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255B1 -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255B1
KR100726255B1 KR1020050114956A KR20050114956A KR100726255B1 KR 100726255 B1 KR100726255 B1 KR 100726255B1 KR 1020050114956 A KR1020050114956 A KR 1020050114956A KR 20050114956 A KR20050114956 A KR 20050114956A KR 100726255 B1 KR100726255 B1 KR 10072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input
words
displaye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392A (ko
Inventor
류철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2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우선적으로 검출하는 유추단어 검출부, 및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벌도로 저장하여 문자 입력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입력을 위한 추천 단 단어로 검색 및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단어 선택 및 문자 입력을 보다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문자, 단어, 입력, 검색, 휴대용 단말기, 사전

Description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inputting writing rapidly}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키입력부에 마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문자 저장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작성문자 저장부 및 수신문자 저장부에 저장되는 언어별 문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추출 단어 저장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작성단어 저장부 및 수신단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언어별 단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 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단어선택 판별단계에서 표시된 추천 단어들 중에서 입력을 위한 단어 선택 신호가 없는 경우,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를 입력할 때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본체에 많은 크기로 설치되고, 인터넷,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나 메일(mail)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짐에 따라, 한글 또는 영어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의 문자 메시지 또는 텍스트 입력 기능이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의 입력시 신속 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모든 단어들을 추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2),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0), 문자입력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6), 및 제어부(10)를 갖는다. 여기서 저장부(16)에는 해당 언어로 표시 가능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18)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키입력부(20)에 마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20)에는 통화키(21), 확인키(23), 취소키(25), 종료키(27), 및 문자/숫자 입력키(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문자/숫자 입력키(30)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어부(10)는 키입력부(20)로부터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 이후 표시된 단어들 중 키입력부(20)를 통해 소정의 단어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선택된 단어를 입력을 위한 단어로 선택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한글인 경우, 제어부(10)는 한 글자(예를 들어, '가')가 입력되면 입력된 한 글자(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하고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여 해당 단어의 입력을 추 천한다.
키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영어인 경우, 제어부(10)는 한 알파벳(예를 들어, 'a')이 입력되면 입력된 알파벳 'a'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하고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여 해당 단어의 입력을 추천한다.
도 3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0)는 입력되는 단어의 등록 명령에 따라, 해당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에 저장한다(S11). 제어부(10)는 현재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 모드가 문자 입력 모드인지를 판단하고(S13), 문자 입력 모드이면 키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입력받아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S15).
제어부(100)는 표시된 문자(예를 들어, '가', 'a' 등)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한다(S17). 이때 제어부(10)는 검색한 모든 단어들을 정렬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S19).
제어부(10)는 표시된 단어들 중 입력 및 표시를 위해 해당 단어의 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21). 표시되는 단어들 중 단어의 선택이 없으면, 제어부(10)는 S15 단계를 수행한다. 표시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S23).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모두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모두 나열식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한 문자로 시작하는 모든 검색된 단어들을 확인해가면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의 범주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지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를 검색하여 추천하기 때문에, 오히려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일일이 확인하여 선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시작하는 100개 단어가 검색되어 표시되고 표시된 100개의 단어들 중 필요한 단어가 100번째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표시된 100개의 단어를 첫 번째 단어부터 일일이 확인하여 100번째에 위치하는 단어를 선택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본 방법의 제안에 따른 문자의 신속한 입력을 위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직접 단어를 입력하는 것보다 오히려 문자 입력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문자 입력 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을 별도로 관리하여 문자 입력 시 해당 단어의 보다 신속한 선택 및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우선적으로 검출하는 유추단어 검출부; 및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 및 내부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장으로부터 상기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어 추출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한 단어들에 대해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빈도 추출부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는, 해당 단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횟수와 상기 해당 단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 및 상기 내부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문장 저장부; 및 사용빈도 추출부에 의해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단어들을 저장하는 추출단어 저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문장 저장부는,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수신문장 저장부; 및 상기 내부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작성문장 저장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문장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장은 수신 문자 메시지이고, 상기 작성문자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장은 발신 문자 메시지이다.
상기 추출단어 저장부는, 상기 수신문장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해당 단어의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하는 수신단어 저장부; 및 상기 작성문장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해당 단어의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하는 작성단어 저장부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단어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해당 문자로 유추 가능한 단어를 추출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자모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 상기 입력되는 자모를 조합하여 상기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 편집부; 상기 생성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에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유추단어 검출부; 및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신속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별도로 저장하는 단계; b)문자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상기 저장된 단어들로부터,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 d)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e)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상기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문 자입력모드에서 상기 문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 완료된 문장으로부터 상기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단어를 상기 사용 빈도를 기초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는 해당 단어가 표시된 횟수와 상기 해당 단어가 표시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신속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답장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답장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하여 저장된 단어들로부터,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상기 답장 모드에서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빈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및 사용 시점에 따라 최근에 표시 또는 사용된 단어들을 우선순위를 정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및 최근에 사용된 단어들 중에서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문자 입력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을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단어들 중에서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 입력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10), 카메라부(120), 영상처리부(130), 표시부(140), 무선통신부(150), 데이터 처리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키입력부(180), 문자편집부(210), 단어 추출부(220), 사용빈도 추출부(230), 유추단어 검출부(240), 및 저장부(250)를 갖는다.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편집, 화면에 표시된 문장/문자로부터 단어를 추출, 및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를 추출한 단어로부터 검출하여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를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별도로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케메라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처리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40)의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3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3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120) 및 영상처리부(130)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영상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14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 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표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에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문장/문자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편집하는 문장/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시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소정의 단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50)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150)는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5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문제 메시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16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모듈, 및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모듈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760)는 데이터 처리부(16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7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160)로 출력한다.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18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 및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180)는 문자 입력, 단문 서비스를 위한 문자 메시지 입력, 입력된 문자 메시지의 전송, 표시된 문자의 편집, 및 입력한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의 선택을 위한 기능들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해당 키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키입력부(180)는 입력되는 해당 명령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문자편집부(210)는 키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한글 문자(자모) 및/또는 영문 알파벳을, 해당 언어에 따라 설정된 문자 조합 특성에 따라 조합한다. 이때 조합된 문자들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된다.
단어 추출부(2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문장으로부터 해당 언어별로 단어를 추출한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문장의 종류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문장, 키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어 편집된 문자/문장, 저장부(260)에 저장된 문자/문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단어 추출부(220)는 표시된 문자/문장이 한글인 경우, 문자/문장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한 후 조사를 제거하여 문법적으로 명사 또는 동사적 특성을 갖는 단어를 추출한다. 또한, 표시되는 문자/문장이 영어인 경우, 단어 추출부(220)는 문 자/문장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단어를 추출한다.
사용빈도 추출부(230)는 단어 추출부(220)에서 추출한 해당 단어별 사용 빈도를 체크하여 그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 빈도란, 해당 단어가 화면에 표시된 횟수와 현재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해당 단어의 표시 시간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빈도 추출부(230)의 기능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추 단어 검출부(240)는 키입력부(180)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검출한다. 제어부(110)는 유추 단어 검출부(240)에서 검출한 단어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된 단어들 중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단어를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 중인 문자와 대체하여 입력 및 표시한다.
저장부(250)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의 입력 및 단어 검색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50)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 저장부(260), 문자 저장부(270), 및 추출 단어 저장부(280)를 갖는다.
단어 저장부(26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 시 및 이후에 저장 명령에 따라 입력된 단어들을 저장하고 있다.
문자 저장부(270)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 문자 메시지 및 편집된 문자/문장들을 저장한다.
추출 단어 저장부(280)는 문자 저장부(270)에 저장된 문자/문장으로부터 단어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단어들을 사용 출처(송신, 수신, 편집) 및 사용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한다. 이때 추출 단어 저장부(280)는 단어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자모 순서 및/또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추출 단어 저장부(280)는 단어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사용 출처 별로 구분하여, 자모 순서 및/또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추출 단어 저장부(280)는 단어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각 단어들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입력모드에서 키입력부(180)를 통해 해당 문자(예를 들어, '가'또는 'a' )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표시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유추 단어 검출부(240)를 제어하여 추출 단어 저장부(280)로부터 키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제어부(110)는 검출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부(1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표시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단어를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중인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 빈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및 사용 시점에 따라 최근에 표시 또는 사용된 단어들을 별도로 저장하여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및 최근에 사용된 단어들 중에서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문자 입력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에서 키입력부(180)를 통해 해당 문자(예를 들어, '가'또는 'a' )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표시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유추 단어 검출부(240)를 제어하여 키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단어들이 저장된 추출 단어 저장부(280)로부터 검출한다. 제어부(110)는 검출한 단어들을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부(1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표시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단어를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중인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수신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을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단어들 중에서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 입력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문자 저장부(270)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 바와 같이, 문자 저장부(27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작성문자 저장부(272),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수신문자 저장부(274)를 갖는다.
도 6은 도 5의 작성문자 저장부(272) 및 수신문자 저장부(274)에 저장되는 언어별 문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의 작성문자 저장부(272)에 저장되는 언어별 문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문자 저장부(272)에는 '사랑해. 친구가.'라는 한글 문장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성문자 저장부(272)에는 'I love you. To your friend.'라는 영어 문장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b는 도 5의 수신문자 저장부(274)에 저장되는 언어별 문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신문자 저장부(274)에는 '나도.'라는 한글 문장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신문자 저장부(274)에는 'Me too.'라는 영어 문장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추출 단어 저장부(280)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 바와 같이, 추출 단어 저장부(28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문장)로부터 추출한 단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작성단어 저장부(282),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문장)로부터 추출한 단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수신단어 저장부(284)를 갖는다.
도 8은 도 7의 작성단어 저장부(282) 및 수신단어 저장부(284)에 저장되는 언어별 단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의 작성단어 저장부(282)에 저장되는 언어별 단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단어 저장부(282)에는 '사랑', '친구' 등의 한글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성단어 저장부(282)에는 'I', 'love', 'you', 'your', 'friend'등의 영어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b는 도 7의 수신단어 저장부(284)에 저장되는 언어별 단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신단어 저장부(284)에는 '나'등의 한글 단어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신단어 저장부(284)에는 'Me', 'too'라는 영어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10)는 문자입력모드에서 키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조합하여 문자를 작성하도록 문자편집부(210)를 제어하고, 작성 결과에 따라 생성된 문장을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110).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80)를 통한 문자의 작성 완료 여부를 판별한다(S120).
문자 작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작성된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도록 단어 추출부(220)를 제어한다(S130). 작성된 문장으로부터 단어가 추출되면, 제어부(110)는 추출한 단어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정렬하여 저장하도록 사용빈도 추출부(230)를 제어한다(S140).
이후,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이 문자입력모드에 따른 문자의 작성 동작의 수행 여부를 판별한다(S150). 문자를 작성하기 위한 모드인 경우, 제 어부(110)는 키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160).
이때, 제어부(110)는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여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 작성된 문자로부터 추출한 단어들이 사용 빈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된 추출 단어 저장부(280)로부터 사용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도록 유추 단어 검출부(240)를 제어한다(S170). 여기서 제어부(110)는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유추 단어 검출부(240)로부터 검출된 단어들을 정렬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180). 이때 제어부(110)는 표시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에 대한 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190). 단어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검출한 단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S180 단계를 수행한다.
S190 단계에서 표시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단어를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 중이던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210). 이후 제어부(110)는 문자입력모드의 완료에 따라 문자 작성의 완료 여부를 판별한다(S220). 문자 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160 단계 내지 S210 단계를 수행한다. 문자 작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130 및 S140 단계와 동일하게 작성된 문자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여 사용 빈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한다(S230).
따라서, 작성된 문자들 중에서 단어들을 추출하여 사용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정렬 및 저장하고 문자입력 시 입력되는 문자로부터 유추되는 단어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된 단어들로부터 검출하여 단어 입력을 위해 추천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사용 빈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단어의 입력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단어선택 판별단계(S190)에서 표시된 추천 단어들 중에서 입력을 위한 단어 선택 신호가 없는 경우,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S190 단계에서 표시된 단어들 중 단어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80)로부터 입력된 문자로 유추 가능한 모든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단어 저장부(260)로부터의 검색 명령이 있는지를 판별한다(S191). 단어 저장부(260)로부터의 단어 검색 명령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180 단계를 수행한다. 단어 저장부(260)로부터의 단어 검색 명령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모든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260)로부터 검출하도록 유추 단어 검출부(240)를 제어한다(S192).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검출한 단어들을 정렬하고 표시부(140)를 통해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193). 이때 제어부(110)는 표시된 단어들 중 입력을 위한 단어의 선택 신호가 있는지를 판별한다(S194). 단어의 선택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단어를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부(1401)를 통해 표시한다(S195).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 후, 제어부(110)는 문자입력모드에서 문자 작성의 완료 여부를 판별한다(S196). 문자 작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도 9에서 S130 및 S140 단계와 동일하게 작성된 문자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추출 단어 저장부(280)에 저장한다(S197). 문자 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8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입력받고(S201) 도 9에서 S160 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S194 단계에서 표시된 단어들 중 입력을 위한 단어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문자에 연속하여 키입력부(180)를 통한 문자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S198). 키입력부(180)를 통한 문자가 연속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193단계를 수행한다.
키입력부(180)를 통한 문자가 연속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연속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199). 이후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문자 작성의 완료 여부를 판별한다(S196). 문자 작성의 완료 여부에 따라, 제어부(110)는 S197 단계 및 S210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S310). 제어부(110)는 수신한 문제 메시지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도록 단어 추출부(220)를 제어한다(S320). 단어가 추출되면, 제어부(110)는 추출된 단어를 정렬하여 추출단어 저장부(280)에 저장한다(S330).
이후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수신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 문자입력모드인지를 판별한다(S340). 동작 모드가 답장 문자입력모드이면,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350).
제어부(110)는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단어 저장부(280)에 저장한 단어들이 검출한다(S360).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검출한 단어들을 정렬하여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370). 이때 제어부(110)는 표시된 단어들 중 문자 입력을 위해 선택된 단어가 있는지를 판별한다(S380).
표시된 단어들 중 선택된 단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단어를 답장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중인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390). 선택된 단어를 표시한 후, 제어부(110)는 답장 문자입력모드에 따른 문자 작성의 완료 여부를 판별한다(S392).
문자 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350 단계 내지 S390 단계를 수행한다. 문자 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작성된 문자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 빈도에 따라 정렬하여 추출단어 저장부(280)에 저장한다(S39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어 추출부(220)는 해당 문장을 공백(스페이스)을 기준으로 분리한다 (S131). 이때 단어 추출부(220)는 분리된 문자(구)로부터 조사를 분리한다(S133).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단어 추출부(220)는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한다(S135).
한편, 영어 문장에서 단어를 추출하는 경우, 단어 추출부(220)는 영어 문장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는 것만으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사용 빈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을 별도로 저장하여 문자 입력 시 입력되는 문자로 유추 가능한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로부터 우선적으로 검출하여 입력 추천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단어 외에 자주 사용하는 구, 절, 문장, 및 특수문자들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빈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및 사용 시점에 따라 최근에 표시 또는 사용된 단어들을 우선순위를 정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및 최근에 사용된 단어들 중에서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문자 입력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을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단어들 중에서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 입력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보다 신속하게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Claims (21)

  1.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우선적으로 검출하는 유추단어 검출부; 및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 및 내부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장으로부터 상기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어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한 단어들에 대해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빈도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는 해당 단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횟수와 상기 해당 단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 및 상기 내부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문장 저장부; 및
    사용빈도 추출부에 의해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단어들을 저장하는 추출단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저장부는,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수신문장 저장부; 및
    상기 내부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작성문장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문장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장은 수신 문자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문자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장은 발신 문자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어 저장부는,
    상기 수신문장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해당 단어의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하는 수신단어 저장부; 및
    상기 작성문장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해당 단어의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하는 작성단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문자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수신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단어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해당 문자로 유추 가능한 단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자모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
    상기 입력되는 자모를 조합하여 상기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 편집부;
    상기 생성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에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유추단어 검출부; 및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 및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장으로부터 상기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어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한 단어들에 대해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빈도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는 해당 단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횟수와 상기 해당 단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는 문장 저장부; 및
    사용빈도 추출부에 의해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단어들을 저장하는 추출단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어 저장부는,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된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해당 단어의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하는 수신단어 저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해당 단어의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저장하는 작성단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신속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별도로 저장하는 단계;
    b)문자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상기 저장된 단어들로부터,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
    d)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e)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상기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문자입력모드에서 상기 문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 완료된 문장으로부터 상기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단어를 상기 사용 빈도를 기초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빈도에 따른 우선순위는 해당 단어가 표시된 횟수와 상기 해당 단어가 표시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0.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신속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위한 답장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답장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하여 저장된 단어들로부터,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상기 답장 모드에서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과 메시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표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별도로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 빈도가 높은 순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우선적으로 검출하는 유추단어 검출부; 및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050114956A 2005-11-29 2005-11-29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2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956A KR100726255B1 (ko) 2005-11-29 2005-11-29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956A KR100726255B1 (ko) 2005-11-29 2005-11-29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92A KR20070056392A (ko) 2007-06-04
KR100726255B1 true KR100726255B1 (ko) 2007-06-08

Family

ID=3835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956A KR100726255B1 (ko) 2005-11-29 2005-11-29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69B1 (ko) 2007-08-09 201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메시지를 압축 및 복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1524B1 (ko) * 2009-08-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CN105101121B (zh) * 2015-05-29 2019-07-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信息发送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208A (ko)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팬택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208A (ko)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팬택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92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5266A1 (en) Method for creating short messa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71495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KR101316988B1 (ko) 휴대전화
US20100138441A1 (en) Method for storing telephone number by automatically analyzing message and mobile terminal executing the method
US20090170536A1 (en) Automatic language selection for text input in messaging context
KR101756042B1 (ko)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
KR201300054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12965A (ko)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0666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elephone numbers in a portable terminal
US7369843B2 (en) Portable cellular phone having function of searching for operational function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operational function in portable cellular phone
KR100726255B1 (ko)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5302335B (zh) 词汇推荐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37734A (zh) 文本信息处理方法、移动终端
KR10070341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KR100613520B1 (ko) 비속어 변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918564B (zh) 带修饰信息语句的生成装置
KR10083427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모바일 단말기
US9521228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electronic apparatus
KR101364844B1 (ko) 화상통화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81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JP451950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JP2007094786A (ja) 携帯端末機
KR20080099105A (ko) 문자메시지의 편집 방법 및 휴대단말기
JP2006221363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