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440A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440A
KR20070029440A KR1020050084222A KR20050084222A KR20070029440A KR 20070029440 A KR20070029440 A KR 20070029440A KR 1020050084222 A KR1020050084222 A KR 1020050084222A KR 20050084222 A KR20050084222 A KR 20050084222A KR 20070029440 A KR20070029440 A KR 2007002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d
voice data
searching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414B1 (ko
Inventor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데이터 입력시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의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작업에 따른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정보검색, 사전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검색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검색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검색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통화중 의문사항이 생겼을 때 다른 매체를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거나, 통화를 종료후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읽어들여 검색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정보검색을 위해선 별도의 정보검색 대상을 입력을 해야 하며, 이와 같은 방식들은 통 화중 정보를 검색하기에 번거로움이 초래된다, 이 외에도 상기 검색된 정보의 공유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호를 연결하거나,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공유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데이터 입력시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의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작업에 따른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 조하면,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음성데이터 입력시 특정키 또는 메뉴의 입력을 통해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인식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았음을 판단한다. 제어부(100)는 오디오처리부(140)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부(120)에 임시 버퍼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임시 버퍼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메모리부(120)의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서 검색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20)의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서 검색결과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한 경우 무선송수신부(160)를 통하여 무선인터넷을 연결하여 상기 무선인터넷상에서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검색이 완료된 단어의 정보를 텍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단어의 정보를 메모리부(120)의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00)에서 키입력부(130)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라 현재의 상태, 각 처리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촬영기능 실행을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1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1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 (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입력부(170)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10)는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제어부(100)에서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단어를 선택받도록 상기 추출된 단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00)에서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메모리부(120)의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인터넷으로 연결시 상기 연결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20)는 단어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데이터베이스(120a)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디오처리부(140)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임시저장 하는 임시버퍼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임시버퍼에 저장된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어부(100)로 출력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도록 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 및 상기 단어의 정보를 정보데이터베이스 (120a)에 저장할 수 있다.
키입력부(1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을 위한 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130)는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추출되는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는 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키입력부(130)는 제어부(100)에서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한 경우 상기 추출된 단어를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 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를 선택받는데 사용된다.
오디오처리부(140)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40)는 상기 데이터처리부(14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부(15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40)는 상기 오디오처리부(140)와 연결된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처리부(MODEM)(15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무선송수신부(160)는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송수신부(16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송수신부(160)는 오디오처리부(140)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대방으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60)는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추출한 단어의 정보 검색시 무선인터넷과 연결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된 무선인터넷에서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여 제어부(100)에서 상기 수신한 정보를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한다.
카메라(18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7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11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180), 영상처리부(170)를 하나의 카메라부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대기모드중 호가 수신됨을 알리는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발신자와 상기 호를 연결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아 200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통화모드에 따라 발신자 및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입력받는 205단계를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는 21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210단계에서 실행하는 음성데이터 분석은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부(120)의 임시버퍼에 일시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읽어 들여 상기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결과에 다라 단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는 215단계를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추출은 상기 입력되어 임시버퍼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도 4의 화면예시도 (a)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읽어 들여 메모리부(120)에 포함된 정보데이터베이스(120a)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되어진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추출된 단어와 상기 단어에 따라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서 검색된 상기 단어의 정보 검색결과를 도 4의 화면 예시도 (b)-1 또는 (b)-2와 같이 출력하도록 하는 22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출력되는 검색결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검색된 결과를 사용자 및 발신자에게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통화모드 실행시 음성데이터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입력되는 대로 분석하거나, 임시버퍼에 저장하였다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음성데이터를 분석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분석된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결과를 텍스트 또는 택스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 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동작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동작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대기모드중 호 발생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호를 연결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아 300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통화모드에 따라 발신자 및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입력 받는 30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음성데이터 입력시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검색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았는지 판단하는 31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어 정보 검색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이 키 입력을 받아 실행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상기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메뉴를 입력받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부(120)에 임시버퍼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도 4의 화면예시도 (c)와 같이 추출하도록 하는 315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데이터를 메모리부(120)에 임시버퍼에 저장하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미리 설정된 메뉴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단어를 추출하도록 한 경우 상기 통화모드가 형성되는 시점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임시버퍼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따라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추출된 단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이상 표시부(110)에 디 스플레이하도록 하는 320단계를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추출된 단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325단계를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선택받은 단어가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되어있는지 검색하는 33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상기 선택받은 단어의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335단계를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선택받은 단어의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도록 무선송수신부(160)을 통하여 도 4의 화면 예시도 (d)-1과 같이 무선인터넷을 연결하는 34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무선인터넷에 연결하여 상기 단어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정보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는 도 4의 화면 예시도 (d)-2와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34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출력시 텍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발신자에게도 전송하여 상기 검색결과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선택받은 단어가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존재하지 않아 무선인터넷에 연결하여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한 경우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은 제어부(100)는 통화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포함되어있는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받은 단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되 어진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결과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인터넷을 연결하여 상기 선택받은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결과를 텍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인터넷을 연결하여 검색한 결과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 실행중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검색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2)

  1.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데이터 입력시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의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작업에 따른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의 인식작업은 특정키 또는 메뉴의 입력을 통해 상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에 대하여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검색결과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추출된 단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시 상기 단어의 정보가 메모리부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결과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단어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한 경우 무선인터넷을 연결하여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시 상기 단어의 검색결과에 따라 텍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출력시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8.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데이터 입력시 상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의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작업에 따른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단어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받은 단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의 인식작업은 특정키 또는 메뉴의 입력을 통해 상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시 상기 단어의 정보가 메모리부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결과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단어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한 경우 무선인터넷을 연결하여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의 정보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시 상기 단어의 검색결과에 따라 텍 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12.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데이터 입력 시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의 인식잡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작업에 따른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단어의 정보를 텍스트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를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KR1020050084222A 2005-09-09 2005-09-0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KR10070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22A KR100703414B1 (ko) 2005-09-09 2005-09-0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22A KR100703414B1 (ko) 2005-09-09 2005-09-0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40A true KR20070029440A (ko) 2007-03-14
KR100703414B1 KR100703414B1 (ko) 2007-04-03

Family

ID=3810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222A KR100703414B1 (ko) 2005-09-09 2005-09-0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07A (ko)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보 알림장치
KR101240401B1 (ko) * 2008-09-29 2013-03-1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에 의한 검색 방법
KR101426949B1 (ko) * 2007-08-07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자연언어를 처리하여 임의의 기능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2250B2 (ja) * 2000-03-15 2003-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
KR20050063551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전자사전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단어 검색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49B1 (ko) * 2007-08-07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자연언어를 처리하여 임의의 기능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40401B1 (ko) * 2008-09-29 2013-03-1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에 의한 검색 방법
KR20110136307A (ko)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보 알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414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US20050288063A1 (en) Method for initiating voice recognition mode on mobile terminal
US7840406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dictionary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0724870B1 (ko) 휴대단말기의 별자리 검색방법
KR10063020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계산기 모드 동작 방법
EP1610533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341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KR10092044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정보 검색 방법
KR100633231B1 (ko) 제스처 인식 기반 정보 검색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및 그 구현방법
US9343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keyword identifier
KR100484245B1 (ko) 이동통신기기의 화상전화번호부 자동검색 및 관리장치 및그 방법
CN105302335B (zh) 词汇推荐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7033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사전서비스 방법
KR10126479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사진 검색 방법
KR100726255B1 (ko)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101232448B1 (ko)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에 따른 정보출력 방법
KR1006781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KR1007248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통한 통화수행 방법
KR101520870B1 (ko) 휴대단말에서의 도움말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364844B1 (ko) 화상통화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11282A (ko)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방법 및 시스템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62000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주소록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