ag PoC-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r PoC-Signalisierung und/oder von PoC-Daten sowie Servervorrichtung dafür
US7724743B2 (en) * 2005-03-31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VoIP data packets in group communications amou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O2007133734A2 (en) 2006-05-15 2007-11-22 Nortel Networks Limited Data over signaling (dos) optimization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JP4247754B2 (ja) * 2006-06-09 2009-04-02 オムロン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S2360742T3 (es) * 2006-09-28 2011-06-08 Qualcomm Incorporated Agrupamiento de señales de comunicación para mayor eficacia.
TWI376125B (en) * 2006-09-28 2012-11-01 Qualcomm Inc Predictive qos resource allocation for rapid session establishment
WO2008039970A1 (en) * 2006-09-28 2008-04-03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of a mobile terminated data over signaling message
ATE518396T1 (de) * 2006-12-04 2011-08-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Kommunikationsverfahren zwischen kanälen in drahtlosen netzwerken mit mehreren kanälen
CN100588274C (zh) * 2006-12-19 2010-02-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数字对讲系统中多方通话发言权的预约切换方法
US9344290B2 (en) 2007-09-24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Terminating a multicast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570911B2 (en) 2007-09-24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 messaging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24619B2 (en) * 2007-12-31 2014-05-13 Apple Inc. Transparently routing a telephone call between mobile and VOIP services
US8023981B2 (en) * 2008-05-12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dynamic call setup based on real-time network resource availability
US8817697B2 (en) * 2008-06-05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call setup latency in a grou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676243B2 (en) * 2008-12-03 2014-03-1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multi-watch for group PTT services
US20110122783A1 (en) * 2009-05-22 2011-05-26 Qualcomm Incorporated Transitioning a user equipment (ue) to a dedicated channel state during setup of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553647B2 (en) * 2010-01-22 2013-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ation of non-optimized handoff from a first access technology to a second access technology
US8780744B2 (en) 2010-01-25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allocation of dedicated channel (DCH) resource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848553B2 (en) * 2010-02-0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state transitions of a user equipme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873479B2 (en) * 2010-02-05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state transition of a user equipment (UE) for delay sensitive application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1558726B2 (en) * 2019-08-05 2023-01-17 Charles Isgar Open 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11202169B2 (en) 2019-08-05 2021-12-14 Charles Isgar Social communication system
US11246007B2 (en) 2019-08-05 2022-02-08 Charles Isgar Location-based intera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301695L (sv) 1993-05-17 1994-09-12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kanalutnyttjandet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SG47619A1 (en) 1993-05-21 1998-04-17 British Telecomm Cellular radio systems
GB2290196B (en) 1994-06-11 1997-12-24 Motorola Israel Ltd Trunking radio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and radio unit with enhanced dispatch calling
US5896376A (en) 1996-12-13 1999-04-20 Ericsson Inc. Optimal use of logical channel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295284B1 (en) 1998-12-23 2001-09-25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ir access in a group communication system
US6349210B1 (en) * 1999-11-12 2002-02-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messages in channel reservation communication systems
US6862273B2 (en) * 2001-01-10 2005-03-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patch sca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8145228B2 (en) * 2001-05-10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reques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25053B2 (en) 2001-05-15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ncy in waking up a group of dormant communication devices
US6983410B2 (en) * 2001-07-02 2006-01-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 frame re-transmission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7349691B2 (en) 2001-07-03 2008-03-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roadcast and localcast communications
US7359724B2 (en) * 2003-11-20 2008-04-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group formation
US7139586B2 (en) * 2004-12-30 2006-11-2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broadc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7028B1 (en) 2009-02-18
KR100876562B1 (ko) 2008-12-31
MXPA06015226A (es) 2007-11-22
DE602005012827D1 (de) 2009-04-02
BRPI0512305A (pt) 2008-02-26
JP2008503989A (ja) 2008-02-07
WO2006002218A1 (en) 2006-01-05
US7664517B2 (en) 2010-02-16
JP4699456B2 (ja) 2011-06-08
CA2571311A1 (en) 2006-01-05
CN1994006B (zh) 2010-06-16
CN1994006A (zh) 2007-07-04
IL180157A0 (en) 2007-06-03
ATE423438T1 (de) 2009-03-15
WO2006002218A9 (en) 2007-03-15
US20050288047A1 (en) 2005-12-29
EP1767028A1 (en)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562B1 (ko)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US7796995B2 (en) Asynchronous signaling and data deli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02229B2 (ja) 無線急報プライオリティユーザへ通信リソー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1719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in a grou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198006B2 (en) Selective review of bundled messages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5328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통신 세션 동안 콜 셋업 서비스 품질 (QoS) 리소스 예약들을 선택적으로 프로비져닝하는 것
US20070195735A1 (en) Method of buffering to reduce media latency in group communication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U2341045C2 (ru) Способ для быстр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на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201101382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고-우선순위 통신 세션들
US20100011122A1 (en) Method of buffering to reduce media latency in group communication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4417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고-우선순위 통신 세션들
RU2351097C2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анала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запроса вызова для переговорной полудуплексной (ртт) связи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U2358386C2 (ru) Асинхронная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ов и доставк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U2350044C2 (ru)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спользующая величину сохранения состояния для запросов групповой связи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времени ожи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